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

        김선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3

        The Study on the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to Collabor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ur education is at an urgent point to change into a talented person training program to cope with the future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about collaboration, one of the important competencies that college students should ha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raining programs for strengthening collaboration capabilities and to help students to operate their curriculum to enhance their collaboration capabilitie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collabora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407 college students in Seoul, Gyeonggi area, A, B, and C colle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less than five times of collaboration experience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all respondents, indicating that our college students lacked the ability to collaborate. Therefore, in order to cultivate the capacity to liv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fulfill its role as a successful worker, I think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in universities. In the form of collaborative participation, we found that our students tend to be sincere and actively involved in collaboration. However, because of the inconvenience of collaboration, 'stress due to unfaithful team members' is the highest.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responsibility education, communication ability, leadership educa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for the performance of collaboration. Second, as more collaborative experience, more involvement as a leader, and more positive experience as a collaborator were found, the perception of collaboration necessity was higher.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instructor to create a collaborative environment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o plan for a positive and positive experience. Third,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effect of collaboration, the higher the mutual trust, the higher the necessity of collabo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elp the students to acquire the effect of collaboration by creating a positive experience environment for collaboration. To develop college students' ability to collaborate, education for competency development should be promoted in the operation of university curriculum. In addition, the role of teachers as assistants and motivator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students perceived the perception of the collabo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plan and operate collaborative programs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contribute to enhance collaboration performance. 협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김선주(성신여자대학교)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우리 교육도 미래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인재 양성 교 육으로 변화해야 할 시급한 시점에 놓여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중요 역량 중 하나인 협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협업 인식을 토대로 하여, 협업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과 협업 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목 운 영에 도움이 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A, B, C 대학의 대학생 407명의 자료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업을 경험한 횟수가 5회 미만인 학생이 전체 응답자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 리 대학생들의 협업 역량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4차 산업 혁명시대를 살아가는 데 필 요한 역량을 기르고 성공적인 직장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협업의 기 회를 증가시켜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협업 참여 형태에서는 우리 학생들이 협업을 할 때 주로 성 실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협업이 불편한 이유로 ‘불성실한 팀원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협업의 성과를 위해 자신의 역할 수 행에 대한 책임감 교육과 의사소통 능력, 리더십에 대한 교육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둘째, 협업 경험이 많을수록, 리더로 참여할수록, 협업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이 있을수록 협업 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자가 교육현장에서 협업 환경을 만들어주고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경험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셋째, 협업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상호간 신뢰가 있을수록 협업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협업에 대한 긍정적 경험 환경조성으로 협업의 효과를 스스 로 체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학생들의 협업 역량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대학의 교육과정 운영에서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을 증진시켜야 한다. 또한 조력자, 동기부여자로서 교수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 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혐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초 록35협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협업 프로그램을 계획,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며 협업의 성과를 높이는데 일조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접지된 타이어의 모드와 진동 특성

        김선주,Arvin R. Savkoor 한국자동차공학회 1997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1997 No.11_2

        The paper analyses the influence of boundary conditions in the contact of normally loaded pneumatic tires on their modal properties in vibration. These properties determine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s to<br/> the suspension and braking systems of vehicles. The structure of the pneumatic tire is modelled as a ring which has its inner surface supported by a rigid wheel through an elastic foundation. In addition another<br/> elastic foundation representing the tread rubber elements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ing. Using the modal properties of a free contact-free tire as a point of departure the analysis considers the<br/> influence of normal and tangential constraints resulting from contact and friction on a flat road on the eigenfreqencies and mode shapes of tires both for the case of standing and rolling tires.

      • KCI등재

        최치원 찬술 신라 국왕 表文의 작성 시기와 배경

        김선주 신라사학회 2022 新羅史學報 Vol.- No.56

        This paper reviews the timing and the background of the writing of the diplomatic documents written by Choi Chiwon on behalf of the Silla king. There are nine diplomatic documents written by Choi Chiwon, which has been handed down to this day. These diplomatic documents were written by Choi Chiwon on behalf of two kings, King Jinseong and King Hyogong.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ontents of the diplomatic documents, it could be understood that Five of the nine diplomatic documents, such as "Gigeapyo(起居表)" "Sasajoseayanghampyo(謝賜詔書兩函表)" "Yangwipyo(讓位表)" "Sachujeungpyo(謝追贈表)" and "Napjeongjeolpyo(納旌節表)"were sent by King Jinseong and Four copies, such as “Hajeongpyo(新羅賀正表)” “Sasawipyo(謝嗣位表)” “Saeunpyo(謝恩表)” and “Sabulhebukgukgeosangpyo(謝不許北國居上表) were sent by King Hyogong. Among them, it was concluded that the diplomatic document sent by King Jinseong was written after inheriting the throne, not during the reign of King Jinseong, that is, during the reign of King Hyogong. The reason why both the diplomatic documents sent by King Jinseong and King Hyogong were written in the reign of King Hyogong is interpreted due to the fact that the Tang emperor's diplomatic documents, which accepted request of King Jinseong to raise King Gyeongmun and King Heongang’s office higher, which arrived in Silla after King Jinseong handed over the throne.

      • KCI등재

        대학생의 협업 경험, 협업 인식에 따른 협업 능력 차이 연구

        김선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collaboration ability according to college student 's experience of collaboration and perception, so as to help strengthen the collaboration ability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539 students from three metropolitan areas in Seoul.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ollaboration among college students is insufficient, so the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experience should be expanded. The cooperative compensation type requires differential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effort of the members,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reasonable compensation system. Second, the ability to collaborate is high when there are many collaborative experience, experience as leader, and positive exper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team composition to maximize the effect of collaboration and to have a positive experience. In addition, education such as 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development and leadership improvement should be done in parallel. Third, it was found that those who had a positive opinion on the necessity of collaboration had higher ability to collaborate than those who had a neutral and negative viewpoint. Therefore, the instructor needs to consider the effective way to form a team by considering the subject and situation of collabora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training of college students' ability to collaborate, and it will be helpful for effective cooperative education by empirically ident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provement of collaboration ability. 본 연구는 대학생의 협업 경험, 인식에 따른 협업 능력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대학생의 협업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 수도권 3개 대학 재학생 539명의 자료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협업 수준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협업 경험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협업 보상 유형은 구성원의 노력 여하에 따른 차등 보상을 원하고 있었으므로 합리적인 보상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협업 경험이 많고 리더로 활동한 경험과 긍정적 성과 경험이 있을 경우 협업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협업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긍정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팀 구성에 대한 고려, 즉 팀 구성 방식, 역할과 업무에 대한 균등한 배분 등에 대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개발, 리더십 향상 등의 교육도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협업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중립 및 부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는 사람보다 협업 능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수자는 협업의 주제와 상황을 고려하여 팀 구성 방식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협업 능력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협업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효과적인 협업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당뇨강좌: 당뇨병은 아는 게 힘이다! 삼성서울병원 당뇨특강

        김선주,Kim, Seon-Ju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2011 당뇨 Vol.258 No.-

        `모르는 게 약이다'라는 말이 있다. 그러나 이 말은 옛말에 불과하다. 당뇨병은 아는 만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관리한 만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병이다. 교육을 통해 올바른 치료와 혈당 관리를 한다면 평생 건강을 유지할 수 있고,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내버려둔다면 합병증이 생겨 실명하거나 발을 잘라내게 되는 무서운 질병이다. 그러나 관리를 하자니 규칙적인 운동, 정해진 양의 식사, 인슐린과 약물 복용 등 신경쓸게 한둘이 아니다. 그러므로 병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받아 올바른 당뇨관리를 실천해야 한다. 이에 삼성서울병원 당뇨병센터에서 준비한 '당뇨병성 족부 병변'과 '올바른 인슐린 주사법' 특강을 듣고 인슐린 주사법과 효과적인 발 관리를 통한 합병증 예방의 비결을 알아보았다.

      • KCI등재

        소규모 공동주택 자산관리 제도개선방안

        김선주 한국부동산법학회 2019 不動産法學 Vol.23 No.1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oblems of construction, management, reconstruction, and remodeling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to improve the asset value of small apartment complexes. First,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 construction process, we should resolve the irregularity of the non - supervision system by observing the minimum performance guarantee standards, supervision of construction quality control, and direct construction. In the following, the management process supports the different support policies by themselves, mandates inspection of the eyes, constructs representative meetings of tenants, and provides consulting on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contracts. It is possible to request a joint arrangement of a small housing complex (small residence) in a small apartment complex, to claim the remedy for a small apartment complex, and to promote the claimant to the resident. It also plans to establish a long-term repair plan for small-scale apartment buildings under 20 generations, and establish mandatory plans for supporting long-term nematode subsidies for small-scale apartment buildings under 20 generations. Lastly, safety diagnosis for reconstruction and remodeling is needed to reduce the number of diagnoses and to reduce the number of diagnoses and to exp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to support the initial cost of remodeling, and to induce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to incentive system . Asset management of small apartment complexes is absolutely necessary for public interest and support in terms of urban regeneration and residential stability of ordinary people. 본 연구는 서민들이 주요한 주거공간이 소규모 공동주택의 자산 가치를 증대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건설, 관리, 재건축 및 리모델링 과정으로 구분하여 사례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분석하였다. 먼저, 건설과정의 문제해결을 위해 주택 최소성능 담보 기준마련, 시공품질관리 감독, 건축주의 직접시공 금지사항을 준수하여 비상주감리제도의 비리를 해결하도록 한다. 다음은 관리과정은 자체별로 상이한 지원방침을 일원화, 안점점검 의무화, 입주자대표회의 구성과 관리규약 제정에 관한 컨설팅 지원하고, 관리비 부과 내역 등 공개 의무화로 관리비 관련 분쟁 해소한다. 영세한 소규모 공동주택의 주택관리사(보) 공동배치 방안의 도입을 모색한다. 소규모 공동주택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장기수선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위한 장기수선충담금의 적립의무화와 지원방안을 제도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마지막으로 재건축과 리모델링을 위한 안전진단을 비용과 소요시간 절감을 위해 진단 횟수를 줄이고 전문기관을 확대하는 방안, 리모델링 초기사업비 지원방안, 다양한 건축방식 개발을 인센티브 제도로 유도하는 제도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소규모 공동주택의 자산관리는 도시재생과 서민의 주거안정이라는 측면에서 공공의 관심과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사안이다.

      • KCI등재

        주택연금의 장수리스크 최소화를 위한 생명표 비교분석 연구

        김선주 국토연구원 2015 국토연구 Vol.86 No.-

        The longevity risk of reverse mortgage is increasing. In order to find a way to hedging longevity risk analyzed the various life tables. The comparison results of national complete life table in 2012 and LC model life table and the 7th experience life table were as follows. The death probability of national complete life table appears increasingly high in elderly people. So the need of reestimate on the death probability for the elderly is raised. And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last-survivor status death probability in multiple life model was higher than the death probability in National complete life table. Reverse mortgage is joint life annuity. The pension is paid until their death when you join a couple. Also Housing Finance Corporation Act was amended to ensure that the couple having many differences of their age is able to join the pension. Therefore, to apply the death probability of the last-survivor status in multiple life model can be reduced the security of financial in reverse mortgage. 주택연금에 적용하는 완전생명표는 국민 전체를 대조사한 데이터로 산정하여 신뢰도와 일관성이 인정된다. 또한 다른 생명표에 비해 사망확률이 높게 책정되어 국민복지 차원의 주택연금 성격과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사망확률이 점점 낮아지는 현 시점에서 주택연금의 장수리스크를 감소할 수 있는 생명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LC모형과 연생모형을 적용한 생명표를 산출하여 경험생명표와 국민완전생명표와 비교 분석하였다. LC모형을 적용한 생명표와 경험생명표보다 현재 사용하는 완전생명표의 사망확률이 초고연령으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다. 95세 이상이 되면 사망확률의 차이는 현저하게 나타나므로, 100세 이상의 사망확률에 관한 새로운 고려가 요구된다. 최종생존자 상태의 연생모형을 이용한 연생사망확률은 현재 사용 중인 여자 완전생명표의 사망확률보다 개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주택연금은 부부 가입 시 부부 모두 사망할 때까지 연금이 지급되므로 연생사망확률 도입을 통해, 주택연금의 장수리스크를 해소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부부 연령의 차이가 많이 있어도 주택연금 가입이 가능하도록 주택금융공사법이 개정된 것을 고려한다면 연생사망률을 적용하는 것이 재정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