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聽覺障害兒の眼球運動にみられる文章理解の方略に關する硏究 : Analysis of Eye Movements of Children Who are Hearing-Impaired 읽기시의 안구운동 분석에 의한 검토

        鄭仁豪 한국특수아동학회 200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문장읽기시 나타나는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청각장애아동의 읽기발달경향과 문장이해를 위한 읽기방략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청각장애아동과 일반아동 4명은 연령 및 언어능력 면에서 동질집단으로 통제되었고, 읽기과제는 이야기 문과 설명문의 2종류가 제시되었으며 읽기과정은 안구운동측정기(竹井機器 Free View型 S-0163)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구체적으로는 1)문장이해력의 발달과정상에 나타나는 안구운동의 변화 2)청각장애아동의 문장이해방략 3)문장 종류의 차이에 따른 청각장애아동 읽기방략의 변환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1)문장이해력이 발달함에 따라, 주시점(fixation)과 주시시간(time of fixation)이 감소하며 이에 따라 전체 읽기시간이 줄고, 또한 읽기시의 인지범위(reading span)와 역행운동(regression)이 증가하여 전반적인 이해능력도 향상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정도의 차는 존재하나 청각장애의 유무에 관계없이 나타나는 발달경향으로 추론된다. 또한 2)청각장애아동은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 일반아동에 비해 읽기시의 인지범위(reading span)를 비교적 짧게 선택하여 자주 주시(fixation)하는 읽기방략을 활용하였다. 따라서 주시시간 및 문장 전체를 읽는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경향을 나타내며 이러한 경향은 저학년에서 특히 현저하였다. 저학년에서는 역행운동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3)문장 종류상에 나타나는 청각장애아동 읽기방략변환을 검토한 결과, 청각장애아동은 보다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이해가 필요한 문장을 읽을 때에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하며, 문장을 자주 주시(fixation)하기 위해 읽기시의 인지범위(reading span)를 비교적 짧게 선택하며 역행운동(regression)을 반복해 문장을 이해하는 과정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일반아동에게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나 청각장애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이러한 경향의 정도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문장 이해력이 뛰어난 청각장애아동은 음운(音韻)의 곤란을 극복하기 위해 읽기시를 인지범위(reading span)를 비교적 짧게 선택하여 자주 문장을 주시(fixation)하는 읽기방략을 사용하여 건청아동과 동일한 이해력을 유지하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읽기방략을 변환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developmental trends and variation of strategy in reading process when children who are hearing-impaired read narrative and explanative sentence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comparison with hearing children based on the children's eye movements while reading silently.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hildren who are congenitally hearing-impaired and 2 hearing children controlled by the similar grade and language ability with hearing-impaired children. Reading time, fixations, fixation time, regressions, reading span, and rate of recall were evaluated in order to analyze the developmental and variable strategy in reading. The children who are hearing-impaired had fewer fixations, fixation times and total reading times and had more readingspan and regressions by the grade-up. These tendencies were identified in the hearing children. Therefore, children who are hearing-impaired utilize short reading span and more fixations for the effective understanding in reading and apply different strategy according to the text contents.

      • KCI등재

        평북방언의 先語末語尾 고찰

        정인호 한국방언학회 2016 방언학 Vol.0 No.2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e-final endings of the Pyeongbuk dialect in consideration of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and to investigate closely into their morphological changes. ⒜ There are two pre-final endings with the meaning of 'recall': {-deo(더)-} and {-daet(댓)-}. Here, {-deo(더)-} and {-daet(댓)-} are thought to have the meaning of 'subjective recall' and 'objective recall', respectively. And {-daet (댓)-} originates from '-deora haet(더라 햇)-'. ⒝ There are three pre-final endings with the meaning of 'tense': {-eot (엇)-}(past), {-∅-}(present) and {-eullae(을래)-}(future). Here, the {-eot (엇)-} maintains the old word-final 's(ㅅ)'. And the {-eullae(을래)-} originates from '-eulla(<eurira) ha(을라(<으리라) 하)-'. ⒞ The {-gat(갓)-} which is the modal pre-final ending has the meaning of 'conjecture' or 'intention'. It originates from '-ge hʌyeot(게 엿)-' and is formed by resembling the confirmative pre-final ending. 본고는 문법․의미론적 특성을 고려하여 평북방언의 선어말어미를 분석해내고 이들의 형태적 변화에 대해 면밀히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 ‘회상’의 의미를 가지는 선어말어미로는 {-더-}와 {-댓-}의 두 가지가있다. 여기서 {-더-}와 {-댓-}은 각각 ‘주관적 회상’과 ‘객관적 회상’의 의미를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댓-}은 ‘-더라 햇-’에 기원을 둔다. (나) ‘시제’의 문법체계는 삼분체계를 형성하는데 이를 실현시키는 선어말어미 형태로는 ‘{-엇-}(과거), {-∅-}(현재), {-을래-}(미래)’가 있다. 여기서{-엇-}의 말음은 고형인 ‘ㅅ’을 유지한다. 그리고 ‘곧 일어날 미래’의 의미를 갖는 {-을래-}는 ‘-을라(<으리라) 하-’로부터 형성된다. (다) ‘양태’의 선어말어미 {-갓-}은 ‘추측․의도’의 의미를 가진다. 이는‘-게 엿-’의 변화형이 확인법 선어말어미 {-갓-}에 이끌려 형성된 것이다.

      • SCOPUSSCIEKCI등재

        흉추부에 생긴 척수내 기형종

        정인호,윤희중,송시헌,김윤,지제근 대한신경외과학회 1981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10 No.2

        Intramedullary spinal teratoma is extremely rare, especially in the thoracic region. This case, which we hare experienced recently, is reported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 이산 사건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위한 웹 기반의 유연한 실험틀

        정인호,최재웅,최창범 대한산업공학회 2016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4

        현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는 복잡한 사회현상에 대하여 문제를 정의하고 문제 해결책의 결과를 분석하는 과정으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활용하고 있다. 나날이 사회현상의 문제가 복잡해짐에 따라 요구되는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환경의 계산 자원의 요구사항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수용하기 위해서 클라우드 서비스 등과 같이 컴퓨팅 자원을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컴퓨팅 자원활용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웹기반 재구성이 가능한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는 어떠한 분산컴퓨팅 환경도 지원할 수 있도록 프론트엔드에서 웹을 활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의 재구성 시스템을 구축하고 벡엔드 이산사건시뮬레이션의 실행을 담당하는 이산사건시뮬레이션 실행단으로 구성된다.

      • 텍스트 흥미도에 나타나는 청각장애아동의 읽기과정의 내적변화에 관한 연구

        鄭仁豪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1995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4 No.-

        본 연구는 청각장애아동의 텍스트에 대한 흥미도의 차이에 의해 읽기과정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가를 부호화, 통사론, 의미론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MISCUE의 출현빈도는 텍스트에 대한 흥미도의 차이에 의해 출현률에 변화가 없으나 흥미도가 높은 텍스트에서는 주저가 빈번히 발생하는 경향이 시사되었다. 부호화측면에 있어서는 흥미도의 차에 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으나 통사론적 측면에 있어서는 흥미도가 높은 텍스트에서 흥미도가 낮은 텍스트 보다 문장상의 의미단서를 활용하기 용이한 상태인 것이, 또한 의미론적 측면에 있어서도 흥미도가 높은 텍스트에서 흥미도가 낮은 텍스트보다 문맥단서를 활용하기 용이한 상태인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재생에 있어서도 흥미도가 높은 텍스트의 재생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고찰하면 흥미도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읽기과정상의 변화는 의미론적 활용의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읽기과정상의 변화에 의해 재생빈도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타난다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청각장애아동은 흥미도가 높은 텍스트에서 top-down과정이 활발히 작용하여 텍스트 전체에 대한 이해도 원활하게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 치과기공소 운영자의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정인호 김천대학교 2006 김천대학교 논문집 Vol.27 No.-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job stressors of dental laboratory master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the dental laboratory masters working in Daegu and Gyeongbuk area, and data from 47 masters were utilized in the final analysi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PSS 12.0 was used.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liability of question item for and to observe a prediction possibility and the accuracy back it executed the reliability prosecuting attorney against each question item and it measured it tried. 2)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l quality of the investigation object person fre-quency analysis it executed. It observed the duty stress which it follows in. 3) General quality and a system effective sincerity difference and it executed a reporter member variate analysis. 4) General quality and the job stress and system effective sincerity and it exe-cuted a reporter interrelation analysis. 5) General quality and the job stress the system effective frost a reporter regression analysis observed the effect which goes mad and they execu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