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천지공사의 공공윤리 실천전망에 관한 연구

        김용환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7 대순사상논총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prospect of implementing a public common practice of ethics based on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demonstrated the prospect of a public common practice of ethics through the shared public action that would connect and mediate both the public domain and the private domain. In addition,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of Gucheon Sangje (九天上帝) provided us with a complete transformation, meaning the opening of a new era, transforming heaven and earth from their state in the Prior World to their optimized state in the Later World. This culminates in a new manifestation of a peaceful world revealed a prosperity and the prospect of common happiness and common order for the public. In addition,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has a public value as a religious culture that responds to social change and social needs.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revealed the prospect of a public common practice of ethics, placed importance on creating a new foundation, and restoring phenomena back to its original order.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presented various multi-faceted, multi-layered outlets of soteriology while exploring solutions to public issues and revealing human dignity. Through the new construction of Heaven and Earth, Gucheon Sangje had intervened in projects for human relief. The public ethical indicators of ‘the actor’ here are in line with those of the ‘Non-action Tao’ of Laozi. As the cosmos enters into the new epoch, humans have living together with the previous cosmic principle. Now we can expect the Prior World to open into a different era as humans embrace a cosmic life of ‘Non-action Tao.’ The active conjunction of the virtues of yin and yang is an idea of horizontal communication related to reordering of the universe. The harmonious union of divine beings and human beings suggests the way of enabling vertical communication.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the mutual beneficence of life is an ethics of peace that aims at achieving coexistence and prosperity. The private realization of Tao and the completion of the Tao in the world suggest the prospect of a common practice of ethics as means of implementing human dignity. 본 연구는 ‘천지공사(天地公事)’의 공공윤리 실천전망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천지공사는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이 서로 이어지고 매개하는 공공작용을 통해 공공윤리 실천전망을 보여준다. 천지공사는 삼계 통래(通來)로 대순진리를 관철시키는 공사이다. 본 연구방법으로 천지공사가 소개된 문헌을 면밀히 분석하는 문헌연구와 공공윤리 전망을 모색하는 해석학적 기제를 함께 사용한다. 이는 공과 사를 이어주고 매개하는 ‘공사공매’ 지표, 공공행복 추구의 ‘행복공창’ 지표, 개체를 살려 공적 가치를 드러내는 ‘활사개공’ 지표의 기제이다. 공공윤리 지표는 물질과 영혼, 초월과 내재, 성과 속 사이의 간극을 해소하는 능동성으로 말미암아 공공책임을 수반한다. 천지공사는 ‘음양합덕’ 담론에서 시작하여 ‘신인조화(調化)’의 공공소통을 이루고 ‘해원상생’의 존재론적 축복으로 연결된다. 도통선경으로 상호호혜의 결실을 맺기에, 천지공사와 인존사사(人尊私事)는 공공의 성상원융(性相圓融)을 이루어 천지인삼재 일원상(一圓相)을 이룬다. 이러한 공공실천 전망은 감성ㆍ이성 상관연동의 소통의 공사공매, 해원ㆍ보은 상관연동의 상생의 행복공창, 그리고 도통ㆍ선경 상관연동의 인존의 활사개공으로 연결되기에 이를 상관연동으로 고찰한다. 천지공사를 주재하는 ‘인신현현(人神顯現)’의 구천상제는 공공동량 구제 사업에 임하였다. ‘활사개공’의 공공윤리 지표는 도통군자에 나타나 있다. 천지공사로서 선천세계가 개벽되고 지상천국이 건설된다. 천지공사 공공윤리 전망으로 온 누리에 선경의 화평세상을 이룩하기에, 세계시민성ㆍ우주시민성 시대도래를 예견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대순사상 심우도의 공공작용 연구

        김용환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8 대순사상논총 Vol.31 No.-

        본 연구는 대순사상 심우도의 공공작용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심우도(尋牛圖)’는 동자가 소를 찾아가는 모습으로 인간의 수도과정을 비유한 도상이다. 심우도의 동자는 수도자이고, 소는 상제께서 세상에 펼친 대순사상을 말한다. 이 글에서는 대순사상 심우도가 이화-기화-실화의 공공작용의 3단계로 전개됨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공공작용의 이화단계는 ‘심심유오(深深有悟)’와 ‘봉득신교(奉得神敎)’의 상관연동에서 드러난다. ‘심심유오’는 깊고 깊은 생각 속에 봉득신교에 대한 자각이 있기에 생각이화의 도리를 발견한다.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어느 순간 인간 존재의 근원에 의문을 갖고 음양합덕의 생각이화에 의해 봉득신교를 받들면서 도상은 소의 발자국을 따라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의 공공작용의 기화단계는 ‘면이수지(勉而修之)’와 ‘성지우성(誠之又誠)’의 상관연동에서 드러난다. ‘면이수지’는 부지런히 수도에 매진하여 소의 기운을 감득하고 시련과 난관을 극복하면서 신인조화를 모색하며 생명파악에 집중한다. 아울러 해원상생에 의한 생명기화를 통해 정성에 또 정성을 들여 선천의 상극기운과 습관을 버리고, 도상은 이치를 감득하고 소를 탄 채로 피리를 부는 형상이다. 그리고 공공작용의 실화단계는 ‘도통진경(道通眞境)’과 ‘도지통명(道之通明)’의 상관연동으로 일상생활에서 도를 체화하는 단계이다. ‘도통진경’은 참된 도에 이름이며, 피리를 불며 흰 소를 타고 가는 동자의 도상에서 도를 체화하는 경지로서 파악할 수 있다. ‘도지통명’은 마침내 도가 밝아져 후천개벽 세상을 전개함을 의미한다. 흰 소를 따라간 동자는 신선이 되었다. 선녀들이 음악을 들려주고, 불로초가 피어 있고, 학들이 노니는 아름답고 평화로운 모습이다. 인간은 지상신선 되고, 지상선경이 되어 인존구현의 생활실화로 드러나서 시공(時空)을 넘나드는 대자유인으로 결실을 맺는 형상이다. 대순사상 심우도는 동자가 소를 찾아 좁고 험한 산길을 지나가는 모습에서 출발하여 소의 뒷모습을 본 이후 앞으로 가야할 길이 험난한 줄 알면서도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정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수도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며 부지런히 나아가는 근면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어 동자는 흰 소를 만나 친해지는 시기로 전환이 되면서 일상생활이 변모한다. 동자는 ‘흰 소(白牛)’를 상봉하며, ‘도지통명’의 생활실화를 통해 인존구현의 진여실상을 평상심으로 구현한다. 본 연구는 문헌학과 해석학의 방법을 활용하여 대순사상 심우도의 공공작용 분석으로 다양ㆍ다중ㆍ다층의 해석학으로 후천개벽의 생활실화에 접근하며, 후천개벽의 실천담론을 구조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에 대순사상 심우도의 미래전망은 생각이화ㆍ생명기화ㆍ생활실화의 삼차연동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communal action in the Ox Seeking Pictures of Daesoon Thought as an expression of future prospects. The Ox Seeking Pictures in Daesoon Thought seeks out renewal of thought, renewal of life, and true living. Here, the Ox Seeking Pictures symbolize a world in which good fortune comes true according to faith in Gucheon Sangje. The correlation between searching for the ox and the supporting teachings of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in Daesoon shows the transformation of Daesoon prospects for achieving the renewal of thought. The correlation between Deep Contemplation Leading to Awakening and Finding and Following Heavenly Teachings shows the transformation of Daesoon reason into a practice implemented in daily life. The correlation between a human being’s awareness and the heavenly paradise of the Later World shows transformation into true living based on everyday practice and the practical transformation of one’s livelihood. In this investigation, we can say that the Ox Seeking Pictures of Daesoon symbolizes the realization of human dignity and respect for lives. No life should be destroyed or violated by another. Heaven, Earth, and Humanity can be changed and born anew. The visions of the realization of the heavenly paradise of the Later World show that this paradise in the world results from Daesoon principles. This provides a unique insight when compared to the bodhisattva ideal conveyed through the Ox Seeking Pictures of Mahayana Buddhism. Daesoon’s Ox Seeking Pictures consist of a three-way interlocking of renewal of thought, implementation in life, and the practical transformation of one's livelihood. The communal spirituality based in Daesoon Truth connects and mediates among people and appears in three aspects. Firstly, it is thought to be a vision of the renewal of thought through the ‘Virtuous Concordance of Yin and Yang.’ Second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a new life based upon the spirit of Mutual Beneficence. Thirdly, it is thought to be a vision of true living through the realization of human dignity. Because of the appearance of the Ox Seeking Pictures of Daesoon Thought, this narrative picture shows the oxherd as searching for an ox which is the symbol of Daesoon Truth and Dao. Even though he catches the ox, he is still holds the rope to tie the ox to himself. He makes an effort to keep the ox steady. Finally, the oxherd’s enlightenment becomes the source of responsibility to help unenlightened people in their struggle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se paintings as the start of the Later World.

      • 《黃帝內經》에서 “春夏養陽ㆍ秋冬養陰”의 의미에 대한 硏究 : 四季의 四氣에 따른 음식섭취를 중점으로

        김용환,김중한 한국정신과학학회 2002 韓國精神科學學會誌 Vol.6 No.1

        The Huangdi Neijing(黃帝內經)(Hereinafter referred to as "NeiJing"(內經).) can be said as the bible of oriental medicines. The existing Neljing(內經) has 2 kinds of textbook, that is to say, there is "Huangdi Neijing Taisu"(黃帝內經太素) by Yang Shang Shan(楊上善) who was the person of SuiㆍTang(隨ㆍ唐) Country and "Buzha Huangdi Neijing Suwen"(補主黃帝內經素問) by Wang Bing(王氷) who was the person of Dang(唐) Country Suwen(素問) by Wang Bing(王氷) consists of 24 books and 81 series, and Wangbing particulary makes Importance of recuperation, and 2 series of Shanggutlanzhenlun(上古天眞論) and Siqidiaoshendalun(四氣周神大論) concerned to the recuperation were arranged in the beginning of No 1 Book The paragraph of cultivation of yang(陽) in Spring & Summer and Yin(陰) in Autumn & Winter(春夏養陽ㆍ秋冬養陰) is No 2 Chapter of Siqidiaoshendalun(四氣周神大論) in Suwen. The main contents of this series discuss the recuperation way of outer environment which says the change of four seasons and of pursuing the harmony of inner control in the mind and behavior way If the final paragraph of Shanggutianzhenlun(上古天眞論) which is the Chapter I is "The following of Yang and Yin" and "The cultivation of Yang in Spring & Summer and Yin in Autumn & Winter" can be said as the final paragraph of Siqidiaoshendalun(四氣周神大論) which is the Chapter Ⅱ. After I analyse, study and generalize the scriptures and the comments of ancient oriental medicine doctors about the deep meanings of discussion, I would like to clarify the opinions of writer on the eating of cold & hot and warm & cool(寒熱溫凉) food upon the four seasons in particular.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논어의 예악 화용론

        김용환 한국종교교육학회 2011 宗敎敎育學硏究 Vol.35 No.-

        논어의 예악은 건강한 인간문화를 유지하는 데 주요 역할을 한다. 논어의 예악은 유교 내용과 기술을 개발하고, 입문자들을 준비시키며 교육시키는 실제 과정을 도맡아서 유교이해의 주요역할을 수행한다. 유교문화와 공공세계를 강조하는 교육전승에서는 새로운 세계의 발견을 중시한다. 이 과정에서 개인의 영성과 공동체의 가치의 조화를 꾀한다. 이 글에서 공자의 예악사상의 공공세계 가치를 밝힘으로써 예악 화용의 가능성을 통해 인간의 감성, 이성, 영성의 아우름과 소통의 중요함을 밝히고자 한다. 예악은 선진유가에서 인간문화의 총체를 상징한다. 예(禮)는 인간의 외재적 행위에 대한 규범이며, 악(樂)은 인간의 내재적 성정(性情)에 대한 감발 요소로써 내외 매개ㆍ자타조화를 꾀하면서 인간문화를 형성하였다. 주지하다시피 한국종교문화 저변에는 공자의 예악사상이 존재한다. 예악이 서로 분리되면 존재의미가 퇴색된다. 예(禮)에는 악(樂)이 합류하여야 그 지극함을 다하며, 악(樂) 속에 예(禮)는 녹아 있다. 예는 형식보다 윤리적 본질을 강조함으로 본질이 형식에 앞선다고 보았다. 공자는 ‘그림 그리는 일은 흰 비단을 마련한 뒤에나 해야 할 일’이라는 ‘회사후소(繪事後素)’가 문제시된다. 악(樂)은 마음이 어떤 사물에 감동하여 내는 소리와 이 소리에 고저장단의 형식을 가미한 것이 음을 통하여 즐거워하며 춤을 추는 것으로 ‘흥관군원(興觀群怨)’이 문제시된다. 이들은 내외상통ㆍ자타상화의 공공세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논어의 예악 화용은 정서지능뿐만 아니라 추리능력, 표현능력, 조절능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향을 드러내고 있다. 무엇보다도 논어의 예악 화용은 참여자의 내외상통에 의한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쳐 화용론의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자타상화에 의한 이성추리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를 통하여 마침내 ‘인심상달(仁心相達)’에 의한 영성작용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논어의 예악 화용은 크게 감성범주, 이성범주, 영성범주를 통하여 공공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