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기창(董其昌, 1555-1636)의 대필화가 연구

        장진성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0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6 No.-

        Dong Qichang is perhaps the most influential and eminent painter, calligrapher, and art theorist in late Ming China. He created the theory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schools of painting, establishing sets of canonical models for literati painters in the Southern school and harshly criticizing the practice of professional and court painters in the Northern school. He dismissed the Northern school as heterodox. The art-historical formulations through which he codified his understanding of the past laid the foundation for the creation of the myth of literati painters. Dong has been considered to be a truly high-minded artist embodying the amateur ideal in Chinese painting who was never involved in the commercial transactions of paintings. Contrary to our understanding of Dong Qichang, he was an active artist-entrepreneur producing and selling a large number of paintings for commercial purposes. He even employed ghostpainters to meet the high demand for his paintings. Qi Gong’s 1962 seminal essay on Dong’s ghostpainters laid the groundwork for understanding how they worked for him. Thanks to Qi’s research, Zhao Zuo (ca. 1570-after 1633), Monk Kexue (fl. early 17th century), Shen Shichong (fl. ca. 1607-40), Wu Zhen (fl. early 17th century), Wu Yi (fl. early 17th century), Ye Younian (1590-1669), and Zhao Jiong (fl. early 17th century) came to be identified as Dong’s ghostpainters. Nonetheless, no close examination has been made of what paintings by or attributed to Dong were, in fact, created by them.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aintings that they ghostpainted for Dong. In all likelihood, Green Mountains, White Clouds, and Red Trees by Dong in the Guangdong Provincial Museum and Boneless Landscape after Yang Sheng, dated 1615, in the Nelson-Atkins Museum of Art, were painted by Zhao Zuo. “Boneless Landscape after Zhang Sengyou,” one leaf from the Album of Landscapes in the Styles of Old Masters in the Shanghai Museum and Concealing Clouds and Scattering Rain in the Low Chuck Tiew Collection in Hong Kong by Dong are thought to have been painted by Shen Shichong. Wu Zhen joined them in ghostpainting Autumn Colors in Lakes and Mountains in the Wuxi Museum for Dong. Although Monk Kexue, Wu Yi, Ye Younian, and Zhao Jiong acted as ghostpainters for Dong, there is no visual evidence proving how they worked for him. It must be noted that Chen Jiru (1558-1639), in a letter to Shen Shichong, sent the latter a piece of white paper together with a brush fee of three-tenths of a tael of silver on behalf of Dong Qichang. This episode serves to highlight how Dong used his ghostpainters in the business of painting. He is said to have even used his concubines to sell his paintings. Dong was a commercially successful painter with high business acumen. 동기창(董其昌, 1555-1636)은 명나라 말기에 활동한 화가이자 서예가이며 회화이론가이다. 그는 남북종론(南北宗論)을 통해 문인화 절대우월론을 제기하였다. 동기창은 문인화를 남종화(南宗畵)로, 직업화가 및 궁정화가들이 그린 그림을 북종화(北宗畵)로 이분(二分)한 후 그림의 절대적인 기준을 남종화로 확정하였다. 그는 문인화가들의 계보를 설정한 후 이 계보에 속하지 않는 직업화가 및 궁정화가들을 이단으로 규정하였다. 아울러 그는 상업화된 문인화가들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동기창은 이론과 실제 모두에 있어 문인화의 절대 우월론과 문인화의 정수(精髓)가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그는 대필화가(代筆畫家)들까지 고용하여 밀려드는 그림 수요에 대응했던 매우 상업적인 화가였다. 즉 겉으로 그는 가장 순수한 문인화가로 자처했지만 실상에 있어서는 지극히 상업적인 화가였던 것이다. 1962년에 발표된 치공(啟功)의 「董其昌書画代笔人考」는 동기창이 어떻게 대필화가를 고용하여 폭주하는 그림 주문에 대응했는가를 밝힌 기념비적인 글이다. 치공은 여러 문헌 자료를 검토하여 동기창의 대필화가로 조좌(趙左, 1570년경-1633년 이후), 승(僧) 가설(珂雪, 17세기 초에 활동), 심사충(沈士充, 대략 1607년-1640년에 주로 활동), 오진(吳振, 17세기 초에 주로 활동), 오역(吳易, 17세기 전반에 활동), 섭유년(葉有年, 1590-1669), 조형(趙泂, 17세기전반에 활동)을 거론하였다. 동기창의 〈청산백운홍수도(靑山白雲紅樹圖)〉, 〈의양승몰골산도(擬楊昇沒骨山圖)〉는 조좌가 제작한 대표적인 대필화이다. 동기창의 〈의장승요몰골산도(擬張僧繇沒骨山圖)〉와 〈운장우산도(雲藏雨山圖)〉는 심사충이 그린 것으로 여겨진다. 동기창의 〈호산추색도(湖山秋色圖)〉는 오진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승 가설, 오역, 섭유년, 조형도 대필화가로 활발하게 활동했지만 전세(傳世) 작품이 거의 없어 이들이 그린 대필화는 현재 확인하기 어렵다. 동기창이 대필화가들을 어떻게 고용했으며 어느 정도의 윤필료(潤筆料)를 지급했는지는 진계유가 심사충에게 보낸 편지에 잘 나타나 있다. 진계유는 심사충에게 종이 한 폭과 은(銀) 삼성(三星, 0.3량)을 보내 동기창을 위한 대필화를 그리도록 부탁했다. 그는 심사충에게 단 하루의 시간을 주고 빨리 대필화를 완성하도록 했으며 동기창이 관서를 할 예정이니 그림에 낙관은 하지 않아도 좋다고 하였다. 동기창이 이들에게 준 윤필료는 거의 착취에 가까운 금액이었다. 결국 동기창은 이들을 활용해 엄청난 돈을 벌었다고 할 수 있다. 그가 중년 이후 사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대필화가들을 고용해 그림을 제작한 것은 경제적 이윤 추구가 가장 큰 목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심지어 희시(姬侍, 첩)들을 활용해 다량의 대필화를 그림 고객들에게 팔았다. 동기창은 평생을 철저히 상업적인 화가로 살았던 인물이다.

      • KCI등재

        조선 후기 미술과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조선 후기 고동서화(古董書畵) 수집 및 감상 현상과 관련하여

        장진성 진단학회 2009 진단학보 Vol.- No.108

        서유구(徐有榘, 1764-1845)의『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는 전체가 16지(志)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13권 54책으로 이루어진 농업, 수리, 의학, 음식, 예술 등 인간 생활에 기초적인 일상, 문화, 여가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거질(巨帙)의 총서 혹은 유서(類書)이다.『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중 조선 후기 미술과 관련하여 중요한 자료는「유예지(遊藝志)」권 3 <서벌(書筏)> 및 권 4, 5 <화전(畵筌)>과「이운지(怡雲志)」권 5, 6 <예완감상(藝翫鑑賞)>이다. <화전(畵筌)>과 <예완감상(藝翫鑑賞)>은『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실려 있는 고동서화(古董書畵) 관련 자료로써 서유구의 서화 및 골동품 감상학(鑑賞學)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화전>에 실려 있는 회화 관련 자료의 편집 및 구성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어떤 특정한 서적을 기본 모델로 하여 기타의 서적을 참조한 후 편집한 것이 아니라 서유구 자신이 해당 항목별로 필요한 자료를 발췌하여 채록하고 있는 점이다. 둘째 <화전>에는 인용한 자료에 대한 문헌 비평이나 편집 방식에 대한 서유구 자신의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 저자의 논평이 배제된 체 편집자의 ‘선편(選編)’ 형식으로 세부 항목을 설정하고 다양한 서적에서 필요한 자료를 발췌, 인용하고 있는『임원경제지』의 ‘엮음’ 방식은 미술관련 자료 전체를 관통하는 특징이다. 이것은 『임원경제지』가 농업, 천문, 건축, 의학, 미술, 음악 등 다양한 분야의 학문 영역을 분야별로 나누어 해당 학문 분야의 지식과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수록한 참고용 서적인 유서(類書)라는 사실에 기인한 것이다. 즉『임원경제지』는 창의적인 저술이라기보다는 지식과 정보의 실제적인 활용을 위하여 여러 문헌에서 필요한 내용을 수합, 재편집하고 자신의 의견을 수록한 유서로서 서유구는 저자가 아닌 편집자로서 지식과 정보를 회취(會聚)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던 것이다. <화전>과 <서벌>의 경우 이러한 『임원경제지』의 구성 방식 및 성격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이운지(怡雲志)」 권 5, 6의 <예완감상(藝翫鑑賞)>은 고동기(古銅器), 고옥기(古玉器), 고요기(古窯器), 법서(法書), 명화(名畵), 도서(圖書) 등 고동(古董)의 다양한 종류, 형식, 감상 및 수장 방법, 감식, 관리, 수리법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예완감상>에서 주목되는 몇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동(古董)의 감상과 수장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발췌, 수록하고 있는데 조희곡(趙希鵠, 1180-1240년 경 활약)의『동천청록집(洞天淸祿集)』, 미불(米芾, 1050/51-1107)의『화사(畵史)』, 고렴(高濂, 1573년 경 활약)의『준생팔전(遵生八牋)』을핵심 문헌으로 이용하였다. 서유구는 특히『준생팔전』의 <연한청상전(燕閒淸賞牋)>에 수록되어 있는 대부분의 내용을 「이운지(怡雲志)」 전체에 걸쳐 필요한 항목별로 분류, 배치하고 있을 정도로 『준생팔전』에서 많은 내용을 발췌하였다. 둘째 <화전>과 마찬가지로 <예완감상>은 서유구 자신의 저술 내용이 없이 다양한 문헌자료를 ‘엮음’의 형식을 통해 항목별로 분류, 편집해놓고 있다. 그런데 <화전>과 달리 <예완감상>에는 주석(註釋)인 ‘안(案)’을 사용하여 기록상 상이(相異)한 점이 발견될 경우 부가 설명을 가하거나 또는 자신의 의견을 표시하기도 하였다. 서유구 자신의 감평(鑑評) 결과인 ‘평(評),’ 고증 사실을... Sŏ Yu-gu’s Imwŏn kyŏngjeji (Treatises on Forestry and Economy) is an encyclopedic collection of treatises on such fields of knowledge as agriculture, horticulture, fishing, architecture, medicine, astronomy, art, and leisure. Imwŏn kyŏngjeji is one of the major works of the practical learning (sirhak) school, exploring the full spectrum of life from agriculture and daily activities to the yangban class’s intellectual, cultural, and recreational pursuits. It is a vast and comprehensive assemblage of data in the whole range of scholarly endeavor. Such treatises as the Hwajŏn (Painting Basket) part of the Yuyeji (Seeking Delight in the Arts) chapter and Yewan kamsang (Appreciation of Artworks) section of the Iunji (Enjoyment and Clouds) chapter include numerous sources of information for members of the ruling yangban class to collect and appreciate antiques. Sŏ Yu gu systematically compiled texts on how to collect and use antiques and added his critical comments on some sources of information. Although Sŏ Yu-gu left his comments and thoughts, Imwŏn kyŏngjeji is basically an encyclopedic assemblage of texts that he collected and edited. In the strictest sense, Sŏ Yu-gu was not the author of all the treatises in the Imwŏn kyŏngjeji. He was the editor and compiler of the treatises. Most of the texts in the Iunji and Yuyeji chapters are derived from Chinese textual sources on the collecting and appreciation of antique objects. Despite mistakes in citing Chinese sources, Sŏ Yu-gu’s editorial skills are remarkable in the systematic organiz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the appreciation of paintings, calligraphy, bronze vessels, brushes, and ink stones. Major Chinese texts on antiques such as Zhao Xigu’s (active 1180 1240) Dongtian qinglu ji (Treatise on the Pure Appreciation of Antiques), Mi Fu’s (1050/51 1107) Huashi (History of Painting), and Gao Lian’s Zunsheng bajian (Eight Discourses on the Art of Living, preface 1591) constituted major components of the treatises on the collecting and appreciation of antique objects in the Imwŏn kyŏngjeji, offering practical information on connoisseurship, preservation, and conservation of antiques. The primary purpose of the Imwŏn kyŏngjeji is to provide practice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how to purchase antique objects of the highest quality and how to use them in daily life. In this respect, the Imwŏn kyŏngjeji is a “how-to-do-it” book, serving as a handbook for the cultural life of a scholar. It must be noted that the publication of the Imwŏn kyŏngjeji is inseparable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hat took place in the late Chosŏn period. The late Chosŏn period was a time of prosperity in which the collecting of luxury goods and antiques became a distinctive component of the culture of consumption. Chosŏn society entered the age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leisure in which the pursuit of pleasure and pastime activities played a central role in shaping the cultural landscape of the period. The antique market in Unchong’ga (present day Chongro), the largest commercial district of old Seoul, rapidly expanded to the point where all the streets were filled with various kinds of Chinese collectibles. The nation wide frenzy about collecting antiques created a large number of aficionados whose excessive spending on Chinese objects became a social problem. This phenomenon indicates that the late Chosŏn period ushered in an era of leisure consumption. The commercialization of leisure is clearly found in the new attitude of the yangban class pursuing the pleasures of collecting luxury goods and antiques and traveling to famous scenic sites. The Imwŏn kyŏngjeji is one of the “how to do it” books for the yangban class to seek delight and enjoyment in elegant and refined leisure activities. The treatises in the Imwŏn kyŏngjeji, dealing with the collecting of antiques, served as a basic handbook for scholar connoisseurs to disce...

      • 국내 식물의 종자성숙기에 관한 고찰 (Ⅱ) : 목본식물을 중심으로 Determination of the best dates for seed collections of woody plants

        張珍成,金輝,李善姬 서울대학교 수목원 2001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21

        The seeds of 163 taxa at front the diverse wild populations in south Korea were collected by our staffs of the Arboretum for six years (1995-2000). More then 138 taxa (ca, 85%) were collected mainly from September to October. Successful long-terml survey is recommended to determine the befit dates for seed collections of woody plants in Korea.

      • KCI등재

        정선의 그림 수요 대응 및 작화 방식

        장진성 동악미술사학회 2010 東岳美術史學 Vol.0 No.11

        정선(鄭敾, 1676~1759)은 조선 후기에 중국적인 화풍을 모방하던 전통적인 화풍에서 벗어나 금강산과 서울의 명승명소(名勝名所)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새로운 진경산수화풍을 개창한 화가로 높게 평가되어 왔다. 정선의 작가적 생애, 정선 화풍의 양식적 특징과 미학적 가치, 정선과 후원자,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회화이론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그 동안 이루어져 정선의 생애와 예술세계에 대한 상당한 이해에 도달하게 되었다. 그러나 정선이 어떠한 상황에서 그림을 제작하였으며 누구를 위하여 회화작품을 제작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하였다. 즉 정선의 진경산수화 작품들에 대한 사회적 수요는 어떠한 양상이었으며 정선은 이러한 그림 수요에 대응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그림을 제작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학술적인 관심이 부족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정선의 그림 수요 대응 및 작화 방식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정선의 화가로서의 일상생활을 규명하고자 한다. 분주한 일상생활 속에서 정선은‘휘쇄필법(揮灑筆法)’이라는 한 번에 쓸어내리듯 급히 휘두른 필묵법으로 폭주하는 그림 수요에 대응해 나갔다. 즉 매우 빠른 붓질로 경물을 신속하게 그려내는 정선의 작화 방식은 그림 주문이 너무 많아 하나하나 성의를 다해 그릴 수 없는 상황에서 급히 그림을 그리기 위해 고안해낸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병연(李秉淵, 1671~1751), 조영석(趙榮, 1686~1767), 권섭(權燮,1671~1759), 신돈복(辛敦復, 1692~1779), 강세황(姜世晃, 1713~1791), 심재(沈縡, 1722~1784), 이규상(李奎象,1727~1799) 등은 정선의 그림을 평가하면서 모두‘휘쇄필법’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을 정도로 정선의 그림 수요 대응 방식으로 휘쇄필법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조영석은 정선이 그림 주문에 시달려 피곤하고 지친 필법인‘권필(倦筆)’로 그림을 그렸으며 그림 주문이 폭주할 경우‘응졸지법(應猝之法),’즉 갑작스러운 그림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임시방편적으로 그림을 그리는 경우가 많았음을 지적하고 있다. 즉‘휘쇄필법,’‘권필,’‘응졸지법’은 정선의 바쁘고 지친 일상생활과 밀려드는 그림 주문을 감당하기 위해 고안해 낸 형식적인 필묵법으로 상호간에 깊은 연관성을 지닌다. 즉‘휘쇄필법,’‘권필,’‘응졸지법’은 정선이 그림 주문에 시달려 바쁜 일상 속에서 정성을 들이지 않고 대충대충 형식적으로 그린‘수응화(酬應畵)’제작을 위해 사용한 필묵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정선이 한가할 틈도 없이 거의 매일 그림을 그릴 수밖에 없었던 것은 정선 그림의 높은 가격 때문 이었다. 정선의 그림은 화첩의 경우 보통 30~70냥 정도했으며 따라서 작은 조각 그림도 모두 보배로 여길정도로 정선 그림의 인기는 대단하였다. 아울러 정선의 그림을 중국으로 가져가 파는 경우가 있었는데 중국에서 정선 그림은 100~130금(金)을 호가하였다. 18세기 전반 중국 청나라 인기 화가들의 그림들이 대 부분 6금(金)이하이며 건륭제(乾隆帝, 1736~1695년 재위) 시기의 일급 궁정화가들의 한 달 월급이 11금이라는 사실을 고려해 볼 때 정선 그림의 가격은 경이로운 일이었다. 정선은 자신의 그림을 사서 중국에 되팔려는 사람들의 그림 요구로 나날이 쉴 틈 없이 그림을 그렸던 것이다. 조영석이 언급하고 있듯이 정선의 화가로서의 명성이 높아지자 비단은 날로 쌓여가고 한가할 틈이 없어졌을 정도로 정선은 매일 그림을 그렸지만 엄청난 그림 수요를 감당할 수 없었다. 정선은 생의 거의 마지막까지 그림 주문에 대응하는 바쁜 삶을 살았다. 『열하일기(熱河日記)』에서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은“겸재(정선)는 80여세가 되어도 여러 겹의 두터운 안경을 쓰고 촛불 아래에서 세밀한 그림을 그렸는데 터럭만큼도 실수가 없었다(謙齋年八十餘, 眼卦數重鏡, 燭下作細畵, 不錯毫髮)”라고 노화가(老畵家) 정선의 그림 그리던 상황을 전하고 있다. 눈이 어두워 두터운 안경을 쓰고 촛불 아래에서 열심히 그림을 그리던 80여세 노인 정선의 일상생활은 현재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그의 또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plores the ways in which Ch˘ong S˘on (1676-1759) responded to painting requests in everyday life. Ch˘ong has long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creative and eminent painters of late Chos˘on Korea. He played a pivotal role in laying the foundation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During his lifetime, Ch˘ong traveled to Mount K˘umgang (Diamond Mountains) and other famous scenic sites along the East Sea area and created a large number of paintings depicting the splendid beauty of famous places. He also traveled frequently to historic and scenic places in and around the capital city of Hanyang and painted numerous topographical landscapes of them. He was a brilliant and creative painter whose genius and innovative mind led to the creation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and set a new paradigm for late Chos˘on painting. At the same time, however, he was a lucrative and entrepreneurial painter who had to deal with numerous painting requests from patrons and clients. Ch˘ong S˘on received too many commissions to manage. The painting requests were overwhelming to the degree that he employed his son and his students as ghost painters to meet the demand. As painting commissions became too pressing, he painted a large number of routine paintings with schematized compositions, loose and mechanical brushwork, and repetitive ink dots. Many textual records note that Ch˘ong S˘on used frequently the speedy and cursory brushwork in the making of routine landscapes. Tired of completing commissioned works, he wielded his brush to make such perfunctory landscapes. It is not surprising to find that many of his extant paintings are routine landscapes. This is indicative of how he was reluctant to respond to painting requests and how his everyday life as a painter was devoted to resolving the problem of commissioned works. Ch˘ong S˘on was the most celebrated and best-paid painter of his time. This pushed him to work constantly on numerous commissions. His paintings were highly paid even in the art market in Beijing so that members of the Korean envoys to China put much pressure on Ch˘ong to paint pictures for them, pictures that were to be sold at more prices in china. Ch˘ong was the most creative yet the busiest painter to respond to all different kinds of painting requests. His life as the most sought-after painter of his day sheds new light on how he worked and lived. Examination of the reality and myth of Ch˘ong S˘on’s life serves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various dimensions of his career as the most creative yet commercially successful painter.

      • KCI등재

        Preparation of Heat-treated Iron-Phthalocyanine Cathode Catalysts and their Active Sites Evaluation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in Alkaline Media#

        장진성,김상경,김지영,백동현,정두환 대한화학회 2015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6 No.3

        A heat-treated iron-phthalocyanine cathode catalyst was used to oxygen reduction reaction (ORR) in alkaline media. Heat-treatment temperature was determin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s of the electrocatalysts were performed by X-ray diffraction (XR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The electrochemical activities of the catalysts were examined for ORR in alkaline media using rotating disk electrode (RDE) system. Acid treatment of iron-phthalocyanine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ole of metal in the nitrogen-containing non-noble metal catalyst. Durability studies were carried out by means of an accelerated durability test of 4000 voltametric cycles. ORR activities were higher when the catalysts were treated at lower temperature. As a result of the XPS and ORR tests, the transition metal itself is not an active site for ORR. Nitrogen appeared to be the active site of heat-treated iron phthalocyanines for ORR in alkaline media.

      • KCI등재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granular propellant movement in interior ballistics based on the interphase drag model

        장진성,오석환,노태성 대한기계학회 2014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8 No.11

        Interior ballistics are completed in tens of milliseconds, as are all gun-firing phenomena. Thus, some data cannot be measured directlythrough experimentation. Therefore, such complex gun-firing phenomena are traditionally clarified by numerical analysis. In the twophaseflow of interior ballistics, interphase drag has a strong effect on propellant particle movement. This drag is a momentum sink in thegas phase and a corresponding source of momentum for the solid phase. Previous studies have calculated the drag force on the propellantparticles using Ergun’s empirical equation, which was developed for a dense bed and relates the drag to the pressure drop through porousmedia. However, the particulate bed is fluidized in the course of the cycle of interior ballistics, thus indicating that the flow field is transientwith regions of high Reynolds number beyond the range of experimental data. The Ergun equation is examined through a compensationstudy and calibrated based on the Reynolds number using the numerical method. Moreover, the influence of different drag modelson flow behavior and propellant movement in interior ballistics is analyzed.

      • 樹木園 所藏標本을 中心으로 한 國內 木本 植物의 分布地와 識別에 대해서 (XII) : 장미과 사과나무아과에 대해서

        張珍成,張桂羨 서울대학교 수목원 2005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25

        樹友표본관(SNUA)에 소장된 표본을 중심으로 정리한 결과 국내 자생하는 장미과 사과나무아과는 8속(마가목속, 배나무속, 사과나무속, 산사속, 채진목속, 섬개야광나무속, 윤노리나무속, 다정큼나무속), 13종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마가목속 중 주로 중국 동북 3성과 백두대간에 분포하는 당마가목과 일본을 중심으로 주로 한반도 남부에 분포하는 마가목은 동아에 발달하는 털의 여부로 구분하지만 두 종간의 분류학적 실체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배나무속의 산돌배의 경우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주로 강원도 등에 분포하고 돌배나무나 콩배나무 등은 경기도를 중심으로 남쪽에 분포하는 분류군이다. 사과나무속은 분포에 있어 야광나무는 주로 중국 동북지역과 일본 북부, 우리나라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하고, 아그배나무는 주로 중국 남부와 일본남부, 우리나라 경기 이남에 분포하며, 이노리나무는 주로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함경남북도에 분포하며 강원도 설악산과 점봉산이 남한계선으로 과거 산사나무속으로 처리되었던 것을 현재 사과나무속으로 처리하고 있다. 산사나무는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분포하지만 경기도 및 충청도에서도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분류군이다. 채진목은 제주도만 분포하고, 섬개야광나무는 울릉도에 분포하며, 윤노리나무는 서해안을 따라 분포하고, 다정큼나무는 태안반도 및 남해안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o clarify the taxonomy of Rosaceae, Maloideae, herbarium specimens collected from South Korea past fifty five years were examined on the basis of leaf, flower, and fruit morphology. This study showed that eight genera (Sorbus, Pyrus, Malus, Crataegus, Amelanchier, Cotoneaster, Photinia, and Rhaphiolepis) with thirteen taxa could be recognized: Sorbus alnifolia, S. commixta, S. pohuashanensis, Pyrus ussuriensis, P. pyrifolia, P. fauriei, Malus toringo, M. baccata, Crataegus pinnatifida, Amelanchier asiatica, Photinia villosa, Rh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and Cotoneaster multiflorus. Based on herbarium specimens deposited at The Arboretum herbarium (SNUA) to these taxa, the distribution maps and keys were provided here.

      • KCI등재

        1차원 수치 해석을 통한 강내탄도 성능해석

        장진성,성형건,노태성,최동환,Jang, Jin-Sung,Sung, Hyung-Gun,Roh, Tae-Seong,Choi, Dong-Whan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2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5 No.3

        Performance analysis of the interior ballistics has been conducted using the 1-D numerical code called IBcode according to the various conditions such as length of ignition-gas injector, amount of ignition-gas, mass of projectile, and drag force of projectile. In case of the length of ignition-gas injector, the 25~100 % of the full-injector length has been considered as well as the mass & mass flow of the ignition-gas. The mass of the projectile 5~70 kg and its drag force of 0~69 MPa have been also considered. Variables such as breech & base pressure, negative differential pressure and muzzle velocity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have been sorted, too. Firing conditions for the optimal performance have been investigated through these variables.

      • 경기도 북부에 소재한 開明山의 植物相

        張珍成,金輝,張桂羨,金正猷 서울大學校農業生命科學大學附屬樹木園 2003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23

        개명산 지역의 일반식물상을 밝히고 정밀한 식물분포 자료 및 특정식물종에 대한 정보를 구축하기 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개명산을 대상으로 총 6개 경로를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내에 1km×1km의 지도상의 격자를 33개 설치하여 각 격자 내에서 정밀한 식생과 특정식물종의 분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사결과 개명산지역 산림에는 61과 124속 163종류의 식물이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정식물종으로는 솔붓꽃 한 종류만이 발견되었다. 현재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각 지역별 보전우선 지역을 파악한 결과 환경부의 특정식물종이 발견된 F2지역과 다양한 초본식생이 발견되는 C2, E2 지역에 대한 보전에 있어 우선순위가 부여되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t. Gae-myeong (alt. 621.8m) and adjacent regions were investigated for floristic study using the GPS. Also, our current field work was intended to inventory rare and endangered plants using thirty three meshes and six routes. From this study, 163 taxa of 61 families and 124 genera were found and collected. Major vegetation type was composed of oak community here, such as Quercus serrata - Q. dentata - Q. mongolica - Q. acutissima. Also, many planted taxa, Larix kaempferi - Pinus rigida - Pinus koraiensis were easily found within the investigated area. Among many studied sites, three meshes, C2, E2, and F2 were found to be core area for prot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