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형공신학(荊公新學)과 희녕공거개혁(熙寧貢擧改革) -형공신학(荊公新學)이 관학(官學)의 교재(敎材) 변동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김병진 중국사학회 2019 中國史硏究 Vol.0 No.122
이 글은 王安石 學術思想의 형성 배경을 검토하고, 아울러 이 새로운 학술사상이 熙寧연간의 貢擧改革을 통해 이른바 “荊公新學”의 체계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을 다각적으로 추적함으로써 북송 중기 공거와 학교정책을 둘러싼 독특한 정치문화의 원형을 추적하는 것으로 목표를 삼았다. 우선 이를 구명하기 위해 크게 세 가지 방면에서 왕안석의 학술사상이 당시의 공거와 학교개혁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왕안석의 새로운 학술사상은 이른바 “宋學”의 출현이라는 학술사적 맥락속에서 형성되고 발전하였다. 왕안석의 학술 정신은 經典 속에 내포된 義理를 밝히는 데만 집중하였던 것이 아니라, 魏晉 이래 현실과 괴리된 空疏와 空談을 철저히 배격하고 오직 현실에 부합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른바 “學以致用”, “經世濟用” 등의 정신은 곧 왕안석 학술사상의 기본 원칙이자 “송학”의 핵심 가치이기도 하였다. 둘째, 宋神宗은 熙寧 4년(1071)에 왕안석이 제출한 개혁 방안을 기초로 “貢擧新制”를 제정하여 천하에 반포하였다. 그 핵심 내용은 오직經義 및 論, 策으로 進士를 선발토록 한 데 있었다. 아울러 응시자들로 하여금 『詩』ㆍ『書』ㆍ『易』ㆍ『禮記』ㆍ『周禮』 중에 하나의 경전을 선택하여 공부하되, 반드시 『論語』와 『孟子』를 겸하여 익히도록 하였다. 이 개혁의 중점 목표는 응시자들로 하여금 “章句訓詁之學”의 질곡으로 부터 탈피하여 경전에 내포되어 있는 본래의 면모를 더욱 심도 있게 탐구하게 함으로써 현실 요구에 부합하는 치국 인재를 선발하는 데 있었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것은 공거개혁에 의해 시험 내용이 변경됨에 따라 관학 교재에도 중대한 변동이 발생하였다는 점이다. 그중 『春秋』 3傳이 일거에 시험 과목과 교재 범주에서 탈락하고, 『孟子』가 “兼經”의 지위를 획득하여 관학의 교재에 포함되었다는 점은 특기할 만하다. 이와 같은 조치는 왕안석의 학술적 지향성이 강하게 반영되어 나타난 결과였고, 이는 앞서 언급한 “학이치용”, “경세제용” 등의 근본원칙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었다. 셋째, 공거와 학교 방면의 개혁은 모든 변법의 시발점이자 토대였다. 왕안석은 이미 범중엄 등의 개혁 실패로부터 많은 교훈을 얻었고, 이러한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 개혁의 당위성을 찾아야만 했다. 이른바 “荊公新學”이 갖는 중요한 의의는 바로 여기에 있다. 형공신학은 개혁 실천의 착안점이 되었으며, 모든 변법 영역에서 이론적인 근거로서 활용되었다. 전면적인 개혁의 실현을 위해 왕안석은 매우 의식적으로 “학이치용”과 “경세제용”의 학술 원칙을 고수하였다. 변법 사상에 대해 정확한 인식을 갖춘 치국 인재를 지속적으로 배출하고 또 이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하였을 때, 그 개혁은 비로소 유구한 생명력을 담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개혁 실천의 당위성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왕안석은 이른바 “一道德, 同風俗”이라는 정치적 이념을 설정하고, 학술사상과 정치인식의 통일을 위한 작업에 착수하였다. 즉 공거와 학교 개혁을 기회의 장으로 삼아 사상과 인식을 통일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는데, 그 구체적 표현이 바로 『三經新義』의 편찬이었다. 왕안석은 『삼경신의』의 편찬과 반포를 통해 자신의 학술 사상을 국가의 치국 철학으로 확립시켰으며, 이를 통해 이른바 “新學”의 사상체계를 출현시켰다. 즉 왕안석 학술사상의 官學化는 이른바 “형공신학”의 출현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는 다시 학술사상과 정치인식의 통일을 목표로 삼는 것이었다. 형공신학의 형성 배경은 학술이 현실로부터 괴리하는 모순으로부터 탈피하여 사회 문제의 새로운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이었고, 이를 통해 배출된 치국인재들로 인해 선순환이 가능하게 되었을 때 비로소 “內聖外王”의 이상이 진정으로 실현될 수 있는 것이었다. 이처럼 형공신학은 이른바 “송학”의 중점 사상과 이론적 특징을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그 이면의 정치적 이상을 현실 사회 속에서 실현해 내는 데까지 성공하였다. 그러나 북송 중후기의 정치문화속에서 왕안석의 “一道德” 관념은 이에 저항하는 세력과의 지속적인 이념 대립을 야기하였고, 송신종과 왕안석이 역사 무대에서 퇴장한 이후에도 공거와 학교정책을 둘러싼 이들의 정치적 유산은 여전히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김병진,정을기,한운동,전희종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0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최대수요 전력관리 장치를 개발하였다. 전체 시스템은 지능형 최대수요전력관리장치와 원격에서 부하를 관리할 수 있는 단말처리장치 그리고 사용자의 편의와 원격관리를 위한 HMI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지능형 최대수요전력관리장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력회사(예: 한국전력) 거래용 전력량계와 수요시한 동기가 가능하여 정확한 전력판리가 기능하다. 두 번째로 정밀한 전력계측기능을 내장하여 시스템을 간략화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단말처리정치를 개발하여 통선을 이용한 원격부하 관리를 수행하므로 초기 설치비용올 저감시켰다. 마지막으로 웹(web)기반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분산된 지능형 최대수요전력관려장치의 편리를 용이하게 하였다.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해서 개발된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the intelligent demand control system was introduced. This system was composed of Intelligent demand controller, RTU(Remote Terminal Unit) and HMI(Human Machine Interface) program.The main features of developed system meter recommended by KEPCO. Secondly, the developed demand controller had a measurement function, so system could be simplified. Thirdly, network function was implemented to control a distanced loads. With program, the users who was not trained could operate system. Additionally, management based Web was considered to monitor and manage the system remotely. The system performance was proved in a several experiments.
3상 다이오드정류기의 고조파 저감을 위한 CPLD 컨트롤러의 개발
김병진,박종찬,손진근,임병국,전희종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0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14 No.3
In this paper,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ontroller designed with VHDL is developed. With the controller, the harmonics from 3 phase diode rectifier are suppressed and power factor is also improved. The input current of diode rectifier is drawn from the ac mains only during the period in the ac cycle when the instantaneous voltage is greater than the voltage across the dc-link capacitor. The three bidirectional switches rated at very small power ar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three phase diode rectifier. Using CPLD controller, an idle current charges to capacitors continuously. Results of simulation and experimental demonstrate a reduction of harmonics, a improvement of power factor and THD. 본 연구에서는 VHDL로 설계한 CPLD 제어기를 이용하여 3상 다이오드 정류기 입력전류에 포함된 고조파성분을 저감시켰다. 3상 다이오드는 매 순간 3상중에서 가장 높은 장에서 가장 낮은 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나머지 한 장의 전류가 불연속적이 된다. 개발된 CPID 제어기는 다어오드로 도통되지 않는 상의 전류를 부가적으로 설치한 스위치를 통하여 흐르게 하여 전류가 연속으로 도통되게 한다. CPLD 제어기는 기존의 디지털 프로세서를 이용한 제어기에 비해 고속의 처리능력과 소형화획 장점 등을 가점을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과 실험결과로 제안된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3상 브리지 AC/DC 컨버터의 고조파 저감에 대한 연구
김병진,문학룡,김준환,김상우,전희종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1998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는 산업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잇는 3상 브리지 다이오드 정류기에서 입력측에 발생하는 고조파 문제를 개선하고자 한다. 다이오드 방식은 제어기가 필요치 않기 때문에 간단하고 높은 신뢰성을 갖지만 입력단 전류의 불연속성으로 인하여 전류파형의 왜곡이 생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3상 브리지 다이오드 정류기에 부가적으로 부착 가능한 3개의 스위치를 제안하여 매순간 3상의 전류 중에서 다이오드 정류기로 흐르지 못한 한 상의 전류를 제안한 스위치를 통하여 흐르게 하여 전류가 연속적으로 흐르게 하였다. 연속적인 전류의 흐름은 고조파 성분을 감소시키며 역률 또한 개선시키는 것을 모의 실험과 실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A new technique for shaping the line current and reducing the total hannonic distortion in a threephase rectifier is introduced. A review of the problems inherent in a three-phase diode rectifier feeding capacitive load and the possible solutions are first presented. The proposed 3 bidirectional switches and their operation are presented. The main features of this paper are low cost, high efficiency and simplicity. A simulation and experiment results show its good action.action.
김병진,신치후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4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a public survey regarding the perception of Hanok over the last 10 years. Hanok is a preservationsubject and unique Korean housing style that has been established as a form of residence today due to the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local governments. Trends involving public perception and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Hanok over the last 10 years were examined. The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Hanok policies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of Hanok. Specifically, the Hanok Perception Survey examined the perception, image, demand, cost, location, transportation, space composition, and scaleof Hanok.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over the last 10 years, Hanok was recognized as a psychological object of traditionand antiquity. The intention to live in a Hanok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ros and cons of a Hanok that over time reflect the tendency tovalue external factors as being nature-friendly. Regarding the location and space of a Hanok, a living environment and space compositioncapable of modern living are required. 본 연구는 지난 10년 동안 총4회의 대국민 한옥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된 것이다. 한옥은 한국 고유의 주택 양식으로 보존의 대상이었지만,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으로 오늘날 거주의 형태로서 자리매김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10년간 대국민 한옥 인식과 수요의 특성에 관하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즉, 한옥에 대한 특성과 만족도, 그리고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한옥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한옥인식조사는 한옥의 인식과 이미지, 수요 및 비용, 입지 및 교통, 공간구성 및 규모를 살펴보고 있다. 이상의 분석은 전통의 가치를 넘어 시대 흐름에 따라 주거로서 현대인의 생활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결론 짓고 있다.
김수봉,문혜식,이춘우,김병진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4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otential area for roof greening in Dalseo-Gu, Daegu based on information of the building register from 'Sewoomteo, the Building Administration System i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The number of buildings in Dalseo-Gu is 62,741 and the total area of roof is 10.8㎢, but it decrease to 4.7㎢ if the building age(since 1980), the roof shape(flat roof), and the building structure(ferroconcrete) are limited. And the potential roof greening area using plantable ratio is 3.2㎢(5% of Dalseo-Gu total area). The result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make more than 300 small size neighborhood parks without the land purchase price. Potential roof greening area of buildings for residence(67%) is the largest by building types. Shopping mall buildings, education buildings, public buildings, office buildings, healthcare buildings are followed. The result indicated that it is residential buildings that we need to pay attention for revitalizing roof greening.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건축행정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세움터' 자료를 활용하여 대구시 달서구의 녹화가능한 옥상면적을 분석하였다.달서구의 전체 건축물은 총 62,741개소이며, 건축물 옥상의 전체면적은 10.8㎢로 나타났다. 1980년 이후에 사용승인된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평지붕 건축물로 한정할 경우 옥상면적은 4.7㎢로 나타났으며, 여기에 녹화가능 옥상면적 비율을 적용하면 달서구 전체면적의 약 5%에 해당하는 3.2㎢의 면적에 옥상녹화가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옥상녹화를 통해 토지매입비용 없이 근린생활권 근린공원 약 300여 개소 이상을 조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결과라 하겠다. 건물유형별 옥상녹화 가용면적은 주거시설이 68%로 가장 높았으며, 판매시설, 교육시설, 공공시설, 업무시설, 의료시설이 그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옥상녹화 활성화를 위해 주거시설 건축물에 대한 옥상녹화지원의 확대가 필요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