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생명력’과 역사의식의 간극―김우진의 ‘생명력’의 사유와 일본의 생명담론

        권정희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한국민족문화 Vol.40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speculation of‘Life force’of dramatist yujin kim. A characteristic of the drama work of yujin kim is to have regarded Life force as the subject. This article considered it how his speculation of Life force and reality recognition to link in various criticism and the essay and the diary of yujin kim., especially on the extension of the discussion that‘rhythm of the Lifeforce’ of yujinkim’s SanDoeji(A wild boar)(1926) was elaborated in consonance with philosophy of the life of Bergson. There seems to be gaps between the reality recognition and the speculation of the ‘Life force’, such as summarization as the‘Life force’ and collision of the history awareness in the precedent study. A keyword of the life characterizing the Taisho era in Japan becomes the clue on thinking about this gap. In addition, the philosophy of the‘Life force’ of the Taisho era gave us the suggestion that was effective the class consciousness of yujin kim and the analysis over relations between the recognition of an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As a result, that makes it possible to depths-like appreciation that speculation of‘Life force’ of yujin kim has been corresponded to the philosophy of Bergson in the same period. 이 글의 목적은 극작가 김우진의 ‘생명력’의 사유를 분석하는 것이다. 김우진의 희곡 작품 세계의 특징은 생명력을 주제로 했다는 점이다. 이 글에서는 김우진의 <산돼지>(1926)의 ‘생명력의 리듬’의 스케치가 베르그송의 생의 철학과 공명하는 사유 안에서 구상된 것임을 해명한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그의 평론․수상․일기 등의 현실 인식과 생명력의 사유가 어떻게 접속되는지 규명했다. 선행연구에서 ‘생명력과 역사의식의 충돌’로 요약한 바와 같이 여러 논고의 현실 인식과 ‘생명력’의 사유는 간극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 차이를 생각하는 데 일본 다이쇼 시대를 특징짓는 생명의 키워드가 단서가 된다. 또한 다이쇼 시대의 생명력의 철학은 김우진의 계급의식과 개인과 공동체 인식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도 유효한 시사를 준다. 그 결과, 김우진의 생명력의 사유와 베르그송과 동시대의 생명력의 철학이 맺는 관계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가 가능하게 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현진건의 「그립은 흘긴 눈」과 ‘정사(情死)’ -식민지 조선과 일본의 ‘정사’의 비교문화적 접근-

        권정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6 No.-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Hyun Jin-gun's text “Gŭriun hŭlgin nun (Longing for the sidelong glance)” from the context of Comparative Culture of ‘A Lover's Suicide’ in Korean and in Japan. The motif of “Gŭriun hŭlgin nun(Longing for the sidelong glance)”, which was published in journal P'yehŏ ihu(after the ruin), can be seen as text for grasping of the whole flow of Hyun Jin-gun's works featuring ‘A Lover's Suicide’, in this paper. The work within the motif of ‘A Lover's Suicide’ was triggered by the case of Gang Myŏng-hwa that occurred in colonial korea in 1923. Based on the reference from previous study that “Kŭribun hŭlgin nun” ‘captured the fallacy of modern romantic love’, this article highlights the production of sense of humor which are particular to the story, with the axis of ‘Gang Myŏng-hwa incident’ and Japan's ‘shinjŭ’ as two standards. In other words, from the comparative cultural perspective between the background of ‘Gang Myŏng-hwa incident’ and the ‘A Lover's Suicide’ culture of Japan, “Gŭriun hŭlgin nun(Longing for the sidelong glance)” can be seen as approaching the aesthetics of irony of laughing ‘jeering’, in this report. Therefore, this paper deals with ‘A Lover's Suicide’ as a type of cultural translation. That is to say, the motif of ‘Double Suicide for love’ requires the perspective of different cultural translation that reveals the differences in the cultural awareness of romantic love and death. Furthermore, by conducting the analysis of visualizing the effect of Japan's ‘shinjŭ’ culture that does not appear at the surface of the text, this paper confirms composition as the other in the materialization of the motif of ‘korean’ ‘Double Suicide for love’ that contrasts from the perspective of Japanese ‘shinjŭ’ culture. 본고는 현진건의 「그립은 흘긴 눈」의 텍스트를 한국과 일본의 ‘정사’의 비교 문화적 맥락에서 그 의의를 고찰한 것이다. 1924년 『폐허 이후』에 발표된 「그립은 흘긴 눈」은 현진건의 일련의 ‘정사’를 제재로 한 작품의 흐름에서 파악된다. 그의 정사를 제재로 한 작품은, 1923년 식민지 조선에서 발생한 강명화의 사건에서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근대의 낭만적 사랑의 허위를 포착”했다는 선행 연구의 지적을 바탕으로 「그립은 흘긴 눈」을 강명화 사건과 일본의 ‘신주’라는 두 가지 기축 위에서 작품 특유의 ‘야유’의 웃음으로 수용되는 과정을 해명했다. 다시 말한다면, 현진건의 「그립은 흘긴 눈」은, ‘강명화 사건’의 배경과 일본의 ‘정사’의 비교 문화적 시각에서 텍스트 특유의 웃음의 아이러니 생성이 해명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정사’를 일종의 문화 번역으로서 다루었다. 즉, ‘정사’ 모티프야말로 낭만적 사랑과 죽음의 의식의 차이를 드러내는 이문화(異文化) 번역의 시각이 요청된다. 나아가 텍스트 표면에 드러나지 않는 일본의 ‘신주’ 문화의 영향을 가시화함으로써 ‘정사’ 모티프의 ‘한국적’ 형상화가 일본의 그것과의 대비적인 구성을 확인했다.

      • KCI등재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효과

        권정희,강은희,이윤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4

        본 연구는 간호사가 지각하는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16년 1월 1일부터 1월 30일까지 B광역시 소재 상급종합병원인 I 대학교 부속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 편의추출하여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연구대상자중 선정기준에 만족한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환자안전문화 인식, 환자안전관리 활동, 조직몰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안전문화인식은 환자안전관리 활동(r=.330), 조직몰입(r=.407)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조직몰입(r=.274)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환자안전관리 활동관계에서 조직몰입은 부분매개역할을 하였으며, 조절효과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증가할수록 조직몰입이 증가하고, 간접적으로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향상을 위해 조직몰입에 관심을 가지면서 환자안전문화 인식을 증가시키도록 병원내 환경 조성이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diator or moderator role of nurs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n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adopted. The sample included 150 nurses working in three tertiary university hospitals in B city by means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1.0 program.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perception on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However, organizational commitment did not show moderating e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ption on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had a strong relationship. This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nurs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increas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t is important for managers to create an organizational climate that promote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uture studies are encouraged to replicate the findings and also to better understan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n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 KCI등재

        대학생의 행복추구경향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권정희,정미예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9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orientations to happiness(OTH; engagement, meaning, pleasure), grit and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 A sample of 394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conduct the survey. This study was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f study question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engagement and pleasure OTH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grit except for meaning OTH. Engagement OTH and grit was positively related to each other, but pleasure OTH and grit was inversely related. Second, grit had a direct effect on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 Third, grit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engagement OTH and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 and between pleasure OTH and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 This study expanded on the research of student’s academic persistence and these results provides ideas for future research and college counseling program settings.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 행복추구경향(참여추구, 의미추구, 즐거움추구)의 관계에서 그릿이 어떤 구조적 관계를 보이는지 탐색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변인간의 관계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추구경향과 즐거움추구경향은 그릿에 각각 유의한 정적,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의미추구경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릿은 학업지속의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그릿은 참여추구경향과 학업지속의향, 즐거움추구경향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학업지속을 유지하기 위해 보다 원천적인 변인을 추가적으로 규명하고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고, 대학 상담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학업지속 상담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과 방안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문학의 상상력과 ‘공상’의 함의 -김우진의 <공상문학> 연구

        권정희 한국극예술학회 2013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39

        이 글은 극작가 김우진(金祐鎭)의 소설 <공상문학(空想文學)>(1913년)의 문학사적 의미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그간 김우진 연구는 근대연극사 안에서 희곡 작품이 평가의 중심을 이루면서 미발표 소설 <공상문학>은 습작으로 간주되어 학문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개별 연구로서 <공상문학>은 서양 소설과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공상문학>의 실증적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언급된 바 없는 일본 문화를 시야에 넣어 작품의 구성 원리와 의미를 조명했다. 나아가 이 글에서는 어떻게 1910년대 서양 소설과 조선의 소설을 애독하는 문학 지망의 여성 주인공이 조형될 수 있었는가를 고찰했다. 여기에는 ‘진정한 애정’의 문제와 소설 장르 인식이 동시에 작용한다. 즉 동시대 조선의 현실을 담아내려는 실재에 대한 의식과 현실에 부재한 근대소설의 장르적 기반을 ‘공상’ 개념에 의거하여 장르표지와 같은 표제로 표출되었다는 추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점에서 <공상문학>은 다양한 가능성을 내장함을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