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동해 주변국의 경제 성장과 발전에서 제조업의 중요성: Kaldor 법칙의 실증분석

        신범철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20 아태연구 Vol.27 No.3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or not the manufacturing sector is still important in playing the role of the engine of economic growth for countries near Korean East Sea, specifically Korea, China and Japan. By using APO databases over the period 1970-2015, it empirically examines Kaldor’s law which states correlation between GDP growth and the growth rate of manufacturing production. To do so, it controls for endogenity or simultaneity of the growth rate of the manufacturing production variable by employing two stage residual inclusion estimation procedure. It also introduces the Error Correction Model to consider the statics-dynamics paradox and cointegration relationship of non-stationary variable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growth rates of manufacturing output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GDP growth for all three countries, regardless of different models or estimation methods. This supports Kaldor’s law implying that manufacturing sector plays the key role of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th for three countries. This implies that the long-term growth is demand-determined, rather than supply-determined, which is not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of neoclassical and endogenous growth theories. Overall, the experience from the three countries near Korean East Sea tells us that the impacts of manufacturing output growth on economic growth are dependent on development stages. In earlier stage of development, the effects of manufacturing output on economic growth are larger than in later stages of development, which leads to different contribution to economic growth. 이 논문은 Kaldor의 제조업 성장엔진가설을 환동해 주변국, 즉 한국, 중국 및 일본을 대상으로 1970-2015년 기간 동안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Kaldor 모형에 신고전학파 이론의 공급 측면 성장요인을 추가한 확장모형을 추정하고 VECM(Vector Error Correction Model)을 도입하여 정태-동태 역설을 시계열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제조업 생산과 GDP, 그리고 농업 및 서비스 생산 간 공적분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Kaldor 모형에 VECM의 도입이 적절함을 확인해 주고 있으며 정태-동태의 역설이 완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제조업 생산증가율에 대한 추정계수는 모형설정이나 추정방법에 관계없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환동해 주변국가에서 지속적으로 제조업 성장엔진 가설이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세계적인 서비스 비중의 확대에 따라 발생하는 Baumol병을 완화하기 위해 추진되는 서비스 지원정책보다 제조업 부흥정책이 일자리 창출이나 기술혁신 유발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제조업 생산증가율에 대한 추정계수의 크기를 비교해 보면, 중국의 추정계수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 일본의 순으로 나타나 제조업 생산의 증가율의 경제 성장 효과가 국가의 발전단계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는 초기발전단계의 개발도상국은 저(低)기술제조품과 소비재 생산에 특화하여 경제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지만 중기발전단계에 도달할 경우, 이러한 산업의 특화만으로 충분치 않으며 자본재 및 하이텍 산업으로의 구조변화를 추구하는 산업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세계자본시장 변동성이 국내 외환시장과 주식시장에 미치는 비대칭적 전이효과 분석

        신범철 한국기업경영학회 2011 기업경영연구 Vol.18 No.4

        이 논문은 1990년 1월 3일부터 2010년 7월 23일까지 일별 종합주가지수(KOSPI) 종가수익률과원달러 환율, 그리고 세계자본시장의 변동성 지수인 일별 VIX 지수를 이용하여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글로벌 금융위기 전후의 변동성 전이효과를 비교하고 안전자산선호 가설에 의해 그 효과를 설명하였다. 이를 위해 2변량(bivariate) DVEC(1, 1)-GARCH 모형을 바탕으로 세계자본시장의 변동성 충격이 외환시장과 자본시장에 미치는 비대칭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결과, 우선 원달러 수익률 평균모형에서표본기간과 상관없이 전일의 종합주가수익률에 대한 추정계수가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종합주가수익률 평균모형에서는 원달러 수익률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원달러 수익률이 종합주가수익률의 변화를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종합주가수익률이 원달러 환율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세계자본시장의변동성은 외환위기 이전 기간 동안 원달러 수익률과 주가수익률 평균모형에서 모두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지만 외환위기 이후기간과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 동안의 경우 원달러 수익률의 평균모형에서는 양의 부호로,주가수익률의 평균모형에서는 음의 부호로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세계자본시장의 변동성이 국내시장에 미치는 효과가 외환위기 이후 자본자유화 확대와 금융시장의 개방 확대로 점증되고 있음을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셋째 조건부 분산 모형을 보면 모든 표본기간에서 전기의 ARCH항은 양의 부호로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원달러 수익률과 주가수익률 공동의 충격에 대한 추정계수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GARCH항 역시 하나를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외환시장과 자본시장의 자체적충격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이 두 시장 공동의 변동성 충격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세계자본시장의 변동성의 확대가 외환위기 이전에는 외환수익률과 주가수익률의 변동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외환위기 이후에는 국내 변동성을 오히려 증가시키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계자본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외환위기와 금융위기 이후 더욱 더 크게 나타나 위기후 두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는 세계경제위기 시 투자자의 안전자산선호성향이 금융위기 이후 국내 외환시장과 주가시장의 변동성을 더 확대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동성 파급효과와 세계자본시장의 동조화 현상은 국제 자산배분의 위험분산을 무력화시킬 뿐만 아니라 국내 투자자에게도 적지 않은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asymmetric spillover effects of an increase in volatility of world capital markets on Korean foreign currency and stock markets using bivariate DVEC (1, 1)-GARCH model. The data employed for the study is daily series of VIX, won per U.S. dollar exchange rate and Korean composite stock price index (KOSPI) for the period of January 2, 1990 through July 23,2010. The VIX, a barometer of investor fear, is used as a proxy for world market volatility. That is,the change in the VIX should be expected to rise at a higher rate when world market fails than when world market rises. To facilitate comparison the VIX level, minute-by-minute values were calculated using index option prices dating back to the beginning of January 1986. This is specially important because documenting the level of market fear would provide useful benchmark information in assessing the degree of turbulence in markets. First, the rates of returns on won-dollar exchange rates are found to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rates on expected returns on KOSPI in all sub-sample periods. On the other hand, the estimated coefficients of the rates returns on KOSPI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mean equation of the returns on won per U.S. dollar exchange r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increase in the returns on KOSPI should cause in Granger sense a decrease in the returns on Won per U.S. dollar exchange rates but not the other way around. This implies that ʻbad newsʼ of world capital markets could asymmetrically reduce the rates of returns on Korean stock markets. Second,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asymmetric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of world capital markets on Korean foreign and stock markets, specially in global market crises. This confirms evidence that stock market in emrging countries should be sensitive to information released developed capital markets. Third, the spillover effect of VIX has been increased over the period after the global crisis. This implies that the volatility spillover effect of world capital markets on Korean Stock and foreign exchange markets has became larger as Korean financial and capital markets were rapidly liberalized after Korean foreign currency crisis. Finally, an increase in world market volatil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xpected returns on won per U.S. dollar rates but negatively with those on KOSPI for the period after Korean foreign exchange crisis. This suggests that investors tend to have safe assets by reducing risky assets of emerging markets to minimize portfolio risk caused by world financial crisis.

      • KCI등재

        교원정책 연구 동향 분석

        신범철,이예슬,박균열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2

        이 연구는 5․31교육개혁이 시행됐던 1995년부터 2017년까지 ‘교육행정학연구’, ‘교육정치학연구’, ‘교육학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한국교육’ 등의 5개 학술지에 게재된 교원정책 분야 연구 논문 352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동향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구주제 면에서 직전 단계를 주제로 한 연구보다는 현직 교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65.34%)이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주제별로는 교원평가(18.18%), 교원양성(14.77%), 교원교육(12.78%) 등등의 순으로 활발하게 연구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시대별 연구주제 면에서 각 시기마다 집권 행정부의 선거 공약이나 주요 국정과제를 중심으로 연구주제가 편중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연구목적 면에서 이론적 연구와 실제적 연구가 매우 불균형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실제적 연구가 326편(92.61%)으로 이론적 연구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연구방법 면에서는 문헌연구 방법의 총량적 비중이 54%로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으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반대로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은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goals, themes and methods about researches concerning policies of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we examined five academic journals(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The journal of Politics of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from the May 31, 1995 educational reform which sets a major historical inflection point for the nation's education policies to 2017 while following two steps. First, we searched studies about teachers policies from five academic journals which have keywords like ’teachers’, ’vice-principals’, ’principals’ and so on. Second, we selected 352 studies to analyze according to the five principles we se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1) that 65.34% of the studies were about inservice teacher’s policy and researches about ‘teacher evaluation(18.18%)’, ‘teacher training for preliminary teachers(14.77%)’, and ‘inservie teachers education(12.78%)’ are actively studied, 2) that themes of researches are concentrated at the campaign promises and major national tasks of the administration at each time, 3) that most of the studies were done for practical reasons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and 4) the most common analysis method was the literature review, but it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On the contrary, the us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s increasing steadily.

      • 핵무기와 미사일 개발의 진척에 따른 북한의 대외전략의 변화 전망과 우리의 대응방향

        신범철,전경주 사단법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17 한국국가전략 Vol.2 No.1

        How do such rapid developments of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affect North Korea’s behaviors? What should be the right responses of the ROK and the U.S. based on the circumstances driven by North Korea? First, with its advancement of nuclear and missile program North Korea will be more cautious in military provocations while continuously making bluffs threatening the ROK with its nuclear capabilities; second, it will make itself a de facto nuclear weapons state, deny any further discussion of non-proliferation, and keep increasing its nuclear capabilities; third, with a low possibility, in case that North Korea suffers from economic predicament serious enough to threaten its regime survival, it can turn to peace offensive. Therefore, the ROK and the U.S. should stick to imposing harsh sanctions on the North with the denuclearization principle, while not being fazed by North Korea’s threatening statements. Also, they should demonstrate a more robust deterrence as the North builds up its nuclear capabilities and improve its nuclear civil defense, including an extensive fallout shelter program to prepare for an escalation of the war-like situation. Policy guidelines dealing with North Korea’s peace offensive should be also made, just in case. 빠른 속도로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능력이 북한의 대외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이러한 여건 속에 한국과 미국의 대응은 어떠해야 하는가? 첫째, 북한은 보다 대담한 군사적 위협 발언을 지속할 것이나, 실제 도발양상은 당분간 지난 수년간의 하이브리드식 혹은 수세적 패턴을 반복할 것이다. 둘째, 핵보유를 기정사실화하기 위해 노력하며, 비확산 논의를 차단하고 핵능력 강화를 지속할 것이다. 셋째, 비록 그 가능성은 낮지만 체제 안정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경제난에 봉착할 경우, 평화공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한국과 미국은 비핵화 기조를 유지하고, 북한의 위협 발언에도 굴하지 않는 압박 외교를 전개해야 한다. 또한 한미동맹 기반 하에 강력한 대북 억제력을 구축하고, 만에 하나 있을지 모를 확전에 대비하기 위하여 핵 방호태세 마련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북한이 경제난에 봉착하여 평화공세를 취할 경우에 대비한 외교적 대안도 마련해두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