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BAC을 기반으로 하는 향상된 권한 위임 모델

        김태식,장태무,Kim, Tae-Shik,Chang, Tae-Mu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3 No.6

        역할 기반 접근 제어(Role-Based Access Control)은 역할 계층 구조에서 역할 상속과 의무 분리 등을 제공하여 접근제어의 관리를 쉽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RBAC은 실 세계에서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권한의 위임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지 못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임된 권한의 영속성을 보장하고 최소 권한의 보안 원칙과 의무분리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 향상된 권한 위임 모델(APBDM)을 제안한다. APBDM은 RBAC96을 바탕으로 하며, 사용자 대 사용자, 역할 대 역할의 위임을 제공한다. 위임자는 원하는 권한을 특정인에게 부여 할 수 있고, 위임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권한이 회수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APBDM을 분석하고 이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RBAC(Role-Based Access Control) has advantages in managing access controls, because it offers the role inheritance and separation of duty in role hierarchy structures. However, RBAC does not process delegation of permission effectively that occurs frequently in the real world. This paper proposes an Advanced Permission-Based Delegation Model(APBDM) that guarantees permanency of delegated permissions and does not violate security principle of least privilege and separation of duty. APBDM, based on the well-known RBAC96, supports both user-to-user and role-to-role delegation. A delegator can give permission to a specific person, that is delegatee, and the permission can be withdrawn whenever the delegator wants. Our model is analyzed and shown to be effective in the present paper.

      • KCI등재

        月經과 暴巫, 두 키워드로 본 ‘모략가’ 김유신

        김태식(Kim, Tae-shik) 백산학회 2004 白山學報 Vol.- No.70

        Kim Yu-shin(596-673.A.D.) has been the main target of criticism since the late 19th century among many Korean common people, and even historians, in respect with the way he suceeded to be related by marriage with Kim Chunchu, who was a man of influenceable as grandson of a dethroned king. Kim Yu-shin enticed Kim Chunchu to have sexual relationship with one of his two sisters, Bohee and Munhee. Kim Yu-shin’s original plan was to make the coulple of Kim Chunchu and Bohee, the older of two. But Kim Yu-shin had to replace Bohee with Munhee. So what happened to Bohee? One of the two aims in my these is this. Historical documents relating to it says (1) Bohee had an illness, (2) she was faced with an accident. Any document says what kind of an illness or accident she had. But I found the illness or accident was her monthky period by comparative study of the related documents. Kim Yu-shin found it out to make the other sister Munhee Kim Chunchu's air. His maneuvering suceeded, and Munhee becamed pregnant with Kim Chunchu's baby. But Kim Yu-shin was compelled to do another maneuver, because Kim Chunchu kept on evading the wedding with pregnant Munhee. Facing with an unexpected obstacle, Kim Yu-shin sent an ultimatum to Kim Chunchu. It was a threat to burn his sister to death by reason of her pre-marriage pregnancy without permission of his or his parents. But such a threat was a shrewd trick. Anyway Kim Yu-shin was about to fulfill the ritual of burning his sister in the open air at that time Sunduk, Princess and a successor to the throne was going on a picnic out of her palace. Kim Yu-shin’s trick was brilliantly successful by Sunduk’s command to Kim Chunchu to go quickly and save ‘your wife’ fron the fire. Then where are the trick of the burning of a woman concieved by Kim Yu-shin at the stake from? This was my second aim in the these. I proved it resulted from the ritual of Pokmu(暴巫), which literally means forcing a shaman out to the blazing sun especially in midsummer. Such a Pokmu was often fulfilled to pray for rain to Heaven in pre-modern Eastern Asia. Eastern Asian people believed that Heaven drops rain on pity of the suffering shaman. Kim Yu-shin extraordinarilly filled his purpose by advantage of the ritural of Pokmu.

      • KCI등재

        ‘母王’으로서의 新羅 神睦太后

        金台植(Kim, Tae-shik)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2

        신목은 신라 제31대 왕인 신문왕의 두 번째 왕비이면서 신문왕의 뒤를 차례로 이은 효소왕과 성덕왕의 어머니이기도 하다. 이런 그는 첫째 아들 효소왕이 재위하던 서기 700년에 세상을 떠난나. 따라서 그는 당시 신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정치 관례에 따라 남편인 왕이 죽고 그 아들이 즉위함에 따라 태후가 되었다. 이 글은 이런 신목과 관련한 여러 가지 의문점을 해명하고자 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신목은 왕비로 책봉될 때 나이가 적어도 서른 살 이상이었다. 신목은 죽은 해(700)가 밝혀져 있지만, 언제 태어났는지는 알 수가 없다. 다만, 그의 아버지가 사망한 시점은 역사기록에 보이므로, 이를 근거로 추산할 때 왕비로 책봉될 당시 나이가 적어도 서른이 넘었다는 것은 확실하다. 이는 일부 역사연구자도 지적했다. 당시 사회 풍속으로 서른 살이 넘도록 여성이 싱글로 남아있기는 대단히 곤란하다. 이 때문에 어떤 연구자는 신문왕과의 결혼이 신목에게는 재혼이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둘째, 신목이 신문왕비로 책봉되었다는 역사기록은 신목이 이 때 신문왕과 재혼했다는 뜻이 아니라, 그의 후궁에서 왕비로 격상된 일을 지칭한다. 다시 말해, 신목은 몇 살 때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신문왕이 왕자로 있을 적에 이미 그의 후궁으로 들어갔다가 나중에 신문이 왕으로 즉위하고, 그의 정식 부인이 어떤 사건으로 그 자리에서 쫓겨난 뒤에 정식으로 왕비로 책봉된 것이다. 셋째, 신목은 남편인 신문왕이 죽고 아들 효소왕이 즉위하면서 태후가 된 뒤에는 왕을 대신한 신라 왕국의 통치자였다. 기록에 의하면 효소왕은 692년에 즉위해 10년을 왕으로 있다가 702년에 사망했다. 한데 그와 관련한 기록을 분선하면 효소왕은 즉위할 때(692) 6살에 지나지 않았으며 죽을 때(702)도 16살에 지나지 않았다. 이른바 소년 왕이었던 것이다. 이런 그를 대신해 그의 어머니이자 태후인 신목은 적어도 700년에 그 자신이 사망할 때까지 왕을 대신해 신라를 통치한 것이다. 어린 왕을 대신해 왕의 어머니가 그 왕국을 통치하는 제도를 전근대 동아시아에서는 垂簾聽政이라 한다. 넷째, 그런 점에서 신목태후는 제4의 신라 女主에 견줄 만하다. 신라는 建國主인 박혁거세 이래 마지막 경순왕에 이르기까지 천년 동안 모두 56명에 달하는 왕이 있었으며, 그 중 女王은 세 명이 확인되지만, 신목은 효소왕 시대 초반기 약 8년 동안 신라를 통치했다는 점에서 또 한 명의 女主라 불러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다섯째, 따라서 고대 일본의 연대기인 《續日本記》가 그의 죽음을 전하면서, 그를 신라의 ‘母王’이라 적은 것은 오류가 아니다. 많은 역사학자가 ‘母王’을 ‘王母’, 즉, ‘왕의 어머니’의 오류로 간주했다. 하지만 ‘母王’은 글자 그대로 ‘어머니로서의 왕’, ‘어머니 같은 왕’이라는 뜻이므로 이는 신목태후가 남편이 죽은 뒤에는 사실상 신라의 왕으로서 그 왕국을 통치했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는 말이다. Queen Dowager Sinmok was the second wife of King Sinmun, 31st King of Silla, and the mother of Kings Hyoso and Seongdeok who reigned after their father. According to the political customs of East Asia, she was made Queen Dowager after her husband died and her son became the next king. She died in AD 700 during the reign of her first son King Hyoso. This article is intended to clarify various disputed points about Sinmok, and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First, Sinmok was at least over 30 years old when she was invested as queen. The year of her death (AD 700) is known, but her year of birth is unknown. However with records documenting the death of her farher it can be conjectured that she was over 30 when she was invested as queen. This fact has also been pointed out by a few other historians. In the social customs of Silla it would have been very difficult for a woman to remain single until she was over 30, and that is why some insist that her marriage with King Sinmun was the second one for Sinmok. Second, the historic records of Sinmok being invested as queen does not imply that she remarried King Sinmun at this age, but rather her level being upgraded as queen from a concubine. In other words, although it is uncertain when she became the concubine of the prince who later became King Sinmun, she became his official queen after he acceded to the throne and after his official wife was somehow driven out frhom the post of queen. Third, Sinmok was the ruler of Silla after her husband died and her first son became King Hyoso. According to records, King Hyoso claimed the throne in 692 and reigned for 10 years, dying in 702. However it is also documented that he was only 6 years old in 692 and was 16 years old when he died in 702 showing that he was a boy king. His mother and Queen Dowager Sinmok ruled Silla instead of him until her own death in 700. The system of the mother ruling the country instead of her young son is called regency by the queen mother in East Asia. Fourth, in this respect Sinmok can he claimed as the fourth queen of Silla. From the founding father of Bak Hyeokgeose to the last ruler King Gyeongsun, Silla had 56 kings and out of them 3 were queens. But as Sinmok ruled Silla for 8 years during the reign of King Hyoso she bears comparison with the other queens of the dynasty. Fifth, it is not a mistake that she is documented as the ‘Mother King (母王)’ in the records of 〈Shoku Nihongi〉, the chronicles of ancient Japan, that bears record of her death. Many historians have thought it to he a mistake in writing the ‘King’s Mother (王母)’. However the expression literally shows that she was the ‘King as a mother’, which is a fine proof of showing that she was the actual ruler of Silla after the death of her hushand.

      • KCI등재

        중국 내 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와 주요 문제점에 관한 연구

        김태식 ( Tae Shik Kim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06 No.1

        중국은 근래 연이은 식품파동,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 에너지자원 남용, 부정부패 등 수많은 사회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런 문제들의 배경을 살펴보면 모두기업 활동과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고, 기업이 사회에 초래하는 많은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 중국 정부도 많은 고심을 하고 있는 중이다. 선진국의 경우도 물론 유사한 문제들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그 빈도는 중국과 비교해 매우 낮다고 할 수있다. 그 이유로는 서방 선진국의 경우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활동이 활성화되어 있어 비교적 체계적으로 이런 문제들이 관리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국에서 기업 활동으로 인해 초래되는 각종 문제들의 해결을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인식이 어떻게 태동되었으며 어느 정도의 수준에 도달해 있는가와 관련 정책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성화와 관련한 문제점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In recent years, China is faced with a number of social issues such as a series of food scandal,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abuse of energy resources, corruption, etc. Thinking deeply about the background of these problems,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se problems are associated with all of the business activities. Therefore, the Chinese government is struggling to solve the problems that are brought about by the enterprises. The same kinds of problems also occur in the developed countries, however, the frequency is very low in comparison with China. The reason for this is that such problems are well managed in a systematic manner in the Western developed countries, because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ve been fully activated. In this regard, this paper systematically analyzed how the concept of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s started, what level it has reached, what the related policies are, and what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re in China.

      • KCI등재

        다민족 통일국가 중국의 소수민족 문제 연구 : 저항과 동화사례를 중심으로

        김태식 ( Tae Shik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論叢 Vol.30 No.-

        13억이 넘는 거대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은 개혁개방정책의 시행 이래 경제에서의 급속한 발전으로 현재 다방면에 걸쳐 명실상부한 강국으로 부상했다. 이렇듯 세계의 초강대국이라 불리는 미국에 대적할만한 유일한 국가로 성장한 중국의 이면에는 다양한 문제점도 도사리고 있는데, 최근 북경올림픽을 치르며 두드러지게 부각된 내부 민족문제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중국은 절대다수의 한족과 55개의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통일국가의 틀을 유지하고 있다. 이들 소수민족들은 주로 변방지역에 많이 분포하며 인구 1,600만이 넘는 민족부터 4,000명이 채 되지 않는 민족까지 규모와 분포에 있어서도 무척 다양하다. 이에 국가안정과 민족대통합의 명분과 변방지역의 지정학적 중요성 등으로 어떠한 소수 민족의 이탈도 방치할 수 없는 중국 정부로서는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하며 이들을 융화 시키고자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민족문제로 인한 중국의 분열 가능성에 대한 의문에 해답을 얻고자 본 논문을 구상하게 되었고, 그 분석 결과 중국의 소수민족 문제는 실제 외부에서 보는 것만큼 심각한 수준은 아니며 중국 정부 정책의 방향성, 국제 정세의 흐름 등으로 비추어 보았을 때 중국의 장기적 안정에 있어서 큰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을 주장하고자 한다. China has over 1.3 billion people and it has emerged as a powerful nation with its rapid economic growth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Policy. China has become the only counterweight to the world`s superpower America, however, it has revealed various unexpected problems. The internal ethnic issue is one of those problems and it was magnified in the process of the Beijing Olympics in recent years. China is composed of the absolute majority ‘Han’ and 55 ethnic minorities. Those ethnic minorities are with a wide range of population size and mainly live in the border areas. Chinese government can not tolerate every single movement of independence by any of those ethnic minoritie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national security, ethnic integration and geopolitical importance of border areas. Therefore, China tries to bring harmony between ethnic groups by implementing various related policies. Under these circumstances, a split of China caused by ethnic strife is constantly being questioned from the outside world, and thus this study aims at getting a clear answer to that question. As a result of research, this study asserts that Chinese ethnic issue is not a big factor for the long term national stability in light of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he policies implemented by the Chinese government.

      • ‘世紀의 발견’, 『花郞世紀』

        金台植(Kim Tae-Shi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0 한국고대사탐구 Vol.6 No.-

        신라 景文王 시대에 황룡사 구층목탑을 수리한 내용을 摘記한 그 「刹柱本紀」에 의하면, 신라 善德女王 14년(645)에 시작해 이듬해에 완료한 목탑 창건을 총감독한 이는 伊干 龍樹다. 1989년에 홀연히 출현한 『화랑세기』의 眞僞 감정에 나선 어떤 이는 이를 근거로 『花郞世紀』가 후대 누군가가 신라인 金大問을 가탁해 지어낸 僞書라고 주장했다. 그것은 『화랑세기』에 의하면, 용수가 목탑 건립 총감독을 했다는 645~646년 무렵에는 이미 죽고 없어야 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찰주본기」를 주목한 이런 접근 방식에는 적지 않은 문제가 있다. 다른 무엇보다 그 절대적인 판단기준을 오로지 「찰주본기」에만 두고, 그것이 말하는 것은 오직 史實 뿐이라고 전제한 다음에 『화랑세기』의 관련 내용을 비추어 보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문제 제기를 본격적으로 검토하면 『화랑세기』가 위서가 아니라 眞書임을 여실히 밝혀준다. 『화랑세기』 출현 이전에는 「찰주본기」에 보이는 용수를 일명 龍春이라고도 했다고 알았다. 하지만 『화랑세기』를 통해 두 가지 표기는 각기 다른 인물, 즉, 형제로 판명이 났다. 형제 중에서도 동생인 용춘은 형인 용수를 생물학적인 아버지로 하는 양아들 金春秋가 왕위에 오름으로써, 사후에 文興大王으로 추봉 받았고, 더구나 文武王 시대에는 宗廟에 모셔져 왕실의 제사를 받은 인물이다. 이런 인물을 후대 신라인들이 생전의 이름으로 부를 수는 없다. 따라서 「찰주본기」에서 伊干 용수가 監君이었다고 기술한 것은 용수와 용춘이 다른 인물이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화랑세기』를 통해 다른 인물로 드러난 용수와 용춘이 서로 다른 인물임이 「찰주본기」를 통해 재삼 확인된 것이다. 더 나아가 『화랑세기』를 통해 645~645년 무렵에 황룡사 구층목탑 수리 총감독이 용수라는 기록이 실은 龍春의 오류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찰주본기」가 史實을 반영한 기록이 아니라 誤謬를 담았으며, 그런 오류가 다름 아닌 『화랑세기』를 통해 교정된 것이다. 鮑石亭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도 우리는 『화랑세기』 진위론을 감정할 수 있다. 『화랑세기』에 의하면, 포석정은 그 역사의 시작이 적어도 眞平王 이전이며, 그 주된 기능은 吉禮의 場이자, 화랑의 聖地였다. 이러한 면모를 통해 우리는 그동안 아무런 문제의식 없이 지나친 『삼국유사』의 에피소드 ‘貧女養母’의 한 대목 기술을 이해할 수 있게 됐다. 이 이야기에 의하면 신라 眞聖女王 시대 화랑 우두머리인 孝宗郞이라는 사람이 무리를 데리고 南山 鮑石亭에 행차했다. 왜 그가 포석정에 행차했는지는 오직 『화랑세기』를 통해서만 풀 수 있다는 점에서 『화랑세기』야말로 진서임을 확인해준다. 『화랑세기』가 僞作임을 증명하려는 모든 시도는 좌절하고 水泡로 돌아갔다. 그것이 위작임을 주장한 어떤 논자가 쓴 표현을 그대로 빌리건대, 『화랑세기』는 ‘百年大旱의 단비’이며 ‘世紀의 발견’이다.

      • KCI등재

        모란의 심연, 선덕여왕과 그의 씨내리 남자들

        김태식(Kim, Tae-shik) 신라사학회 2014 新羅史學報 Vol.0 No.30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의하면 당 태종 이세민은 모란 그림과 함께 진평왕에게 모란씨를 보냈다. 한데 이 그림을 본 진평왕의 딸이자 나중에는 그를 이어 신라 제27대 왕이 되는 선덕은 그 씨를 심어 핀 꽃은 향기가 없을 것임을 미리 알았으며, 실제로 그리 되었다고 한다. 이런 사실을 선덕은 모란 그림에 나비가 없음을 보고 알았다고 한다. 우리는 진평왕 시대에 과연 중국에서 모란씨를 보낼 수 있었을까를 검토한 결과 이것이 사실이 아님을 밝혀낸다. 그것은 다른 무엇보다 중국사에서 볼 때 모란이 당 황제에게 알려지고, 더구나 당 제국의 수도를 중심으로 모란이 재배되기 시작한 것은 진평왕 시대보다 무려 100년이나 뒤지는 서기 750년 무렵 이후, 그리고 아무리 빨라도 730년 이전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중국의 모란 관련 기록을 검토한 결과 모란은 중국 대륙 북부 사막지역에서 이 무렵에 들어왔으며, 더구나 그런 모란이 광적인 열풍을 일으킨 것은 더욱 엄밀히는 서기 800년 이후다. 따라서 진평왕 시대에 당나라에서 신라에 모란씨를 선물로 보낼 수는 없다. 하지만 당 태종이 신라 진평왕에게 막상 심어서 향기가 없는 꽃을 피우게 되는 모란씨를 보냈다는 기록을 간단히 거짓이라 치부할 수 있겠는가? 이번 논문은 더 나아가 이 점을 해명하고자 한다. 그 결과 모란 전래 관련 기록이 실은 진평왕과 선덕여왕 시대 신라의 정치적 사건의 은유임을 주장한다. 당에서 보내온 모란씨를 심었더니 각기 다른 세 가지 색깔의 꽃이 피었지만 향기가 없다는 것은 바로 진평왕을 이어 왕위에 오른 선덕왕이 자기 왕위를 이을 왕자를 낳지 못한 역사적 사건의 은유였다. 최근에 새로 출현한 신라사 관련 문헌을 보면 실제로 선덕여왕은 왕위에 있으면서, 그 자리를 물려줄 아들을 생산하기 위해 남자 세 명을 들였으나, 모두 다 실패한 것으로 드러났다. 나아가 모란에 대한 이런 문화사적인 검토를 통해 우리는 모란과 관련되는 저명한 ‘花王戒’라는 이야기에서 말하는 花王또한 모란일 수 없다는 사실을 밝혀낸다. 화왕계란 신라 신문왕(재위 681~692)때 설총이라는 사람이 지은 이야기로서 花王, 다시 말해 꽃의 왕인 모란을 의인화한 소설의 일종이다. 우리는 모란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이런 소설이 신문왕 시대에 나올 수 없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앞서 밝혀냈듯이 모란이 꽃의 제왕이 된 시기는 신문왕 시대보다 적어도 반세기 가량이나 지난 뒤이기 때문이다. 모란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화왕계라는 소설이 신문왕 시대에 나올 수는 없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