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德懋의 公安派 批評理論의 受容樣相

        권정원 한국한문교육학회 2005 한문교육논집 Vol.25 No.-

        Yi Deuk-Moo(李德懋) was one of the literary men who underwent various influence from Kong-An Pa(公安派) literature theory in the late Joseon. Although Kong-An Pa literature theory is much accommodated from his literature theory, "Criticism accommodating" is on the premise as its background. Trying to observe similarity and difference point between Kong-An Pa and Yi Deuk-Moo's literature theory might be the important clue of apprehending what kind of method Yi Deuk-Moo accommodate and transfigure the Kong-An Pa's literature theory and develop his own theory. Kong-An Pa and Yi Deuk-Moo's literature theory are identical from these point. Professing realness literature, Recognizing times characteristic, Emphasizing self-acquirement and creativity. But the opinion against an inner-literature and practicing literature creation side have a difference point. Namely, Kong-An Pa considers seriously a times characteristic above all, literature was set a high value of the day, inner-literature and Song period literature, recognizes the value. On the other hand Yi Deuk-Moo consider that realness-literature is more important than times characteristic so he evaluated negatively a novel concerning the world of false and emptiness. Also in the side of practicing literature creation Kong -An Pa only emphasized Chang-Sin theory but Yi Deuk-Moo insisted Cheon-Hu-Chil-Cha(前後七子)'s Ue-Go(擬古) and Chang-Sin's eclectic theory(創新) of Kong -An Pa. Moreover, this eclectic theory show that Yi Deuk-Moo was affected greatly by Kong-An Pa and it accommodated Kong-An Pa literature theory critically. 본고는 이덕무의 공안파 비평이론의 수용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즉 이덕무가 공안파 비평이론을 이해․수용한 점은 무엇이고, 배제․변용했던 점은 무엇인가를 검토한 것이다. 특히 결과론적으로 드러난 비평이론의 유사성을 비교하기 보다는 인식론적 측면에 초점을 맞춰 비평논리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이덕무와 공안파의 비평논리는 매우 흡사하다. 공안파와 이덕무의 비평이론은 각각 전후칠자와 진한고문파의 의고에 대한 비판에서 형성되었는데, 진한고문파는 전후칠자의 수용으로 인해 성립되었기에, 양자가 추구하는 전범으로서의 대상은 동일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공안파와 이덕무 모두가 의고파의 절대적 전범을 거부하고 상대주의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성립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들은 古만이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라 今 또한 가치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문학 또한 고인의 옛 글만이 아니라 당대 자신의 개성적인 글 또한 가치 있다는 문학의 시대성을 중시하였다. 그러므로 그때 저기의 道만이 아니라 지금 여기의 眞을 중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문학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모방이나 답습이 아닌 자신의 깨달음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문학에서 自得의 논리를 중시하게 되었고, 자득에 의한 문학 창작을 통해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자기만의 문장을 쓸 것을 주장했던 것이다. 이러한 비평 논리는 이덕무와 공안파 비평이론에서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비평이론의 동일성은 이덕무 문학론이 공안파의 지대한 영향으로 이루어졌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덕무가 공안파 비평이론을 전적으로 수용한 것만은 아니었다. 이덕무는 공안파 문학이론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었고, 그 중 좋은 점은 수용하고 지나친 점은 배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전범의 모방을 반대하고 새로운 자기만의 문학을 만들어야 한다는 공안파의 창신론을 수용하면서도, 창신이 지나쳐 험벽한 데로 흐르는 경향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그러므로 창신과 의고의 절충론적 입장을 견지할 것을 강조하였으며, 그의 비평 실제에서도 이러한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이덕무는 공안파의 비평이론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은 것은 사실이나, 그것을 일방적으로 수용한 것이 아니라 좋은 점은 수용하고 지나친 점은 배제하면서 자신만의 문학론으로 승화시켜 나갔던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李德懋 初期散文에서 公安派 受容의 實踐樣相-敍述技法의 特徵的 面貌를 中心으로-

        권정원 우리한문학회 2005 漢文學報 Vol.13 No.-

        This essay was studied laying stress on technique of figuration how Gong An Pa(公安派) criticism, that is accepted into Lee Deok Moo(李德懋) literature in the later Chosun Dynasty, was expressed in the work. Lee Deok Moo literature was formed under the criticism against the imitation of Jinhan-Gomoonpa(秦漢古文派), what he criticised is not only the tendency of imitation but also the denial of that only the work of the dead is valuable. Therefore, Lee Deok Moo literature is based on relativism that the present works as well as the dead's works are valuable. Relativism was continued with self-complacency and claimed that it must get out of imitation and following of former's and have theory of self-complacency, it emphasized creative and characteristic writing. Lee Deok Moo literature is same as criticism of Gong An Pa that is counteraction of before and after seven masters. This change of epistemology caused figuration how the subjects figure. That is, it was at the end of it's rope, it means the previous ways are not appropriate to express new material and content. Lee Deok Moo, therefore, tried to create expression not being basis on classics. This essay considered new techniques of figuration dividing into 1) sensible depiction 2) a figure of speech 3) application of dialogic style. These techniques make Lee Deok Moo' prose more concrete and lively and they play a important role to improve refined and rhythmical sense. 본고는 이덕무 초기 산문이 공안파 비평을 수용하여 창작실천에는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그 실천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대상을 어떻게 형상화 하였느냐’하는 ‘서술기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유방식이 바뀌면 대상을 인식하는 체계도 달라지고, 내용이 달라지면 그것을 형상화하는 표현 기법 또한 변화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기존의 표현 방식으로는 새롭게 포착한 세계를 다 드러내 보일 수 없었고, 자신만의 개성적인 문장으로 표현하는 데는 더욱 한계를 느꼈던 것이다. 따라서 이덕무는 고전에 입각하지 않은 새로운 표현기법을 창출하고자 노력하였다.본고는 이러한 노력으로 나타난 서술기법의 특징적 면모를 ‘1)감각적 언어 2)개성적 비유 3)대화체 활용’으로 나뉘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기법들은 이덕무 산문을 보다 구체적이고 생동감 있게 드러내 보이는 것은 물론, 이덕무만의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글쓰기의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물론 이와 같은 서술기법이 고문에는 전혀 없던 새로운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이 유독 많이 활용되고 있다는 것은 이덕무만의 특징으로 규정지을 수 있는 요소가 되기에 충분하다. 그리고 이러한 서술기법은 공안파 문학 작품에서도 유사한 양상으로 드러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비평이론의 유사성이 작품 실제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라 하겠다. 결국 이덕무는 공안파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았으나 그것을 자신에게 맞게 수용변용함으로써 독창적인 세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했음을 작품 실제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이덕무 후기문학의 변모 양상과 正祖

        권정원 동양한문학회 2019 동양한문학연구 Vol.53 No.-

        본고는 이덕무 후기문학의 변모 양상을 정조와의 관계를 통해 고찰하였다. 李德懋는 조선후기 새로운 문풍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 문인으로, 그의 문학은 ‘독창적인 자신만의 문학세계를 구축하여 文風을 一新시켰다’고 평가받았다. 이는 이덕무 문학이 擬古主義가 만연했던 당시 문단의 병폐를 지적하고, 자신만의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문학세계를 구축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그의 문학적 특징은 명말청초 公安派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이해되었고, 결국 정조의 문체반정의 대상자로 지목되어 자송문을 지어 바치라는 명을 받는 빌미가 되기로 했다. 하지만 이러한 이덕무의 문학적 특징은 20대를 전후한 초기문학을 대상으로 한 결과일 뿐이다. 30대에 접어들면서는 저술활동이 현저하게 줄어들었고, 학술적 성격을 띠는 것이 많아졌다. 특히 39세 검서관이 된 이후에는 개인적 저술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검서관으로 임금의 명에 의해 편찬 간행된 서적이 대부분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덕무가 검서관이 된 39세 이후의 문학을 ‘후기문학’이라 규정하고, 이에 대해 구체적인 문학 양상과 원인을 고찰하였다. 이덕무 후기문학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변모 양상을 보인다. 첫째, 양적인 측면에서 어명에 의한 저작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개인 저술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후기문학의 성과를 개괄하면 분량 면에서 결코 적지 않으나, 이덕무 개인 저술이라 할 수 있는 것은 겨우 序文 1편, 遊記 1편, 銘 1편, 題文 1편, 詩 79수, 尺牘 48편, 그리고 2권 분량의 見聞記 1종이 전부이다. 나머지는 모두가 정조의 어명에 의한 저작들이다. 둘째, 내용적인 측면에서 국가 체제 정비와 행정 절차에 필요한 서적의 간행에 참여함으로써 보수화‧체제화 되어가는 동시에, 개인 저술에서는 이전시기의 재기발랄하거나 尖新한 면모가 줄어들거나 무뎌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이덕무 후기문학의 변화 원인은 무엇일까? 첫째, 검서관으로서의 임무에 충실했기에 개인적인 저술활동을 위한 물리적인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였다. 검서관은 서적 편찬 간행 업무 외에 본원과 실직 근무, 기록 업무, 각종 행사의 차비관 역할을 모두 수행해야 했다. 실제 업무가 과중한 탓에 이덕무는 개인적인 저술을 할 여유가 없었던 것이다. 둘째, 정조의 문예정책의 영향을 들 수 있다. 검서관 본연의 업무는 서적을 간행하는 일인데, 당시 서적의 간행은 임금인 정조의 문예정책을 실현하는 것이었다. 정조의 문예정책은 한마디로 ‘보수화와 주자학 존숭’이라 하겠다. 이덕무가 간행에 참여한 서적들 역시 국가 통치를 위한 행정 문서나 정통고문을 학습하기 위한 서적들이었다. 정조의 문예 지향에 담긴 서적들을 간행하면서 이덕무는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자연스럽게 정조의 문예정책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덕무 후기문학이 이전 시기와 양상과 성격을 달리하는 것은 이덕무가 자신이 처한 삶에 충실한 결과라 하겠다. 검서관이 된 이후 검서관으로서 역할에 충실했기에 개인 저술을 위한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했고,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던 서적 간행은 모두가 어명에 의한 것으로 정조의 문예정책을 반영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덕무 후기문학의 변모 양상은 이덕무가 정조와 정조의 문예정책의 영향을 받은 결과라 하겠다. 문체반정으로 불거졌던 정조의 문예정 ... Lee Deok-mu(李德懋) pointed out the ills of literary circles and established an original world of literature. This was influenced by critical theory of Kong-An-Pa(公安派) was acculturated. For this reason, he was named the target of Jeongjo's literary criticism and he was ordered to submit a letter of apology. However, this literary feature of Lee Deok-mu is the result of early literature in his 20s or so. So, what is the literary aspect of Lee Deok-mu since he became a Keomseokwan(檢書官) at the age of 39? Lee Deok-mu's later literature has undergone a major change in two aspects. First, in terms of quantity, works by the order of the king account for most. And personal works have declined significantly. Second, in terms of content, the institutional character has been strengthened by issuing official documents necessary for national governance. And his freewheeling and freshness has diminished. What is the cause of this change in Yi Deok-mu's later literature? First, because he was faithful to his duties as a keomseokwan(檢書官), he did not have enough time for his personal writing activities. Second, the influence of King Jeongjo(正祖)'s literary and artistic policies may be included. Jeongjo's literary and artistic policy can be summed up as "conservative" and "respect for Jujagology." Lee Deok-mu was naturally influenced by Jeong-jo's literary and artistic policies, regardless of his will. As a result, Lee Duk-mu's later literary transformation is an example of Lee being absolutely influenced by King Jeongjo's literary and artistic policies.

      • KCI등재

        小說에 대한 兪晩柱의 입장에 관한 一考察 : 批評家的 面貌를 中心으로

        權政媛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3 漢字 漢文敎育 Vol.10 No.-

        兪晩柱(1755∼1788)는 널리 알려진 인물이 아니다. 다만 18세기 당시 文名을 떨쳤던 著菴 兪漢雋(1732∼1811)의 아들이라는 점이 우리가 그를 기억하는 단서일 뿐이다. 그러나 그는 『欽英』이라는 일기를 남겨서, 최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흠영』은 유만주가 21세 때부터 33세 때까지 13년 동안 기록한 日記이다. 그러나 단순한 생활일기의 차원을 넘어선 '독서일기'이다. 유만주는 우리나라 문장은 물론 중국 문인의 서적을 두루 읽은 듯한데, 특히 小說이나 雜記에 대해서는 그 읽은 양이 방대할 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한 기록 또한 다채롭다. 본고에서는 '유만주가 소설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가졌으며, 중국 소설은 어떻게 받아들였고, 우리의 국문소설에 대해서는 어떠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는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논문에서 제시한 견해 중 유만주의 소설에 대한 입장, 즉 흥미위주의 오락적 측면을 강조했다는 견해와 유만주의 국문소설에 대한 입장이 모순적이라는 견해에 대해 이견이 있어, 이에 대해 살피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밝혀 둔다. 유만주는 소설에 대해 대단히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현실반영적 성격과 소설이 현실 생활과 접촉하는 측면이 어느 장르보다 넓다는 것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순히 재미위주의 오락성 때문이 아니라 책읽기의 법도를 만들어 보다 전문적인 책읽기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단순한 소설의 독자이기보다는 그 이상의 비평적 안목으로 소설을 대하는 입장에 있었다고 하겠다. You, Man Ju is not a well-known person. The fact that he is the son of Joe-Am You, Han Jun who had literary frame in 18th century is only a clue for us to remember him. However, he had a diary called by [Hum Young] so recently he is noticeable in academic world. [Hum Young] is a diary that You, Man Ju had written from 21 age to 33 age for 13 years. However it is not just a diary but “ The Diary of Reading”. It seems that You, Man Ju had read not only Korean literary men’s books but also Chinese literary men’s books. Especially, the quantity that he read about novels and miscellanies is extensive and the records are also variable. I would have a research in this paper about ‘What kind of position You, Man Ju had, how he accept Chinese novels and what kind of point of view he had’. Especially,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about You, Man Ju’s novel, that is view that he emphasized entertaining sides and You Man Ju’s viewpoints about Korean novels are contradictory. So, I mention I have a focus on observation about this. You, Man Ju had a very positive recognition about novels. The reason is that he had recognized a novel has broadest sides that contact real lives than any other genres. However, he had tried to persue special reading by making a regulation of reading, not for entertainment just for fun. Therefore he was not just a reader of novels but he had a position that he faced novels with critical insights. I could summarize You, Man Ju’s novel criticism aspects as the following two types. First, the way to desciribe his own feelings honestly. Second, the cases that he wrote impressive parts in the same way as before. When he evaluated novels, he had a focus on especially the aspects of contents and literary styles. Namely, he attached importance to novel characteristics of reality reflections which express actual human life honestly. His writing style of novels is detailed and active. The writing style also expressed complications of life in detail. Although his said that we can accept good things from China as we acknowledge our things but we should burn all things that are not beneficial. In conclusion, the viewpoints about You, Man Ju’s novels or the inclined evaluations that his criticism about Korean novels is incompatible come from the fact that he dealt with novels in the position of a critic, not as just a reader.

      • KCI등재

        제주지역 고령자의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에 관한 연구 : 제1보, 소비자능력에 관한 연구 the 1st one, on the focus of Consumer Capacity

        권정원,이기춘,김정숙,장오준개 대한가정학회 2003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nsum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alyze the level of consumer knowledge, skill, and consciousnes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youn-elderly people and elderly people in Cheju.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data was collected 428 consumer s from May to June, 1999. The statistical methods for this study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correlation using SPSS Win program.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consumer consciousness was very high, but the level of consumer knowledge and consumer skill were low. 2) Drug use, Recall system, Forzen-food management, Indication for consumer knowledge; Planning, Discontent treatment for conxumer skill; Responsibility for consumer consciousness area were very low state. 3) Correlation according to Pearson's γ^2 wer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ll of that consumer knowledge and consumer skill and consumer consciousness areas. 4) Sum of 3 findings were no great difference between young-elderly people and elderly people. From now on, some suggestions grom this study how to stress on the consumer knowledgy and consumer skill as well as consumer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in Cheju.

      • KCI등재

        이덕무의 경릉파 인식과 수용

        권정원 영남퇴계학연구원 2017 퇴계학논집 Vol.- No.20

        Lee Deok-Mu was much interested in the Ming and Qing literature schools that were newly introduced into the literary world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and was affected by all of those literature schools. Jingling school(竟陵派) was one of those schools. Lee Deok-Mu read Jingling school books and recognized their existence and arguments already in his 10s~early 20s. Lee Deok-Mu particularly became to be interested in Jingling school through the poem grade book titled 《Poem(詩歸)》 critisized and selected by Jong Seong and Dam Won-Chun and highly evaluated their features as critics based on the book. Lee Deok-Mu was widely recognized as a critic at that time and conducted the activities of criticism continuously from his years of early 20s to his latter years. In particular, since he wrote poem critical books utilizing the grade criticism system from when he was in his early 20s, his interest in 《Poem(詩歸)》, which is a representative poem grade book in the Ming Dynasty period, can be said to be natural. Although previous studies regard the origin of Lee Deok-Mu’s grade criticism as Chinese grade books, in particular, Kim Seong-Tan’s novel critical book, to Lee Deok-Mu in his 20s, the effect of Jong Seong should have been larger than that of Kim Seong-Tan. In this period, Lee Deok-Mu was negative against novels and was not only unfamiliar to but also quite negative against Kim Seong-Tan. On the contrary, Lee Deok-Mu was quite favorable to Jong Seong and regarded 《Poem(詩歸)》 as criteria for criticism. Although the substance of the poem grade book written by Lee Deok-Mu cannot be known because no copy of the book remains now, the substance of Lee Deok-Mu’s grade criticism can be identified through his prose grade books written by him in his 30s or later. If Lee Deok-Mu was affected by 《Poem(詩歸)》 in relation to criticism/selection(評選) and grade criticism(評點批評), some of the effects can be identified through cases applied to essay books. Therefore, 《Jongbuksoseon》 was examined as an example. First, Lee Deok-Mu and Jong Seong are the same in that both recognize 《Jongbuksoseon》 and 《Poem(詩歸)》 that criticized and selected others’ works. Only Lee Deok-Mu had this recognition in the literary world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Jongbuksoseon》has different pigment colors from general grade books. In addition, one brief criticism is placed above each work, which is a unique system of only 《Jongbuksoseon》 throughout China and Korea. This creative feature can be said to have been made by Lee Deok-Mu by accepting the criticising method of 《Poem(詩歸)》 but transformed it into his original method. 이덕무는 조선후기 문단에 새롭게 유입된 明淸문학 유파에 관심이 많았고, 그들로부터 두루 영향을 받았다. 竟陵派도 그 중 하나였다. 이덕무는 10대~20대 초반 사이에 이미 경릉파 서적을 읽었고, 그들의 존재와 주장을 인지하고 있었다. 이덕무가 경릉파에 특히 관심을 기울인 것은 종성과 담원춘이 評選한 《詩歸》라는 시평점서이고, 이를 바탕으로 그들의 비평가적 면모를 높이 평가하였다. 이덕무는 당대 비평가로서 널리 인정받았고, 20대 초부터 말년까지 지속적으로 비평 활동을 하였다. 특히 20대 초반부터 評點批評 방식을 활용한 시비평서를 저술하였기에, 명대 대표적인 시평점서인 《시귀》에 대한 관심은 당연한 것이라 하겠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덕무의 평점비평의 연원을 중국평점서, 특히 김성탄의 소설평비본의 영향으로 보고 있지만, 20대 초반의 이덕무에게는 김성탄보다 종성의 영향력이 더 컸을 것이다. 이 시기 이덕무는 소설과 김성탄에 대해서 대단히 부정적 입장이었다. 반면 종성에 대해서는 대단히 호의적인 입장이었고, 《시귀》를 비평의 준거로 삼기도 하였다. 이덕무가 쓴 시평점서는 현재 남아 있지 않아서 실체를 알 수 없지만, 30대 이후의 산문평점서를 통해 이덕무 평점비평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덕무가 《시귀》에서 영향 받은 바가 評選과 評點批評이라면, 그로부터 받은 영향 관계는 산문집의 사례를 통해서 일부나마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종북소선》을 일례로 살펴보았다. 우선 이덕무와 종성은 둘 다 다른 이의 작품을 평선한 《종북소선》과 《시귀》를 자신의 저작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이런 인식은 조선 문단에서는 이덕무가 유일하다. 《종북소선》은 일반 평점서와 안료 색깔이 다르다. 그리고 매 작품마다 작품의 상단부에 1편씩 眉評이 놓여 있는데, 이는 중국 한국을 통틀어 《종북소선》만의 독특한 방식이다. 이러한 독창적 면모는 이덕무가 《시귀》의 평법을 수용하되, 자신만의 독창적인 것으로 변용한 경우라 하겠다. 그렇다고 이덕무 평점비평이 《시귀》만의 영향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시귀》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마저 배제할 수도 없다. 결국 이덕무는 명청 문단의 여러 유파의 영향을 두루 받았고, 경릉파 역시 그 중 하나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KCI등재

        개항 직후 일본의 對조선 인식과 언론 활동 -조선신보를 중심으로 -

        권정원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4 퇴계학논총 Vol.43 No.43

        본고는 1876년 朝日修好條約 직후, 일본의 對조선 인식과 언론 활동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개항 직후 조선에 이주한 일본인이 조선을 어떻게 인식하였고, 자국의 이익을 위해 어떤 활동을 했는지를, 조선신보 라는 ‘신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朝鮮新報 는 1881년 12월 10일, 부산에서, 일본 상인이 중심이 되어 설립한 在釜山港 商法會議所에서 旬刊으로 간행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이라 불리는 한성순보 보다 1년 10개월 정도 먼저 창간되었으니, 한반도 최초의 근대 신문이라 하겠다. 조선신보 는 개항 직후 일본인이 조선땅에서 간행한 신문이기에, 개항 초 조선에 대한 일본의 인식과 활동을 살필 수 있다. 조선신보 에 드러난 對조선 일본의 인식은 2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표면적으로 일본은 조선을 낙후된 나라로 보았고, 조선인을 미개하고 야만적인 존재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조선을 자신들이 문명화시켜야 할 계몽의 대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내면적으로 일본은 조선을 침략의 대상으로 인식하였다. 이런 시각은 노골적으로 드러낼 수는 없었지만 ‘전쟁’을 언급하는 자세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신보 를 통한 對조선 일본의 언론 활동 역시 2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일본의 활동이 모두 ‘조선을 위함’이라는 언급을 빈번하게 함으로써, 일본에 호의적인 여론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둘째, 수구파에 대한 편파적 비난과 개화파에 대한 일방적 칭찬을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친일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하였다. 결국, 일본이 조선에서 한 모든 활동은 일본의 국익을 위한 것이었다. 일본의 조선 진출은 개항 직후부터 이미 조선 침략의 야욕을 위한 것이었다. 사실, 이러한 결론은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하지만 본고는 조선에서 일본인이 간행한 최초의 신문인 조선신보 를 통해, 일본의 對조선 인식과 활동의 실체를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ChosunSinbo(朝鮮新報) was published by Japanese in Busan in December 10, 1881, Korea’s first newspaper. Busan Port was opened in 1876 under the Korea-Japan Protective Treaty, and newspapers were published by the Japanese when a large number of Japanese immigrated to Busan. Through the ChosunSinbo , we can examine the news and appearance of Joseon in the early days of opening a port. In addition, we can look at how the Japanese who migrated to Joseon recognized Joseon and what activities they did. The perceptions of Japan against Joseon, which can be seen in the ChosunSinbo , can be summarized into two categories. First, on the surface, Japan viewed Joseon as an underdeveloped country and Koreans as uncivilized and barbaric beings. Therefore, Joseon, which failed to achieve modernization, was recognized as an object of enlightenment that they should civilize. Second, inwardly, Japan recognized Joseon as an object of invasion. This perspective could not be explicitly revealed, but it was confirmed from the attitude of referring to ‘war’. Through the ChosunSinbo article, two things can be summarized about what activities Japan has done for its own interests. First, I wanted to form a favorable public opinion about Japan by frequently mentioning that all of Japan's activities are ‘for Joseon’. Second, it was intended to create a pro-Japanese atmosphere by continuously repeating biased criticism of the water polo faction and unilateral praise of the enlightenment faction. In the end, Japan's entry into Joseon was already aimed at the ambition of Joseon's invasion right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firmed its reality through the 『ChosunSinbo』.

      • KCI등재

        조선후기 漢詩四家의 竟陵派 인식과 이해

        권정원 동방한문학회 2024 東方漢文學 Vol.- No.99

        본고는 ‘조선후기 문단의 竟陵派 수용’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漢詩四家라 불리던 李德懋․柳得恭․朴齊家․李書九의 경릉파에 대한 인식과 이해 정도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네 사람의 경릉파 관련 언급을 분석하여 네 사람이 경릉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이해했으며, 그 인식 양상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덕무ㆍ유득공ㆍ박제가ㆍ이서구는 인근에 모여 살면서 문학 동인으로 활동하였고, 한시사가라 불리며 문학적 지향 또한 유사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모두가 명말청초 서적의 유입과 학풍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경릉파에 대해서도 모두 깊이 경도되었다고 알려졌다. 이덕무는 조선후기 문인 중 경릉파에 대해 가장 많은 언급을 남긴 인물로, 총 16회의 기록이 보인다. 이덕무의 경릉파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23세 때이지만, 그 이전에 경릉파를 접했을 가능성도 충분하다. 이덕무는 경릉파에 대해 대체로 호의적인 입장이었는데, 특히 詩歸 를 중심으로 한 시비평가로서의 위상을 높이 평가하였다. 유득공ㆍ박제가ㆍ이서구의 문집에는 경릉파에 대한 언급이 많지 않다. 현재 확인되는 바로는 유득공 2회, 박제가 3회, 이서구 1회 정도이다. 내용도 경릉파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기보다는, 비유 대상으로서 시귀 나 鍾惺, 鍾ㆍ譚이 활용되는 정도에 불과하다. 이는 한시사가가 경릉파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었지만, 이덕무를 제외한 유득공ㆍ박제가ㆍ이서구에게 경릉파는 관심과 흠모의 대상은 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한시사가의 경릉파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세대 차이와 개인적 취향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즉, 이덕무와 유득공ㆍ박제가ㆍ이서구의 나이 차는 각각 7세ㆍ9세ㆍ13세이므로, 이덕무:세 사람=스승세대:제자세대라 할 수 있다. 이런 나이 차는 조선후기 문단에서 경릉파를 수용하던 시기와 무관하지 않다. 이덕무가 경릉파를 처음 접했을 때는 1760년대 초반으로, 조선 문단에서 경릉파에 대한 관심과 수용이 지대하였다. 하지만 유득공ㆍ박제가ㆍ이서구의 경릉파 언급은 대체로 1775년 이후로, 조선 문단에서 경릉파가 이미 널리 알려졌을 때였다. 그러므로 이들에게 경릉파는 더이상 새로운 문학 사조로서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던 것이다. 또 한시사가는 모두 擬古派에 대해서 비판적 입장이었기에, 反擬古를 주장했던 공안파와 경릉파에 호의적이었고 개성적이고 참신한 시풍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경릉파의 지나치게 감성적이고 기괴한 시풍에 대해서 유득공ㆍ박제가ㆍ이서구는 이덕무만큼 호의적이진 않았다. 이는 유득공이 ‘地理名物學’에, 박제가는 ‘經濟之學’에, 이서구는 ‘經濟實用’에 더 관심이 집중된 이유도 있다고 하겠다. 결과적으로 한시사가의 경릉파에 대한 인식 양상의 차이는 경릉파가 1770년대 중후반에 조선 문단에서 보편적인 문학 유파로서 널리 알려져 있었고, 조선후기 문인들 사이에서 개인적 취향에 따라 호불호가 극명했던 유파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As part of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Jingling Coterie(竟陵派)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acceptance patterns of Jingling Coteri of the Lee Deok-mu(李德懋), Yoo Deuk-gong(柳得恭), Park Je-ga(朴齊家), Lee Seo-gu(李書九), which were called the Hansisaga(漢詩四家). Lee Deok-mu read Jingling Coterie books and recognized their existence and arguments already in his early 20s. Lee Deok-mu particularly became to be interested in Jingling Coteri through the poem grade book titled Sigui(詩歸) critisized and selected by Jong Seong(鍾惺) and Dam WonChun(譚元春) and highly evaluated their features as critics based on the book. And by accepting Jingling Coterie, the poem of Lee Deok-mu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remarkably. 1) Overexpression of sadness 2) Sensory and delicate expression 3) A unique and very new form of aesthetics. Currently, references to Jingling Coteri are confirmed twice, three times, and once, respectively, in the collection of writings of Yoo Deuk-gong, Park Je-ga, and Lee Seo-gu. The content is not a direct reference to criticism of Jingling Coteri literature, but only to the extent that Sigui , Jong Seong, Dam WonChun are used as objects of comparison. Although it is called the the Hansisaga and has achieved similar literary achievements,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Jingling Coteri. The cause is 1) generational difference 2) propensity difference. As a result, Jingling Coteri was a new and interesting literary school for Lee Deok-mu, who accepted in the early period, but it was no longer a new school for the other three. In addition, the extreme sadness and bizarre descriptions pursued by the Jingling Coteri's poetry could be divided into likes and dislikes depending on individual tendenci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Lee Deok-mu and the other three show a difference in their position on Jingling Cote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