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甲金文中的“吉休”義詞語比較研究

        徐清,鄧飛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20 한자연구 Vol.0 No.28

        The people of Shang Dynasty were superstitious, advocating ghosts and gods. They liked divination to ask the gods for anything, and used this to judge the good and bad. Therefore, ‘disaster’ and ‘auspicious’ are two very important aspects of divination. For the words about disaster in oracle-bone inscriptions, the predecessors have done more systematic studies. However, there is relatively little systematic research on words related to ‘auspicious’. So this paper focuses mainly on the words that few scholars have discussed before, and compares their glyphs, meanings, modified things and grammatical aspects between oracle-bone inscriptions and bronze ones. After the systematic comparison and analysis, it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n terms of the glyphs and meanings, the components and combinations of the words in the oracle-bone inscriptions are mostly stable, but the meaning extension method is simple and very imperfect. Second, in terms of the types of things modified, and in comparison with the category of the bronze inscriptions, that of the oracle-bone ones is more and more detailed, and at the same time, the focus of the oracle-bone ones is different from the ‘person’ to which the bronze ones pay attention as the focus of them is on the ‘event itself’. Last, in terms of grammatical functions, the words are more independent in the oracle-bone inscriptions than in the bronze ones, having the usage of single-word sentences. But they cannot be used as attributives, and the stability of grammatical functions is not as good as that in the bronze ones. Through the analyses and conclusions above, this paper shows the synchronic distribution, the diachronic develop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ds in the oracle-bone inscriptions in a comprehensive way. It also demonstrates the ideology and culture of Shang Dynasty and Zhou Dynasty, which can be summed up as ‘from the theocracy-centered to the ruled-by-men’.

      • KCI등재

        甲骨文專字現象研究

        高俊霞,鄧飛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23 한자연구 Vol.- No.37

        The so called “special characters”, is the characters that intended to represent a particular meaning. The concept of “special characters” has been developed for a long time, and as early as the Southern Tang Dynasty, Xu Kai’s (徐锴) interpretation of “lang (郎)” in the “Shuowen Jiezi Xizhuan 《( 說 文解字繫傳》)” already had the meaning of “special characters”. The Qing dynasty scholar Wang Yun (王筠) also discussed “special characters” many times. “Special characters” are exist more or less in various periods of Chinese characters, and “special characters” have appeared as early as the existence of oracle-bone inscriptions. This paper preliminarily sorts out the “special characters” in the oracle-bone inscriptions, and then groups these “special characters” and briefly sorts out the configuration of each group of characters, in order to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special characters” in the oracle-bone inscriptions. On the basis of analyzing their use in combination with the example and context, the “special characters” in the oracle-bone inscriptions are compared with the “special characters” in Dongba script, and it is found that these “special characters” hav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when used. The “special characters” in the oracle-bone inscriptions are often accompanied by partial changes in the shape structure, and the frequency of their use is unbalanced. When “special characters” are used, there is often a situation where a character represents a phrase, the use of “special characters” is often limited by superordinate level semantics and it will gradually be unified into a glyph in the later stage. Finally, combined with the produc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we find that the production of “special characters” is a natural manifestation in the process of writing developmen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text of the use of oracle-bone inscriptions and the thinking habits of primitive ancestors.

      • KCI등재

        생태복원을 위한 브라운필드 재생 디자인의 특성 연구

        등비,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급격한 경제 발전과 산업적 변화의 추세로 인해 도시의 구조가 바뀌고 있으나, 각종 자원이 적재적소에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오래된 공장 폐기 및 노후화 문제로 인해 도시가 제 기능을 못하고 있으며, 도시 재생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브라운필드 재생에서의 생태복원 이론 실행 가능성 연구, 그리고 브라운필드 재생 문제의 해결 방안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생태복원 이론을 방법론으로 하며, 브라운필드 재생 프로그램의 여러 사례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 선행연구를 통해 생태복원 및 브라운필드에 관한 개념을 분류하고 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이에 더해 이론적 고찰을 거쳐 브라운필드 재생 프로그램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이론적 조사와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특성으로 분석 모형을 제안하고, 선택한 사례를 대입하여 정성∙정량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하여 소결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 주제의 방향성과 전략을 제시하였다. (결과) 선정한 사례는 중국의 브라운필드 재생 디자인 관련 전공에서 다루는 폐기된 공장과 매립장 중 인지도가 높은 항목들을 포함했다. 종합분석 결과를 보면 생태복원을 위한 브라운필드의 재생 디자인 특성 5가지(지속 가능성, 역사문화의 중요성, 인지성, 과정성 및 생태와 사회의 안전성) 중 생태와 사회의 안전성이 가장 높았으며, 지속 가능성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다음으로는 과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으며, 역사문화의 중요성과 인지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결론) 다양한 브라운필드 재생 디자인에서 생태복원의 응용 범위가 광범위하게 활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장소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표현에는 아직 미흡한 점이 있고, 오염 처리 기술도 여전히 개선되어야 한다. 브라운필드 재생 디자인은 특정 환경 개조에서 생태 시스템의 지속 가능한 측면을 추구하는 쪽으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브라운필드 재생 디자인은 개조 대상 장소의 오염 문제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여러 방안을 참고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전략을 제시한다. 우선 특정 장소가 보유하는 자원과 지역적 역사를 결합하여, 디자인 이념과 운영 모델 측면에서 지속 가능한 개발 계획을 도입해야 한다. 다음으로는 장소의 기존 생태계를 보호하는 한편, 생태복원 시스템을 활용하여 폐기물을 충분히 분류하고 재활용해야 한다. 또한, 장소와 주변 환경의 융합을 중시하고 고립된 구조의 디자인을 피해야 한다. 공업유산을 효과적으로 복원 및 재활용함으로써 공업과 자연생태를 적절히 융합시키고, 장소의 역사문화를 전승하고 프로그램의 응집력을 증가시켜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recent years, the urban structure has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due to rapid economic expansion and industrial reconfiguration. Problems such as abandonment and aging of old factories resulted in the malfunction of a city, and a large proportion of the city area is transforming into the namely brownfield area– territories that suffer severely from pollu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feasibility of ecological restoration theory for brownfield regeneration and seek solutions to Brownfield's regeneration problems. (Methods) Based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theory, this study selected several brownfield regeneration plans as the research object. Through an exhaustive examination of extant literature, this paper classified concepts pertinent to ecological restoration and Brownfield, thereby elucidating the imperative for scholarly investigation. Subsequently, the characteristics of Brownfield's regeneration procedure were summarized. An analysis model was proposed with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oretical investigations. Moreover, qualitative & quantit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were performed by substituting selected cases to obtain the results. Finally, the conclusion, direction, and strategy of the research topic were proposed. (Results) The selected examples included well-known projects involving abandoned factories and landfills covered by a major in Brownfield's Regeneration Design in China.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mong the five regeneration design characteristics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Brownfield (sustainability, importance of historical culture, cognition, process, and stability of ecology and society), stability of ecology and society was the highest, and sustainability was also high. Secondly, the process was relatively low, and the importance and cognition of historical culture were the lowest. (Conclusions) It can be confirmed that ecological restoration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brownfield regeneration designs. However, there are still deficiencies in the description of the site's history and culture, and pollution control technology still needs to be improved in many aspects. Brownfield's regenerative design is moving from single environmental transforma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of ecosystems. Therefore, in order to deal with site pollution issues in future brownfield regeneration designs more effectively, various options need to be considered. To sum up, this article proposes the following strategies. First, it is necessary to combine the existing resources and regional history of a specific area and introduce sustainable development planning from aspects such as design concepts and operation model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existing ecosystem of the site, meanwhile combining it with the ecological restoration system. This will help people to adeptly classify and recycle site waste. In addition, encouraging the integration of the place and its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fore avoiding isolated designs is also vital. Finally, by effectively restoring and recycling industrial heritage, industry, and natural ecology should merge harmonically. The cohesion of the program could also be improved through inheriting local history and culture.

      • KCI등재

        도시 재생 프로젝트의 생태적 효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등비,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5

        (연구 배경 및 목적) 급속한 도시화와 도심의 발전은 대기 오염, 열섬 효과, 교통 혼잡 및 자원 부족과 같은 일련의 도시 생태 문제를 초래하였다. 동시에 대다수 도시 재생 프로젝트가 경제적 발전과 상업적 공간에 치중되었으며, 그에 따른 불균형한 재생 전략은 생태환경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질적 삶마저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도시 재생 프로젝트가 지역 생태에 가져다줄 수 있는 긍정적 효용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재생 프로젝트와 지역 주민 만족도의 연관성을 연구할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중국의 도시 재생 프로젝트가 창출한 이익과 도시 생태환경 평가와 관련된 문헌을 정리한다. 둘째, 주민 만족도 관련 문헌 조사를 통해 본 연구에 적합한 만족도 평가 모델(ACSI)을 제안한다. 셋째, ACSI 만족도 평가 모델에 적용하여 도시 재생 프로젝트의 생태적 이익에 대한 주민 만족도 구조 방정식(SEM)을 구축하고, 가설 및 설계 변수를 제안한다. 넷째, 세계 최대 도시 지하 복합공간 단지인 중국 시안 행복 숲 지대의 도시 재생 프로젝트를 분석 사례로 하며, 리커트(Likert scale) 5등급 척도를 사용하여 변수를 도출한다. 아울러 설문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SPSS 27을 사용하여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며, AMOS 28을 사용하여 연구모델의 적합성 및 가설을 검증한다. 최종적으로 중국 시안 행복 숲 지대 도시 재생 프로젝트의 생태적 효과를 평가한다. (결과) 가설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주민 기대는 주민 감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주민 만족도에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 감지는 주민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주민 불만에 대한 주민 만족도의 영향은 유의성 검증을 통과하지 않았다. 또한, 주민 만족도는 주민 신뢰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주민 신뢰도에 대한 주민 불만의 영향은 유의성 검증을 통과하지 않았다. (결론)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도시 재생의 생태 효과에 대한 주민 감지는 주민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주민 만족도의 향상은 주민 신뢰도를 유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 업데이트 후의 주거환경 품질에 대한 주민들의 감지 수준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개발된 지역에서 일하고 생활하려는 주민의 의향이 강할수록 타인에게 해당 지역을 추천하고 홍보하려는 의향도 높다. 이로써 지역의 지속 가능한 경제적, 사회적, 생태적 발전을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 재생 프로젝트는 생태 환경과 관련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주민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로부터 끊임없이 고품질 인구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으며, 도시를 위해 활력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Rapid urban development has led to problems, such as air pollution, heat island effects, and resource shortages. Simultaneously, mos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cused on economic development and commercial space, and the consequent unbalanced strategy worsened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generation projects and residents’ satisfaction to evaluate the positive utility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an bring to the local ecology systematically. (Method) First, through a theoretical investigation, the profits generated by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China and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ban ecological environment are summarized. Second, a satisfaction evaluation model (ACSI) suitable for this study was propos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on resident satisfaction. Third, by applying the ACSI satisfaction evaluation model, a resident satisfaction structural equation (SEM) for the ecological benefit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hypotheses and design variables were proposed. Fourth,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the Xi’an Happiness Forest Belt was used as the analysis case, and the variables were derived using a five-point Likert scale. Additionall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which were verified using SPSS 27. The research model’s suitability and hypothesis were verified using AMOS 28. Finally, the ecological effects of the Xi’an Happiness Forest Zon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China were evaluat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showed that resident expectation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sident detection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resident satisfaction. Resident dete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sident satisfaction; however, the effect of resident satisfaction on resident complaints did not pass the significance test. Moreover, resident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resident trust, but the effect of resident complaints on resident trust did not pass the significance test.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mprovement in resident satisfact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resident reliabilit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residents’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fter the city updat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stronger residents’ willingness to work and live in developed areas, the higher their willingness to recommend and promote the area to others. This could promote sustainable economic, social, and ecological development in the region. Therefo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an increase resident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by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s related to the environment. This promoted vita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ity.

      • KCI등재

        도시 재생 프로젝트의 생태 효과 평가에 관한 연구 -자료 포락 분석법(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중심으로-

        등비,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20 No.1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 재생은 20세기 후반부터 여러 국가에서 도시 발전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온 중요한 활동이다. 그러나 중국의 도시 재생 프로젝트는 실제 진행 과정에서 경제적 가치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으며, 사회적·생태적·문화적 요소 등 기타 영역의 효과를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재생 방향과 도시 발전 목표 사이의 편차를 초래하여, 도시 품질 향상뿐만 아니라 생태 환경 및 역사문화유산 보호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 재생의 생태적 측면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도시 재생 프로젝트의 생태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중국 도시 재생 프로젝트의 효과 평가 및 생태 효과 관련 이론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기존의 도시 재생 평가 시스템에 관한 문헌 연구를 수행하여 적절한 분석 방법으로 DEA(자료포락분석, Data Envelopment Analysis) 기법을 선정하였다. 셋째, DEA 분석법의 이론적 연구를 통해 DEA 분석의 단계와 데이터 분석 방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였다. 넷째, 중국 시안의 도시 재생 지구를 사례로 삼아 DEA를 활용하여 재생 프로젝트의 생태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Excel 및 DEAP 2.1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통계화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생태 효과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비효율적인 분야를 개선할 수 있는 개조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과)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A와 D 구역의 총효율성(TE), 순수 기술 효율성(PTE) 및 규모 효율성(SE) 값이 모두 1로 나타났고, 두 구역은 규모 효과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두 DMU(의사결정단위)의 투입과 산출 비율은 상대적으로 평균적인 수치를 보였다. 반면, B와 C 구역의 TE와 SE 값은 모두 1 미만으로, 규모 효과성이 감소하는 상태로 분석되었다. 추가적으로, 4개 프로젝트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를 계산한 결과, TE, PTE 및 SE의 평균값은 각각 0.962, 0.979, 0.982로 나타났으며, 표준 편차는 각각 0.0038, 0.0017, 0.0005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시안 도심 4개 구역 중 A와 D 구역만이 비교적 양호한 생태 효과를 보였으며, 재생 프로젝트의 생태적 목표를 달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B구역과 C구역은 투입 자원의 적절한 조정과 기존 자원의 효율적 활용이 필요하며,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재생 기술을 적용하여 생태적 효과성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국의 다른 도시 재생 프로젝트에도 여전히 개선해야 할 요소가 많음을 시사한다. 성공적인 도시 재생 프로젝트를 위해서는 DEA 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요 지표를 최적화하고 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또한, 불필요한 투자와 자원 낭비를 줄임으로써 도시 재생 프로젝트의 생태 효과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late 20th century, urban regeneration became an ongoing activity in the process of urban development in various countries. In the actual proces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my country often focus on the economic value of regeneration projects and neglect their effects on social, ecological, cultural, and other fields. This has led to a deviation between the direction of regeneration and the goals of urban development, which is not conducive to the improvement of urban quality or protec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the ecological benefit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regeneration ecology. (Method) First, through a theoretical investigation, the relevant theories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 effect evaluation and ecological benefits in my country were sorted and studied. Second, through a study of the relevant literature on the existing urban regeneration evaluation system, a suitable analysis method, the DEA method, was selected. Third,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on the DEA method, the steps and data analysis methods of the DEA method were understood. Fourth, considering the urban regeneration area in Xi'an, China as an example, DEA was used to analyze and study the ecological benefits of the regeneration project. Excel and DEAP2.1 were employed to count and analyze the data. Finally, the ecological benefits were evaluated, and a transformation plan for the ineffective areas was proposed. (Results) From the data analysis results, the values of TE, PTE, and SE in areas A and D are all 1, and the scale effect of areas A and D remains unchanged. The ratio of input to output of the two DMUs shows a relative average value. The TE and SE values of areas B and C were less than 1, and the scale efficiency declined. Additionally, the mean and mean-square deviations of the four project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means of the TE, PTE, and S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4 regions were 0.962, 0.979, and 0.982, respectively, and the deviations were 0.0038, 0.0017, and 0.0005, respectively. This deviation fully reflects the dispersion of the data. (Conclusion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among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four districts of Xi'an City Center, only District A and District D achieved good ecological benefits and met the ecological goals of the regeneration projects. Districts B and C need to adjust their investments appropriately, utilize existing resources, and apply regeneration technologies scientifically and rationally to improve the ecological benefits of regeneration projects. Simila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Japan have several shortcomings.

      • KCI등재

        브라운필드 재생 프로젝트를 위한 바이오필릭 디자인 (Biophilic Design)의 영향에 관한 연구 —구조 방정식 모델 (북경798 예술거리 사례분석)을 적용 중심으로—

        등비,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20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 인구가 농촌 인구를 초과함에 따라, 도시의 공기, 기후, 녹지, 생태계, 생물 종 등이 다양한 정도로 파괴되었다. 이에 따라 각 국가에서는 오염으로 인해 방치된 지역인 브라운필드를 효율적으로 재생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인간과 자연 간의 깊은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개념으로, 브라운필드 재생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브라운필드 재생에 미치는 영향과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사례로는 북경 798 예술거리를 선정하여,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브라운필드 재생 프로젝트의 생태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다양한 국가에서 브라운필드의 정의를 정리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브라운필드 재생과 관련된 개념을 정리하고 연구하였다. 셋째, 바이오필릭 디자인 관련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브라운필드의 특징과 관련 개념을 정리하였다. 넷째, SEM 모델을 바탕으로 브라운필드 재생 프로젝트에서의 바이오필릭 디자인의영향관계 연구 모형을 설정하여 가설과 설계 과정에서의 변수를 제기하였다. 다섯째, 리커트 척도(Likert scale)의 5점 척도를사용하여 분석 대상인 북경 798 예술거리 관련 변수를 설정하였다. 또한 설문조사(WJX.cn)을 통해 연구 데이터를 수집하고SPSS 27을 통해 설문지의 신뢰도와 효과를 입증하였다. 여섯째, AMOS 28을 통해 연구 모형과 가설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최종적으로 얻은 결과를 통해 북경 798 예술 거리 재생 프로그램의 생태 효익에 대한 연구와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 가설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가설은 유의성 검증을 통과했고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생태 복원, 오염 처리, 환경 개선, 기후 조절, 자원재활용, 감각적 가치, 대중의 참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유지 관리 비용과 건설 복잡성은 생태 효익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다차원적 효용과 한계를 종합적으로 규명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자연 요소 도입, 생태 모방 디자인, 상호작용 시설을 통해 생태 복원, 오염 처리, 환경 개선에 유의한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감각적 가치와 커뮤니티 결속력 증진에도 기여하였다. 반면, 높은 유지 관리 비용과 건설 복잡성은 생태 효익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모듈화 시공 기술 도입으로 공정 효율성을 개선하고, 지역 사회 참여형 유지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브라운필드 재생은 단순한 토지 재활용을 넘어 생태, 경제, 사회적 가치 통합이 핵심이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생물 다양성 증진, 기후 조절 강화, 자원 순환성 확대 등 생태적 목표와 더불어 주민 정서적 안정성 및문화적 정체성 보존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학제 협력(생태학, 도시 계획, 심리학)을 강화하고, 지역 맞춤형 평가 지표 개발을 통해 지속 가능한 도시 모델 정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educed green spaces, and biodiversity loss. Many countries are exploring brownfield regeneration strategies to address these issues. Biophilic design, which fosters a deep human-nature connection, offers a promising approach.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and relationships of biophilic design in brownfield regeneration, using Beijing’s 798 Art District as a case study to assess its ecological benefits and support sustainable urban redevelopment. (Method) A theoretical review summarized brownfield definitions across countries and refined concepts and frameworks for regeneration. Key characteristics and theories of brownfield design were identified. A research mode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developed to assess biophilic design's impact on brownfield regeneration, proposing hypotheses and key variables. The study used a five-point Likert scale, focusing on Beijing’s 798 Art District. Data were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WJX.cn) and analyzed using SPSS 27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AMOS 28 tested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Finally, the ecological benefits of the 798 Art District project were evaluated for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Results) From the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all hypotheses passed the significance test. Biophilic design demonstrate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cological restoration, pollution control, environmental improvement, climate regulation, resource recycling, perceived value, and public participation. In contrast, maintenance costs and construction complex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cological benefits. Thus, the multidimensional utility and limitations of biophilic design are fully explained. (Conclusion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biophilic design,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natural elements, biomimetic design, and interactive facilitie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cological restoration, pollution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while also enhancing sensory value and community cohesion. On the other hand, high maintenance costs and construction complexity were identified as key barriers to improving ecological benefits. In response,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modular construction techniques to enhance efficiency and establish community-based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s to promote long-term sustainability. Brownfield regeneration extends beyond mere land reuse—its core objective is the integration of ecological, economic, and social values. Biophilic design must be holistically evaluated based on its contributions to biodiversity enhancement, climate regulation, and resource circulation, as well as its role in fostering emotional stability and cultural identity among resident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strengthening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cross fields such as ecology, urban planning, and psychology, while also developing region-specific evaluation indicator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urban mod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