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ata Analysis using Psocake at PAL-XFEL

        신호철,Seungnam Kim,윤천홍 한국물리학회 2018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73 No.1

        Psocake is a software program designed for high throughput data reduction and analysis of free- electron laser experiments. Its serial crystallography graphical user interface allows browsing of detector images, Bragg peak finding with easy parameter tuning, generate region-of-interest masks, and crystal indexing. It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use at the Linac Coherent Light Source, SLAC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 and has been adopted for use at Pohang accelerator laboratory due to popular demand. We describe the features of psocake available at Pohang and include information about data management that we hope will be useful for users of the facility.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유음(流音)의 발음 교육에 대한 연구 : 중국어 모어 화자를 중심으로 focus on Chinese native speaker

        신호철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6 No.-

        본 고는 한국어 유음을 학습하는 중국어 모어 화자들의 발음 오류 유형을 분석하고 그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교재들의 발음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재에는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등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는 종합 교재와 발음만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발음 전문 교재로 구분하였다. 종합 교재에서는 발음 부분이 상대적으로 간략하게 다루고 있으며, 각 교재별로 한국어 유음에 대한 설명이 조금씩 다름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상급으로 올라갈수록 발음 교육에 비중이 적어짐을 알 수 있었다. 발음 전문 교재에서는 각 자모(字母)별로 학습 방법과 설명에 중심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각 음에 대한 예들의 체계적인 나열과 예시에 아쉬움이 있었다. 한국어 유음에 있어서 중국어 모어 화자들이 설측음과 탄설음의 구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체계의 기원이있다. 즉 한국어의 유음에는 설측음 [l]과 탄설음 [rl이 있는데 반하여, 중국어의 유음에는 설측음 [l]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중국어 모어화자들이 한국어 탄설음 [r]을 발음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 한국어의 유음이 실현되는 유형을 6가지로 분류하였다. 즉, 1유형은[vowel]+[l] 유형으로 "말, 달, 가을…" 등의 예들이 있고, 2유형은 [r]+[vowel] 유형으로 "라면 라디오…" 등의 예들이 있으며, 3유형은 [l]+[l] 유형으로 "별로, 흘러, 신라…"등의 예들이 있으며, 4유형은 [1]+[Consonant] 유형으로 "펄펄, 알밤, 딸기…" 등의 예들이 있으며, 5유형은 [l]+[vowel] 유형으로 "아이들이, 낮말은…" 등과 같이 실사와 허사가 결합할 때 발생하는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6유형은 [vowel]+[r] 유형으로 "그림, 사람,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등과 같은 예들이 있다. 이 6가지 유형 중에서 2유형, 5유형, 6유형들이 중국어 모어 화자들이 발음에 어려움을 겪는 것들이다. 2유형은 탄설음[r]을 설측음 [l]로 발음 오류를 보이는 유형이고, 5ㆍ6유형은 설측음[l]을 전후 음절들의 받침과 초성에 첨가해서 발음을 하는 오류 유형들이다. 한국어의 탄설음을 학습하는 데 긴장된 혀의 근육을 풀어주는 연습방법이 필요하다. 혀를 빠른 속도로 윗니 뒷부분에 닿게 하는 훈련이나 자연적인 소리를 흉내내게 함으로써 보다 단기간 내에 탄설음을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어 교재를 편찬하는 데 있어서 이러한 발음오류를 보이는 유형들과 오류를 보이지 않는 유형들을 구분하여 예들을 제시한다면,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학습하는데 한층 수월하지 않을까 생각하는 바이다. 또한 오류 유형들을 보면 발음 학습의 예들로써 단음절어 예들보다는 다음절어 또는 짤막한 단문을 위주로 예들을 제시한다면 더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하는 바이다. This study brings to a focus on analyzing the types that Chinese native speakers who are learning Korean liquid sound make an error in pronunciation and proposes an alternative plan. The reason that Chinese native speakers feel difficult to tell lateral (sound) and flap (sound) when they study Korean liquid sound is due to the difference on the sound system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at is to say, Korean has lateral sound [1] and flap sound [r] as liquid sound, while Chinese has only lateral sound [1]. This makes Chinese native speakers difficult to pronounce Korean flap sound Ir). Korean liquid sound can be classified into 6 types as follows : 1 type is [Vowel] +[1](examples : (mall, (tall. (kail)). 2 type is [r]+ [Vowel] (examples : 〔ramj?n〕, 〔radio〕). 3 type is 〔1〕+ 〔1〕 (examples :[pj?llo〕, 〔hill?〕, 〔silla〕). 4 type is 〔1〕+[Consonant1 (examples : 〔p?lp?l〕, 〔albaml 〕, 〔t'lgi〕) . 5 type is 111 + [Vowel] (examples : [aidil-i] , 〔natmal-in〕) . 6 type is [Vowel] + (1-1 (examples : [kirim], [saram], [arira?]) Among these 6 types, the second, the fifth and sixth ones are the types that Chinese native speakers have (much) trouble to pronounce. The second type is to mispronounce flap (r) as lateral (1) and the fifth and sixth types are to mis- pronounce the front and rear syllable of lateral (1) added to a final consonant and an initial sound. If we can present the examples divided into the type that shows pronunciation error and the type that don't when we edit materials for teaching Korean, it can help foreigners to learn Korean easily. The present author thinks, in relation to the error types, that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present multi-syllable words or simple sentences rather than simple syllable words as an example for studying of pronunciation.

      • The regulation of receptor protein tyrosine phosphatases by the dimerization of intracellular domains

        신호철,김승준 한국구조생물학회 2016 Biodesign Vol.4 No.2

        Protein tyrosine phosphatases (PTPs) are critical in many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for cell regulation. The activity ofPTPs is governed by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regulatory domains and their partners. Receptor-type PTPs (PTPRs)also have many extracellular regulatory domains. The intracellular domain of some PTPRs consists of D1 and D2 domains,similar to classical PTPs. The D1 domain is an active phosphatase domain, but the D2 domain has weak or no activity. TheD2 domain regulates the phosphatase activity of PTPRs containing the D1–D2 domain.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thedimerization of the D2 domain can inhibit the phosphatase activity of PTPRs. A few models have been proposed to explainhow phosphatase activity is inhibited by dimerization, but the precise mechanism is still not established. In this review, wediscuss the regulatory mechanism of the phosphatase activity of PTPRs via the intracellular domain.

      • 평생 건강의 푸른 신호등 '건강검진'

        신호철,최윤호,Sin, Ho-Cheol,Choe, Yun-Ho 한국건강관리협회 2006 건강소식 Vol.30 No.8

        사회 환경과 생활 습관의 변화로 현대인들에게 건강챙기기는 무엇보다 우선시 되는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장수의 개념도 바뀌고 있다. 무조건 오래 살기보다는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추구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건강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함께 정기적인 건강검진으로 아프기 전에 미리 건강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소한 증상이 때론 돌이킬 수 없는 질병의 신호가 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어딘가 몸 한 구석이 아파서 병원을 찾는 경우는 물론, 정상인이라도 현재의 건강상태를 체크해 보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한 번 이상 가져봤을 것이다. 그럴때 가장 궁금한 것은 어떤 검사를 어떻게 받는야 하는 것이다. 또 검사를 받긴 받았는데 검사결과가 낮선 의학 용어에다 수치에 있어서도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단위로 설명되 있지 않아 난감한 경우가 많다. 이번 8월호 특집 '건강검진'에서 건강하게 오래 살기 위한 생활수칙으로서의 건강검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