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평화와 혐오의 시대, 성평등한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모색

        조영주 비판사회학회 2019 경제와 사회 Vol.- No.122

        Recently, peace and conflict have become significant issue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Given thi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ole a gender perspective plays in understand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division of Korea i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founda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in Korea. Although hegemonic masculinity recently has been shaken due to many changes in Korean society, evidence indicates that these challenges have not lead to a post-division era. Instead, it has led to the rise of gender and generational social conflict. One reason for this is because the social mood in South Korea makes it difficult to question gender conflict and the division of Korea. Moreover, the aggressive use of an oversimplified and/or oppositional conception of gender as a symbol system of inter-Korea relations, suggests that the current discourse on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lacks a nuanced gender perspective. A feminist perspective is of critical importance to the Korea’s peace discourse because this is closely related to women’s labor within and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refore, I emphasize that “real”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realized through the feminist reconstruction of a peace discourse, the spread of thoughts on sympathy and coexistence, and women’s solidarity in North and South Korea. 최근 한국 사회의 주요 키워드는 평화와 혐오, 갈등이다. 남북관계를 중심으로는 평화가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고, 사회적으로는 여러 갈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젠더 이슈를 둘러싼 여러 입장들의 차이가 젠더갈등으로 프레임화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한반도 평화와 젠더갈등은 무관한가? 이 글은 현재의 젠더갈등이 한반도의 분단과 무관하지 않다는 문제의식하에, 한반도 평화 논의에 젠더 관점에서 개입해야 할 지점들을 살펴보았다. 한반도의 분단은 한국의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구성하는 데 주요한 토대가 되었는데, 최근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균열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탈분단으로 이어지기보다는 오히려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젠더갈등을 야기하고 분단을 작동하게한 여러 장치에 대한 문제 제기를 어렵게 하는 것 역시 분단 현실의 영향이기도 하다. 한편 남북관계를 표상하는 상징체계로서 젠더는 적극적으로 동원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논의되는 한반도의 평화 담론은 몰성적이다. 남성화된 군사 및 국가 중심의 평화 논의는 여성의 개입을 제약한다. 그리고 최근의 주요 평화 담론의 내용인 평화경제론은 남북한 사회 내, 남북한 사회 간 성별 격차 이슈, 여성노동권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갖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여성주의적 개입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현실에서 성평등한 한반도의 평화는 평화 담론에 대한 여성주의적 재구성, 공감과 공존에 대한 사유의 확장, 남북한 여성 연대의 도모를 통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무용수행의 심리적 요인 탐색

        조영주,이강헌,정유영 한국무용예술학회 2007 무용예술학연구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psychological factors construct that effect on dance performance for successful and peak performances.The analysis on psychological factors in dance performance was done open-ended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to 178 people majoring in dance who are at least 18 years old. Base on the res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est with 58 items was set up and was done by 880 dance major students in high schools, colleges and other institutions.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 587 cases of psychological factors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inductive categorization, 45 items were classified into specific psychological domains and those specific domains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7 general domains: concentration(48%, 143cases), self-confidence(22.99%, 135cases), tension and anxiety(20.95%, 123cases), motivation(15.50%, 91cases), regarding the performance(13.28%, 78cases), imagery(2.21%, 13cases), and so on.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repeated and some of the questions were deleted to select 26 items in the end. From the selected 26 items, imagery, concentration and self-confidence, motivation, and tense and anxiety have been abstracted as psychological factors in dance performance.This study will provide foundation to the theory of excellent preformance through psychological factors. Accordingly, for the effective perfprmance and to enhance the qualification of dancers, it is suggest that it wil be greatly helpful to be an artist who is the subject for creation and expressive behaviour.

      • KCI등재

        청소년의 대인관계 상보성 및 유사성이 친구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영주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4

        This study explored interpersonal complementarity and similarity in adolescents’ friendship and examined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lementarity and similarity on friendship satisfaction. Survey data inclu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djective Scale and Friendship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377 junior high and highschool students. Complementarity scores, similarity score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core were yielded and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Complementarity and similarity were divided into hostile and friendly ones and were calculated into level and profile on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ostile complementarity were partially supported and friendly complementarity were not supported. Second, interpersonal similarity were supported in all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ttern. Third, when the complementarity was divided by profile and level, profile hostile complementarit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riendship satisfaction. Fourth, profile hostile similarity and profile friendly similarity were associated with friend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theoretical implications, practical implications were included.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친구관계에서 자기보고 대인관계양식과 지각된 친구의 대인관계양식 간에 상보성과 유사성이 존재하는지 살펴보고, 대인관계 상보성과 유사성이 친구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377명의 중․고등학생으로부터 대인관계 형용사 척도와 친구관계만족을 포함하는 설문 자료를 수집하여, 대인관계양식 상보성 및 유사성과 관계만족 점수를 산출하고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 상보성에서 적대적 상보성은 부분적으로 나타났고 우호적 상보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대인관계 유사성은 모든 대인관계양식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보성을 형태와 수준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대인관계양식에서 형태 적대적 상보성이 클수록 친구관계 만족이 낮았다. 넷째, 형태 적대적 유사성과 형태 우호적 유사성 둘 다 친구관계 만족과 유의한 정적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였고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연구의 의의와 상담 실제에 대한 함의를 포함하였다.

      • KCI등재

        파트너에 대한 공감, 지각된 파트너의 공감과 커플 관계만족의 관계

        조영주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mpathy toward a partner and perceived empathy from a partner on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explored perceptual accuracy and bias in perceived empathy from a partner. In addition, sex differences in these relationships were explored.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01 dating and married couples, and were analyzed utilizing correlation analyses, path analyses, the Sobel 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ctor effects and partner effects of empathy toward partner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Perceptual similarity bias in perceiving empathy was also significant, as was perceptual accuracy in perceiving empathy. In regard to sex, directional bias in perceiving empathy was negatively significant for women. Finally, directional bias in perceiving empath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perceiver’s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파트너에 대한 공감 및 지각된 파트너의 공감이 커플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파트너가 제공하는 공감을 지각할 때 나타나는 지각의 정확성과 편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 관계에서 성차가 있는지 탐색하였다. 101쌍의 미혼 커플과 부부에게서 수집한 설문 자료를 상관분석, 경로분석, Sobel test 및 대응표본 t-검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파트너에 대한 공감이 높을 때 공감을 제공하는 사람과 공감을 제공받는 사람 모두 관계만족이 높았다. 둘째, 파트너에 대한 공감이 높은 사람은 높은 수준의 공감을 받는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었고(지각의 유사성 편향), 나아가서 관계만족이 높았다. 셋째, 파트너가 공감을 많이 제공할수록 공감을 제공받는 사람도 높은 수준의 공감을 지각하였고(지각의 정확성), 이를 통해서 관계만족이 높았다. 넷째, 남성이 제공했다고 보고하는 공감에 비해서 여성 파트너는 공감을 더 낮은 수준으로 지각하였고(지각의 지향성 부정편향), 남녀 모두 파트너가 공감을 제공한 것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지각할 때 관계 만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상담 실제에 대한 의의 및 제한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