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사랑하는(아)이 』 : 노예제도 하에서 침해당한 여성성의 회복

        정미선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1997 영미문학페미니즘 Vol.5 No.1

        일반적으로 여성성은 아내로서의 역할과 엄마로서의 역할에 의해 정의된다. 여성주의자들은 이러한 정의가 가부장제의 산물이므로 여성 자신들에 의해 다시 정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노예제도 하의 흑인 여성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흑인 노예 여성들은 아내와 엄마라는 신분이 거부되었기 때문에, 오히려 그들은 아내와 특히 엄마라는 역할과 신분을 원했고 이를 위해 고난을 겪었다. 그들은 인간으로서 평가받기보다는 그들의 노동가치와 노예를 재생산 해내는 생식력에 의해서 그들의 가치가 평가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여성성은 파괴되었다. 토너 모리슨은 『사랑하는 (아)이』(Beloved)에서 흑인 여성 인물들을 통해 노예제도 하에서 흑인여성의 여성성이 어떻게 파괴되는가를 보여줌으로써 "여성성"과 관련된 고정 관념을 해체하며, 더 나아가 세테(Sethe)를 통해 그 파괴된 여성성이 어떻게 회복되는가를 보여줌으로써 해체된 그 관념을 재구성한다. 세테는 아내와 엄마로서 상처받은 자아를 폴 디(Paul D)의 도움으로 회복하게 된다. 먼저, 엄마로서의 자아 회복을 위해서 세테는 좋은 엄마 역할을 다시 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빌러비드(Beloved) -세테가 죽인 아기의 화신이요 그 유령의 가시화- 가 세테에게 실물로 나타나게 된다. 세테는 빌러비드에게 그녀의 과거를 설명해줄 뿐 아니라 그녀에게 아낌없는 사랑을 쏟음으로써 과거에 대한 집착과 죄책감에서 벗어나게 된다. 다음으로, 아내로서의 자아 회복을 위해서 세태는 폴 디-남편의 대행자-의 사랑이 필요하다. 이 작품에서 폴 디의 역할은 중요한데, 왜냐하면 빌러비드를 현실세계로 불러내어 세테가 엄마로서 겪은 정신적 외상을 치유하도록 돕는 것도 그이며, 세테의 억압된 성적욕망을 해방시키고 궁극적으로 그녀가 자기긍정을 하게 함으로써 완전한 여성이 되도록 돕는 것도 그이기 때문이다. 한 편, 폴 디는 세테가 여성성을 회복하도록 돕는 동시에 그 자신도 남성성을 회복하게 된다. 여기서 남성성은 가부장제에서 흔히 말하는 남성우월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동반성을 의미하며, 이는 서로의 발전을 위해서 여성과 남성의 상호협조가 필요하다는 모리슨의 생각을 반영한다. 이런 모리슨의 관점은 한 편으로 여성의 남성으로부터의 독립과 여성 자신만의 성장을 강조하는 많은 여성주의자들의 견해와는 다르지만, 다른 한 편으로 남녀관계를 지배/피지배라는 관계로 보지 않는 점에서 동등관계를 추구하는 여성주의자들의 견해와 일치한다. 뿐만 아니라, 변화된 세테 -모성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 자기의 가치를 아이들 위에 두게 되고 폴 디를 다시 받아들인 세테- 의 긍정적 자아 발견의 가능성을 통해 자식들과 남편을 위해서 자신의 가치를 희생해야 하는 전통적인 여성성이 아닌 새로운 여성성을 재구성하는 모리슨에게서 우리는 그녀의 여성주의로서의 분명한 태도를 보게 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지역사회봉사학습의 질적 사례연구

        정미선,정세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1

        The modern society demands practical ability to find and solve problems in a given situation. In order to fulfill these needs, universities are offering service learning that connect communities and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process by conducting community service learning which can develop creativity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confirm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about community service learning. The CmPS was applied to service learning to develop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CmPS was applied to the “Community Service and Action” class and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nges of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researchers recorded a study diary about the situation or changes in class and analyzed the data that interviewed three times each with seven students who were qualified for the research conditions in study. This study found that community service learning could be taught by applying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develop creativity through team based learning. And community service learning helped students develop positive selfconcepts, attitude and belonging to the community. 현대사회는 주어진 상황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실천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 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대학에서는 지역사회와 교과를 연결하는 봉사학습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을 개발할 수 있는 지역사회봉사 수업을 실시하여 그 학습과정을 알아보 고, 대학생들의 지역사회봉사학습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창의적 문 제해결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CmPS를 봉사학습에 적용하였다. “지역봉사와 실천” 수업에 CmPS 를 적용하고, 교수학습과정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자가 수업시간의 상황이나 변 화에 대해 연구일지를 기록하고, 수업에 참여한 학생 중 연구조건에 적합한 학생 7명을 대상으 로 총 3회에 걸쳐 인터뷰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들의 지역사회봉사학습은 지역사 회에 창의적 문제해결의 과정을 적용하여 학습하고 교수할 수 있고, 팀 수업을 통해 창의성을 개 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지역사회봉사학습은 학생들이 지역사회에 대한 적극적인 봉사정신과 소 속감을 가지고,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정미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6 사고개발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ossible moderator variables of the pedagogy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related to creative problem solving using meta–analysis method. The relevant domestic studies that were conducted between 2003 and 2013 were analyzed. To achieve this purpose, the materials of meta-analysis for this stud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experimental studies and correlation studies. Moderation was tested with subgroup analysis and meta- ANOVA. The effect size of meta-correlation was calculated using Fisher's Z. As a result, the sub variables of creative thinking(ES=1.11) and creative personality(ES=.9) also have high effect sizes. The moderator effect is explored in terms of the duration of educational contact and the grade level of the learner groups and neither is found to have an effect. In the correlation study samples, related variables have been categorized into subgroups, namely creative thinking, 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atmosphere and creative thinking process. Of these creative thinking process shows the highest effect size. Divergent thinking, a sub variable of creative thinking process,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The implications arrived at based on these findings are that pedagogy of creative problem solving is proven to develop cognitive and emotional skills in learners. While the various moderator variables not only have to be handled in planning and instructional designs to promote creative problem solving, but also that educators must realize the profound importance of creative thinking above other means of skill building.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의 교육에 영향을 주는 조절 변인들을 확인하고, 창의적 문제해결에 관련된 변인들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있다. 2003년과 2013년 동안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들을 수집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들에서는 효과크기와 조절 변인을, 변인들의 상관을 연구한 논문에서는 상관계수 크기를 확인하였다. 조절 변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하위 그룹분석과 메타 ANOVA가 사용되었으며, 메타 상관계수 크기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Fisher's z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창의적 문제해결의 교육이 창의적 사고(ES=1.11)와 창의적 성격(ES=.9)에 미치는 효과는 모두 큰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문제해결의 조절 변인인 교육시간과 학교급에 대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창의적 문제해결에 관련된 변인군은 창의적 사고, 창의적 성격, 창의적 환경으로 분류했고, 이들 중 창의적 문제해결과 가장 높은 상관이 있는 변인군은 창의적 사고였다. 창의적 사고 변인군 중에서 창의적 문제해결과 가장 높은 상관이 있는 변인은 발산적 사고였다. 창의적 문제해결의 교육은 지적 ∙ 정의적 영역의 기능을 개발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고, 창의적 문제해결의 수업을 설계할 때는 다양한 조절 변인들이 고려되어야 하며 창의적 사고과정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함을 시사한다.

      • 학부모가 인식하는 학생생활규정에 관한 연구: 학생생활평점제 적용을 중심으로

        정미선 한국인권법학회 2014 인권이론과 실천 Vol.1 No.-

        본 연구는 학생생활규정 및 학생생활평점제에 대해 살펴보고, 학부모가 인식하는 학생생활규정의 적용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학생청소년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표본추출은 비확률표집에 의한 우발적 표집으로서 194부를 분석하였다. 설문문항은 학생생활규정종합 29문항의 6영역으로 교사지시불응, 용의복장, 수업출결, 안전생활, 정보통신, 기본품행으로 구성하였다. 학부모들의 학생생활규정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주요 질문의 내용은 학생생활평제도의 이해정도, 학생생활평제도에 대한 평가, 학생생활규정 중 수업출결 영역에 대한 평가, 자녀들의 학생생활평제도에 대한 평가와 이해정도 등이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일반현황은 빈도분석, 주요 학생생활규정 적용정도는 기술통계와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학생생활규정 주요 영역별 분석은 t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에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학부모와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학생생활규정 영역별을 보면 수업․출결, 기본품행, 교사지시불응 순으로 적용 정도가 높았다. 이는 아직도 학부모의 입장에서는 학업성취와 기본 품행에 관해서는 학생으로서의 권리를 보장하기보다 학생의 의무를 강조한다고 볼 수 있겠다. 학생들은 대체로 체벌은 어느정도 필요하면서도 효과는 별로 없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학부모나 다수의 교사는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그 필요성을 인정(김선영, 2006)하려고 한다. 학부모는 학생들에게 권리보다 의무를 기대하거나 요구하면서 학생의 인권에 대해서는 낮은 인식을 가지고 있다.

      • KCI등재후보

        2001-2012년 창의력관련 연구의 통합적 분석

        정미선,정혜인,정세영,김영채 대한사고개발학회 2013 사고개발 Vol.9 No.1

        This study has been established to review and comprehensively analyze the creativity studies with the doctoral theses performed during the years of 2001 - 2012 in Korea. The doctoral theses which used 'creativity' as topic of the study were selected to make 196 in all. Further, these 60 theses among them which had been design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creativity programs/packages were analyzed with meta-analysis statistical technique. Major conclusions drawn include: (i) creativity researches had been relatively actively performed with very diverse topics to be 3.47% of the total doctoral theses in education field. Among them, the studies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creativity education/development programs were most frequently investigated. (ii) In test/scale development studies category, creative personality tests, creativity tests in diverse curricular domains and identification tests had been targeted most. And, though very diverse tests/scales had been used in the these studies, TTCT were most frequently employed. (iii) In the correlational studies category, the most often investigated variables were creative personality and then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followed in the order. (iv) The creativity education/development programs developed had employed the theoretical rationale such as CPS or its revised version, different arts activities, media use and reading, thinking instructions and cognitive packages, and all of them were found very useful, and (v) these education/development programs were found very effective with ES = 1.08 in all.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se detailed conclusions and their implications have been discussed. 본 연구는 2001. 1 ~ 2012. 8월 사이에 출판된 국내의 박사학위 논문들 가운데 창의력(창의성)을 토픽으로 하고 있는 196편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연구들의 유형과 각 유형별 내용을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통합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이들 가운데 창의력 교육/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검증하고 있는 60편에 대하여서는 별도로 메타분석의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여 효과의 크기를 확인해 보았다. 주요한 결론들을 보면 (ⅰ) 창의력 관련의 연구들은 전체 교육계열 박사학위 논문의 3.47%로서 비교적 다양하게 그리고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리고 특히 실험/효과검증 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ⅱ) 척도개발 연구에서는 창의적 성격 검사, 교과목별 창의력 검사와 판별검사들의 개발이 많았고, 그리고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사/척도들 가운데는 TTCT 검사가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검사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였다. (ⅲ) 상관관계를 다룬 연구들은 창의적 성격들 간의 관계를 많이 다루었고 그 다음은 지능, 자기 효능감 및 교수-학습 방법 등이었고, (ⅳ) 창의력 교육/개발 프로그램들이 사용하고 있는 이론적 근거로는 CPS와 이의 수정본, 각종의 예술 활동, 매체와 독서, 사고력 수업과 기존의 인지 프로그램 페키지들이 였으며, 그리고 (V) 개발하여 검증하고 있는 이들 교육/개발 프로그램들은 ES=1.08로서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의 개발에 매우 효과적이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여러 결론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과 이에 수반하는 과제들을 같이 논의해 보았다.

      • KCI등재

        액티브 러닝 수업의 강의만족도와 강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정미선,양근우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cture satisfaction level of the courses that have been operated as active learning classe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lass satisfaction. In general, the lecture satisfaction level was relatively low when the class was operated with the active learning method rather than the traditional lecture. Active learning classes are often given many tasks and activities as well as often making the format to be burdensome for students on leading their own study. However, students agree with the fact that active learning class improved their ability on self-direction and collabor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lass satisfaction, learning attitude, collaboration ability, and self-directedness all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lass than expected before the class star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factors affecting class satisfaction was examined with SEM(structural equation model). It was found that lectur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learning attitude was better than collaboration ability or self-directednes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improving the learning attitude when running an active learning class. 본 연구는 액티브 러닝 수업으로 운영해온 교과목들의 강의만족도를 살펴보고, 수강생 대상 설문을 통해 수업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강의를 했을 때 보다 새로운 교수방법인 액티브 러닝방식으로 운영하였을 때 강의만족도는 비교적 낮게 나왔다. 그 이유는 학생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수업방법이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액티브 러닝 수업은 때로는 많은 과제와 활동이 부여되며, 스스로 학습을 주도하는 것이 부담스럽기도 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고 자기주도성이 향상되며 협업능력이 향상된 것에 학생들은 동의하는 것으로 학인되었다. 그리고 수업만족, 학습태도, 협업능력, 자기주도성 등은 수업시작하기 전 기대했던 것보다 수업이후 모두 유의미하게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수업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협업능력이나 자기주도성보다 학습태도가 좋을 떄 강의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액티브 러닝 수업을 운영함에 있어 학습태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좀 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FPSP 평가 도구의 타당성 연구

        정미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5 사고개발 Vol.11 No.4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and determine the adequacy of the FPSP(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assessment tool. The study starts with a stage by stage explanation and measurement of the assessment tool. The exposition includes a demonstration of three FPSP coaches’ evaluation of the sam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rk product. A future scenario(titled "Gene Test)' is used as a creative problem solving exercise. The next part of the study offers an evaluati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tool. The reliability is measured in terms of inter-rater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is measured in terms of CVI (Content Validity Index). The result is that all three evaluators showed a high level of inter-rater agreement. The CVI also indicated a high score. However, one evaluator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the formulations of some of the criteria included in the assessment tool. Overall, the assessment tool is found adequate in assessing creative problem solving work product. The discussion includes criteria that need to be corrected and an application of the FPSP assessment. The results imply that teachers in general may develop the creative potential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ir students by adapting this tool to a variety of content areas. 본 연구의 목적은 FPSP(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미래 문제해결 과정을 평가하고, 평가 준거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FPSP 평가의 기준을 제시하고, 그 기준에 따라 창의적 문제해결의 단계를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이고, 3명의 FPSP 전문 코치가 이들이 완성한 창의적 산출물을 단계별로 평가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토픽은 ‘유전자 검사’였다. 둘째, FPSP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채점자간 신뢰도가 사용되었고,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내용타당도(CVI)지수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3명의 채점자간 신뢰도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내용타당도 검증 과정에서 일부 평가자는 몇 개의 평가 기준이 수정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지만, CVI 지수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FPSP 평가 도구는 타당한 검사도구 라고 할 수 있다. 논의에서는 FPSP 평가에서 수정되어야 할 준거와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교과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교사가 학습자의 창의적 잠재력을 개발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과학영재교육원생의 Holland 진로 적성 변화 연구

        정미선,김원정,조운행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1 과학영재교육 Vol.3 No.1

        Students attending at the Center for Gifted Educ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have been tested twice with an interval of 9 months using a self-directed search career test developed by Holland and translated in Korean by An et. al. to understand their current career related abilities and interests. Most of the gifted students (approximately 66%) were identified as I-type(Investigative), which usually have more interests in surroundings, especially scientific matters, as well as better abilities in many aspects including science and math than normal students. Furthermore, average T score of the gifted students as a whole were not changed much in time interval. However, changes in T score of individual student have been identified, which suggest that the career guidance should be executed by individually, especially for those who have a significant changes in T scores to establish their career identities.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과학영재의 전반적인 진로 특성을 파악하고 진로지도를 위해 입 학 후와 수료 전에 각각 Holland 진로탐색검사를 2차례 실시하였다. 2차례 검사를 통해 과학영재교육 원생의 진로적성은 탐구형(I)이 약 6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자연과학 및 공학 등을 포함한 광범 위의 이학 계열로 진학 및 직업 선택의 가능성과 적응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차례의 검사를 통해 집단의 진로적성 유형과 진로적성 T 점수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개 인별로는 그 변화의 폭이 큰 것으로 파악되어, 진로지도는 집단보다는 개인별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 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영재교육원생들의 경우 광범위의 이학 계열로 진로 지도를 하는 것은 의미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