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방학지』 200집 기념 대담 <동방학, 국학, 동아시아론: 동방학을 다시 기록하다> - 백영서, 도현철, 한기형

        김성보,영서,도현철,한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200 No.-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이 간행하는 종합 인문 학술지 『동방학지』가 200집 발간을 기념하게 되었다. 전쟁의 상흔이 채 가시지 않은 1954년도에 첫 1집이 나온 이래 온갖 풍상을 겪으면서도 한 번도 중단되지 않고 68년을 이어온 결과이다. 일제강점기 조선학의 전통이 없었다면, 분단과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동방학연구소를 창립하여 인문학의 밭을 일구어낸 선학의 선견지명이 없었다면, 그리고 글 한 편 한 편을 소중히 여기는 편집진과 필자들의 인문 정신이 아니었다 영글 수 없는 수확이다. 창업보다 수성이 어렵다고 한다. 수많은 학술지가 쏟아져 나오고 논문 편 수를 연구자 평가의 기준으로 삼는 학문 시장 속에서 과연 『동방학지』는 무엇에 의미를 부여하며 어디로 항해를 떠나야 할까? 국학연구원은 그 답을 찾기 위해 <동방학, 국학, 동아시아론: 동방학을 다시 기록하다>라는 제목의 대담을 마련하였다. ‘동방학’은 창립 당시의 연구소 이름이자 학술지 이름이다. ‘국학’은 이 연구소가 1977년도에 기구 확장을 하면서 붙인 새 이름이다. 그리고 ‘동아시아’는 국학연구원이 “21세기 실학으로서의 사회인문학”을 탐구하면서 화두로 삼았던 공간 개념이다. 이 세 단어는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있다. 그 연관성을 살피다 보면 한국인들의 전통적인 공간 감각과 정체성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근대 국민국가의 세계 속에서 계승·전환하는지, 그리고 다시 국가의 경계를 넘어 어떻게 동아시아로 인식과 정체성이 확대되어 왔는지 파악할 수 있겠다. 대담의 주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제 1부에는 한국발 동방학 연구의 연원과 지향점을 살펴본다. 그리고 제 2부에는 활기찼던 동아시아 담론이 남긴 성과와 한계를 진단하면서 그 논의가 어떻게 다시 새롭게 생명력을 얻을 수 있을지 진단한다. 제 1부에서 도현철은 주로 동방학연구소 창립 이래 국학연구원의 역사를 짚어보면서 동방학에 담겨진 의미를 짚어준다. ‘동방’은 중국의 동쪽인 한반도를 가리키면서 동시에 서방과 대비되는 중층적 개념이라는 지적이 흥미롭다. 백영서는 평소 지론대로 ‘동방’을 고정된 지리적 개념이 아닌 실천적 과제에 따라 계속 재규정되는 개념이라면서 ‘동방’의 의미를 더욱 풍성히 해준다. 한기형은 대동, 동양, 동아시아 등 동방과 유사한 용어들을 비교해주면서 오늘날 동아시아 담론이 오랜 한국의 전통과 현대적 전환 속에 나온 것임을 확인해준다. 대담은 학문 제도 속에서 국학과 동아시아학이 어떤 긴장 관계에 있었는지로 논의가 확대된다. 제 2부에서 백영서는 동아시아 담론이 단지 일시적 유행이 아니라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시작되어 일제강점기와 냉전기에 복류하다가 1990년대 탈냉전기에 지상으로 다시 ‘귀환’한 것으로 파악하면서, 이제 다시 글로컬한 차원에서 이 담론이 재구성될 필요성을 제시한다. 한기형은 한국의 동아시아 담론이 국경을 넘는 공감을 얻지 못해왔음을 뼈아프게 지적하면서 그 한계의 극복이 중요함을 지적한다. 동아시아 연구의 향후 진로에 대해서 도현철은 역사 연구가 동아시아를 넘어 유라시아적인 관점으로 확장되고 있는 예를 들면서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학문 연구의 문제의식과 연구내용이 계속 변화할 것임을 진단해준다. 이 외에도 다양하고 풍성한 논의가 대담 내내 이어진다. 200집이 나오기까지 『동방학지』에 실린 많은 글에는 하 ...

      • KCI등재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아동기 부․모의 돌봄과 과보호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자기존중감과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 효과

        한기 한국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6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psychological pathways in which parental care and overprotection in childhood predict adulthood depression through self-esteem and dysfunctional beliefs. A total of 381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biological parents are in marri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responded to four scales to measure parental bonding, self-esteem, dysfunctional attitudes, and dep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al lack of care predicted depression through low self-esteem and dysfunctional beliefs, while parental overprotection predicted low self-esteem and depression through dysfunctional belief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emale students who experienced emotional neglect in childhood show more low self-esteem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which in turn lead to depression. Besides, those who experienced overprotective control that limits a sense of independence and autonomy show more dysfunctional beliefs, which in turn predicts low self-esteem and depression. Clin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with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본 연구는 아동기에 경험한 부모의 정서적 돌봄과 과보호적 통제가 자기존중감과 역기능적인 신념을 통해 우울증에 미치는 심리적 경로를 애착이론에 근거하여 조사하였다. 친부모가 초혼으로 혼인 관계를 지속 중인 여대생 381명을 대상으로 아동기의 부모애착, 자존감, 역기능적 태도, 우울증상을 측정하는 4개의 척도들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 및 모의 정서적 돌봄은 각각 자기존중감과 역기능적 신념을 통해 우울증을 예측하는 반면, 부 및 모의 과보호적 통제는 역기능적 신념을 통해 자존감과 우울증을 각각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기에 부모로부터 방임과 거절을 많이 경험한 여자대학생일수록 자신의 존재 가치를 낮게 지각하고 타인의 인정을 받기위해서는 완벽해야 한다는 역기능적 신념을 많이 지님을 나타내는데, 우울증은 이러한 낮은 자존감과 역기능 신념과 관계 깊다는 것이다. 또한, 아동기에 부모로부터 독립심과 자율성을 제한하는 과보호적 통제를 많이 경험할수록 역기능적 완벽주의 신념을 더 갖게 되는데 낮은 자존감과 우울증은 이러한 역기능적 신념과 관련됨을 나타낸다. 본 연구결과의 상담적, 교육적 의의가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과제들과 함께 제시되었다.

      • 공장폐수 처리능력평가를 위한 IAWQ MODEL의 적용

        한기 서라벌대학 1995 논문집 Vol.9 No.-

        Mathmatical models have been developed to understand and optimize the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In this reserch, SSSP(Simulation of Single Sludge Process) program, based on IAWQ Model NO.1, was used to evaluate treating capacity of a petrochemic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biokinetic and stoichiometric coefficients were calibrated and verified and then the treatment capacity was estimated Sensitivity analysis showed that the effluent COD concentration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parameters such as μ_H, K_s, and K_dH and MLVSS was affected by Y_H and K_dH while other parameters hardly had any effect. The calculated kinetic and stoichiometric coefficients were μ·sc5-25/H 9day_1,K_S·-COD 80㎎/ℓ, K_d 0.133 and Y_H 0.515 gCOD/gCOD. However verification resulted relative error of 30%∼40% which was maybe due to different operating condition in 1991 and 1992. As a result of estimation of treating capacity It would be allowed 2.73㎏/㎥day as opmtimum volumatric loading rate based on effluent COD of 100㎎l. This means that the present treating capacity can be increased up to 95% at least.

      • KCI등재

        아동기의 부모 과보호와 대학생 우울의 관계: 성인애착의 매개 효과

        한기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psychological pathways in which childhood parent overprotection predicts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nxious and avoidant adult attachment patterns. A total of 589 under- graduate students, whose biological parents are in marri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of data analysi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anxious and avoidant adult attachment pattern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parental overprotection and adulthood depression. Specifically, these results indicated first that college students who were more overprotected by parents in childhood are likely to suffer from more symptoms of depression. Second, students who were more overprotected in childhood showed more anxious and avoidant attachment patterns in adulthood; that is, tending to be either overly preoccupied with or compulsively self-reliant in relationship due to fear for rejection and abandonment. Third, students who have anxious or avoidant attachment patterns a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de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great deal of depressive symptoms of college students are related not only to lack of autonomy and independence for parental overprotection but also to over dependence on others or compulsive self-relianc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followed by clinical and educational suggestions of the findings. 본 연구는 아동기에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과보호적 통제가 불안 및 회피 성인애착을 통해 대학생 시기의 우울을 예측하는 심리적 경로를 조사하였다. 친부모가 혼인관계를 지속 중인 대학생 589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구조방정식을 사용해 분석한 결과, 불안 및 회피 성인애착은 아동기 부모의 과보호적 통제와 대학생 시기의 우울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아동기에 부모와의 관계에서 과보호적 통제를 많이 경험한 대학생일수록 일상생활에서 우울을 더 많이 보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에 부모로부터 과보호적 통제를 많이 경험했을수록 불안과 회피 성인애착을 보였는데 거절과 버려짐에 대한 두려움으로 긴밀한 대인관계에 지나치게 집착하거나 친밀한 관계형성을 회피하고 지나치게 자기의존적인 행동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셋째, 이러한 불안 또는 회피 애착방식을 많이 보이는 대학생일수록 우울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학생 시기에 경험하는 우울증상의 상당 부분은 아동기에 부모의 과보호적 통제로 인해 자율성과 독립성을 발달시키지 못한 경험과 함께 지나치게 타인 의존적이거나 자기의존적인 대인관계 방식과 관련됨을 나타낸다. 본 연구 결과들의 다양한 상담적, 교육적 의의와 함께 본 연구의 주요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들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아동기 부․모애착과 우울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성인애착의 매개 효과

        한기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sychological paths in which perceived childhood emotional bonding with both mother and father predict depressive mood through images of self and adult attachment patterns for college students. A total of 589 undergraduat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across nation, whose biological parents are still in marri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self-esteem and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bonding with both parents and depressive mood,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 who received more sensitive and adequate care and love from both parents are likely to have more positive mental representations of self and more secure adult attachment patterns, which in turn likely contribute to more symptoms of depression for college students. Particularly noteworthy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paternal bonding in childhood can affect self-esteem and secure adult attachment patterns not only in association with maternal bonding but also by itself. Furthermore, fathers make an impact on cognitive,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not only by direct interactions with them but also through indirect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spouses. Wives who feel loved and cared by their husbands are more likely to dedicate themselves to their children’s growth.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followed by a variety of clinical and educational suggestions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아동기에 부 및 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정서적 유대감이 자기에 대한 표상과 친밀한 대인관계에 대한 표상을 통해 대학생 시기의 우울증상에 미치는 심리적 경로를 애착이론에 근거하여 조사하였는데, 생부모가 혼인관계를 지속하고 있는 전국 4개 도시에 거주하는 대학생 58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자기존중감과 불안 및 회피 성인애착은 각각 부 및 모와의 정서적 유대감과 우울증상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기에 부모 양쪽으로부터 섬세하고 따뜻한 보살핌과 사랑을 깊이 체험할수록 자신의 존재 의미와 가치를 더 높게 평가하고 정서적으로 더 안정되고 친밀한 대인관계 표상을 형성하게 됨을 나타내는데, 대학생 시기에 경험하는 우울은 이러한 자기 및 친밀한 대인관계에 대한 정신적 표상들이 부정적이거나 역기능적일 때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들 중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아동기에 부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정서적 유대는 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정서적 유대와 상호보완적이면서도 독립적으로 자기 가치감과 안정되고 친밀한 대인관계 표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으로, 부는 자녀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자녀의 인지․사회․정서 발달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배우자와의 관계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침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의 다양한 상담적, 교육적 의의와 활용 방안들이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들과 함께 논의되었다.

      • 부산교대 재학생의 심리특성 조사연구

        한기 釜山敎育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95 學生指導硏究 Vol.16 No.-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survey the psychological problems and trends of whole students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help them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and family lives well. The subjects consist of 1342 students, male 256(19.1%) and female 1085(80.8%).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the school life, the home and daily lives, personal viewpiont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tersexual relatins, and inter-analyses among fa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in their school and department lives,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their career decisions, school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Second, in their home and daily lives,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different opinions among their families and their career decisions, school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ird, concerned with their personal viewpiont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tudents wanted to have happy families and 24.7% of them did not satisfy themselves, 30.1% not express themselves, 18.2% not satisfy the relations with their schoolfellows, 14.6% frequently felt loneliness, 6.2% anger, and 2.7% felt impulses to commit suicide. Forth, in their intersexual relations, 34.6% had their other sex friends, 49.2% thought never to have sex with their other sex friends before marriage, 6.1% responded to have sex with someone. Then 26.2% were administered and counseled once or twice in the student guidance center. Last, in inter-analyses among factors, there were a little high relations between loneliness and impulse of committing sucide, impulse of committing sucide and self satisfacti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department life satisfaction, self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self satisfaction and schoolfellow relation satisfaction, self satisfaction and loneliness, and loneliness and anger in the level of P<.001.

      • KCI등재

        Adult Attachment and Mental Representation of Self : Mediators of Childhood Trauma and Depression in Adulthood

        한기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pathways in which childhood trauma predict depression in adulthood through adult attachment patterns and mental representation of self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total of 399 college students in the southwest United Sta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anxious and avoidant attachment patterns and images of self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and neglect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llege students who were more abused and neglected by parental figures in childhood are more likely to show anxious and avoidant attachment patterns and poor images of self. Furthermore, symptoms of depression reported in college years are related directly to insecure attachment patterns and negative self-images rather than childhood abuse and neglect itself.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clinical and educational sugges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