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경준(申景濬)의 『장자(莊子)』 독법(讀法)과 『시칙(詩則)』에 담긴 시의식

        신익철 ( Shin Ik-cheol ) 반교어문학회 2016 泮橋語文硏究 Vol.0 No.43

        신경준(申景濬)은 해박한 학문 세계와 함께 일정한 사승 관계가 없이 자득(自得)을 중시했으며, 이단에 관용적이며 기술과 실용을 중시하는 면모를 지닌 점에서 18세기 사상사에서 매우 독특한 위치를 점하는 인물이다. 그의 학문은 소북(小北)의 가학 전통에서 서울 학풍을 소화하여 17세기 이후 북인 계열이 주도해 왔던 박학 풍조, 삼교회통(三敎會通)적인 사상의 맥을 계승한 점이 주목된바 있다. 이 글은 < 서장자제물론후(書莊子齊物論後) >와 『시칙(詩則)』의 분석을 통해 신경준 학문관의 독특한 면모를 구체적으로 해명해보고자 한 것이다. 신경준은 제자백가의 사상은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여 나름의 학설을 이룬 것이기에, 폭넓게 수용해서 자신의 식견을 풍부히 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여겼다. 이러한 그의 학문관은 『장자·제물론』에 대한 독후감인 < 서장자제물론후(書莊子齊物論後) >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신경준은 「제물론」에 등장하는 주요 용어에 부호를 사용하여 구분하며 텍스트를 분석적으로 고찰하여, 천(天)·심(心)·이명(以明)·인시(因是)를 자안(字眼)으로 삼아 핵심 논지를 파악하였다. 신경준은 장자가 천(天)과 심(心), 곧 하늘과 인간의 관계를 설정함에 있어서나, 이명(以明, 올바르게 인식함)에 있어서는 유가의 인식 체계와 다르지 않다고 하면서 긍정적으로 수용하였다. 신경준은 장자의 오류를 인시(因是, 이치에 따라 행동함)의 인(因)에서 찾았는데, 사회적 실천을 방기하는 태도가 여기에서 연유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는 신경준의 장자 비판의 핵심이 장자의 인식론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실천의 문제에 있음을 말해준다. 장자가 지닌 인식과 실천의 괴리는 천하사를 자신의 직무로 삼는다는 그의 실학적 학문관에 정면으로 배치되기에 신경준은 이를 통렬히 비판했다. 「시칙』은 체(體)·의(意)·성(聲)의 3요소를 시의 본질로 파악하고 성율을 중시한 시학서인데, 이는 양재(楊載)의 『시법원류(詩法原流)』와 윤춘년(尹春年)의 성률학(聲律學)을 수용한 것이다. 『시칙』에서 신경준의 창견은 시를 인용하면서 자신의 시론을 개진한 부분에 있는데, 인용시에 악부와 고체시가 대다수를 차지하여 주목된다. 신경준은 이백(李白)의 악부시를 대거 인용하며 옛 풍미(風味)를 깊이 깨우쳤다고 하였는데, 이는 그가 시학에서 중시한 고조(古調)와 상통한다. 신경준이 시학에서 강조한 고조는 ``조선의 풍속과 정조를 전통적 가락으로 구현``하고자 한 것으로, 이는 국토에 대한 애정과 강한 민족의식을 지닌 그의 학문관에 부합되는 시의식이다. Shin Kyung-Jun(申景濬) had focused on self-satisfaction in terms of knowledge or studies, without relations between master and pupil. He is very worthy of notice in 18 centuries, because he was tolerate foreign studies and also consider technology and practical use to be the important thing. His study is from the tradition of home-studying of So-Buk(西北) which was a political faction at that time. He succeeded wide knowledge and Sam-Kyo-Heo-Tong(三敎會通) that was the theory of combination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This article shows that the characters of Shin Kyung-Jun in studies from the Seo-Jang-Ja-Je-Mul-Lon-Hu(「書莊子齊物論後」) and Shi-Chick(『詩則』) Shin Kyung-Jun regarded Je-Ja-Baek-Ga(諸子百家) that was the theory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China as important learning, because it contains the changing times in his thought. It shows in Seo-Jang-Ja-Je-Mul-Lon-Hu that was his book report about Jang-Ja(『莊子』) and Je-Mul-Lon(「齊物論」). He focused on a few words such as ``sky``, ``heart``, ``Lee-Myung(以明)``, ``In-Si(因是)`` which is epistemology, and ``enlightenment``, these words makes him understand the theories. He agreed the relation between sky and heart those are nature and human being, and Lee-Myung as well. He found the error in Jang-Ja, it was ``In-Si`` which is reasonable actions, because he thought that ignore the practice of social things. He strongly criticized Jang-Ja in this sense, because it is against on his practical belief on studies. Shi-Chick was the book of poetic studying that emphasis on writing, mind, and sound. It is influenced by Si-Bup-Yeon-Ry((詩法原流)) > of Yang-Jae(楊載) and Seong-Rule-Hak(聲律學, Study of Rhythm) of Yun Chun-Yeon(尹春年). In Shi-Chick, Shin Kyung-Jun`s one of the fundamental founding was using the poem to support his work, and these are mostly Ak-Bu poems(樂府詩) that are related with music, and Go-Che poems(古體詩) that is free form style in poem. He was using Lee-Baek(李白)`s Go-Che poems largely, and then he realized the beauty of classic in there. This has a lot of meaning in terms of old tune that he stressed on his book. What he was emphasizing is that old tune stands for the custom of Joseon, and it shows that his study is correspond to the love of country and strong national spirit.

      • KCI등재

        조선 후기 연행사의 盤山유람과 원굉도의 「遊盤山記」

        신익철 ( Ik Cheol Shi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4 한문교육논집 Vol.42 No.-

        북경 부근 계州에 위치한 盤山은 韓愈의 「送李愿歸盤谷序」의 배경이 되는 산이며, 袁宏道는 이곳을 유람하고 유람기를 지은바 있다. 연행록 중 반산 관련 기록은 18세기 이후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데, 그 계기는 원굉도의 「遊盤山記」에 대한 독서 체험에서 비롯되었다. 17세기 후반 원굉도 문학의 수용과 더불어 「유반산기」가 널리 알려지면서 반산이 주목받는 공간이 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 글은 조선 후기 연행사의 반산 유람 양상을 원굉도 유기의 영향과 관련하여 살펴본 것이다. 조선 후기의 연행록 중 반산 관련 기록은 18세기 이후 16종의 연행록에서 확인된다. 이 중 주목되는 것은 李器之의 『一庵燕紀』(1720년), 李海應의 『계山紀程』(1804년), 洪敬謨의 『冠巖存藁』(1834)이다. 이기지의 반산 유람기는 원굉도의 「유반산기」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는바. 원굉도의 기문을 8차에 걸쳐 인용하면서 반산의 勝景을 처음으로 상세하게 묘사하였다. 이기지의 반산 유람기는 후대 연행사에게 지속적으로 참조되며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이며, 이해응의『계山紀程』에서 이 점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洪敬謨의 반산 유람기는 반산의 지리적 특성과 자신의 유람 체험을 2편에 걸쳐 나누어 서술한 것이다. 홍경모의 반산유람기는 원굉도 유기의 영향에서 벗어나 다양한 서적을 참조해 반산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고자 한 점이 특징적이다. Bansan Mouatain(盤山) which is in Gae-ju(계州) near Beijing is known as Han Yu(韓愈)`s Song-e won-ki bangok-seo(送李愿歸盤谷序), Won Gang-do(袁宏道) also traveled here and wrote the travel literature. In the y eonhaengrok(Korean travel literature to Qing China), the record about Bansan Mountain intensively appears after eighteen century. That is why the reading experience of Won Gang-do`s Yubansangi(遊盤山記). It means that Won Gang-do`s literature had accepted in the seventeen century and also Yubansangi became generally known. Accordingly, Bansan Mountain was starting to the place of spotlight. This report is about the aspect of travel at Bansan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in connection with the effect of Won Gang-do`s literature. The record about Joseon Korean envoys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in relation to Bansan is in six teen parts of yeonhaengrok after eight teen century. There are some notable record is that Yi Gi-ji`s Iram yeon-gi(一 庵燕紀, 1720), Lee hae-eung`s Gaesan gi-jeong(계山紀程, 1804), Hong kyung-mo`s Gwanam Jon-go(冠巖存藁, 1834). Yi Gi-ji`s Bansan travel literature is most affected by Won Gang-do`s Yubansangi. He firstly described the scenery of Bansan in exact detail by citing Yi Gi-ji`s Bansan travel notes. Yi Gi-ji`s Bansan travel literature has great effect on Joseon Korean envoys continuously. It can be identified on Lee hae-eung`s Gaesan gi-jeong(1804). Meanwhile, Hong kyung-mo`s travel literatue of Bansan give a geographical characteristic and his experience during travel over two parts of Bansan travel notes. Its characteristic is that he was trying to examine Bansan objectively by referring variety of books and get out of Won Gang-do`s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김창업(金昌業)·리기지(李器之)의 중국 문인 교유 양상과 특징

        申翼澈 ( Shin Ik-cheol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6 No.-

        이 글은 金昌業의 『燕行日記』와 李器之의 『一庵燕記』를 대상으로 18세기 전반 한중 문인의 교유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두 사람의 연행록은 이 시기의 연행록 중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중국 문인과의 교유 기사 또한 상당히 풍부한 편이어서, 18세기 전반 한중 문인의 교유의 양상을 고찰함에 있어 적절한 텍스트로 생각된다. 김창업이 교류한 중국 문인으로는 馬維屛·李元英·趙華·楊澄 등이 있다. 馬維屛은 화훼에 관심이 많던 김창업에게 水仙花를 선물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김창업은 북경 시장에서 수선화를 구입하여 귀국하였다. 이는 조선 후기 조선 땅에 들어온 최초의것으로 여겨지며, 이후 수선화는 선비들의 각별한 애호를 받아 수선화를 노래한 시가성행하게 된다. 李元英·趙華·楊澄과 김창업은 시문으로 교류하였는데, 이 중 양징과 가장 깊이 있게 사귀었다. 양징은 자신의 문집을 김창업에게 보내 서문을 부탁하였으며, 김창업은 형제들의 시를 모은 『金氏聯芳集』의 평과 서문을 요청하였다. 이를 통해 김창업 형제의 시가 중국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기지가 교류한 중국 문인으로는 陳法·趙華·楊澄 등이 있다. 陳法은 북경으로 가면서 지나는 노정마다 사귈만한 중국 문인을 수소문하여 얻은 새로운 인물이고, 조화와 양징은 김창업을 통해 이미 알고 있었던 인물들이다. 이기지는 진법과 다양한 주제로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었으며, 이를 통해 간행된 지 얼마 안 된 『杜詩詳註』를 구입할 수 있었다. 아울러 진법에게 『挹翠軒集』을 보내주며 詩學에 대해 깊이 있는 토론을 나누었다. 이기지는 양징에게 『本草綱目』에 실린 도상을 채색 세밀화로 그릴만한 화가를 추천받고자 노력하였다. 이기지가 『본초강목』의 채색 세밀화를 그려가고자 애쓴 것은 각종 동식물을 사실적이며 다각적으로 세밀하게 묘사하고 장기와 골절까지 그려놓은 서양화집의 영향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이기지가 사물을 자세히 관찰하여 그 이치를 철저하게 탐구하는 서양의 학문 자세를 긍정적으로 수용하였음을 말해준다. This article is based on Yeonhangilgi(燕行日記) and Ilamyeongi(一庵燕記) of Kim chang-up(金昌業) and Lee gi-ji(李器之), which looked at the aspects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literati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chronicle of the two is the most outstanding of the series of the period, and the articles of their association with Chinese literati are also quite abundant, which is thought to be the appropriate text in examining the aspects of the Korean-Chinese literary circle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Among the Chinese literati who Kim Chang-up interacted are Lee Won Yeong(李元英), Jo Hwa(趙華), Yang Jing(楊澄) and Ma Yu Beong(馬維屛). Kim Chang-up, who was very interested in flowers, was given a gift, and Kim Chang-up bought daffodils(水仙花) at the Beijing market and returned home. This is believed to be the first time to enter the daffodi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fter that, the daffodils will be given special favor by scholars and the poetry of singing daffodils will prevail. Lee Won Yeong(李元英), Jo Hwa(趙華), Yang Jing(楊澄) and Kim Chang-up exchanged poems, and Kim Chang-up had the most in-depth relationship with Yang Jing. Yang Jing sent his collection of works to Kim Chang-up to ask for a preface, and Kim Chang-up asked for the review and preface of Kimssiyeonbangjip(金氏聯芳集) that is a collection of poems by his brothers. This made the poetry of the Kim Chang-up brothers widely known in China. Among the Chinese literati, Lee gi-ji exchanged are Jin Bub(陳法), Jo Hwa(趙華), Yang Jing(楊澄). Lee Ki-ji made a new friend with Jin Bub on the way to Beijing, while Jo Hwa and Yang Jing are figures he had already known through Kim Chang-up. Lee Ki-ji had in-depth conversations about the truth and various topics with Jin Bub that enabled him to purchase a new edition of Dusisangju(杜詩詳註) published shortly. He also sent a Epchiheonjip(挹翠軒集) to Jin Bub and had a deep discussion about the poetics(詩學). Lee Kee-ji tried to get Yang Jing's recommendation for an artist who could paint the drawings in Bonchogangmok(本草綱目). Lee Ki-ji's efforts to draw detailed painting appear could be due to the influence of Western paintings depicting various animals and plants in realistic and diverse detail, as well as organs and fractures. This indicates that Lee Ki-ji positively embraced the Western academic attitude of observing things closely and thoroughly.

      • KCI등재

        18세기 연행사와 서양 선교사의 만남

        신익철 ( Ik Cheol Shin ) 한국한문학회 201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1

        연행록에 보이는 북경 천주당 방문 기사는 조선 후기 지식인의 西學에 대한 인식을 해명함에 있어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그 동안 관련 연구가 있어 왔지만, 대상 자료가 제한적이어서 중요한 내용이 누락된 것이 많았다. 이 글은 새로 발굴한 천주당 방문 기사의 소개를 겸해 18세기 연행록에 보이는 연행사와 서양 선교사의 교류 양상을 전반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18세기 연행록 중 1720년에 연행한 이기지의 「일암연기」, 1727년에 연행한 강호부의 「상봉록」, 1729년에 연행한 김순협의 「연행일록」, 1755년에 연행한 정광충의 「연행일록」, 1761년에 연행한 이의봉의 「북원록」, 1765년에 연행한 홍대용의 「을병연행록」이 비교적 풍부한 천주당 방문 기록을 남기고 있다. 1790년에 연행한 서호수는 「열하기유」에서 마테오리치의 묘소를 찾은 기록을 남기고 있는데, 여기에는 서학 수용과 관련해 주목되는 내용이 담겨 있다. 18세기 연행록을 전반과 후반으로 나누어 천주당 방문 양상을 개략적으로 살펴본바, 연행사 중 서양인 선교사와 심도 있게 교류한 인물로는 이기지와 이의봉이 주목된다. 이기지는 노론, 이의봉은 소론에 속하여 당색의 차이는 있으나, 두 사람 모두 실용적 지식을 중시하는 가문에 속한 인물이다. 실용을 중시하는 실학적 가풍에서 생장한 이들에게 천주당 방문과 서양 선교사와의 대화는 강렬한 지적 호기심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는 「일암연기」와 「북원록」에 상세히 실려 있다. 두 사람의 연행록에서 우리는 조선 후기의 지식인이 전혀 이질적인 문명을 접하는 데서 오는 충격과 경이로움, 그리고 이를 소화해내기 위한 갈등 등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한편 서학에 대한 이해가 남달랐던 홍대용과 서호수의 경우는 서양 선교사와의 만남이 이기지나 이의봉에 비해 한층 원숙하면서도 대등한 모습을 띠고 있다. 연행사와 서양인 선교사의 만남이 갖는 의미를 객관적으로 깊이 있게 고찰하기 위해서는 연행록과 함께 서양 선교사가 남긴 관련 기록을 함께 고찰할 필요가 있다. 향후 학제간 연구를 통해 이 분야에 대한 본격적인 해명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In the eighteenth century, a number of Joseon Korean envoys visited Catholic churches in Beijing and recorded such experiences in their yeonhaengrok (Korean travel literature to Qing China), which are invaluable sources for us to examine Korean intellectuals` understanding of Western Learn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ough study on the topic of Koreans` encounter with Western missionaries has been advanced by modern scholars to a great extent, the precedent scholarship left out some significant records owing to the limitations of their examined materials. In his paper, I presents newly discovered records of Koreans visiting Catholic churches in Beijing and provides an account of general pattern of interaction between Korean envoys and Western missionaries as described in yeonhaengrok of the eighteenth century. We can see relatively detailed reports of Koreans visiting Catholic churches in Beijing in such yeonhaengrok as Yi Gi-ji`s Iram yeon-gi (1720), Gang Ho-bu`s Sangbong rok (1727), Kim Sun-hyoep`s Yeonhang irok (1729), Jeong Gwang-chung`s Yeonhang irok (1755), Yi Ui-bong`s Bukwon rok (1761), and Hong Dae-yong`s Eulbyeong yeonhangrok (1765). As late as in Seo Ho-su`s Yeorha giyu (1790), we can see the report of his visiting Matteo Ricci`s tomb and his noteworthy discussion on Joseon Korea`s reception of Western Learning. In my discussion, I will show some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visitors to Catholic churches and their meeting with Western missionaries in diving the eighteenth century yeonhangrok into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And I examine as a case study Iram yeon-gi (1720) specifically by offering detailed tables of important cultural matters, which contains the richest account of Western civilization and culture of the eighteenth century yeonhaengrok. Because Yi Gi-ji and Yi Ui-bong were two of the most enthusiastic Koreans for interacting with Western missionaries in the eighteenth century, I put their records in my focus. Though Yi Gi-ji and Yi Ui-bong came from different political factions, they had shared interests in Practical Learning. For this reason, they must have showed strong intellectual curiosity for Western things and thereby visited Catholic churches and had conversations with Western missionaries there. From their records of yeonhaengrok, we can see vividly what impacts or wonders the new foreign civilization did bring out to Joseon Korean intellectuals, and how they responded to and handled such cultural confrontations. At any rate, we should remember that Hong Dae-yong and Seo Ho-su exhibited more matured understaning of that foreign civilization and assumed a more informed and confident attitude in their conversation with Western missionaries than other Koreans, obviusly thanks to their broad knowledge of Western Learning. To have a balanced view of inter-cultural interaction between Korean envoys and Western missionaries, we need to examine not just Korean yeonhaengrok but also those accounts written by Western missionaries. I look forward to enriching our understanding of such inter-cultural issues by facilitat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 KCI등재

        기획주제: 중세의 동물에 대한 인식과 문학적 형상(2) : 연행록에 보이는 동물 기사의 유형과 특징

        신익철 ( Ik-cheol Shin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2

        연행은 사대부 문인이 조선이라는 좁은 울타리를 벗어나 세계와 소통하는 창구였는바, 연행록에 보이는 동물 관련 기록을 통해서도 이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연행사는 북경에서 코끼리와 낙타를 실제로 목도하면서 당시 세계의 중심에서 만날 수있는 奇觀으로 여겼으며, 천주당에서 접한 서양 동물을 통해 중국 중심의 지리관에서 벗어나 세계 인식을 확장하며 중세적 지리관에서 탈피할 수 있었다. 아울러 원숭이나 개 등의 동물 곡예를 館所에서 관람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당시 조선에서는 접할 수 없었던 연희의 하나였다. 연행사는 연행 중에 실제로 목격한 동물의 모습과 성질 외에 각종 문헌을 참조해 자신의 연행록 속에 해당 동물의 성질과 원산지, 관련 이야기 등을 상세히 담고자 하였다. 이는 연행을 할 수 없었던 저자 주변의 독자들에게 자신의 세계 체험을 가능한 한 상세히 제공하려는 저술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와 함께 천주당에서 접한 서양 동물에 대한 기사에서는 연행사가 중국 중심의 중세적 지리관에서 벗어나 근대적 세계 인식과 조우하는 현장을 생생하게 살필 수 있다. 1720년에 연행한 李器之는 서양의 동식물도감을 빌려보며 그 과학성에 감탄하고 있으며 1760년에 연행한 李義鳳은 『職方外記』를 초록하여 오대양 육대주의 여러 나라를 소개하면서 각 나라의 동물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들이 남긴 서양 동물 기사는 중국 중심의 중세적 지리관에서 탈피하여 근대적 세계지리를 전파하려는 의도가 개재되어 있는것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Yeon-Hang is a kind of bridge to communicate with world beyond Joseon Dynasty, and we can also check this through the record of animals. Yeon-Hang-Sa regards camel and elephant as a inordinary sightseeing which is in Catholic Church in Beijing, and it makes them learn global perspective in terms of geographic: they could break from medieval geographic perspective. Also, they could see the animal circus with dogs and monkeys in Gwan-So which is their accommodation, and this kind of party was not in Joseon Dynasty at that time. Yeon-Hang-Sa tried to record what they saw during trip: they wrote not only the appearance but also the character, origin, and relative stories of specific animal using many literature. They would like to give the world experience to people who had not experienced in that journey. And we can check that they encountered global-modern recognition getting out medieval geographic recognition which is Chinese center perspective in the article of animals in Catholic Church. In 1720, Lee Ki-Ji admired the scientific character of an illustrated animal-plant book during his journey, and Lee Wi-Bong introduced specific animals of countries through <Jik-Bang-Uae-Gi> in 1760. We need to focus that they tried to spread global-modern geographic perspective breaking from Chinese center perspective through these articles of animals.

      • KCI등재

        조선시대 매화시(梅花詩)의 전개와 특징

        신익철 ( Ik Cheol Shin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6

        매화는 추운 겨울을 견디며 꽃망울을 터트리는 생태적 특성이 성리학적 사유와 결합하여 ‘생생지리(生生之理)’를 가장 잘 구현한 식물로 인식되었다. 조선시대에 매화는 사대부로부터 이처럼 각별한 의미를 부여받으며 지속적으로 시창작의 소재가 되어 왔다. 이 글은 조선시대의 매화시 창작을 전기ㆍ중기ㆍ후기의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본 것이다. 조선 전기 매화시를 많이 남긴 작가로는 서거정(徐居正)ㆍ김시습(金時習)ㆍ김안로(金安老)가 주목된다. 이 중 김시습의 매화시에는 세속과 타협하기를 거부하며 고독하게 자아를 지키고자 한 方外人의 모습이 투영되어 있으며, 김안로의 매화시는 유희적 성격을 지닌것이 특징적이다. 조선 중기에는 이황(李滉) 및 그 제자들의 매화시와 김수증(金壽增)ㆍ金昌協ㆍ김창흡(金昌翕) 안동(安東) 일문(一門)의 매화시 창작이 주목된다. 심학(心學)을 깊이 있게 탐구하며 인간 내면의 수양을 강조한 이황은 많은 매화시를 남기고, 제자들과도 즐겨 매화시를 화답했다. 이황은 매화와 묻고 답하는 형식의 매화문답시(梅花問答詩)를 창안했는데, 내면의 청진(淸眞)을 되새기며 출처의 의리를 자문자답 하는 내용의 매화문답시는 후대 문인들에게 널리 계승되었다. 김수증ㆍ김창협ㆍ김창흡은 살벌한 정쟁에 심각한 회의를 느끼고 진은(眞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많은 매화시를 창작하였다. 이들의 매화시에는 소옹(邵雍)의 상수학(象數學)적 영향이 두드러져 보인다. 조선후기 18세기 중후반에는 시사(詩社) 집단의 매화시 창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빙등조빈연(?燈照賓筵)’이라 이름 붙인 노론 계열 문사들의 매화시, 경화세족과 서얼 시인이 함께 한 매사(梅社) 동인의 매화시, 그리고 이덕무(李德懋) 일파의 납매시(蠟梅詩) 창작 등은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경향이었다. 19세기에는 신위(申緯), 정학연(丁學淵), 조병현(趙秉鉉), 이학규(李學逵) 등이 각기 수십 수에 달하는 많은 매화시를 남겼다. 이중 신위와 정학연은 축윤명(祝允明)의 「매화백영(梅花百詠)」을 수용하여 수십 수에 달하는 매화연작시를 짓고 있음이 특징적인 현상이다. 조선시대의 매화시를 관통하는 가장 강력한 의미는 『주역』과 관련한 역리(易理) 상징으로 여겨진다. 조선의 사대부가 지속적으로 매화시를 창작한 저변에는 동지를 맞이해 일양(一陽)이 처음 싹트는 부괘(復卦)를 떠올리며 거기에서 생생지리(生生之理)를 사유하며 천도의 어김없는 순환을 체인하는 성리학적 사유가 그 저변에 깔려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plum blossom is regarded as the tree embodying most fully the principle of continuously giving life in the Neo-Confucian tradition, because it begins to flower in the cold winter. For this symbolic signification, the plum blossom became one of the most beloved subjects of Neo-Confucian literati`s poetry in Joseon Korea. In this paper, I divide the history of plum blossom poetry in Joseon Korea into three time periods and discuss some representative poets and their salient features in each period. In the early period, Seo Geo-jeong, Kim Si-seup and Kim An-ro produced notable poems on the subject of plum blossom. The image of an outsider rejecting the hoi polloi and leading a cloistered life was expressed in Kim`s Si-seup`s and playfulness was fully exploited in Kim An-ro`s. In the middle period, Yi Hwang, his disciples, and an Andong Kim family (Su-jeung, Chang-hyeop, and Chang-heup) are noteworthy. Yi Hwang, who studied deeply the learning of mind-and-heart and emphasized the self-cultivation of inner life, not just composed many poems on the plum blossom but also enjoyed poem giving-and-taking with his disciples. In fact, Yi invented a new style of ``plum-blossom conversation poetry`` by composing a poem repeating a pattern of poet`s questioning and replying to his imagined interlocutor plum blossom: about the meaning of pureness and truthfulness and the principles of advancing toward/retreating away from government service. This style attracted many readers and influenced several later poets, to a great extent. Kim Su-jeung, Chang-hyeop, and Chang-heup felt doubts seriously about the political life and factional strives of Joseon court and searched for ways of becoming the true hermit. In so doing, they composed many poems on the plum, where we can see some influences of Shao Yong`s numerological cosmology. In the late period, we can see developments of poetry societies and their collective works of plum blossom poetry especially in the late 18th century: for example, Noron (the Elder faction) literati`s poem entitled "Bingdeung jobin yeon" (A winter night feast for poets), a Seoulite plum society`s poems, and Yi Deok-mu`s and his friends` poems on the plum blossoming in the spring month of the lunar calendar. All these exhibited a new trend that emerged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Korea. In the 19th century, Sin Wi, Jeong Hak-yeon, Jo Byeong-hyeon, and Yi Hak-gyu created respectively scores of poems on the plum blossom. In particular, adopting the style of Ju Yunming`s "Meihua baiyong" (One hundred songs of the plum blossom), Sin and Jeong wrote several serial poems on the plum blossom. The most strong and consistent meaning of plum blossom poetry in Joseon Korea can be seen as coming from the symbolic signification of the hexagram Fu (returing) in I Ching. The underlying reason why such many Korean Neo- Confucian literati did persistently write poems on the subject of plum blossom might be that the blossoming of plum in the winter solstice offered them some moments to reflect on nature`s principle of continuously giving life and thereby encouraged them to realize Heaven`s way in accordance with their Neo- Confucianism.

      • KCI등재

        정의를 표상하는 한문학의 세 가지 양식 -검명(劍銘)·풍자우언(諷刺寓言)·유협서사(游俠敍事)-

        신익철 ( Shin Ik-cheol ) 한국고전문학회 2018 古典文學硏究 Vol.54 No.-

        이 논문은 劍銘·諷刺寓言·游俠敍事의 세 가지 양식에 주목하여 한문학에 담겨진 정의의 문제를 살펴본 것이다. 사대부 문인에게 ‘義’는 매우 중시된 가치로 天理의 구현을 가로막는 私慾을 끊는 실천 윤리로 작용하였다. 대다수의 검명에서 검은 사대부의 심성 수양에서 결단의 용기를 상징하는 忠義의 표상으로 등장한다. 풍자우언은 유가의 正名論에 맞서서 도가의 無名論을 구현하려는 언어관을 반영한다. 도가의 무명론에 입각해 名과 實의 불일치를 강조하며 현실 세계의 모순을 비판하는 양식이 풍자우언이다. 풍자우언은 시비가 전도되어 부정이 횡행하는 현실을 풍자함으로써 참된 정의의 문제를 성찰하게 하거나, 시대의 모순과 부조리를 정면으로 고발기도 한다. 유협서사는 조선 후기에 성장한 여항과 평민층의 의식을 반영하여 성립된 양식으로 朋友有信의 수평적 윤리가 주목받는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다. 유학적 이념에 따른 忠義보다는 신의와 우정을 중시하는 유협서사는 중세 예교의 속박에서 벗어난 자유정신이나, 다른 사람의 위급한 처지를 도와주는 義氣를 중시한다. 유협서사는 사대부가 아닌 여항과 평민층의 정의관을 반영한 것으로 주목된다. 이 글은 검명·풍자우언·유협서사에 국한하여 일부 작품만을 대상으로 논의를 전개하였기에 한문학에 담긴 ‘정의’의 양상을 해명하기에는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향후 다양한 작품을 대상으로 정치한 논의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three forms of theories: Signature on sword(劍銘), Fable of satire(諷刺寓言), Narrative of chivalry(游俠敍事) and looks at the aspect of “justice” in Korea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To the literary people, loyalty(義) served as a practice ethic that would stop the desire of human nature(私慾) from the laws of nature(天理) with a very important value. Most of the signature on swords(劍銘) are represented by the symbol of determination in the mind-building of loyalty(忠義). A Fable of satire(諷刺寓言) reflects the language of the Taoist(道家) in the face of the Confucian scholar(儒家). A satirical speech criticizes the contradictions of the real world, while emphasizing the inconsistencies between appearance(名) and essence(實) based on the Nonnationalism(無名論) of Taoist(道家). A satirical speech is often used to reflect upon the problems of true justice by satirizing the reality of corruption, or to report the contradictions and absurdities of the times. Narrative of chivalry(游俠敍事) was established in a way that reflects the consciousness of the common people who grew up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flecting the trend of the era in which horizontal ethics of faith of friends(朋友有信). Narrative of chivalry(游俠敍事) which values righteousness and friendship over loyalty(忠義) of Confucian ideology, places importance of conscience(義氣) based on freedom from the pressure of medieval and helping others to be in a critical situation. It is noteworthy that the Narrative of chivalry reflects the view of the the common people, not the high classes of society. Since this article has been discussed only in some of literary works: Signature on sword(劍銘), Fable of satire(諷刺寓言), Narrative of chivalry(游俠敍事), it is inevitable to explain the aspects of "justice" in Korean literature. We sincerely hope that political discussions will continue on various literatures in the fu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