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마찰감소 채널흐름의 유동특성

        박성룡,윤형기,Park, S.R.,Yoon, H.K. 대한설비공학회 1996 설비공학 논문집 Vol.8 No.4

        A 2D-LDV system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flow field characteristics in fully developed drag reducing turbulent channel flows. The additive used in this study was Habon-G which showed splendid drag reduction effect and minimum mechanical degradation trend in the closed flow circulation loop. In order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rag reduction mechanism, the instantaneous velocities were carefully measured under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and the flow characteristics including time-averaged velocity, turbulent intensity and Reynolds shear stresses were carefully assessed. The time-averaged velocity profiles of surfactant flows showed more parabolic shape(typically shown in a laminar flow) together with significant suppression of turbulent production, yielding the shear induced micelle structure orienting in the flow direction due to its isotrop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it was observed that the maximum intensity for drag reducing flows was shifted away from the wall and that the streamwise and normal turbulent intensities were strongly altered. This phenomenon strongly suggests that the viscous sublayer becomes thicker with addition of surfactant. Turbulent momentum transport was drastically suppressed across the whole drag reducing channel flow.

      • KCI등재

        장신구 시선 추적 실험을 통한 시지각적 반응과 인지적 판단의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박성룡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2 No.-

        The study was started to know the reason why some object was become visible first of all, and stayed for a long time, and looked over and over again to our eyes before other ones, and what kind of differences and relation were between perceptive response to generate watching frequency to the object and cognitive judgment as the empirical test. And also, this study tried to present correlation and causality about those questions based on the integrated and interdisciplinary tests between arts and psychologi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give some help using it effectively on the visual formative research in the future by checking again knowledges that are related visual perceptive response. Therefore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look over the states that were the watching-order or watching-frequency of the subjects to look at ring, earing, necklace, brooch and bracelet as representative jewelries with the tool called Eye-Tracker. And then it could grasp difference and interrelationships to be appeared between facts that one would know and how to react by stimulation. For example, kn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ual response to the stimulus given from the object and cognitive judgment to be built by knowledges and memories related to the object, it primarily looked over the perceptual response and carried out the experiment to observe watching-order or watching-frequency through eye-tracking. As another variable data in relation to this, researcher carried out a survey related to cognitive judgment to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and conducted the process of comparing and analyzing of two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show somehow differences in the order of priority to the proposition that means people watch the jewelries sequentially as perceived as important and valuable based on the past experiences and learning like cognitive judgment as first hypothesis proposed in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it is generally similar the order in which subjects look at the jewelries in the eye-tracking test to the proposition that means people watch them sequentially and repeatedly a for a long time depending on the features(size, form, color etc.) of the jewelries as second hypothesis. Through this experiment, researcher was able to uncover false states in correlation between perceptive response and cognitive judgment as follows. So to speak in the case of watching-order or watching-frequency, perceptive response and cognitive judgment may not match each other. 본 연구는 조형예술과 심리학의 다학제적 연구 활동으로써 ‘어떠한 대상이 무엇 때문에 다른 대상 보다먼저 우리의 눈에 띄게 되고 시선을 오래 머물게 하고 반복해서 바라보게 하는가?’ 그리고 ‘대상에 대한시각적 주시 빈도를 생성해 내는 지각적인 반응 그리고 기억, 학습에 의한 인지적 판단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으며 상호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인가?’에대해 상관적, 인과적 관계를 실증적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행된 연구 내용을 토대로 디자인이나 조형 관련 분야의종사자들이 그들의 주된 관심사로서 사람들의 눈길을끄는 것들에 대한 기초 지식을 학제간 융합적 연구를통하여 재점검 해봄으로써 향후 그들의 시각적 조형- 102 - 연구에 참고 자료로 활용되는데 미약하나마 도움이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대표적인 장신구로써 반지, 귀걸이, 목걸이, 브로치, 팔찌에 대해 이를 바라보는 피험자 시선의 주시 순서나 빈도를 시선 추적 장치(Eye-Tracker)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인지하고 있는 사실과 자극에 의해 반응하는 방식의 사이에 생겨나는 차이와 상호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테면 본 연구는 대상물로부터 주어지는 자극에 대한 지각적 반응과 대상물과 관련한 학습과 기억에 의한 인지적 판단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일차적으로 지각적 반응을 살펴볼 수 있는아이 트래킹 실험을 통하여 시선 추적과 주시 빈도등을 관찰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와관련한 또 다른 변량 자료로써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들에게 인지적 판단과 관련해서 질문지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 두 변량을 비교분석하는 과정으로 연구를 이행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진행된 연구 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의 가설로 제시한 내용 중 첫째, ‘사람들은 과거의 경험과 학습에 근거하여 중요하고가치 있다고 인식하는 대로 장신구들을 순차적으로주시한다.’라는 명제에 대해 실험 결과는 피험자들 대부분이 자극물을 바라보는 순서가 인지적 판단에 의한 우선순위와 차이를 나타내 보였다. 둘째, ‘장신구의특성(크기, 형태, 색깔 등)에 따라 순차적으로 오랫동안 반복해서 주시한다.’에 대해서는 아이 트래킹 실험에서 피험자들이 장신구를 바라보는 순서와 대체적으로 비슷하였다. 이를 통해서 본 연구는 그동안 지각적반응과 인지적 판단은 거의 일치할 것이라는 잘못된통념과 인식들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제간 융복합적 성과라 할 수있으며 조형이나 디자인 영역에서 새로운 시지각적접근이나 검증 방법을 제시해 본 것으로써 학문적으로 이 분야에 얼마간 일조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그리고 이번 연구의 경우는 전문가 집단에 한정하여 실험이 진행되었으나 향후 표본 집단을 일반인 대상으로 확장하고 장신구의 종류나 형태, 소재, 색상등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보다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난류 관유동에서 마찰저항감소 첨가제에 대한 펌프와 온도의 영향

        박성룡,서항석,윤형기,Park, S.R.,Suh, H.S.,Yoon, H.K. 대한설비공학회 1996 설비공학 논문집 Vol.8 No.3

        The effects of pump and temperature on drag reducing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with a polymer(PAAM : Polyacrylamide) and three kinds of surfactants(CTAC, STAC, Habon-G) in fully developed turbulent pipe flows with various experimental parameters such as additive concentration(30~500ppm), pipe diameter(4.65mm, 10.85mm), Reynolds number($4{\times}10^4{\sim}10^5$) and working fluid temperature($20{\sim}80^{\circ}C$). The pump effect on PAAM was severe such that the drag reduction rates obtained with pump were decreased upto 30% as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with compressed air in 4.65mm test section. The temperature effect on PAAM was noticeably considerable, that is, the higher temperaute, the less drag reduction rate.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pump effect on the surfactants was observed. The drag reducing effectiveness of CTAC was totally lost in the temperature ragne of 60 to $80^{\circ}C$, whereas STAC and Habon-G kept their distinct drag reducing capability at a temperature of $80^{\circ}C$. This study clearly elucidated that for DHC application of drag reducing additives, the pump and temperature effects as well as additive concentration and pipe diameter should be care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 IMT-2000/IS-95 단말기용 Dual band SiGe HBT MMIC 상향 주파수 혼합기와 가변이득 증폭기의 설계

        박성룡,김창우 경희-다반 ASIC 설계교육센터 2000 경희-다반 ASIC센터 논문집 Vol.1 No.-

        SiGe HBT를 이용하여 IMT-2000/IS-95 단말기용 Dual band MMIC 상향 주파수 혼합기와 가변이득 증폭기를 설계하였다. 동작 전압은 2.7 V 이며, 이중평형 구조의 상향 주파수 혼합기는 IMT-2000 주파수 대역의 경우 12 dB의 변환이득, -1 dBm의 1 dB 이득압축 출력전력, 30 dB 이상의 LO-RF 단자 격리도, 1.26의 LO-VSWR, 1.12의 RF-VSWR의 특성을 가지며, IS-95 주파수 대역의 경우 12 dB의 변환이득, -0.6 dBm의 1 dB 이득압축 출력전력, 30 dB 이상의 LO-RF 단자 격리도, 1.25의 LO-VSWR, 1.34의 RF-VSWR을 가진다. 상호컨덕턴스형 가변이득 증폭기는 IMT-2000 주파수 대역의 경우 28dB의 최대 선형이득, 14 dBm의 1 dB 이득압축 출력전력, 26 dB의 가변이득, 23.5 dBm의 3차 상호변조 교점 출력전력(OIP_(3)), 1.13의 입력 VSWR, 1.16의 출력 VSWR 특성을 보이며, IS-95 주파수 대역의 경우 35 dB의 최대 선형이득, 13 dBm의 1 dB 이득압축 출력전력, 46 dB의 가변이득, 23 dBm의 3차 상호변조 교점 출력전력(OIP_(3)), 1.27의 입력 VSWR, 1.1의 출력 VSWR 특성을 보인다.

      • 산업폐수 열원이용 GHP 기술

        박성룡 대한설비공학회 2003 설비저널 Vol.32 No.3

        대구염색산업단지 염색폐수의 특성과, 이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GHP 시스템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