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uromycin Aminonucleoside 투여로 인한 사구체 족세포의 초미형태학적 변화

        김영호,박관규,김영만,조수열,Kim, Young-Ho,Park, Kwan-Kyu,Kim, Young-Man,Cho, Soo-Yeul 한국현미경학회 1998 Applied microscopy Vol.28 No.4

        Puromycin aminonucleoside (PAN) nephropathy was induced in a group of Sprague-Dawley rat by a single dose of intraperitoneal Injection to study an ultrastructural change of glomerulus. The experimental rats developed proteinuria three days after PAN injection.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f glomeruli showed the loss of epithelial foot processes, formation of cytoplasmic vacuoles, microvillous formation and increased numbers of lysosomes in the cytoplasm of podocytes.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proteinuria in PAN nephrosis may be primarily due to a glomerular epithelial lesion, leading to focal disarray of anionic sites or focal defects in the epithelial covering of the basement membrane. The loss of anionic sites in the basement membrane nay be caused by the foot process fusion and the epithelial detachment from the basement membrane.

      • 미국(美國)과 유럽의 상수도배관재(上水道配管材) 사용(使用) 실태(實態)

        김영호,Kim, Young Ho 대한설비공학회 1991 설비저널 Vol.20 No.1

        설비분야(設備分野)에서 어느 용도(用途)에 어떤 재질(材質)의 배관재(配管材)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效果的)인가 하는 것은 관계 기술자(技術者)들의 관심사항중 하나이다. 특히 상수도(上水道) 분야(分野)는 정부(政府)가 주도하는 관계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외국(外國)의 사례(事例)를 조사(調査)할 기회가 거의 없다. 본고(本稿)는 일본수도협회(日本水道協會)(JWWA)가 상수도(上水道) 기술정보(技術情報) 교환사업(交換事業)의 일환으로 미국의 주요 도시(都市)와 유럽의 주요 국가(國家)를 대상으로 실시한 상수도(上水道) 배관재(配管材) 사용실태(使用實態) 조사결과(調査結果)를 조사(調査)팀에 참가(參加)했던 관계기관(關係機關)을 통하여 입수(入手)하여 정리한 것이다. 조사(調査) 대상(對象)이 된 국가(國家)는 미국(美國), 스웨덴, 네델란드, 서독(西獨) 및 프랑스이며, 관계기관(關係機關)으로는 각국의 수도협회(水道協會)와 이와 유사한 9개 단체(團體)이다.

      • KCI등재

        천련자로부터 분리한 Limonoid 성분의 세포독성

        김영호,황방연,김세은,김환묵,오구택,노재섭,이경순,이정준,Km, Young-Ho,Hwang, Bang-Yeon,Kim, Se-Eun,Kim, Hwan-Mook,Oh, Goo-Taeg,Ro, Jai-Seup,Lee, Kyong-Soon,Lee, Jung-Joon 대한약학회 1994 약학회지 Vol.38 No.1

        The MeOH extract of the fruits of Melia toosendan was selected for futher study by its cytotoxicity and effect on the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CF-7. The active principle obtained by activity guided fractionation followed by purification gave rise to a needle crystal. The structure was deduced by employing NMR and was determined to be identical with 28-deacetyl sendanin by comparison with published data. This compound induced morphological change of MCF-7 to be rounded with tubule at concentrations between $50\;{\mu}g/ml$ and $0.025\;{\mu}g/ml$. This compound, however, showed strong cytotoxic effect on Hepalclc7 and HepG2, and their $GI_{50}$ on the hepatoma cell lines were $0.238\;{\mu}g/ml$ and $0.805\;{\mu}g/ml$, respectively. Its effect on lymphocyte of mouse was stronger than hepatoma cell lines, and their $ED_{50}$ of polyclonal antibody response was $0.011\;{\mu}g/ml$, and $ED_{50}$ of cell viability was $0.039\;{\mu}g/ml$.

      • KCI등재

        수용성카이토산에 의한 마우스태반을 통한 태아로의 방사성스트론튬 급성 전이 억제

        김영호,범희승,김지열,Kim, Young-Ho,Bom, Hee-Seung,Kim, Ji-Yeul 대한방사선방어학회 1997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2 No.4

        카이토산은 천연무독성 착화제의 일종으로 유전적 독성이 거의 없으며, 방사성스트론튬의 마우스 체내 축적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 17일째 마우스에서 방사성스트론튬 오염전 후에 수용성카이토산을 공급함으로써 오염 후 태반을 통한 태아로의 방사성스트론튬 급성 전이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용성카이토산 분말을 50일간 일반식이와 혼합하여 10% (Group 1), 1%(Group 2)를 공급하고 임신 17일째에 방사성스트론튬을 오염시킨 군의 경우 일반식이를 공급한 대조군과 방사성스트론튬 오염 후 카이토산 10%, 1%분말을 공급한 군(Group 3, Group 4)에 비해 태반을 통한 태아로의 방사성스트론튬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관찰하였다(p<0.01, 표 1).본 실험을 통해서 임신 17일째에 방사성스트론튬에 오염된 임신마우스의 경우 천연무독성 착화제인 카이토산을 장기간 전처치하였을 경우 태반을 통한 태아로의 방사성스트론튬 전이를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chitosan has little genetic toxicity as one of natural and nontoxic chelator and reduces the internal retention of radiostrontium in the mouse. This study is to examine that when water soluble chitosan is provided to the mouse on 17 days of pregnancy before and after radiostrontium contamination, how effectively it can inhibit an acute transfer of radiostrontium to fetus through placenta contaminated. Water soluble chitosan powder is mixed with general food for 60 days and 10%(Group 1) and 1%(Group 2)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it is observed that the group with radiostrontium contamination on 17 days of pregnancy can inhibit more effectively the transfer of radiostrontium to fetus through placenta than control group with general food and the groups (Group 3, Group 4) with 10% and 1% of chitosan powder respectively after radiostrontium contamination (p<0.01, Table 1). It is found that when the pregnant mouse contaminated by radiostrontium on 17 days of pregnancy is prefed by chitosan, the transfer of radiostrontium to fetus through placenta can be inhibited.

      • KCI등재

        납으로 유발된 흰쥐 신장 독성에 대한 키토산의 효과

        김영호,노영복,Kim, Young-Ho,Roh, Young-Bok 한국현미경학회 2002 Applied microscopy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the lead toxicity of chitosan on the rats. A healthy male of Wistar rat was used for experiment. The lead acetate (30 mg/kg, Pb) was injected two times per a week into the abdomen. 0.1% chitosan solution (1 mg/ml) was supplied by feeding ad libitum. After 4 or 8 weeks, we was observed kidney by electron microscope.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was control group which was not treated with chitosan solution after contaminatation of lead acetate. Group 2 was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treated with chitosan solution after contamination of lead acetate. All groups were used to 10 rats. The results were as follow: On the proximal convoluted tubules of the group with only Pb, the number of microvillis were decreased and the number of lysosomes were increased on the cytoplasm. The mitochondria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were extended and ribosomes dropped from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On the proximal convoluted tubules of the group with Pb-chitosan, the shapes and number of microvilli were not changed and the number of lysosomes were decreased. The shapes of mitochondria and endoplasmic reticulum observed not changes. We concluded that chitosan has effect on reducing toxicity of lead in the rat kidney. 본 연구의 목적은 납 중독된 쥐의 신장에서 키토산 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납(30 mg/kg)은 1주 2회 복강투여하고, 0.1% 키토산(1 mg/ml) 수용액은 음용수를 통해 자유자재로 공급하였다. 실험 후, 4주, 8주째에 각각의 신장을 적출해서 투과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Group 1은 납 중독 후 키토산용액을 처치하지 않은 군, Group 2는 납 중독 후 키토산용액을 처치한 군으로 각 군당 10마리의 쥐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납 단독투여군의 경우 세뇨관 세포에서 미세융모의 소실이 나타났으며 용해소체가 증가되었다. 사립체 및 과립형질내세망 수조 내강의 팽대와 과립형질내세망으로부터 리보솜의 탈락이 관찰되었다. 납-키토산 투여군의 경우 세뇨관 세포에서 미세융모의 변화는 없었으며 용해소체의 수가 감소되었다. 기다란 모양의 사립체와 리보솜이 부착된 과립형질내세망이 정상적인 상태로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키토산이 쥐의 신장에 미치는 납의 독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키토산올리고당을 섭취한 쥐에서 간 미세구조의 연구

        김영호,노영복,Kim, Young-Ho,Roh, Young -Bok 한국현미경학회 2001 Applied microscopy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키토산올리고당의 쥐 간조직 독성여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건강한 Wistar계 쥐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Group 1. 일반식이를 섭취한 대조군, Group 2 0.1%(1mg/ml)키토산올리고당 수용액을 30일 간 음용수를 통해 자유자재로 섭취시킨 후 교미시켜 태어난 $F_1$ 세대, Group 3 $F_1$ 세대의 쥐에게 0.1%(1 mg/ml) 키토산올리고당 수용액을 30일간 음용수를 통해 자유자재로 섭취한 후 교미시켜 태어난 $F_2$ 세대, Group 40.1% (1 mg/ml) 키토산올리고당 수용액을 90일간 음용수를 통해 자유자재로 섭취시킨 군, Group 50.1% (1 mg/ml) 키토산올리고당 수용액을 365일간 음용수를 통해 자유자재로 섭취시킨 군의 쥐 등으로 각 실험군 당 쥐 10마리를 사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Group 4의 경우 약간의 소포체 팽창을 관찰하였을뿐, 다른 실험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특별한 간 조직의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키토산올리고당은 무독성 물질로서 안전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istological toxicity of chitosanoligosaccharide on the rat. A healthy male of Wistar rat that weighted $250{\pm}350g$ was used for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five groups. Group 1 was control group which treated with general food Group 2 was $F_1$ generation which was born by mating of 0.1% (1 mg/ml) chitosanoligosaccharide was supplied by feeding ad libitum for 30 days. Group 3 was $F_2$ generation which was born by mating $F_1$ generation. Group 4 was treated with 90 days of 0.1% (1 mg/ml) chitosan oligosaccharide. Group 5 was treated with 365 days of 0.1% (1 mg/ml) chitosanoligo saccharide.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used to 10 rat. The results were as follow: The RER dilation was observed Group 4.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ly changes of ultrastructures in the other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It was concluded that chitosanoligosaccharide can be used for nontoxic natural material.

      • KCI등재

        국내에서 개발된 제초제저항성 벼(밀양 204호, 익산 483호)의 비표적 곤충과 거미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

        김영호,Kim, Young H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4

        본 연구에서 국내에서 개발된 제초제저항성 GM 벼인 밀양 204호와 익산 483호가 비표적 곤충과 거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GM 벼와 non-GM 벼에 대한 보리수염진딧물과 벼멸구의 기주선호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GM 벼를 섭식한 벼멸구를 포식한 황산적거미의 체중 변화에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밀양 204호와 그 대조 모본 non-GM 벼에서 서식한 벼멸구를 포식한 황산적거미의 생존율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벼멸구를 통해 익산 483호에 노출된 황산적거미의 생존율은 대조 모본 non-GM 벼에 비해 통계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익산 483호의 화분을 섭식한 꿀벌 유충은 밀양 204호와 다른 non-GM 벼 화분을 제공하였을 때 보다 현저하게 긴 용기간을 보였다. 농업생태계에서 중요한 포식 천적인 황산적거미와 양봉 산업으로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꿀벌에 GM 벼가 부정적인 영향을 보임에 따라 국내에서 개발된 제초제저항성 GM 벼의 농업 환경 노출 이전에 충분한 추가 연구와 안전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wo herbicide-resistant genetically modified rice (GM rice) varieties, Milyang 204 and Iksan 483, recently developed in Korea on non-target insects and a spider. No difference in host preferences of the English grain aphid Sitobion avenae and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were observed between GM rice and non-GM rice. Wolf spider Pirata subpiraticus, feeding on N. lugens reared on GM rice or non-GM rice,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 P. subpiraticus, fed with N. lugens reared on Milyang 204, showed survival rates similar to that in P. subpiraticus fed with N. lugens reared on non-GM rice. However, P. subpiraticus feeding on N. lugens reared on Iksan 483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wer survival rates than that in P. subpiraticus feeding on N. lugens reared on Milyang 204 or non-GM rice. In addition, when larvae of the western honeybee Apis mellifera were supplied with Iksan 483 pollen, a significantly longer pupal period occurred, as compared with that of A. mellifera supplied with pollen of Milyang 204 or non-GM rice. As GM rice has negative effects on P. subpiraticus, which is an important predator in agricultural ecosystems, and on A. mellifera, which plays important roles in pollination and honey production, additional studies on risk assessment of GM rice should be conducted before releasing newly developed herbicide-resistant GM rice to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