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환자와 구순구개열환자의 두부방사선계측치의 비교

        백형선,유형석,전재민,Baik Hyoung-Seon,Yu Hyung-Seog,Jeon Jai-min 대한구순구개열학회 2003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Vol.6 No.2

        A cephalometric study was performed to reveal differences betwee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and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The material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6 males (mean age 19.8, range 17-29) and 9 females(mean age 19.4, range 16-27) with cleft lip and palate, and 222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males 106, females 116), Cephalometric tracing and measurements were done by one investigator. Results were followed: 1. Cleft lip and palate group had more retrusive maxilla than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2, Cleft lip and palate group had smaller effective maxillary and mandibular length tha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more prominent in the mandible than in the maxilla. 3. Dental compensation was not observed in the upper incisors of cleft lip and palate group and in the lower incisors it was smaller than skeletal Class III group. 4, In the Gonial angle and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valu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eft lip and palate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These results can be used in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and orthognathic surgery for the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Ⅲ급 부정교합에서 두개안면 형태와 지문의 유전성향 분석

        오태경(Tae-Kyung Oh),백형선(Hyung-Seon Baik) 대한치과교정학회 200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4 No.4

        성장기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시 다양한 악안면 성장은 치료성패의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안면성장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Ⅲ급 부정교합을 보이는 아동에서 성장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들 중의 하나로 두부방사선 계측사진 분석을 통해 유전적 요소의 관련여부를 알아보고자 50가족에서 부모자식간의 악안면 형태의 상관관계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자식과 부모간의 지문의 형태적 연관성을 조사하고 부모자식간의 악안면 형태와 지문의 형태적 연관성과의 유전적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모자식간의 악안면 형태에서 치성관계보다는 악골관계에서 더 유전성향이 높았으며 아버지가 어머니에 비해 자식의 악골관계에 더 영향을 주었다. 2. 자식의 지문 형태는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와의 연관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3. 부모와 자식간의 지문과 악안면 형태에서 유전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5-0.01), 딸보다는 아들에게서 연관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In growing patients with Class Ⅲ malocclusion, the various patterns of maxillofacial growth are a key element that affects the success or failure of treat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rrectly predict maxillofacial growth before initiating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xillofacial morphology of parents and their Class Ⅲ children by analyzing lateral cephalograms and hereditary factors. Among Class Ⅲ preadolescent children, 50 families were obtained. To find out the specific hereditary factors involved, fingerprints were obtained and genetic correlation with the maxillofacial morphology was analyz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1. A significant correlation (P<0.05-0.001) was found in many of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between the offspring and their parents. The correlation in the skeleton measurements was higher than in the denture measurements. The father-offspring correlation was higher than the mother-offspring correlation 2. A significant correlation (P<0.05-0.001) was found in fingerprint units between the offspring and their parents. The mother-offspring correlation was higher than the father-offspring correlation. 3. Between the maxillofacial morphology and fingerprint units, there was significant genetic correlation (P<0.05-0.01). Based on the analysis of genetic correlation, higher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parent-son pairing than the parent-daughter pairing.

      • KCI등재

        양악성전돌증의 전방부 분절골 절단술시 악간 고정을 제거한 고정장치의 치험례

        박광호(Kwang Ho Park),김형곤(Hyung Gon Kim),백형선(Hyung Seon Baik)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1987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9 No.1

        This is a case report of bimaxillary dentoalveolar protrusion corrected by anterior segmental osteotomies and post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The summary and results are as fallows; 1. Anterior segmental osteotomies after extraction of first premolars were performed to the bimaxillary dentoalveolar protrusion. maxilla; Wunderer`s technique mandible; Kole`s technique 2. Repositioned anterior segments were immobilized by acrylic resin splints with changed and fixation for 6 weeks without intermaxillary fixation, 3. The step fusion and interocclusal gaps between anterior and posterior segments were corrected by post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s for 5 months. 4. One year follow-up evaluation were performed, esthetic and functional results are good without relapes.

      • KCI등재

        브라켓의 접착 전후 입술 주위 연조직의 3차원적 변화

        이원제(Won-Je Lee),이기준(Kee-Joon Lee),유형석(Hyung-Seog Yu),백형선(Hyoung-Seon Baik) 대한치과교정학회 201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1 No.6

        브라켓의 접착에 의한 입술 주위 연조직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심한 골격적 부조화가 존재하지 않는 18세 이상, 29세 미만의 성인 환자 중 포괄적 교정 치료를 위하여 상, 하악 치아의 순측에 브라켓을 접착한 45명을 대상으로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브라켓의 접착 직전과 직후의 3차원 입체 영상을 획득하였다. 브라켓의 접착 전후 입술 및 입술 주위 연조직의 변화를 3차원 좌표계 상에서 분석하였다. 3차원 변화량(distance: 동일 계측점 간의 변화에 대한 최단 거리)에서 유의성을 보인 모든 계측점에서 전방 변화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측면 계측점들은 측방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상순의 계측점들은 상방으로, 하순의 계측점들과 B"는 하방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하순의 Li (labrale inferius)에서 1.39 mm로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고 (p < 0.01), Li Rt (labrale inferius right), Li Lt (labrale inferius left)에서 1.15 mm, 1.09 mm의 변화가 나타났다 (p < 0.01). 상순의 양측 ULP (upper lip point), Ls (labrale superius), Ls Rt (labrale superius right), Ls Lt (labrale superius left)에서 0.81 mm, 0.85 mm, 0.82 mm, 0.97 mm, 0.92 mm의 변화를 보여 (p < 0.01), 하순에 비하여 상순의 변화가 작게 나타났다. 양측 Ch(cheilion)과 Stm (stomion)에서 1.17 mm, 1.16 mm, 1.02 mm (p < 0.01), Sn (subnasale)와 B" (soft tissue B point)에서 0.46 mm, 0.63 mm (p < 0.01, p < 0.05)의 변화가 나타났다. 브라켓의 종류에 따른 연조직 변화량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성인 교정 환자에서 브라켓의 접착에 의한 입술 및 입술 주위 연조직 변화의 예측에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대치교정지 2011;41(6):411-422)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ip and perioral soft tissue changes after bracket bonding. Methods: The soft tissue changes in 45 adult patients (age greater than 18 years and less than 29 years) without severe skeletal discrepancy were evaluated using three-dimensional images acquired with a laser scanner before and after bracket bonding was performed using 4 types of labial orthodontic brackets. Results: Among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distance observed for the landmarks, the biggest change was observed in forward movement. The landmarks on the lateral sides also showed significant changes. While the landmarks on the upper lip showed significant upward movement, those on the lower lip showed significant downward movement. However, the changes were smaller for the landmarks on the upper lip (average, 0.87 mm) than for the landmarks on the lower lip (average, 1.21 mm). The type of bracket use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oft tissue changes. Conclusions: These findings will help predict soft tissue changes after bracket bonding for orthodontic treatment. (Korean J Orthod 2011;41(6):411-422)

      • SCOPUSSCIEKCI등재

        제I급 부정교합 환자의 발치와 비발치 교정치료 전,후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비교 연구

        유형석,백형선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5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교정과와 영동 세브란스 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하여 최근에 교정치료가 끝난 제 I급 부정교합 환자중 소구치를 발치하고 치료한 발치군과 비발치로 치료한 비발치 치료군 71명을 선정하고 다시 연령에 따라 청소년기와 성인으로 분류하여 교정치료 전후의 두부방사선 계측분석 사진을 통하여 치아와 연조직의 수평·수직적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SN-MP angle, E-line에 대한 산순의 이동, 상악 제1대구치의 수직이동량, 하악 제1대구치의 수평이동량 등의 항목을 제외한 모든 치아계측항목과 연조직 계측항목에서 유의차을 나타내었다. 2. 청소년기의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상하악 전치의 경사도와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전치부 수평변화 항목, 상악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 E-line에 대한 상,하순의 위치변화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3. 성인에서의 발치와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상하악 전치의 경사도와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수평적 위치변화와, 상악 제1대구치의 수직고경 및 하악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 E-line과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상,하순의 위치 변화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4. 청소년기와 성인 모두에서 SN-MP angle의 변화는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71 Class I malocclusion sample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premolar-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Vertical and horizontal cephalometric evaluations on dental and soft tissue measurements were done before and after treatment. Also, treatment results in adolescent patients and adult patients were compar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In comparison of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all the dental and soft tissue measurements, with exception of SN-MP angle, upper lip to E-line, vertical movement of upper first molar, and horizontal movement of lower first mola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2. In comparison of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of adolescent sampl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upper and lower incisor inclinations, horizontal dental movements from vertical reference line, positional changes in upper and lower lips, and mesial movements of upper first molar. 3. In comparison of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of adult sampl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upper and lower incisor inclinations, horizontal dental movements from vertical reference line, positional changes in upper and lower incisor inclinations, horizontal dental movements from vertical reference line, positional changes in upper and lower incisor inclinations, horizontal dental movements from vertical reference line, positional changes in upper and lower lips, and mesial movement of lower first molar. 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N-MP angle between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of both adolescent and adult samples.

      • SCOPUSSCIEKCI등재

        한국인 정상 교합자의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안모비율에 관한 연구

        유형석,이기주,백형선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4

        두개 악안면 기형환자의 종합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입체적인 평가와 진단이 중요하다. 그러나 흔히 전후방적인 골결평가에는 많은 분석방법을 시행하고 있으나, 안모 비대칭과 상 하악골 횡적인 부조화의 진단을 위해 필요한 횡적평가방법은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횡적인 부조화의 적절한 진단과 치료는 안정된 기능교합의 형성에 있어서 전후방 또는 수직적인 부조화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장기간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상하악의 횡적인 부조화에 따른 연조직의 변화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시진을 통한 임상적 방법으로는 간과되기 쉬우며 더욱이 특정적인 안모소견을 보이는 전후방 또는 수직적인 부조화와 동반된 경우에는 감별되기 어렵다. 그로 인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정상 안모에 관한 정모두부 방사선 계측학적 안모 비율의 평가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1996학년도 연세대학교 신입생중에서 협조 가능한 정상 안모와 거의 정상교합을 갖은 남녀 76명을 선정하여 안모 비대칭과 횡적인 부조화가 있는 악안면 기형 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에 도움을 주는 자료를 얻고자 정모 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을 이용하여 수평 및 수직 계측항목과 그 비율을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모의 수평 및 수직적인 계측항목과 그 비율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2. 정모의 폭경에 대한 고경의 비율은 0.837(남자:0.836, 여자:841)이었다. 3. 상악골과 하악골간의 폭경비율은 0.747(남자:0.745, 여자:0.752)이며,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4. 두개 안면부 폭경들간에는 서로 연관성이 나타났다.(두개 폭경, 관골전두봉합폭경, 안면폭경, 상악폭경, 하악폭경, 상악과 하악 구치부폭경) 5. 정모의 폭경이 증가할수록 안모고경과 다른 길이 계측치도 연관되어 증가하였지만 각도 계측값(Bjork의 합, 하악평면각)의 감소와, 후전 안면고경 비율증가로 인하여, Brachycephalic facial type의 안모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악안면 기형 환자의 교정치료 및 악교정 수술치료의 계획에 기준치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For the total treatment of skeletal malocclusions, 3-dimensional evaluation and diagnosis are essential. Although anteroposterior discrepancies can be evaluated through various methods, the satisfactory methods for evaluations of facial asymmetry and transverse discrepancies are yet to be found. The adequat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ransverse discrepancies may be more important in the maintenance of functional occlusion as well as for the stability of results obtained from othognathic surgery than the anteroposterior or vertical discrepancies. Since the soft tissue effects from the transverse discreapnies may not be pronounced, expecially when combined with anteroposterior or vertical discrepancies which have prominent characteristics, the differentiation of their effects may be the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as a reference for the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The present study evaluates 76 subjects from Yonsei University freshman with normal facial symmetry and occlusion.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were taken from the subjects and the normal values and facial proportions are obta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ransverse and vertical values from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and their ratio, with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re calculated. 2. The ratio of vertical values to transverse values i 0.837(male 0.745, female 0.841). 3. The proportion of maxillary and mandibular widths is 0.747(male 0.745, female 0.752),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4. Various degree of significant correlations are observed in the following craniofacial width;(Cranial width, Bizygomaticofrontal suture width, Facial width, Maxillary width, Upper&Lower Intermolar width, Mandibular width). 5. Although the facial height as well as other line measurements increase as the facial widths increase, angle measurement(Bjork, Sum, Mandibular Plane Angle, Gonial Angle), decreases and posterior to anterior facial height ratio increases, therefore indicating the tendency for a brachycephalic facial type. These results may be used as references for the treatment planning in orthognathic and othodontic treatments for the dentofacial deformity patients.

      • SCOPUSSCIEKCI등재

        청소년기 정상교합자의 전치부 피개도에 관한 연구

        박인권,유영규,백형선 대한치과교정학회 1983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an value of overbite and overjet, and to find the correlation among overbite, overjet and relative maxillofacial structures using the data from orthodontic casts and cephalometric films of boys and girls aged from 9 to 18 years with normal occlusion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Incisal overbite depth was decreased from Group Ⅰ to Group Ⅲ. 2. The highest value of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incisal overbite was 0.368 of incisal angle in Group Ⅲ. 3. Overje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ge and sex. 4. Ratio of mesiodistal diameters of upper and lower incisors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verbite and overjet.

      • KCI등재

        3차원 전산화 단층 사진을 이용한 안면비대칭 환자의 악교정 수술 전, 후 교근 분석

        서승아,백형선,황충주,유형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masseter muscle (MM) between the shifted and non-shifted sides in facial asymmetry patients, and the changes shown by MM after mandibular surgery. Methods: Pre- and post-operative CT scans were performed on 12 Class III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who were treated by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and 10 subjects with normal occlusion. Using the V-works 4.0 program (Cybermed, Seoul, Korea), 3-dimensional images of the mandible, and MM were reconstructed, and evaluated. Results: In the asymmetry group, the MM angle between the shifted and non-shifted sides was only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Compared with normal occlusion, the asymmetry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smaller volume and maximum cross-sectional area in both sides of MM (p < 0.05). After mandibular surgery, the angle of MM (p < 0.01) and differences in angle between the shifted and non-shifted sides of MM (p < 0.05)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hickness in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1). After surgery, MM in facial asymmetry patients was similarly changed to those in the normal occlusion group except for widths. Conclusions: MM in facial asymmetry was definitely different from those in normal occlusion.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at MM changed symmetrically in conjunction with the mandible after proper mandibular surgery. 안면비대칭 환자에서 하악 우각부위의 연조직 형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근의 성상에 대한 평가는 경조직의 분석과 더불어 중요하다. 교근은 수술로 인한 하악의 후방이동 시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구조 중 하나이며, 수술 후 교근의 상태는 환자의 저작력과 하악 우각부 외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을 가진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편위, 비편위측 교근의 형태학적 차이와 하악골 후퇴술 이후 양측 교근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안면비대칭의 개선 전, 후 교근을 정상교합자와 비교하여 비대칭의 수술이 교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면비대칭으로 진단된 환자 12명의 양악수술 전후의 3차원 CT 영상과 정상교합자 10명의 3차원 CT 영상에서 하악골과 교근을 계측,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칭군에서 교근의 편위, 비편위측 모두 정상교합군에 비해 부피가 작고, 최대 단면적 부위가 좁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편위, 비편위측의 교근의 주행각도 차이와 최대단 면적 부위에서의 두께 차이가 정상 교합군보다 크게 나타났다. 양악 수술 전, 후에 교근의 주행각도는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편위, 비편위측 각도의 차이도 감소하였으며, 최대 단면적 부위에서의 교근의 두께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비대칭 수술 후 좌우 교근은 너비를 제외하고는 정상 교합자와 유의차 없게 변화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안면비대칭 환자는 교근의 성상이 분명히 정상 교합자와는 다르지만, 적절한 수술 후에 경조직뿐만 아니라 교근도 정상범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3차원 CT 영상을 이용한 정상교합자의 안면 연조직 계측 분석

        유형석,한수연,백형선,김기덕 대한치과교정학회 발행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6

        최근 들어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CT, Computed Tomography) 영상을 이용한 진단기법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여러 분야에서 3차원적인 두개악안면 분석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교정 치료나 악교정 수술 후의 결과에 있어서 안면 연조직의 분석은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교합을 가진 성인 남자 12명, 성인 여자 11명의 CT 영상을 촬영하여 개인용 컴퓨터 상에서 V works 4.0 프로그램 (Cybermed Inc., Seoul, Korea)으로 3차원 CT 연조직 영상을 재구성한 후에 soft tissue Nasion을 기준 원점으로 하는 3차원 좌표평면의 좌표계를 설정하여 정중선상의 soft tissue Nasion, Pronasale, Subnasale, Upper lip center, Lower lip center, soft tissue B, soft tissue Pogonion, soft tissue Menton 등 8개의 계측점과 양측성인 Endocanthion, Alare lateralis, Cheilion, soft tissue Gonion, Tragus, Zygomatic point 등 총 20개의 재현 가능한 안면 연조직의 계측점을 지정하였으며 V surgery 프로그램(Cybermed Inc., Seoul, Korea)을 이용하여 이들 계측점의 3차원적인 좌표와 기준 원점으로부터 각 계측점까지의 Net (δ=√ (X^(2)+Y^(2)+z^(2)))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안면 연조직 분석의 3차원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주요 계측점 간의 거리 계측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 Na'-Sn과 En(Rt)-En(Lt)를 제외한 대부분의 계측값에서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2차원적인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이나 안면 사진으로는 정확한 계측이 어려웠던 Na'-Zy, Na'-Ch, Na'-Go' (facial depth) 등의 정상치도 구하였다. 이상의 자료는 부정교합 환자와 악안면 기형 환자의 3차원적인 진단 및 치료 계획에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Studies for diagnostic analysis using three-dimensional (3D) CT images are recently in progress and needs for 3D craniofacial analysis are increasing in the fields of orthodontlcs. It is especially essential to analyze the facial soft tissue afte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gnathic surgery. In this study 3D CT images of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were taken to analyze. the facial soft tissue. Norms were obtained from CT images of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12males, 11 females) using a computer program named V works 4.0 program. 3D coordinate planes were established using soft tissue Nasion as the reference point and a total of 20 reproducible landmarks of facial soft tissue were obtained using the multiple reconstructive sectional images (axial, sagittal and coronal images) of the V works 4.0 program: soft tissue Nasion, Pronasale, Subnasale, Upper lip center, Lower lip center, soft tissue B, soft tissue Pogonion, soft tissue Menton, Endocanthion (Rt/Lt), Alare lateralis (Rt/Lt), Cheilion (Rt/Lt), soft tissue Gonion (Rt/Lt), Tragus (Rt/Lt), and Zygomatic point (Rt/Lt).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landmarks and measuring method, the 3D CT images of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were measured and the normal positional measurements and their Net (δ=√ (X^(2)+Y^(2)+z^(2))) values were obtained using V surgery program. In the linear measurement between landmark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except Na'-Sn and En(Rt)-En(Lt). The normal ranges of Na'-Zy, Na'-Ch and Na'-Go' (facial depth) were obtained. which was difficult to measure by two-dimensional (2D) cephalometric analysis and facial photographs. These data may be used as references for 3D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for patients with malocclusion and dentofacial deform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