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원식,신문식 한국경영학회 2007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07 No.8
퇴직연금의 활성화는 근로자, 기업, 자본시장의 금융기관들 모두에게 노후보장을 위한 새로 대안을 제시한다. 근로자에게는 본격적으로 기존의 국민연금 의존성을 탈피하여 독자적인 노후준비를 하도록 할 것이고, 기업에 있어서는 운영에 많은 부담이 되었던 법정퇴직금제도를 합리적으로 전환하여 근로자 복지의 새로운 전환점을 제공하고, 마지막으로 연금사업자, 혹은 금융기관들의 입장에서는 자본시장의 활성화를 통하여 국제경쟁력을 마련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퇴직연금의 국민연금에 대한 의존도가 하락하여, 민간중심의 연금시장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퇴직연금에 있어서 퇴직급여 안정성에 대한 기대가 크다. 셋째, 근로자들의 금융기관 별 인식은 앞으로 퇴직연금 사업의 전개 및 금융시장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퇴직연금 미가입자를 위하여는 퇴직일시금 수요의 요인들을 분석하여 가계 자산관리에 대한 지원을 한다면 미가입자들은 퇴직연금의 확산에 동참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부가 퇴직연금의 확대를 위하여는 노사의 관심을 더욱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고, 세제확대나 수급권 보장을 통하여 퇴직연금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김원식,곽정인,이경재,한봉호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1
This study has analyzed the vegetation composition in the areas using different slope revetment techniques of riverbanks, in a way to improve the vegetation induction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ecological aspects of the induction in Garaeyoul Village, Gangdong-gu, Seoul. The result of the vegetation distribution in each different slope revetment technique was analyzed, that the naturalized herb was dominant in the pole block accounting for 70.7%, while native herb was dominant in the lawn block occupying 48.5% and in the crib block occupying 55.7%. The vegetation coverage measured by different slope revetment techniques was highest in the crib block(average 97.5%), followed by the lawn block(average 95.3%) and pole block(average 27.9%). The vegetation base area was the most wide in the crib block and the most narrowest in the pole block. The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in areas using different slope revetment techniques, dry herbs and vine herbs were dominated and the coverage was very poor in the pole block. In the lawn block, the barb was fragmented into narrow areas due to the blocks, which prevented the creation of large-scale plant communities. In the crib block, Miscanthus sacchariflorus, Fescue arundinacea and Aster pilosus, which also consisted of large-scale communities. Average dry weight was also measured by each slope revetment technique. The weight was heaviest in the crib block with 187.63g/㎡, followed by the lawn block(137.65g/㎡) and pole block(6.75g/㎡). The soil moisture contents in the crib block and lawn block was 16.3% and 15.2%, respectively, while that of the pole block was 4.7%, which revealed the highly dry condition of the pole block soil. The analysis result of soil chemical property showed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soil texture, soile acidity(pH), and exchangeable ion content, however, the soil organic matter(OM) content and available P_2O_5 were highest in the pole block. In the future, in order to induce more vegetation into river banks and walls, a proper construction method should be applied so that the vegetation area can be expanded as much as possible, considering the safety of the banks. 본 연구는 강동구 가래여울마을 한강제방을 대상으로 호안공법에 따른 자연적인 식생유입 현황을 분석하여 생태적인 측면을 고려한 제방 호안 식생유도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제방 호안공법별 식생 분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장대블록에는 귀화초본이 70.7%로 우점하였고 잔디블록에는 자생초본군락이 48.5%, 방틀블록은 자생초본군락 55.7%로 자생초본군락 면적은 방틀블록에서 가장 넓었다. 제방 호안공법별 식생피도는 장대블록이 평균 27.9%로 가장 낮았고 잔디블록(평균 95.3%), 방틀블록(평균 97.5%)순으로 높았다. 식생기반면적에서는 장대블록이 가장 협소하였으며 방틀블록이 가장 넓었다. 식물군집구조에서 장대블록은 건조초본 및 덩굴성초본이 주로 우점하였고 식생피도도 낮았으며 잔디블록은 다양한 종이 소규모군락을 형성하였다. 방틀블록은 식생기반 면적이 가장 넓어 다년생 초본인 물억새, 큰김의털, 미국쑥부쟁이 등이 넓은 면적의 군락을 형성하였다. 호안공법별 평균 건물중은 장대블록은 6.75g/㎡, 잔디블록은 137.65g/㎡, 방틀블록은 187.63g/㎡으로 방틀블록 식물 건물중이 가장 많았다. 토양특성에서 토양 수분함량은 방틀블록 16.3%, 잔디블록 15.2%인 반면 장대블록은 4.7%로 토양이 매우 건조하였다. 토양 이화학적 특성 분석결과 토성, 토양산도(pH), 치환성 양이온 함량은 호안공법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토양유기물 함량(OM)과 유효인산(Available P_2O_5 )은 장대블록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하천제방 호안녹화의 경우 제방의 안전을 고려하여 가능한 식생기반 면적을 넓혀주어 자연적인 식생 유입이 가능하도록 제방 호안공법 적용이 필요하였다.
김원식 대한건축학회 200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2 No.9
There had been numerous descriptions, illustrations, and pattern-books of garden since the sixteenth century. However, an autonomous theory of gardening did not emerge until the beginning of eighteenth century, with the codification of the formal French garden in Joseph Dezallier d'Argenville's for example. Anyway, during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y, several writers and theoreticians of agronomy like Boyceau, de Serres, Claude and Andre Mollet cast their schemes onto the earlier modest utilitarian gardens. The literature on the art of gardening, which involves agriculture on the one hand and both architecture and other visual arts on the other,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in the art of gardening. As Boyceau was the only and first who treat garden as the main theme in his book with logic and consistency, we will focus particularly on his thought and ideas in this article. The article will be restricted mainly to an analysis of literal sources and pay attention to the theory of agriculture and gardening and their relationships.
돼지난소에서 난포폐쇄와 큰포식세포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김원식,한승로,김수일,박창식 충남대학교 형질전환복제돼지연구센터 2004 논문집 Vol. No.8
난포폐쇄가 과립층세포의 세포자멸사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 큰포식세포가 직? 간접적으로 관여한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난포내에서 일어나는 세포자멸사가 과립층의 어디에서부터 개시되고 어떻게 파급되는지, 세포자멸사 산물과 퇴화된 난모세포의 제거 방법 그리고 난포폐쇄의 완성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가임기 돼지(Yorkshire-breed)를 실험동물로 난소내 난포의 광학현미경적 및 투과전자현미경적 관찰과 돼지 대식세포 단크곤항체 4E9를 이용한 변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광학현비경적관찰 결과, 난포폐쇄는 과립층세포의 세포자멸사로부터 개시되고 이어 난모세포의 퇴화와 난포막 속층 세포들의 세포자멸사가 일어나면서 난포폐쇄가 완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과립층세포의 세포자멸사는 핵농축으로부터 시작되고 과립층의 깊이에 관계없이 짧은 시간 안에 모든 층으로 파급되고 최종적으로 난모세포의 투명대를 둘러싸고 있는 과립층세포의 세포자멸사포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세포자멸사중에 있는 과립층세포들이 인접한 정상적인 과립층세포들과 큰포식세포들에 의해 포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난포동내에 산재한 세포자멸사 소체들의 제거에도 큰포식세포들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난포폐쇄와 큰포식세포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면역조직화학적 관찰에서는, 과립층세포의 세포자멸사 초기에는 큰포식세포가 과립층내에서만 발견되었으나, 세포자멸사의 진행과 함께 난포동과 난모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투명대 주위에서 각각 순서대로 관찰되었고 마지막으로 난포막 속층에서도 발견되어, 이들이 과립층세포들의 세포자멸사 소체들을 제거하는 것은 물론 최종적으로는 난포막 속층 세포들의 세포자멸사 소체들을 제거하여 난소 실질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난포폐쇄와 관련된 큰포식세포의 구조, 기능적 연구에 유용한 자료로 생각된다. Apoptosis of granulosa cells leads follicular atresia and macrophages have an important role during the apoptotic process. However, the propagation of apoptosis within the follicle, the ways of elimination of apoptotic bodies and degenerated oocyte, and the completion of follicular atresia are still controversial and unidentified clearly. Using adult porcine (Yorkshire-breed) ovary, in this morphological stud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with pig macrophage monoclonal antibody 4E9 were performed. In light microscopy, the follicular atresia initiated with apoptosis of granulosa cells, followed by degeneration of oocyte and apoptosis of theca interna cells. Apoptosis occured in random fashion among the granulosa cells and propagated multidirectionally, and finally to the granulosa cells surrounding zona pellucida of degenerating oocyte. Pyknosis of granulosa cells was the first sign of apoptosis. In immunohistochemistry, macrophages were found only in the granulosa layer at the stage of beginning of apoptosis. With progression of apoptosis, they were proliferated greatly in number enough to eliminate all the apoptotic bodies, and found within the follicular antrum. In advanced stage of atresia, macrophages surrounded the zona pellucida of degenerating oocyte, and found also in the theca interna. I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phagocytic granulosa cells maintained characteristic gap junctions with neighboring granulosa cells and contained several apoptotic bodies and lipid droplets within their cytoplasm. Macrophages kept many apoptotic bodies, vacuoles and autophagosomes in their cytoplasm. Apoptotic granulosa cells were ingested by intact granulosa cells and macrophages initially, but lately, all the apoptotic granulosa cells and degenerated oocyte were eliminated by macrophages. Ovarian follicular atresia completed with phagocytosis of apoptotic theca interna cells by macrophages, and the remnants of the atretic follicle became ovarian stroma. It is well known that macrophages may play an important role during follicular atresia, such as elimination of apoptotic granulosa cells, theca intema cells and degenerated oocytes, but, the valid action mechanisms of macrophages on the initiation of granulosa cell apoptosis and on the completion of atresia through the secretion of paracrine factors and autocrine factors still unclear.
김원식,방하남 한국응용경제학회 2005 응용경제 Vol.7 No.2
The Korean government is planning on implementing corporate pension in December, 2005. It is the first attempt of the public - private mix in the social insurance field. Corporate pension is already a popular system and one of the cores of multi-pillar pension system along with social security pension. Therefore, the corporate pension design should fit Korea's situation, reflecting on the experiences of advanced countries. First, the corporate pension should be designed so that employees and employers accept its contents. It should include the productive compensation rule, regulation of employee discrimination, tax preferences, etc. Second, the guaranty of pension benefits should be strengthened. The safety of the pension institution, the implementation of pension insurance, and employee education of the pension fund management should be prepared. Third, multi-pillar pension system consisted of national pension, individual pension, and corporate pension, should be set up. Lastly, the capital market should be improved to be able to manage corporate pension fund efficiently. Pension is based on the sound capital market. Therefore, the failure of capital market means the failure of pension. Inappropriate government regulations may lead to the inefficient capital market. However, the growth of pension based on the efficient capital market will accelerate the growth of economy. 2005년 말부터 도입되는 퇴직연금제도는 우리나라 4대 사회보험제도 가운데 처음으로 시도되는 public private mix이다. 퇴직연금은 이미 각국에서 보편화된 제도이며, 국민연금과 함께 다층연금구조의 핵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퇴직연금의 정착을 위하여 외국의 경험을 검토하여 우리의 실정에 맞는 한국형 퇴직연금제도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첫째, 노사가 합리적인 퇴직연금을 동의할 수 있도록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장치로서, 생산적 보수규정, 근로자 차별에 대한 제한, 세제 조정 등을 이 필요하다. 둘째, 연금급여의 보장성의 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참여 연금기관의 안정성, 연금재보험기구의 도입, 근로자의 투자교육을 통한 안정적 기금운용,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셋째, 국민연금, 개인연금, 퇴직연금을 중심으로 한 연금제도의 체계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자본시장의 선진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기본적으로 연금제도는 건전한 자본시장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자본시장의 부실화는 연금의 부실화와 직결되며, 정부의 규제도 자본시장의 부실화와 직결될 수 있다. 그러나 자본시장의 선진화에 기초한 연금제도의 성장은 경제성장을 촉진한다.
포스터 3 : Isohemolysin에 의한 ABO discrepancy 1예
김원식,최범열,김대중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5 임상수혈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5 No.-
배경(Background): ABO혈액형은 수혈의학에서 가장 중요하며, 수혈자의 ABO혈액형은 필히 혈구형 검사와 혈청형검사를 동시에 실시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혈구형 검사와 혈청형검사의 불일치(ABO discrepancy)는 여러가지 원인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그 원인을 추적하는 방법으로 환자의 병력과 임상 증상을 확인하는 것과 혈구측의 항원검사에 서로 다른 항혈청과의 반응, 렉틴과의 반응, 흡착해리검사, 혈청측의 규칙항체 외 비예기항체검사, 자가항체 유무, 분비자의 타액 에서 형 물질 검사, 가계조사 등이 필요 할 때도 있다. 수혈자가 아닌 경우에도 혈액형검사 오판은 의료기관의 신뢰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 등은 Isohemolysin에 의한 ABO discrepancy 1예를 경험하여 소개 하고자 한다. 증례(Case): 건강검진 차 방문한 여성(26세)으로 혈액형검사에서 통상검사로 혈구형은 슬라이드법에서 (Ortho사 monoclonal Anti-A, Anti-B, Anti-D) O형, Rh-D 양성, 혈청형검사는 자가 제조 A 및 B cells을 사용하여 시험관법으로 검사하여 B혈구에만 2+정도의 반응으로 A형으로 나타나 ABO discrepancy을 보였다. 추가 검사로 검체 혈구를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여 슬라이드법 및 시험관법으로, 혈청형은 혈청을 56℃에서 30분정도 비동화한 후시험관법으로 A 및 B cells에서 각각 4+반응, O cells에는 음성으로 혈구형과 혈청형에서 모두 O형으로 일치함을 보였다. DAT에서도 모두 음성, 일반 혈액학적 검사에서도 모두정상을 보였다. 고찰(Discussion): Plain tube에 채혈된 신선한 혈청을 대상으로 혈청형검사를 하는 경우에 Isohemolysin을 함유한 가검 혈청은 보체의 작용으로 강한 용혈반응을 보여 응집반응을 놓치는 경우에 주요한 ABO형의 오판을 하는 경우가 있다. 혈청으로 ABO형 검사를 하는 경우에는 비동화를 시켜서 하거나, 혈장을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A 및 B혈구를 사용하면 보체의 작용을 예방 할수 있으며, 특히 O형 혈청에서 가끔 나타나는 것으로, 저자들이 경험한 사례를 보고한다.
김원식,신문식 보험연구원 2007 보험금융연구 Vol.18 No.3
퇴직연금은 기존의 법정퇴직금제도를 전체 근로자에게 확대적용하면서 급여 보장성을 보다 높이면서 노후보장 기능에 초점을 맞춘 제도이다. 그러나 이 제도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에도 예상보다 실적이 부진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퇴직연금제도의 도입 1주년을 계기로 동 제도의 확산과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다양한 개선방안 마련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퇴직연금제도 도입에 관한 실태 파악을 통하여 퇴직연금관련 차별화된 세제혜택의 확대 필요성,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교육 및 홍보를 통하여 퇴직연금의 확대 유인의 필요성, 퇴직일시금을 퇴직연금제도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 근로자 중심의 퇴직연금상품 선택 등이 동 제도의 성공적인 정착과 활성화를 위하여 정책적 관점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Corporate pension, started in the end of 2005, guarantees retirement benefit to the retired workers and extends the coverage of the present legal severance pay to the whole workers. However, the number of the firms that introduced corporate pension has not increased as much as expected. This paper surveyed facts related to corporate pension both for firms that introduced corporate pension and for those that did not.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xpansion of corporate pension were found. The survey suggests the following for the soft landing of corporate pension: first, more differentiated corporate pension tax incentives for both employers and employees, second, incentives for changing severance pay to corporate pension, third, education for labor unions as well as individual employees on corporate pension, and finally, environments where employees choose products of corporate pension rationally and independ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