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사무조례》 수정초안에 나타난 중국 종교정책 변화와 로잔운동의 관계성 고찰

        김광성 ( Kim Kwang Seong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7 복음과 선교 Vol.38 No.-

        로잔운동은 선교의 개념이 신학적 경향성에 따라 전도와 사회참여의 양극화로 치닫고 있던 1960년대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복음주의 진영의 세계 복음화 노력의 일환으로 1974년 로잔대회로 시작되었다. 로잔운동은 1989년 마닐라대회, 2010년 케이프타운대회를 거치면서 복음주의 진영을 결집하여 해외선교의 중요성을 다시 일깨우고 세계복음화에 대한 선교신학적 근거를 정리해 내는 등 세계 선교의 이론적 근거와 실천적 방향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였다. 이처럼 세계 복음화를 위해 복음주의 입장에서 에큐메니칼 진영의 선교신학을 아우르는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로잔운동은 공산주의 확산이 복음전파를 방해하는 장애요인 이라고 판단한 복음주의 진영의 인식으로부터 여전히 자유롭지 못 하다. 2010년 케이프타운대회에는 200여 명의 중국 교회 대표단이 정부의 출국 불허조치로 인해 대회 참가가 좌절되면서 로잔운동과 중국 교회의 만남은 여전히 풀기 어려운 숙제로 남아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로잔운동이 중국 교회와 만나기 위해서는 중국이 시 행하고 있는 종교정책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전 제를 가지고 진행되었다. 종교정책 법제화를 자국 종교문제 해결의 우선과제로 삼고 있는 중국 정부는 최근 《종교사무조례 수정초안》을 발표하였다. 《종교사무조례》는 중국의 종교정책의 법적 근 거가 되므로 《시행초안》에 대한 분석은 향후 중국 종교정책을 가늠 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수정초안》 내용을 분석해 보면 다음의 몇 가지 중요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첫째, 중국 정부는 중국 교회의 대외교류를 보다 철 저하게 통제할 법적 근거를 갖추게 된다. 둘째, 중국 정부의 종교 활동에 대한 통제 영역이 국내에서 국외로 확장 되었다. 셋째, 중국 정 부는 오프라인에서의 종교 활동 통제 범위를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에서의 종교활동으로까지 확장하였다. 아울러 종교 신앙의 자유를 보장하면서 종교 활동은 철저하게 통제하는 이중적인 종교정책을 시행해 온 중국 정부가 경제발전과 종교의 양적 성장의 결과로 축적 된 종교재산을 종교계가 종교 발전을 위해 재투자할 가능성을 방지 하기 위한 규제조항을 대폭 강화하면서 향후 중국 정부의 종교정책 은 법적인 근거를 활용한 철저한 통제정책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대 중국의 종교정책은 이미 근본적으로 변화되었다. 1978년 개혁개방 정책을 시행하면서 중국은 사회주의를 새롭게 해석하여 이른바 `중국적 특색을 지닌 사회주의`를 표방하였다. 이에 따라 종교를 강제적으로 말살하려는 전통적인 종교정책을 포기하고 종교계의 모든 역량을 사회주의 발전에 집중시키기 위한 종교 자유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사회주의 이념체계에 서는 종교가 존재하도록 내버려둘 수 없다. 그러나 통일전선전략 차원에서 종교를 사회 현상으로 간주하면서 종교가 사회주의 사회에 존재하는 현실을 인정한 것이다. 로잔운동은 세계 복음화를 방해하는 장애요인 극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공산진영의 존재는 중요한 장애요인 가운데 하 나이다. 그러나 세계 복음화를 위해서는 동반자적 협력관계를 추구해야 할 대상이기도 하다. 중국 정부에게는 사회주의사회 건설 이 최우선 과제이다. 현대 중국에서 종교 특히 서구 종교인 기독교 는 사회주의 발전의 중요한 동력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전향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면 로잔운동은 중국 교회와 동반 자적 협력관계를 맺을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 The Lausanne Movement began in 1974 with the first International Congress on World Evangelization as part of the evangelical camp`s effort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1960s when the concept of missions was heading towards polar extremes of evangelism and social participation depending on one`s theological tendency. Through the Lausanne II in Manila in 1989 and the Cape Town 2010, the Lausanne Movement has brought together the evangelical camps and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ological foundations and practical directions for world missions such as awakening the importance of overseas missions, summarizing theological grounds for world evangelization, etc. Although the Lausanne Movement plays an important role of the evangelical camp in encountering the theology of missions of the ecumenical camp for the purpose of world missions, it is still not free from the evangelical camps`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that communist proliferation would be an obstacle to the preaching of the gospel. At Cape Town 2010, around 200 delegations of the Chinese church from China were not able to attend the Congress due to the government`s refusal to grant permission to the delegation to travel abroad. As a result, the meeting between the Lausanne Movement and the Chinese church continues to remain as a difficult task to solv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remise that in order for the Lausanne Movement to meet with the Chinese church,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religious policies implemented by China must precede the meeting. The Chinese government, with its legislation on religious policy that prioritizes solving religious problems in the country, recently announced Religious Affairs Draft Revisions (Deliberation Draft). Since the Religious Affairs Draft Revisions is a legal basis for China`s religious policies, the analysis of the Deliberation Draft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future religious policy in China.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Deliberation Draft, we can detect several important changes. First, the Chinese government will have the legal basis to more thoroughly control the Chinese church`s contact with foreign groups. Second, the Chinese government`s control over religious activities has expanded beyond domestic to abroad. Third, the Chinese government has extended its offline control of religious activities from offline to online. In addition, the Chinese government, which has implemented a dual religious policy that guarantees freedom of religion while strictly controlling religious activities, has significantly strengthened regulations preventing the possibility that the religious community will reinvest religious assets accumulated as a result of economic development and quantitative growth of its members for further growth of their religion. Therefore, going forward the Chinese government is expected to implement a strict control policy based on legal grounds. However, the religious policy of modern China has already been fundamentally changed. In implementing the Open Door Policy in 1978, China reinterpreted socialism and proclaimed the so-called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has abandoned the traditional religious policy to forcibly annihilate religion and started to strongly promote freedom of religion policy to focus all the capabilities of the religious system on socialist development. In a socialist ideological system, religion cannot be left to exist. However, from a unified frontline strategy perspective it regards religion as a social phenomenon and recognizes the reality that religion exists in socialist society. The Lausanne Movement places highest priority on overcoming obstacles that hinder world evangelization. The existence of the communist camp is one of the major obstacles. However, it is also the target of companion for partnership to seek after for world evangelization. For the Chinese government, building a socialist society is its top priority. In modern China, religion, especially Western religion of Christianity, is becoming an important power in the development of socialism. If this situation can be understood prospectively, the Lausanne movement has full potential to establish a companion partnership with the Chinese church.

      • KCI등재

        量の副詞と共起する日本語複合動詞の特性に関する考察

        金光成(Kim, Kwang-sung) 대한일어일문학회 2018 일어일문학 Vol.78 No.-

        Previous studies about Japanese compound verbs mainly focused on the word-formation or semantic extension. But, to properly understand the usage of Japanese compound verbs, it is necessary to get to know how Japanese compound verbs are actually being used in real context. To deal with this problem, this paper focused on the context in which Japanese compound verbs are being used. Specifically,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quantity adverbs and Japanese compound verbs was examin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adverbs rarely dealt with quantity adverbs. So, it was necessary to analyze the basic usage of quantity adverbs. This paper, first, analyzed the quantity adverbs which co-occurs with Japanese compound verbs in terms of frame semantics because frame-semantic approach could provide relatively systematic framework of the analysis. And, second, it was analyzed how the co-occurrence of quantity adverbs and Japanese compound verbs are motivated semantically.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re are semantic motivation to the co-occurrence. Also, it was found that there is some sort of inclination to the co-occurrence in terms of its evaluative aspect. The co-occurrence of quantity adverbs and Japanese compound verbs is quite difficult to grasp for Japanese learners because its usages have subtle aspects. In this analysis, NLT was used to understand the relatively objective frequency and logDice of the co-occurrence of quantity adverbs and Japanese compound verbs. So, the result could be useful even for the Japanese learners. It would be necessary to study more about the co-occurrence of various adverbs and Japanese compound verbs to understand the usage of Japanese compound verbs from new perspective.

      • KCI등재

        容器のイメ-ジスキ-マを基盤とする表現に関する考察

        金光成(Kim, Kwang-Sung) 대한일어일문학회 2017 일어일문학 Vol.75 No.-

        This paper is a case study about the usage of ‘noun+ippai’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shows quite unique characterization of Japanese in terms of conceptualization related to container image schema. The previous study about ‘ippai’ just dealt with the co-relation between ‘noun+ippai’ and a particle ‘no’. This study widened the scope of the analysis to particles ‘ni’, ‘de’. Also, this study included the case in which ‘noun+ippai’ directly modifies a predicate and the case in which ‘noun+ippai’ itself is a predicate. This paper especially focused on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noun parts in the ‘noun+ippai’ construction. The noun par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physical container, physical element, abstract container, abstract element). Plus, this paper also analyzed ‘noun+tappuri’ construction which shares similar meaning with ‘noun+ippai’ construction. It turned out that ‘noun+ippai’ construction is relatively based on the unifying schema while ‘noun+tappuri’ construction is based on the discrete schema. Specifically, the most obvious difference between ‘noun+ippai’ construction and ‘noun+tappuri’ construction is whether noun parts could instantiate some sort of container or not because examples of ‘noun+ippai’ construction related to physical or abstract container were 3,013 while the example of ‘noun+tappuri’ construction related to physical or abstract container was just one.

      • KCI등재후보

        開始の局面を表す後項動詞の使い分け

        金光成(Kim, Kwang-Sung) 대한일어일문학회 2016 일어일문학 Vol.69 No.-

        There are several groups of Japanese compound verbs which have similar meanings and usages. Japanese compound verbs which are related to the aspect of a beginning are also one of them. Previous studies about the compound verbs which are related to the aspect of a beginning ("-dasu" and "hazimeru") are basically based on the judgement of a scholar himself. So, this paper aimed to provide a more objective analysis by doing a research using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s were done by 50 Japanese. Most of them were in their 20s or 30s. Generally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cases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dasu" or "-hazimeru" is obvious. That"s why this paper chose the ambiguous cases as the object of the questionnaire. The ambiguous cases are especially difficult for Japanese learners to grasp. The analysis showed that mainly three elemen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usage of "-dasu" and "-hazimeru" .They are "(i) volition, (ii) starting point and ending point, (iii) exposure". Also, this paper looked into the cognitive basis behind the usage using cognitive schema. Still, there are several groups of Japanese compound verbs which has similar meanings and usages. To provide a more object analysis, more researches need to be done using corpus data or questionnaires.

      • KCI등재

        아세안(ASEAN)지역 거주 한인디아스포라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 선교학 영역 한인디아스포라를 대상으로 연구한 학위논문(1982-2018)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김광성 ( Kim Kwang Seong ),이강욱 ( Lee Kang Wook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8 복음과 선교 Vol.43 No.-

        오늘날 국제이주는 그 어느 때보다 더 광범하게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주는 21세기 메가트렌드로 지구상의 사람 7명중 1명이 이주자이다. 정부에서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한국인도 2016년 현재 전체 인구의 1/7에 해당하는 수가 디아스포라로 해외에 거주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주의 시대에 학계에서는 한인디아스포라를 주제로 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980년대 이후부터 선교학 영역에서도 한인디아스포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선교학 영역에서 한인디아스포라를 주제로 한 국내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통계학적 측면에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선교학 영역에서 한인디아스포라를 주제로 한 연구는 1982년 처음 시작되었다. 그 후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2018년까지 현 재까지 81건의 학위논문이 제출되었다. 학위논문 주제별 연구동향을 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대 들어 선교학 영역에서 한인디아스포라 관련 학위논문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1982년부터 1999년까지는 매년 1.1편의 학위논문이 발표되었는데, 2000년대에는 연평균 3.6편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지역의 쏠림 현상이 심하게 나타났다. 전체 학위논문 가운데 중국에 거주하는 한인디아스포라를 대상으로 연구한 학위논문이 26개로 해당 기간에 발표된 전체 학위논문의 32%의 비중을 차지한다. 이어서 미국 12개(15%), CIS 지역 8개(약 10%) 순이다. 상당수(57%)가 중국, 미국, CIS지역 한인디아스포라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연구 주제는 선교 대상으로서의 한인디아스포 라 연구, 선교 자원으로서의 한인디아스포라 연구, 한인디아스포 라를 통한 선교, 한인디아스포라(한인교회, 역사) 연구 등이 있다. 선행연구 통계분석을 통해 발견한 선교신학 분야 한인디아스포라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인디아스포라 연구가 모국중심의 연구가 아니라 한인디아스포라와 모국 양쪽을 존중하는 균형 있는 연구가 되어야한다. 둘째 한인디아스포라 연구가 학문적인 성과와 더불어 한인 디아스포라로부터 지지와 협력을 얻어야 한다. 셋째 지역별 연구 편중 현상을 극복해야 한다. 넷째 한인디아스포라에 대한 다양한 연구방법 적용이 필요하고 연구 결과물, 연구자현황, 연구동향, 한인 디아스포라 사회의 제반 특징을 담고 있는 백과사전, 백서 발간과 아카이브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한인디아스포라에 대한 정치, 문화, 사회를 제외한 경제와 기타 분야의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자는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아세안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 디아스포라에 대한 통합연구를 제안한다. 적절한 통합연구가 수행된다면 아세안 지역의 선교 전략적 중요성, 선교학 영역과 인문사회과학 영역의 학제 간 대화 가능성 확보, 디아스포라 선교전략 수립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한인디아스포라 선교네트워크 구성 등을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oday, international migration is ever more widespread and is occurring in every corner of the world. Its importance is increasing both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Migration is a megatrend of the 21st century, and one out of every seven people on earth is a migrant. According to the statistics released by the government, as of 2016, one-seventh of the total population of Koreans live abroad as diaspora. In this era of migration,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 Diaspora are actively being carried out in the academic world. Since the 1980s, research on the Korean Diaspora has been carried out in the field of missi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within the field of missiology by analyzing the statistical aspects of domestic theses on the theme of Korean Diaspora and based on this analys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n missiology, study with a subject on Korean Diaspora began in 1982. Since then, ongoing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nd 81 theses have been submitted up to 2018.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by thesis subject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eld of missiology entering the 2000s, the number of dissertations related to Korean diaspora increased sharply. Between 1982 and 1999, an average of 1.1 dissertations was published annually, increasing to an annual average of 3.6 in the 2000s. Second, there is a strong tendency of research in concentrated regional areas. Of the total theses, 26 dissertations focused on the Korean Diaspora residing in China, accounting for 32% of the total theses published during that period followed by 12 US (15%) and 8 CIS regions (about 10%). A significant number (57%) are concentrated in the study of the Korean Diaspora in China, the United States, and the CIS. Third, the research topics include research on Korean Diaspora as missions target, research on Korean Diaspora as missions resource, missions through Korean Diaspora and research on Korean Diaspora (Korean church, history). The desirable direction of Korean Diaspora research in the field of missiology discover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Korean Diaspora study should be a balanced research that respects both the Korean Diaspora and the mother country rather than centered on mother country alone. Second, along with academic achievement, Korean Diaspora study should garner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the Korean Diaspora. Third, we must overcome the biases of regional research. Fourth, it is necessary to apply diverse research methods to Korean Diaspora and publish an encyclopedia and white paper containing research result, researcher demographic, research trend, characteristics of Korean diaspora society and construct an archival structure as well. Fifth,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economics and other fields on top of politics, culture and society of Korean Diaspor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paper proposes an integrated study on the Korean Diaspora living in the ASEAN region. If appropriate integrated research is carried out, it will be possible to expect the strategic importance of missions in ASEAN region, securing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missiology and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building a database for establishing diaspora missions strategy and forming a Korean Diaspora missions network.

      • KCI등재

        로잔운동과 동반자 협력 -로잔운동과 중국 교회의 만남

        김광성 ( Kwang Seong Kim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5 복음과 선교 Vol.32 No.-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개최된 제3차 로잔대회(The Third Kausanne Congress on World Evangelization)에 참석을 신청했던 200여 명의 중국 교회 지도자들이 중국 정부의 출국 불허로 대회 참가가 무산되었다. 이는 수년 전부터 중국 교회가 로잔운동에 참여하도록 노력해온 로잔 지도부에게 큰 충격이었을 뿐 아니라 향후 로잔운동이 중국 교회와 어떻게 협력해야 할 것인가라는 반드시 풀어야할 숙제를 남겨주었다. 1949년 사회주의를 표방하는 중국공산당이 국가 권력을 장악하면서 중화인민공화국에는 정부의 행정체제에 따르는 공인교회와 국가의 종교 간섭에 저항하는 비공인교회가 공존하기 시작했다. 1978년 덩샤오핑 정부가 개혁개방정책(the policy of reformation and opening)을 실시하면서 중국에서 종교를 강제로 소멸시키려고 했던 좌편향적 종교정책은 중단되고 국가발전을위해 사회의 제 분야와 함께 종교가 동참 할 수 있도록 종교에 일정부분 사회적 역할을 맡기는 종교자유정책이 중국 종교정책의 중심에 자리 잡게 된다. 로잔운동은 케이프타운서약에 세계선교에서의 동반자적 협력(Partnering in the body of Christ for unity in mission)을 케이프타운 행동 강령(For the world we serve: The Cape Town Call to Action)의 하나로 포함시켰다. 로잔운동은 중국 교회와 동반자적 협력관계를 회복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중국 교회가 공인과 비공인이라는 이중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인정하고 향 진영 모두와 지혜로운 협력구도를 갖추도록 노력해야 한다. 먼저 로잔운동은 중국 공인교회 진영과 동반자적 협력관계를 회복해야 한다. 현대 중국 정부가 시행하는 종교자유정책의 기본 원칙은 삼자원칙(three-self principle)이다. 삼자원칙의 핵심 내용은‘외세를 철저하게 배제’하는 것이다. 따라서 로잔운동은 중국 교회가 선교에 대한 전통적 이해의 편향성을 극복하고 로잔운동이 주장하는‘총체적 선교관’을 바탕으로 세계교회와 협력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음으로 로잔운동은 중국 비공인교회 진영과도 동반자적 협력관계를 갖추어야 한다. 제3차 로잔대회 참가가 좌절된 중국 교회 지도자들은 대부분 비공인 진영에 속해있다, 이들은 로잔운동과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요청하고 있다. 2014년 한국 아시아교회지도자포럼(Asia Church Leaders Forum)이나 2015년 홍콩 선교중국 2030 제1회 동원대회는 중국의 비공인교회 진영과 로잔운동이 창조적으로 협력하는 모델이다. 로잔신학과 로잔정신은 대상의 제한이 없이 동반자적 협력을 실천하도록 요구한다. 따라서 로잔운동은 공인교회와 비공인교회라는 이중적 구조에 얽매이지 말고 기존의 모든 신학적, 신앙적 장벽을 넘어서 중국 교회와 세계선교를 위한 동반자 협력관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Some 200 Chinese Church leaders were unable to attend The Third Lausanne Congress in Cape Town in October 2010 due to the Chinese government prohibiting them from leaving China. It not only was a shock to the Lausanne leadership who had been working tirelessly to ensure their participation but also left behind the issue of how the Lausanne Movement would partner with the Chinese Church in going forward. Since the Chinese Communist Party, which advocated socialism, seized state power in 1949, two churches have coexisted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 state-sponsored church that followed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system and a non-sponsored church that resisted government’s religious interference. In 1978 as Deng Xiaoping administration enacted the policy of reformation and opening, the leftist religious policy that attempted to forcefully wipe out religion from China dissipated. In its place, the center piece of policy of religion established in China was one where the state provided a certain function in the society for religion to fulfill and thereby participate in different sectors of the society for the country’s development. The Lausanne Movement included“Partnering in the body of Christ for unity in mission”in its Call to Action part of the Cape Town Commitment. The Lausanne Movement must restore its partner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Chinese Church. In order for this to occur, the Lausanne Movement must acknowledge the dual structure of the church in China, the state-sponsored and non-sponsored, and work to develop a prudent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both sides. First, the Lausanne Movement must restore partner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state-sponsored church side in China. The basic principle of the policy of religious freedom implemented by the current Chinese government is that of three-self principle. The central point of the three-self principle is to“strictly exclude foreign forces.”Therefore, the Lausanne Movement must endeavor to work with the Chinese church for her to overcome her bias of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missions and partner with the church worldwide based on Lausanne Movement’s understanding of“wholistic missions.” Second, the Lausanne Movement must develop a partner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non-sponsored church side in China. Most of the participants who were prevented from attending The Third Lausanne Congress in Cape Town were from the non-sponsored side. They are requesting continued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Lausanne Movement. Both the Asian Church Leaders Forum in 2014 and the first Mission China 2030 Conference in 2015 convened in Hong Kong are models showing creative cooperation between Lausanne Movement and the non-sponsored church in China. Both the theology and the spirit of Lausanne calls for it to practice partnership cooperation without excluding any of its partners. Therefore, the Lausanne Movement must not be hindered by the dual structure of state-sponsored and non-sponsored, but must endeavor to overcome all existing theological and spiritual barriers to develop a partner cooperation for world missions with the Chinese Church.

      • KCI등재

        복음주의 진영의 타종교에 대한 선교신학적 인식 변화 연구

        김광성(Kwang Seong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6 No.-

        이주의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다양한 종교가 한 시대 한 공간에 공존하게 되었다. 이주민으로 인한 다문화 상황의 도래는 대한민국도 피해갈 수 없다. 사실 다종교 상황은 대한민국 국민에게는 낯선 현상이 아니다.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자, 유학생, 난민 등 이주민이 급증하면서 최근에야 다문화화로 인해 다종교 사회가 인식이 생긴 듯하지만, 사실상 대한민국은 역사적으로 불교, 유교, 무속종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사회였다. 이처럼 단일민족, 단일문화를 강조하는 대한민국에 펼쳐진 다문화 상황이 다종교 상황으로 이어지면서 대한민국 기독교를 당혹스럽게 하는 것이 아니다. 이미 다종교 상황 속에 살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타종교와 공존을 모색하지 못했던 대한민국 기독교는 다문화 시대의 급격한 도래와 함께 타종교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이 다종교 사회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복음주의 진영의 타종교에 대한 선교신학적 입장의 변화과정을 로잔운동을 통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음주의 선교신학의 기틀을 마련한 로잔운동은 혼합주의, 종교다원주의를 경계하면서도 다종교 사회에서 기독교가 타종교와 공존해야 한다는 현실을 인정한다. 〈로잔언약〉, 〈마닐라선언〉은 타종교에 대한 전통적인 신학적 입장을 견지한다. 로잔운동의 이러한 신학적 입장은 〈케이프타운서약〉에 이르러 “경계 안에서의 포용(breadth within boundaries)”이라는 표현으로 본질과 현상을 분명하게 구분함으로써 복음주의 진영의 타종교와의 공존에 대한 새로운 선교신학적 출구를 보여준다. 〈케이프타운서약〉 IIC는 타종교인에 대해 그리스도, 사랑 그리고 실천을 강조한다. 대한민국은 전통적으로 다종교 사회이며, 국제적 이주로 인해 다문화가 확산되면서 다종교 공존의 필연성에 대한 인식을 더욱 분명히 하였다. 타종교와의 공존은 “복음을 땅끝까지 전하라”는 사명을 포기하라는 말이 아니다. 로잔운동은 개종의 강요가 아니라 복음을 복음답게 전하는 것이 선교라고 선언함으로써 진정한 세계 복음화를 앞당길 수 있는 길을 우리에게 제시하였다.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명령은 타종교인을 포함한다. “우리의 소명은 복음 전도를 통해 좋은 소식을 나누는 것이지 비열한 개종활동을 벌이는 것이 아니다.”(〈케이프타운서약〉IIC 타종교인들 속에서 그리스도의 사랑 실천하기).

      • KCI등재

        특집 : 중국교회의 신학과 선교 : 중국 종교자유정책에 대한 역사적 고찰

        김광성 ( Kwang Seong Kim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3 복음과 선교 Vol.23 No.-

        The Chinese Religious Policy is continuously changing in last several decades. One hand Chinese people believe that they can do ministry and mission by themselves no matter what types of religions. The official Chinese government stance is that the Chinese do not need foreign mission`s assistance.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government allows and even sometimes encourages international relationship with foreigners and their religions. In rapidly changing global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the Chinese government cannot and will not be exclusive for foreign religions all the times. In such a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wo different ways of mission strategy; one is that Korean missionaries and mission agencies should be attention to the changing of the Chinese Religious Policy, so that mission for China is carrying in appropriate ways. Many missionaries who are working in China and looking forward to doing ministry in China in future should understand current situations in China first. Otherwise they can be banned or refused to working there. Another is that now Korean mission agencies and missionaries should seek other possibilities or ways to serve Chinese people instead of going into China. I argue that in the 21st century they have been scattered all over the world. Some of them are workers in Israel and the Middle East and some of them are students in the Western countries. In this kind of situation, the approaches to Chinese people are supposed to be various. Korean missionaries do not have to go to China, but we can impact on Chinese people in outside of China. Since Korean Protestant missions began mission in China, the Chinese Religious Policy has been continuously changing. Korean mission agency and missionary need to not only understanding the Chinese Religious Policy but also establishing new mission strategi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mission of God for China.

      • KCI등재

        금구혈(禁灸穴)에 관한 문헌적 고찰

        김광성 ( Kwang Sung Kim ),이병렬 ( Byung Ryul Lee ),임윤경 ( Yun Kyoung Yim ) 대한경락경혈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6 No.4

        Objective: To increase the safety of moxibustion by understanding moxibustion-prohibited points` distinguishing features through literary inquiry. Method: We searched for moxibustion-prohibited points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al literature. Results: 1. Upon the advancement of moxibustion technique, the numbers of moxibustion-prohibited points increased. 2. Both Foot Meridians and Hand Meridians have similar percentage of moxibustion-prohibited points. Both Yin Meridians and Yang Meridians have similar percentage of moxibustion-prohibited points. 3. The face has the highest moxibustion-prohibited points ratio. The Back has the lowest moxibustion-prohibited points ratio. 4. We research 80 moxibustion-prohibited points and find 31 moxibustion-prohibitive reasons. A key reasons is that heating effect of moxibustion damages tissues, organs and meridian functions. There are also cases where the moxibustion-prohibited points can be designated upon the patients condition. Conclusions: We could learn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moxibustion-prohibited points from this stud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reatment of moxibustion is more useful and sa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