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전기 도감제(都監制)의 연원과 성립

        羅榮勳 ( Na Young-hun ) 한국중세사학회 2016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47

        Dogam(都監) was offices that had the “Install If there is work, and abolition to When you have finished work” temporary natur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Dogam(都監), with an emphasis on understanding the luck camp and the structure of the system, features and personality of the system itself, such as phase. Thus, the system is why was created, how study of the receptor has been one of the background of the system established and the process was not quite so. As a result, it was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and origin of Dogam(都監). Dogam(都監) such as this to Goryeo in the era central political institutions Dobyungmasa(都兵馬使) and Sikmokdogam(式目都監) as a Korea-specific own system, have been described and occupies a special position. I guess the origin of the Dogam(都監) intended to try to explain this fact more clearly. I was able to find the institutional progenitor of ‘Dogam(都監)’ in the Dogam(都 監) of China Tangmal(唐末) era. However, this time, the Chinese Dogam(都監) had a system that has a different personality to clear the Dogam(都監) of Korea. The author Dogam(都監) of Goryeo and its management function, does not deny that from a structural aspect, it was the Dogam(都監) and other unique system of China.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bout what was a unique system of Goryeo not any influence also received the external, such as the Tang(唐) and Song(宋), was not clear. Goryeo of the Dogam(都監) is not developed its own Korea, after the priority accommodate the Chinese Dogam(都監), would be reasonable to see that it has transformed.

      • KCI등재

        조선 후기 의과 입격자의 친족 네트워크와 결속

        羅榮勳 ( Na Young-hu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0 No.-

        본 논문은 1623년(인조 1)부터 1870년까지 의과에 입격한 1,100명을 대상으로 ‘친족 네트워크’를 파악하고 그들의 결속 배경을 살폈다. 특히, ‘통혼 네트워크’에 집중하여 의과 입격자의 가계를 중심으로 결속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동성 부계 친족’의 강한 결속을 지닌 것은 물론, ‘통혼 관계’에서도 광범위하게 영향을 주고받았다. 1,100명 가운데 886명, 80.5%가 의과입격자간의 통혼 관계로 결속되어 있었다. 의과 입격자 177개 가계 가운데 156개 가계는 서로 어떤 방식으로든 통혼 관계로 얽혀 있었다. 의과 입격자가 이처럼 강력한 결속을 했었던 배경에는 왕실에서 신뢰할 수 있는 의원집단의 필요에 의한 것이었다. 이들은 대대로 ‘世醫’로 결속하여 왕실의 필요에 부응하였다. This paper identified the 'Kinship network' of 1,100 people who entered the Uikwa(醫科)-Examination from 1623 to 1870 and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ir solidarity. In particular, the association of the Passers of the Uikwa-Examination(醫科入格者) was confirmed by focusing on 'marriage relationship'. They were strongly united as 'an agnate' and 'marriage relations' were widely influenced. Of the 1,100, 886 were bound by a common marriage between the Passers of the Uikwa-Examination. Of the 177 families who entered the Uikwa-Examination, 156 were intertwined with each other in some way. The background of such a strong alliance between the Passers of the Uikwa-Examination was due to the need for a reliable group of doctors in the royal family. They were united for generations to meet the needs of the royal family.

      • KCI등재

        16세기말 영남 관료 李庭檜의 인적 교류와 同官契의 실제

        羅榮勳 ( Na Young-hu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18 No.-

        본 논문은 이정회의 인간관계를 친족, 동향, 동학, 동관으로 분류하고 특히 ‘동관’의 인적 교류 양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영남이라는 ‘동향’, 퇴계와 학봉이라는 ‘동학’을 중심으로 인간관계를 맺고 있던 이정회에게 이를 제외한 인맥은 자연히 ‘동관’을 중심으로 파생될 수밖에 없었다. 이정회는 통례원 겸인의 시절과 사헌부 감찰 시절에는 계회도를 남겨서 이 두 시기 동관의 인연을 별도로 추적할 수 있다. 이정회는 통례원 겸인의 당시 1586년과 1589년 두 차례 계회도를 남겼다. 『송간일기』의 기록을 토대로 교유양상을 분석한 결과 이정회는 통례원 ‘동관’들과 활발한 사적 모임을 가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기존 계회도 연구에서 지적되었듯이 ‘同官契’가 결속과 친목의 장치로서 실질적으로 기능했음을 알려주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반면, 이정회는 사헌부 재직 기간에도 동일하게 두 차례의 계회도를 남겼다. 그러나 『송간일기』를 분석하면 이들 상호간의 결속을 의심할 수밖에 없다. 이정회는 동관인 사헌부 감찰 24명과, 6개월의 기간 동안 사적인 모임을 거의 하지 않았다. 사적인 모임은커녕 상호간에 서로 만나서 대화하는 기록조차 거의 없다. 이는 앞선 통례원 관원들의 상호간 교류에서 보인 모습과 판이하게 다른 점이다. 그렇다고 이 시기 일기의 기록이 소홀한 것도 아니다. 이정회는 이 기간 친족, 동향, 동학들을 꾸준히 만났다. 심지어, 이 기간 사헌부 감찰 동관보다 직전 동료인 통례원 관원들을 더 자주 만났다. 이런 점은 이정회의 사헌부 결속과 연대는 매우 낮았던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품기에 충분하다. 즉, 동일한 ‘同官契會’라 하더라도 개인의 참여의사나 혹은 관서의 성격에 따라 계회의 결속 정도에 확연한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다. 즉, ‘동관계회’가 존재했다는 사실만 가지고 그들이 당연히 결속했거나 친목을 다졌다고 전제하는 것은 무리이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와 같이 향후의 ‘동관계회’ 분석에는 각 개별 계회도와 관원들의 실제 모임을 세밀히 파악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classified Lee Jeong-hoe(李庭檜)’s human relationship into kindreds(親族), landsman(同鄕), classmate(同學) and colleague(同官), and in particular examined the aspect of human exchange in ‘colleague’. Lee Jeong-hoe had a human relationship centered on the “landsman,” of Yeongnam and the “classmate” of Toegye(退溪) and Hakbong(鶴峯). Except for this, personal connections were united around ‘the same official’. Lee Jeong-hoe can trace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colleagues during these two periods by leaving a painting of scholar-officials’ gathering(契會圖) during the days of the Tongnyewon(通禮院) and the Saheonbu(司憲府). It can be seen that Lee Jeong-hoe had an active private meeting with his colleagues at the time of the Tongnyewon(通禮院). This can be the basis for informing that the scholar-officials’ gathering has actually functioned as a device for solidarity and friendship, as pointed out in the study. On the other hand, Lee Jung-hoe rarely held private meetings with his colleagues during his tenure at the Saheonbu(司憲府). There are few records of meeting and talking to each other, let alone private gatherings. This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what was seen in the mutual exchange of the officials of the Tongnyewon(通禮院). Even if it is the same ‘scholar-officials’ gathering’, there is no choice but to show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olidarity between colleagu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intention to participate or the nature of the government office. In other words, it is unreasonable to assume that they have naturally united or strengthened friendship only with the fact that the ‘scholar-officials’ gathering’ existed. In the future, when analyzing the ‘scholar-officials’ gathering’, it is necessary to closely grasp each a painting of scholar-officials’ gathering and the actual meeting of officials before reaching a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