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의 칠석(七夕)과 칠석제(七夕祭)

        김철웅 국립민속박물관 2013 민속학연구 Vol.0 No.32

        Chilseok is a Korean traditional festival that celebrates the annual meeting and the parting of Kyeonu and Jiknyeo. It falls on the seventh day of the 7th month of the lunisolar calendar. Chilseok is derived from the Chinese. According to Bakmulzi, in Korea, Chilseok began in 3rd century. This paper conducted a consensual, expansive, and successive study to compare cultural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Korean, Chinese Chilseok Festival. This paper is researched Koryeo Chilseok based on the Korean Seasonal customs. It showed interesting results that the two countries had celebrated with similar meanings, and shared similar events. Both Korea and China, there is a custom of July 7 in the lunar calendar, and its fairy-tale that has been passed on orally. The peoples called that day, Chilseok. In China, the love story between Kyeonu and Jiknyeo who are destined to meet each year on the 7th of the 7th lunar month. Many oriental people mistake the meeting and the parting of Kyeonu and Jiknyeo as approximation of Altair and Vega on July 7th of the lunar calendar. July 7 in the lunar calendar is a special day for both Koryo and Chinese. Two countries have a special seasonal event celebrated each other. and it is very unique custom in Koryo. Koryo Peoples have the special event called Chilsok Banquet. Chilsok is one of the major festivals in Koyro. During the chilsok festival, families get together, view the Kyeonu and Jiknyeo. They prayed for the peaceful and happy family. Chilsok is an important festival, especially for young girls. Young girls prayed in worshiping the celestials during rituals. Girls make a display of their domestic skills. Meanwhile Kongminwang prayed to give birth to a baby boy. And Kongminwang had a son, Uwang. Therefore, Uwang's birthday is on Chilseok, July 7 in the lunar calendar. His birthday is all the more special. This day is the second payday for government official. Therefore, Chilseok is the special day in Koryo.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려 국왕의 南京 巡幸과 儀禮

        김철웅 서울역사편찬원 2013 서울과 역사 Vol.- No.85

        Royal tour of Koryo Kings was to go round their people and territory. Most kings had an inspection tour to Seokyeong and Namkyeong. The capital city based on the three in Koryo was rationized by the theory of Geomancy. Koryo dynasty established the Southern Capital(Namkyeong) around the presentday Seoul city. The Southern Capital region was called Yangju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of Koryo dynasty. King Munjong wanted to build the southern Capital, but the project could not be finished. Kim Wije suggested to King Sukjong rebuilding of the southern Capital and the capital relocation. Royal tour to the Southern Capital was irregular visit, the highest form of domination. It took about 3~4 days, or 9~10 days long from Gaekyeong, main capital city, to Namkyeong. Royal tour was marked by ceremonial pomp and was courtesy protocol. And Royal tour involved a welcoming ceremony consisting of a review of military honor guards, parades, and the playing of royal musics by a military band. Royal tour to the Southern Capital included a Arrival Ceremony at Namkyeong. It was often with a formal address for the people. Royal tour to the Southern Capital was included usually accompanied by a senior government minister. The southern Capital was accorded a higher status than ordinary prefectures and counties. Among the three secondary capitals, the southern Capital was lower in status than the Western capital, and on a par with the Eastern capital. But as for ceremony the southern Capital' status was on a par with the Western capital. 고려의 남경은 개경, 서경과 함께 삼경으로 취급되는 중요한 지역이었다. 이에 남경 순행의 왕래 과정, 체류 시기 등의 여러 상황, 그리고 순행과 관련한 의례를 살펴보았다. 개경에서 남경까지, 그리고 남경에서 환궁까지 소요되는 시일은 일정하지 않아 빠르면 대략 4·5일이, 늦으면 14일이 걸렸다. 그렇지만 대체로 9~10일이 걸린 경우가 많았다. 아마 직로는 4·5일이, 우회로는 9·10일이 걸린 것으로 보인다. 체류 시일은 짧게는 3~4일(인종·의종), 길게는 30일, 37일, 65일 등으로 일정하지 않았다. 순행 기간은 짧게는 17~18일 정도였고, 길게는 42일~83일 등이었다. 장기간 순행한 것은 남경 순행 후에 장원정에 순행하여 환궁하였기 때문이다. 남경 순행 시기도 일정하지 않았는데, 대체로 8월·9월 경에는 남경을 순행하고 있다. 남경까지는 이른바 ‘임진 도로’와 ‘장단 도로’ 상의 역로를 이용하였을 것인데 국왕 순행 시에는 驛·館 보다는 주로 院을 이용하고 있다. 국왕들이 서경 및 남경 지역을 순행한 것은 태조의 훈요십조와 풍수지리설에 근거한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순행 전후의 통치 행위를 볼 때 국왕의 巡幸은 『서경』과 『예기』 등의 유교 경전에 밝힌 ‘省方’의 실천에 목적을 두고 있었다. 고려 국왕들이 남경을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풍수지리설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근본적으로 순행은 정치적 행위로서 천자인 고려 국왕이 지역(남경)을 순수한다는 의미가 있었다. 국왕들은 남경을 행차할 때 지나온 주·현에 조세 감면의 등의 혜택을 주었고, 명산대천에 제사와 봉작을 내렸다. 남경 순행 의례는 「서남경순행의장」, 「서남경순행회가봉영의장」, 「西南京巡幸還闕奉迎鹵簿」, 「按察使別銜及外官迎行幸儀」 등이 있었다. 이들 의장에는 많은 인원이 동원되었는데, 「서남경순행의장」은 「조회의장」 보다 많고, 「서남경순행회가봉영의장」은 고종 9년에 정한 「宣赦衛仗」 보다 더 많았다. 「서남경순행회가봉영의장」의 인원은 「법가의장」, 「중동팔관회출어위장」 다음으로 많은데 이들 의례가 가장 중요했기 때문일 것이다. 순행 의례는 「서남경순행의장」→「안찰사별함급외관영행행의」→「서남경순행회가봉영의장」·「서남경순행환궐봉영로부」의 순서였다. 남경 순행에서 돌아와 의봉문에 도착하면 덕음을 반포하는데 充庭 儀式으로 거행하였다. 한편 고려시대에 삼경의 위상은 서경, 동경, 남경의 순서였다. 그러나 여러 면에서 남경이 서경과 차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품계나 순행 의례에서는 동일하였다. 남경은 고려시대에 수 차례에 걸쳐 천도가 논의되었을 만큼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지역이었다. 그리고 그 순행 의례를 보면 순행 인원은 개경에서 거행된 주요 의례와 별반 차이가 없는 대규모였고, 수행 관료도 分司와 같은 규모였다. 따라서 국왕이 ‘京’을 순행한다는 의미에서 서경이나 남경이나 차이가 없었던 것이다. 즉 의례상으로 남경은 서경과 같은 위상을 갖고 있었다.

      • KCI등재

        고려시대의 도교 세시풍속

        김철웅 국립민속박물관 2018 민속학연구 Vol.0 No.43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seasonal customs in the Goryeo Dynasty, it was identified as Taoist customs, such as the worship of SeoWangMo on January 7th, the amulet and ChangPo liquor on the 5th of May, mountain climbing on 9th of September, SuGyeongShin and all-night event on New Year’s Eve. On January 7th, InNil, People of Goryeo built the shape of SeoWangMo to overcome the disaster and prayed for their longevity. The bureaucrats received InSung and NokPae, salary card, on the day. InSung was an Hair ornament symbolizing SeoWangMo. The king granted InSung them, prayed for their health and longevity. His Officials regarded it as the king's favor, and were proud of their great honor. SuGyeongSin for staying up all night on the day of GyeongSin was the typical Taoist custom of Goryeo. On the GyeongSin day SamShiChung who is in a person's body, goes up to heaven and tells the evil deeds of the man to The Great Jade Emperor. the GyeongSin day is returned every 60 days, it was held for each of the year. Goryeo People had the custom of drinking ChangPo liquor and attaching an amulet on the 5th of May, Dano. ChangPo liquor was one of the Taoist drugs and believed that drinking ChangPo liquor can live a long life. This day’s amulet is to prevent a disaster, began at the amulet of Gal Hong. On 9th of September, JungYang the people of Goryeo Pouch went to high spot with Cornus officinalis Pouch, had the custom of drinking chrysanthemum liquor. This custom was based on the Taoism technique and its origin was the Taoist BiBangJang. There was SuSe similar to SuGyeongSin. It is called SuSe that lightens the light and does not sleep all night on New Year's Eve. SuSe is related to the kitchen god, JoShin. JoShin was also important in Taoism. According to the Taoist book, JoShin ascended to the heaven on the last night of the every month and reported the sins of the people to SangJe, the god of heaven. Even on New Year's Eve, JoShin reports on human sins, so it became a custom to light up on the New Year's Eve to prevent it. The seasonal customs are repeated periodically every year, giving a feeling of empathy and universality. In the end, this fact meant that Taoism had a great influence on Goryeo society with Buddhism and Confucianism. 고려의 세시풍속을 검토한 결과 인일의 서왕모 숭배, 수경신(守庚申) 풍속, 단오의 부적과 창포주, 중구절의 등고 풍속, 제야의 수세(守歲) 풍속 등이 도교에 영향 받은 고려의 풍속이었다. 고려 민간에서는 인일에 서왕모의 상(像)을 만들어 액을 물리치고 무병 장수를 기원하였다. 이날 관료들은 인승과 녹패를 받았다. 인승은 서왕모를 상징하는 장신구였다. 국왕은 인승을 하사하여 신하의 무병 장수를 염원하였을 것이고, 신하들은 이를 국왕의 총애로 여기며 큰 영광으로 자부하였다. 수경신은 고려의 대표적인 도교풍속이었다. 경신일에 사람 몸속에 있는 삼시충이 그 사람이 자면 몰래 하늘로 올라가 그 사람의 악행을 옥황상제에게 고하게 되는데 그러면 사람의 목숨이 줄어든다고 하여 경신일에 밤을 지새웠다. 경신일은 60일마다 돌아오므로 1년 중 경신일마다 수경신을 거행하였다. 세 번 수경신하면 삼시를 항복시킬 수 있고 일곱 번 수경신을 하면 삼시를 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려에서는 단오에 창포주를 마시며 적령부를 붙이는 풍속이 있었다. 창포주와 적령부는 도교에 연유한 풍속이었다. 창포는 선약(仙藥)의 하나여서 창포주를 마시면 불로장생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단오 부적은 재앙을 막기 위한 풍속으로 갈홍의 적령부에서 시작되었다. 중구절에 고려 사람들은 수유 주머니를 차고 높은 곳에 올라 국화주를 마시는 풍속이 있었다. 수유 주머니를 차고 국화주를 마시는 것은 액을 막는다는 의미가 있었다. 이러한 중구절의 등고 풍속은 도교의 술법에 기반한 것으로 그 기원은 도사 비장방이었다. 수경신과 유사한 풍속으로 수세가 있었다. 섣달 그믐날 밤에 불을 환하게 밝히고 밤새도록 자지 않는 것을 수세라고 한다. 수세는 조신(竈神)과 관련이 있다. 조신은 도교에서도 중시되었는데 도교서(道敎書)에 의하면 조신(竈神)이 매월 그믐날 밤에 승천하여 상제에게 인간의 죄상을 보고한다고 하였다. 즉 섣달 그믐날에도 조신은 인간의 죄상을 보고하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 섣달 그믐날 밤에 등불을 켜놓고 밤을 지새우는 풍속이 되었다. 세시풍속은 해마다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공감과 보편성을 띠는 연중행사이다. 도교에 바탕을 둔 다양한 세시픙속이 고려에서 행해지고 있었던 사실은 도교가 고려사회에 불교, 유교와 더불어 큰 영향을 주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환경친화적 LE-형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반연속식 노말브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유화중합에 관한 연구

        김철웅 한국청정기술학회 2005 청정기술 Vol.11 No.1

        In this study, semibatch emulsion copolymerization of n-BA as adhesive component andMA as coagulant component were caried out for the stable acry lic polymer latex in aqueous phase for polymer cement using LE-type nonionic surfactant as environmental friendly surfactant. The stable polymer emulsion was obtained with the increases of chain length(n) of this surfactant. The effect on the amount of LE-50 as nonionic surfactant were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polymer latex wer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LE-50, whereas the average particle size were de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The addition of functional monomer in initial reactor charge showed a significant efect on the final polymer concentration and the latex particle size. The single polymerization of each n-BA or MA showed a very low concentration of polymer latex and very big particle size due to coagulation. In the polymerization composed of mixed monomer with MMA and n-BA, the larger the ra tio of MMA to n-BA in the copolymers, the greater the amount of coagulum produced. It was f o u n d t h a t a s t a b l e c o p o l y m e r s w e r e obtained in the range of 15-35 % of n-BA. Moreover, incorporation of some functional monomers in adition to of main monomers became more stable polymer latex. Through DSC and IR analysis, the final polymer latex was composed by MA/n-BA/A/AM with a single Tg depending on the reaction conditions. As a result, the conditions of this acrylic polymerization could also be effectively controled to get the desired final products.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인 선형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LE-형 유화제를 사용하여 점착성분의 단량체로 노말부틸 아크릴레이트 (n-butyl acrylate, n-BA)와 응집성분의 단량체로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methyl metacrylate, MMA)를 사용하여, 폴리머 시멘트용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조건을 얻기 위해 수용액상에서 유화중합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사용한 계면활성제 (LE-형)의 친수성인 체인 길이 (n)의 값이 증가할 수 록 응석의 발생이 줄어들어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다 .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농도는 이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증가하다가 어느 농도 이상에서 응석의 발생이 거의 없는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으며, 250 nm로 일정한 크기를 나타내었다 . 또한 기능성 폴리머로서 보조모노머의 첨가는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응석과 입자크기에 크게 영향을 미쳤는데 , 주 모노머에 보조 모노머인 아크릴산 (acrylic acid, A)과 아크릴 아마이드 (acrylic amide, AM)의 혼합하여 첨가한 경우, . 최적조건에서 얻어진 아크릴 폴리머 에멀젼은 평균 입자크기 200-300 nm, 제타전위 (zeta potential)값 -50 mv 정도였으며, 단일 유리전이온도 (glass temperature, Tg)를 가진 고분자 나노 입자가 수용액상에 잘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합조건을 최적화시켜 안정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다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