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rabecular Bone Score and Central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for the Prediction of Vertebral Fragility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김근영,전윤경,고태식,김인주,김근영 대한골대사학회 2023 대한골대사학회지 Vol.30 No.1

        Background: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densitometry results and volumetric bone mineral density (vBMD) can predict vertebral fragility fractures (VFF)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enrolled 271 postmenopausal women aged >45 years who visited our hospital for health check-ups between September 2016 and September 2017. The lumbar spine (LS) and femoral neck (FN) densitometry results and trabecular bone score (TBS) were calculated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vBMD was assessed using central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cQCT). Baseline and follow-up X-ray images were reviewed to evaluate thoracolumbar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CFs), according to the Genant criteria. Results: At baseline, 76 patients (28.0%) had CF. Additional or progressive fractures were noted in 26 participants (9.6%) with a median follow-up of 19.5 months. The median TBS and cQC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rticipants without baseline CF than those with baseline CF (P<0.001). During the follow-up, Kaplan–Meier analysis showed that T-scores of the LS and FN <-2.5, degraded microarchitecture based on the TBS (≤1.200), and vBMD <80 mg/cm3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uture osteoporotic CF. The final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baseline CF and low TBS and vBMD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future VFF. Conclusions: Participants with baseline CF and degraded microarchitecture had higher CF predisposition. Moreover, cQCT can predict future vertebral fractures.

      • 家蠶의 바이러스成 軟化病에 관한 硏究 : Ⅱ.奬勵蠶品種의 原種에 대한 抵抗性 檢定 Ⅱ.Resistance to Flacherie and Densonucleosis Virus in the Parantal Lines of the Leading Silkworm Varieties in Korea

        金槿榮,姜錫權,李載昌 한국잠사학회 1986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28 No.2

        Resistance to the flacherie virus(FV) and the densonucleosis virus(DNV) of 10 Japanese lines and 10 Chinese lines used for hybrids was tested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Hansaeng #1 showed the highest resistance to the FV among the tested Japanese lines whereas Mudeung was of lowest resistance. In Chinese lines tested on the resistance to the FV, Jam 118 was the higest while Jam 116 was the lowest. 2. In Japanese lines tested on the resistance to the DNV, it was shown that Jam 117. Gyeongchu, Mudeung, Hansaeng #1 and Hansaeng #3 were of the complete resistance but Jam 115 showed the lowest resistance. On the other hand, all the Chinese lines tested showed the complete resistance to the DNV.

      • 종합적 조형미로서의 건축과 건축교육

        김근영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 2004 師鄕美術敎育論叢 Vol.12 No.-

        본 연구의 목적은 건축의 형식과 미적 특징의 고찰을 통해 건축예술의 미술교육적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미 미술교육과정에서 건축이 감상영역의 참고작품으로 제시되어왔고 또 7차 교육과정에서 건축미를 본격적으로 다루는 독립된 단원이 신설되는 등 많은 면에서 건축이 미술 체험의 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양적&#8228;질적인 면에서 기존의 건축관련 내용을 분석해볼 때, 형식적이고 피상적인 도입과 소개의 차원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건축교육은 다른 시각 예술 분야의 교육과 마찬가지로 건축의 본질적 형식과 그 미적 특징을 교육내용으로 하는 본질적인 접근방식을 취해야 한다. 현 7차 교육과정에서의 건축교육은 건축을 피상적이고 형식적인 도입과 소개의 차원에서 참고 작품으로 다루고 있거나, <건축과 환경>과 같은 독립된 단원도 불과 한 단원에 불과해 건축의 본질적 미적 특성을 매우 협소하게 취하고 있어 건축의 교육적 가치를 상당부분 간과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전통기술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전통기술 이미지와 발명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김근영,문성환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4

        이 연구는 전통기술을 소재로 하는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전통기술에 대한 이미지와 발명흥미도 신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전통기술 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은 제조기술, 건설기술, 통신기술, 수송기술 각 영역별로 1개씩의 주제를 선정하여 총 12차시(4회기) 분량으로 구성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전통기술에 대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발명흥미도 신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화성시 G 초등학교 6학년 1학급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전통기술 이미지 영향에 대한 검사 도구는 임향정(2010)의 ‘전통기술의 이해’ 단원에 대한 이미지 조사 검사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발명흥미도 신장에 대한 검사도구는 김준희, 문성환(2009)의 발명흥미도 검사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통기술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전통기술에 대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발명 흥미도 신장에도 효과가 있었다. 전통기술에 대한 이미지 조사에서는 7점에 가까울수록 긍정적인 이미지로 인식되어지는데 사후 평균점은 5.47로서 사전 평균점 5.00점보다 통계적으로 p<.001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발명 흥미도에서는 사후조사 평균점 3.54로 사전조사 평균점 2.94보다 통계적으로 p<.001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in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traditional technology and is to verify if developed program is effective for the effects on students' image of traditional technology and growth of invention interests. Invention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raditional technology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ncluded to manufacture technology, construc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ransportation technology. To verify if invention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raditional technology is effective to the effects on students' image of traditional technology and growth of invention interes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under the object of 24 students in one class of the sixth grade, G Elementary School of Hwaseong. For the test tool of the effects on the image of traditional technology, testing paper of Lee Yonghan et al. (2005) was revised and used. For the test tool of the growth of invention interests, interests testing paper of Kim Junhee and Mun Seonghwan (2009) was revised and used. For the statistical program, i-Statistics was used.. And, satisfaction of program was investigated by post-survey and changes of student‘s awareness for invention and traditional technology were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vention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raditional technology made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image of traditional technology and showed effects on the growth of invention interests. In the investigation of the image for traditional technology, positive image is recognized as approaching 7 points. The average score of post-test was 5.47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p<.001, in comparison with the average score of pre-test, 5.00. In invention interests, the average score of post-test was 3.54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p<.001, in comparison with the average score of pre-test, 2.94. If apply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raditional technology, developed by this research, to the actual site of invention education, it will contribute to the diversification of invention education more.

      • KCI등재
      • KCI등재

        소광비, 처핑 및 자기위상변조가 2.5Gbit/s 직접변조한 DFB-LD의 전송성능에 미치는 영향

        김근영,이용기 한국광학회 2001 한국광학회지 Vol.12 No.3

        직접변조한 2.5Gbit/s 송신기에 있어서 DFB-LD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류에 따른 출력 광신호의 소광비와 처핑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이상분산 영역 전송실험을 통행 변조된 광신호가 8-10dB의 소광비를 가질경우(바이어스 전류가 발진임계전류의 1.5배에서 1.8배) 소광비와 처핑으로 인한 총 전송 패널티가 최소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40km 이상분산 영역 전송실험을 통해 직접변조된 광신호의 소광비와 SPM의 상관관계도 분석하였다. SPM을 고려할 경우 본 실험과 같은 구성에서 전송거리가 200km 미만인 경우는 10.2dB의 소광비에서 200km 이상인 경우는 8.4dB의 소광비에서 가장 좋은 수신감도를 얻을 수 있었다. W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dependence of extinction ratio and chirp on bias current which was injected into DFB-LD in a directly modulated 2.5 Obitls transmitter. Through the abnormal dispersion transmission, we found that transmission power penalty is minimized at 8-10 dB extinction ratio (bias current at 1.5-1.8 fold above threshold current). Also, we discussed the relation between extinction ratio and self phase modulation (SPM) through the 240 km abnormal dispersion transmission. When SPM takes effect, we obtained the best receiver sensitivity for specific system configuration at 10.4 dB and 8.4 dB extinction ratio, below and above 200km transmission distance, respectively. ively.

      • KCI등재
      • KCI등재

        Necrotizing Fasciitis Arising From an Enterocutaneous Fistula in a Case of an Appendiceal Mucocele

        김근영,박원철 대한대장항문학회 2015 Annals of Coloproctolgy Vol.31 No.6

        An appendiceal mucocele (AM) is a rare tumorous condition of the appendix. Many patients with AM are admitted to the hospital with abdominal pain or discomfort, and many cases are found incidentally. Although the rate of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AM is very low, if left untreated, a mucocele may rupture and produce a potentially fatal entity known as pseudomyxoma peritonei. In this paper, we report a case of an 80-year-old man with necrotizing fasciitis arising from an enterocutaneous fistula caused by 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