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기의 히스테리시스 및 PI 전류제어기 응답특성

        김동희,백원식,김민회,Kim, Dong-Hee,Baik, Won-Sik,Kim, Min-Huei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7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1 No.5

        This paper presents a comparison of different current controller response characteristics of SRM. The most common current controllers of the SRM is hysteresis type. The hysteresis controller is easy to implement and fast current control response, but has the inherent disadvantage of switching frequency variations. The other common type of current controller is PI scheme. The design of a classical PI current controller with fixed parameters for SRM is not an easy task due to the extreme nonlinear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some linearization technique is used for design of PI current controller. Experimental results of 1-hp SRM are presented for the basic reference data which can be used to select the proper current control schem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s. 본 논문에서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기 (SRM)의 히스테리시스 및 PI 전류제어기법의 응답특성에 관해 고찰하였다. SRM의 전류제어를 위해 가장 널리 적용되는 히스테리시스 제어기법은 전류응답특성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으나, 스위칭 주파수의 가변으로 인한 소음이 단점으로 알려져 있다. SRM의 전류제어를 위해 적용되는 다른 전류 제어기법으로는 PI 전류제어기법이 있으나, 비선형적인 특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전동기 제어시스템과 같이 몇몇 고정된 변수들로 제어기를 설계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전동기가 구동된다는 가정하에 선형화를 통한 PI 전류제어기를 설계하였다. 1마력 SRM을 적용하여 전류제어 및 속도제어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는 적용 용도에 적합한 전류제어기법 선정을 위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UPnP와 ACAP의 연동을 위한 홈방연동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동희,박동환,박준희,문경덕,임경식,Kim, Dong-Hee,Park, Dong-Hwan,Park, Jun-Hee,Moon, Kyeong-Deok,Lim, Kyung-Shi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3 No.5

        본 논문에서는 홈네트워크 미들웨어인 UPnP와 방송 미들웨어인 ACAP을 연동하여 홈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홈방연동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UPnP와 ACAP은 자신의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자원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강력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각 미들웨어가 다른 미들웨어가 관리하고 제공하는 정보, 자원 및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면 이 미들웨어들은 자신의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자원보다 더 풍부한 콘텐츠와 장치 자원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UPnP와 ACAP과 더불어 두 미들웨어가 각 미들웨어의 자원을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방연동모듈을 통합하여 홈방연동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홈방연동모듈은 UPnP와 ACAP이 미들웨어 계층에서 연동할 수 있도록 하여 서로의 콘텐츠와 장치의 기능을 충돌 없이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system which provides home entertainment services to users using the middleware-cooperation module which makes UPnP and ACAP cooperate with each other. UPnP or ACAP providespowerful functionalities to its own network to play multimedia contents using its own resources. U one middleware uses the information and the resources of another middleware, itcould provide services with more contents and more powerful functionalities than those which it originally provides. This paper develops the middleware-cooperation module to make two middleware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use resources of another middleware. The middleware-cooperation module makes UPnP and ACAP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it makes them share their information and resources without resource collision.

      • KCI등재

        비접촉 전원장치에 적용한 LCC형 고주파 공진 DC/DC 컨버터에 관한 연구

        김동희,황계호,Kim, Dong-Hee,Hwang, Gye-Ho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7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1 No.6

        본 논문은 부하직렬 고주파 공진 DC/DC 컨버터에 가변 가능한 공진커패시터를 병렬로 삽입한 LCC형 고주파 공진 DC/DC 컨버터의 특성과 설계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턴-오프시 스위칭 손실을 줄이기 위해 ZVS를 가지는 소프트 스위칭을 사용하였다. 제안 컨버터는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스위칭 패턴을 사용하여 동작되며, PFM 제어에 의해 제안 회로의 출력전압을 제어하였다. 병렬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의 변화에 따라, DC/DC 컨버터의 분석은 일반적으로 무차원화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나타내었고, 회로 동작 특성은 스위칭 주파수와 파라미터로 행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특성평가에 의해 제안 DC/DC 컨버터의 동작 특성과 회로 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더욱이 본 논문은 실험을 통해 이론 분석의 정당성을 입증하였다. 향후 제안한 DC/DC 컨버터는 반도체 및 FPD의 클린룸에 선형이동 시스템의 비접촉 전원장치에 적용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This paper represents characteristics and design example of series loaded LCC type high frequency resonant DC-DC converter with variable parallel capacitor in the secondary side of inductive power transformer. In this converter, ZVS(zero voltage switching) technique is applied to reduce turn-off switching losses, and the applied converter used the PFM switching pattern to control output voltage.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converter is analyzed using nomalized parameter such as switching frequency and load factor with varing the secondary parallel resonant capacitor.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and design method of the proposed converter using characteristic values. And the proposed converter can be applied for the contactless power supply with linear transfer system such as dean room facilities of semiconductor and Flat Panel Display.

      • KCI등재

        인접셀간 협력하는 셀룰라 시스템에서 소프트 주차수 재사용을 위한 송신전력할당 기법

        김동희,Kim, Dong-Hee 한국통신학회 2009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4 No.4a

        본 논문은 셀간 간섭을 제어하여 셀 경계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율을 증가시키는 기술인 소프트 주파수 재사용시 전력 할당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 주파수 재사용 기술은 셀 경계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율을 개선하는데 유용한 기술이나 주파수 재사용 지수가 증가되어 셀 평균 데이터 전송율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중앙 제어기가 물리적 거리가 인접한 여러 개의 셀을 제어하는 환경에서, 셀 경계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율 개선하면서도 셀 평균 전송율 감소를 최소화하도록 소프트 주파수 재사용을 위한 송신 전력 할당 기법을 제안한다. 시스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인접한 두 셀에 소프트 주파수 재사용 기술을 적용하여 소프트 주파수 재사용에 의한 셀 평균 데이터 전송율 감소 정도와 제안하는 전력 할당 기법에 의한 셀 평균 데이터 전송을 개선을 살펴본다. Power allocation of soft frequency reuse(SFR) to increase cell edge user throughput by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is proposed for coordinated cellular systems. SFR is the effective technique to increase cell edge user throughput, however, it costs the degradation of total system throughput. The cost increases when SFR operated in distributed resource controlled systems fails to be fast adaptive in the change of user distribution. The proposed scheme enables coordinated cells to control transmit power adaptively depending on user distribution so that it minimizes the loss of system throughput introduced from SFR while it guarantees enhancement of cell edge user throughput. Through system level simulation considering neighboring two cells, evaluation result for adaptive power allocation is shown compared with static power allocation.

      • 대퇴 전외측 피판술의 해부학적 특성과 유용성

        김동희,정덕환,Kim, Dong-Hee,Chung, Duke-Whan 대한미세수술학회 2010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Vol.19 No.2

        The anterolateral thigh flap is a reliable and versatile flap. It has been extensively used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because minimal donor site morbidity is attractive feature of this flap. It can be harvested as a cutaneous, fasciocutaneous, muscluocutaneous flap. We can be used to form as desired shape and thickness. But variation of vascular anatomy make difficult for many surgeons. We review of vascular anatomy of the anterolateral thigh to be easier access to surgery. With understanding anatomic variation, it allows you to take advantage of this surgery using little more variable form.

      • KCI등재후보

        양측 제 1,4 단중족증의 자가골을 이용한 일단계 골연장술(1예 보고)

        김동희,정덕환,한정수,이재훈,박재용,오경일,탁대현,Kim, Dong-Hee,Chung, Duke-Whan,Han, Chung-Soo,Lee, Jae-Hoon,Park, Jae-Yong,Oh, Kyung-Il,Tak, Dae-Hyu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0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4 No.2

        19 years old girl presented with bilateral 1, 4th brachymetatarsia. We have used an autograft interposition technique to lengthen the brachymetatarsia involving first and fourth metatarsal. The technique was to graft the bone fragment from the relatively long second and third metatarsal bone to be used as an autograft to the short first and fourth metatarsal bone. The method is superior in not having the necessity of a long term external fixator which is needed using callotasis method and in also avoiding the inconvenience of performing an allograft. Absence of donor site complication during autograft from iliac bone is also an advantage to be mentioned. Our technique can therefore be ascertained as a successful method in both cosmetic results and improvement of symptoms including reduction in length of recovery.

      • 횡 파열로 오인하게 하는 내측 반월상 연골 전각부의 비정상적 삽입 - 증례 보고 -

        김동희,곽지용,박진성,황선철,Kim, Dong-Hee,Gwark, Ji-Yong,Park, Jin-Seung,Hwang, Sun-Chul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Many types of meniscal anomalies have been reported. The authors encountered one case of anomalous insertion of the anterior horn of the medial meniscus to the anterior horn of the lateral meniscus, which ran up along the course of the transverse ligament. This anomalous band was detected in MRI of the knee as a horizontal tear of anterior horn of the lateral meniscus but found during the operation as a anomalous insertion of the anterior horn of the medial meniscus. We report the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23세 남자 환자에서 MRI 소견상 외측 반월상 연골의 전각부의 횡파열 소견을 유발하는 내측 반월상 연골의 비정상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내측 반월상 연골의 비정상적 소견의 많은 형태들이 보고 되었으나 저자들의 경우에서처럼 자기공명영상 소견에서 반월상 연골 파열로 진단 되었으나 실제 관절경 소견으로 내측 반월상 연골의 비정상적 부착으로 인해 오인된 경우에 해당되는 드문 경우를 경험 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