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인식, 정서지능 비교및 영재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정서지능관계
김선옥,유미현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2 과학영재교육 Vol.4 No.3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amine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general student regarding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s were 144 students in the class for the gifted and 154 students of general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regarding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as for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e total scor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emotional perception, empathy, emotional control as sub-domains of the gifted students were significantly statistically higher. Second, as for the correlations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gifted students, the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188 김선옥∙유미현emotional intelligence. Third, as for the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of gifted students, parenting attitudes were recogn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gender. Girls were recognized as the father autonomous, rational. And her mother was recognized as autonomous. As for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gifted students,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The total scor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emotions expression, emotional control as sub-domains of girls were significantly statistically higher. And the empathy, emotional use of fifth grad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statistically high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이 인식한 부모양육태도와 정서지능을 살펴보고, 그 차이를 비교해 보는 것이다. 나아가 영재학생이 인식한 부모양육태도와 정서지능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별, 학년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은 영재학생 144명, 일반학생 154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정서지능은 영재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해 정서인식, 감정이입, 정서조절, 정서지능 총합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재학생이 인식한 부모양육태도와 정서지능은 거의 모든 측면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영재학생이 인식한 부모양육태도를 조사한 결과 성별에 따라 부모양육태도를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아버지가 자율적, 합리적으로 대해주고, 어머니도 자율적으로 대해주는 경향이 있다고 느꼈다. 그리고 영재학생의 정서지능을 살펴본 결과 성별, 학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정서표현, 정서조절, 정서지능 총합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5학년이 6학년보다 감정이입, 정서활용능력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단기 종단적 접근
김선옥 한국유아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음운인식, 음운 부호화, 음운 부호의 인출, 낱자지식)에 관한 단기 종단적 연구로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유아의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만4세 유아 36명을 대상으로 음운인식, 음운 부호화, 음운 부호의 인출, 낱자 이름 말하기, 글자수-음절수 대웅, 단어 읽기 검사를 실시하고(Time 1) 5개월 후 재검사를 실시하였다(Time 2). 그 결과, Time 1에서 음운인식, 음운 부호화, 음운 부호의 인출, 낱자지식이 단어 읽기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단어 읽기 총점에 대하여는 낱자지식만이 영향력을 가졌다. Time 2에서 음운인식, 음운 부호의 인출, 낱자지식만이 단어 읽기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단어 읽기 총점에 대하여는 낱자지식과 음운 분호의 인출 순으로 영향력을 가졌다. 또한 Time 2의 단어 읽기 총점에 대하여는 Time 1의 낱자지식과 음운 부호의 인출 순으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effects of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coding, retrieval of phonological code and letter knowledge on children's early reading abilities would change over a testing period of five months. For this purpose, thirty-six 4-year old children were tested twice for phonological awareness(syllabic deletion, syllabic blending, syllabic discrimination, phonemic deletion, phonemic blending, phonemic discrimination), phonological coding, retrieval of phonological code, letter name knowledge, correspondence between letter number-syllable number and word reading at a five month interval(Time 1 and 2). In Time 1, it was found that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coding, retrieval of phonological code, and letter knowledg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ord reading and that only letter knowledge affected the total reading score. In Time 2, it was found that phonological awareness, retrieval of phonological code and letter knowledg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ord reading and that the total reading score was most influenced by letter knowledge, followed by retrieval of phonological code. The total word reading score obtained in Time 2 was most affected by the letter knowledge test score from Time 1, followed by retrieval of phonological code from the same test tim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the magnitude of effects of each variable on early reading abilitie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application to education.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들간 양육스트레스 및 대처행동의 차이
김선옥,김성훈 한국장애아동인권학회 2014 장애아동인권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간 변인을 알아보고, 대처행동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국공립 통합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만 3세 이상 만 5세 미만의 취학 전 장애유아 어머니 110명과 비장애유아 어머니 90명으로 총 200명이였으며, 장애유아는 의사에 의해 장애진단을 받아 장애아로 등록된 유아로 한정하였고, 국공립 통합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거된 설문지를 근간으로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간 양육스트레스 평균차가 유의미한 것인지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평균 차이 검증(t검증) 및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를 활용하였다. 장애유아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1995)이 개발한 양육스트레스 척도(PSI: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를 이한우(1998)가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대처행동에 관한 측정도구는 점겸구, 김교현, 조신웅, 노명래, 손정락(1994)이 개발한 다차원적 대처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양육스트레스에 있어 장애유아 어머니가 비장애유아 어머니보다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전체적 대처행동을 비교한 결과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대처행동에 차이를 보였다. 즉 대처행동의 하위영역 중 소극적 철수, 정서표출, 정서적 망각, 고집, 체념, 긍정적 비교, 정서적 진정, 정서적 지원 추구, 종교적지원 영역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로부터 장애유아 어머니는 비장애유아 어머니들보다 전반적으로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대처행동에는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信用状決済システムにおいて書類審査基準の 運用方向の展開に関する考察
김선옥 한국무역보험학회 2017 무역금융보험연구 Vol.18 No.4
This paper is aimed to present operational trends through analyzing interpretation of an examination standard under documentary credit transactions. The documents required in the documentary credit are played as evidence documents under a sale contract. The documents generally reflect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sale contract agreed between a seller and a buyer. Generally, when bank examiner reviews the tendered document, presumably they would examine data in the document based on each document presented. The judicial interpretation standard has been developed so as to distinguish between true discrepancies and simple (minor) errors. However, the criteria applied by the court to distinguish the kind of discrepancies would depend on the case in question. A reasonable operation in determining the complying presentation could be worked out through an appreciation of the significance and practical role of the documents requested in the documentary credit and terms undue the ISBP, and the significance of data with respect to other data in that and other documents. Some courts have shown willingness to make a payment when the discrepancy in a set of documents could be admitted as trivial or minor. It is not an easy matter to unify the different interpretations and to arrive at the reasonable solution concerning the construction standard. 본 연구는 신용장거래에서 서류심사를 통하여 대금지급을 하는 서류심사의 본질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심사기준에 관한 해석가이드라인을 제시할 목적으로 서류심사기준의 해석에 관한 동향을 분석하였다. 신용장거래에서 서류심사를 통해 대금을 지급하는 메커니즘은 수입업자를 보호하는 효과와 함께 발행은행의 성실성을 측정하는 효과도 있다. 서류심사기준으로서 엄밀 일치의 원칙을 적용하여 신용장조건의 준수여부를 판단하여 왔으나, 이 원칙을 실무적으로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서류심사자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고 있어 이 기준의 해석문제는 논쟁의 중심에 있어 왔다. 특히 “사소한 불일치”에 해당될 수 있는 정도의 불일치가 존재하는 경우와 “불명확한 신용장조건”으로 인해 불일치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경우에 해석상의 다툼이 있을 수 있다. 사소한 불일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경우는 실제로는 신용장조건을 준수하였으나 형식상 또는 서류작성상에 있어서 오류로 인하여 표면적으로는 신용장조건 불일치로 보이는 경우이다. 후자의 경우는 신용장조건이 불명확하게 표시되어 있었으나, 수익자는 그 불명확한 신용장조건을 합리적으로 해석한 후에 신용장조건을 준수하여 서류를 제출하였으나, 서류심사자의 입장에서는 신용장조건 불일치로 해석한 경우이다. 이러한 문제는 불일치로 인정받은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즉, 불일치한 데이터가 상업적 요소에 해당하는 것인지 비상업적인 요소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분석하고, 제출된 서류의 기능과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심사하는 자세를 가지면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협업필터링 추천시스템에서 기초정보를 활용한 예측방법 조합에 관한 연구
김선옥,구지현,이석준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2
This study is devoted to improve prediction accuracy of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apply pre-evaluating each user’s ratings before prediction. Neighborhood 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s in user based method and weighted sum algorithms in item based method are applied to preference prediction of user. Each of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osine vector as similarity weight is applied to user 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and significance weight which devalues similarity weight according to numbers of rated items in common is also applied to algorithm. Weighted sum algorithm which is included item 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uses adjusted cosine vector as similarity weight and also applies significance weight to that algorithm. The results predicted by the above 8 methods are compared to each user’s prediction accuracy which are divided ratings quartile by each user’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efore prediction. The best result of the 8 prediction methods in each quartile is selected and combine them to compare with the results of each 8 prediction. The results shows that the combination of algorithms, which is composed of each users’ mean quartile, is the most accurate and using pre-evaluation prior to preference prediction is a valid way to improve prediction accuracy. 본 연구는 협업필터링 알고리즘에서 선호도 예측 전에 선호도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사용자 기반의 방법에서 이웃기반 협업필터링 알고리즘과 아이템 기반에서 평가치 가중합 알고리즘을 선호도 예측에 사용하였다. 이웃기반 협업필터링 알고리즘에서 유사도 가중치로 Pearson 상관계수와 코사인 벡터를 사용하였으며 유사도 가중치를 공통 응답쌍으로 보정해 주는 유의성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아이템 기반의 가중합 알고리즘에는 조정 코사인 벡터를 유사도 가중치로 사용하고 유의성 가중치도 적용하였다. 아이템 기반으로 제안된 가중합 알고리즘을 사용자 기반으로 적용하여 조정 코사인 벡터와 유의성 가중치를 적용한 예측도 실시하였다. 이상 8가지 방법에 의해 예측된 결과를 예측 전 사용자별 선호도 평가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4분위로 구분한 후 각 분위에 포함된 사용자들의 예측 결과를 비교하였다. 각 분위에서 예측 결과가 가장 좋은 알고리즘을 선정하고 이들의 조합으로 예측된 결과를 8가지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에서 평균의 4분위로 구성한 알고리즘 조합의 결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선호도 예측 이전의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선호도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가학적 흑인 남성성의 구성과 그 대안의 모색—앨리스 워커의 <그레인지 코플랜드의 세 번째 인생> 연구
김선옥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9 영어영문학21 Vol.32 No.4
This paper aims to study how a sadistic black masculinity was constructed under white oppression and economical domination in the 1920s to 1960s American South and what alternative for it is explored in Alice Walker’s The Third Life of Grange Copland. Even after slavery was abolished, black people were forced to work for white landowners as sharecroppers, whose lives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slaves. In this situation, black men who were culturally and economically dominated by whites internalized a patriarchal white masculinity as ideal because white men owned land and had the ability to support their family as the head of household freely participating in economic and political activities. Walker keenly seizes on the distorted psychology of black men who try to prove their masculinity through domestic violence or sexual licence when they find it impossible to realize such an ideal or hegemonic masculinity in the white-dominated society. In this way, Walker indicates that the black masculinity characterized by sadistic violence toward their family leading to hatred and even murder is not black men’s essential trait but a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 built under white oppression. However, Walker definitely opposes attributing black men’s violence and black communities’ problems to white domination alone and emphasizes individuals’ responsibility for black communities’ existence and future development. For this reason, Walker severely criticizes the sadistic black masculinity displayed through black men’s abuse and violence toward their family members, especially women. Also, she explores an alternative black masculinity developed in the harmony of androgyny and free from white-dominant ideology. In The Third Life of Grange Copeland, the main character shows the possibility of such a new black masculinity based on androgyny through his sexual and racial awakening after experiencing severe t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