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화콘텐츠 도시로서 춘천(春川)의 가능성과 과제 : 춘천 애니메이션파크(Animation Park)를 중심으로

        은화,임영상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4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

        춘천은 90년대 후반부터 문화와 멀티미디어 산업에 집중하면서 기존의 자연친화적 도시이미지의 한계를 넘어, 최근에는 ‘문화산업 도시’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춘천시 서면 일대에 조성된 ‘애니메이션파크’는 춘천 문화산업의 랜드마크인 동시에 주요 문화관광지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내 유일의 애니메이션 테마파크이자 클러스터인 ‘춘천 애니메이션파크’를 중심으로, 춘천이 문화콘텐츠 도시로서 성장하는데 어떠한 가능성과 과제를 갖고 있는지 고찰해보고자 한다. 사전 문헌연구 및 현장답사를 토대로 2장에서는 춘천이 어떻게 문화산업 도시로서 정체성을 갖게 되었는지를 알아보았으며, 3장에서는 SWOT분석을 통해 애니메이션파크가 춘천 문화콘텐츠 산업의 구심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논하고, 이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해보았다.

      • KCI등재후보

        한국불교용어의 로마자표기에 대하여

        은화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use of romanization of Korean Buddhist terms; to analyze it in comparison with some typical examples by foreign scholars; and to propose the author’s own prescription. To serve the purpose, the author made a case analysis of romanized Korean Buddhist terms as shown in the Korean Citation Index(KCI) and then pointed out not a few inconsistent romanizations of Korean Buddhist proper names and key technical terms. To help one understand the transcrip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author first of all presented the two standard rules currently being used, the one by the government(2000) and the other by McCune - Reischauer(1939), while at the same time demonstrating the different transcriptions of personal names between the two. Both the present rules lack the principles for word division and capitalization despite their necessity for the Buddhist romanization. Thus,the author emphasized that the transcription for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should follow the existing governmental system, but that the syntactic rules like word division should reflect the feature of both Korean and western languages like English. Besides, the present author made it clear that the principle of transcribing by indigenous sound should be applied to the technical terms in general as well as to the proper names. Next, he investigated which is the appropriate romanization for ‘한국 禪’,‘Korean Seon or Zen’, and extended such discussion to other Korean Seon Buddhist terms like ‘간화선’ and ‘화두’. Finally the author proposed some principles for syntax, viz., word division and capitalization, and also several expected effects of correct romanization for the Korean Buddhist terminology. 본고의 목적은 한국불교용어의 로마자표기 현황을 검토하고, 아울러 현행규정과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그리고 현재 서구 학계에서 통용되는 한국불교의 로마자표기 사례들을 비교 ․ 분석하여 필자 나름의 세칙을 제시하는 데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근년의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등재된 불교관련논문의 로마자표기 사례를 분석하여 인명, 지명, 개념어 등의 로마자표기가일관성 없이 사용되는 사례를 지적해보았다. 우선 필자는 한국의 표준 표기법인 문광부 방식과 해외에서 많이 사용되는 매큔 - 라이샤워 방식을 제시하여두 방식의 차이를 명확히 제시하면서 아울러 두 방식의 인명표기가 다른 점도摘示 해 보았다. 현행 문광부 방식은 띄어쓰기나 대문자 표기 규정이 없는데 불교표기에서는 이런 규정이 꼭 필요하다. 따라서 한국어 자모의 표기는 문광부 방식으로 하되, 띄어쓰기 등의 통사규칙은 한국어뿐 아니라 서양언어의 관습도 고려할필요가 있음을 역설했다. 또한 원지음표기의 원칙을 인명 ․ 지명의 고유명사뿐아니라 일반 개념어에도 확장해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밝혀 보았다. 이어서, ‘한국 禪’의 적절한 로마자표기를 알아보면서 ‘Seon’과 ‘Zen’의 두 표기의차이를 분석해 본 후 ‘Seon’이 더 적합함을 논증해 보았으며 더불어 ‘간화선’,‘화두’ 등 한국 선과 관련된 어휘에 대한 표기에 대해서도 바람직한 기준을고찰해 보았다. 다음으로 통사적인 원칙으로서 띄어쓰기와 대문자 사용에 대한 원칙을 제시해 보았으며 결론에서는 올바른 로마자표기의 기대효과를 정리해 보았다.

      • 청소년 동아리를 활용한 축제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은화(Chang Eun-Wha)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2014 글로컬창의문화연구 Vol.- No.4

        국내에서 연희되고 있는 축제는 1990년 중·후반부터 급속도로 증가하여 현재는 약 1,000여개가 지역 곳곳에서 열리고 있다. 하지만 그 대부분은 성인들이 중심이 되는 축제이다. 그 과정에서 청소년들은 어른들 틈에 낀 소외 대상이 되며, 음주 등 성인문화에 그대로 노출되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청소년 축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특히 ‘청소년 동아리’를 활용한 축제의 활성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고는 1장 서론에 이어 이론적 배경을 위해 2장에서 기존 연구와 문헌을 토대로 청소년 여가와 동아리의 개념, 활동 현황을 정리했다. 3장에서는 국내에서 개최되고 있는 청소년 동아리를 활용한 축제 사례 및 문제점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2012 인천 청소년 문화 대축제>, <2012 관악 책잔치-평생학습 마을축제>, <2012 서울시 청소년 문화존 페스티벌>을 현장 모니터링 하였고, 참여자에게 메일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4장에서는 청소년 동아리를 활용한 축제의 필요성 및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청소년 동아리를 활용한 축제 활성화’로 인해 청소년들에게 보다 건강한 여가 및 문화생활을 제공하는데 보탬이 되고자 함에 있다. This paper emphasizes the needs and an activation of the youth festival held throughout Korea. And the activation of the festival utilizing youth club is proposed especially. In chapter 2, a concept and a current status of activity of youth club and leisure was defined. In chapter 3, the cases and issues of a youth club festival held in domestic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festivals utilizing youth club, ‘2012 Incheon Youth Culture Festival’, ‘2012 Gwan-Ak the Book and Lifelong Learning Festival’ and ‘2012 Seoul Youth Culture Zone Festival’, had been performed the on-site monitoring and e-mail interviews of participants. In chapter 4, the need and improvement plan for the festival using the youth club are sough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pport how to offer healthier leisure time and cultural life by ‘The Vitalization of the festival using youth club’.

      • KCI등재

        미국 불교명상 수행의 비교연구 -선, 티베트명상, 위빠사나를 중심으로

        은화 ( Eun Hwa Ja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1

        이 글은 미국 불교명상의 트로이카라고 불리는 선, 티베트명상, 위빠 사나를 그 전개와 특징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선은 미국에 가 장 먼저 정착하여 서양 최초로 명상센터라는 기관을 창안함으로써 재 가 선수행의 기초를 다졌으며, 이후 60년대에 선수행의 시대가 개막되 자 빠른 속도로 미국문화에 동화되면서 아시아 특유의 권위주의를 벗 고 양성평등과 민주화를 이루어내며 사회참여 전통과도 융화되어 갔 다. 티베트명상의 경우 재가수행에 적합한 로종이라는 마음훈련법이 크게 확산되었고, 티베트의 선이라고도 불리는 족첸도 널리 전파되고 있으며, 샴발라 훈련법이라는 세속적 명상프로그램도 역시 서양세계에 서 정착단계에 이르렀다. 위빠사나는 다른 명상전통보다도 더 빠르게미국화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위빠사나의 핵심적인 방법론인 알아차림 기법은 위빠사나의 광범위한 스펙트럼에서 가장 세속적인 형태에 속한다. 알아차림 명상은 불교와 관계없이 미국사회의 저변에 확산되 고 있으나, 불교적 맥락을 벗어나면서 집착과 탐욕을 제거하는 것이 아 니라 오히려 그것들을 강화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위 빠사나의 또 다른 특징은 미국 특유의 심리치료 전통과 자연스럽게 통 합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통합현상은 명상 수행의 목적 이 인간적인 관심사로 축소될 우려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서양불교의 심리치료화 현상은 불교와 무관하게 19세기 낭만주의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주목해보았다. 미국 위빠사나의 또 다 른 특징은 전통교리의 변용이다. 상좌부불교 전통의 위빠사나가 윤회 로부터 해탈을 수행의 목표로 두고 있다면 미국 위빠사나는 현세의 행 복을 위한 해탈의 추구로 변질되었다. 필자는 세 전통에서 나타나는 탈 전통적인 전개양상을 고찰해보고 미국 땅에 정착되고 있는 새로운 명 상문화의 한계를 진단해본 다음 그에 대한 필자 나름의 해결책을 제시 해보았다. 그에 따라 재가자 중심의 미국 불교명상 전통이 지닌 한계를 지적해보았으며, 그러한 한계의 원인을 필자는 미국인의 환원주의적 문화수용 태도에서 찾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 로 새로운 시대와 환경에 알맞은 승가공동체의 출현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해보았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American Zen, Tibetan meditation, and vipassana in terms of their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Zen laid foundations for layman-based practice by creating the Zen center. Zen assimilated into American culture while removing authoritarian legacies and integrating with American social engagement tradition. Concerning Tibetan meditation, the lojong training and dzogchen spread on a great scale. Also there is the Shambhala Training, the most secularized form of Tibetan Buddhism. Vipassana is popularized in the form of a mindfulness meditation and is integrating with psychotherapy aiming at worldly happiness. I bring to light a fundamental limitation of lay-centered Buddhist meditation, which I think originates from Americans’ reductionist attitude. As a conclusion, I offer the necessity of a new monks’ community as a solution.

      • KCI등재

        An Investigation of Seung Sahn’s Seon: “Don’t Know” Mind, Ten Gates, and Systems of Hierarchy and Authorization

        은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Korea Journal Vol.54 No.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relation of the school of Seon (Zen) taught by the Korean master Seung Sahn to both Korean Seon and its Japanese counterpart by focusing on the three innovative devices he employed in his teachings. These are “don’t know” mind, the Ten Gates gongan practice, and the systems of hierarchy and authorization he established, each representing Seung Sahn’s perspective on Seon thought, practice, and authorization of teachers, respectively. As for “don’t know” mind, I analyze its relation to Korean Seon and Huineng’s Chan, and investigate the reasons for its popularity among the Western public. Then, I examine the purpose of the gongan approach known as Ten Gates and determine its relation to the Japanese Rinzai koan curriculum. Finally, I focus on the unique features of the hierarchy and authorization systems, especially the inclusion of lay practitioners in leadership and the authorizing function of the practice community.

      • KCI등재

        일본계 미국선(禪)의 "여성참여"와 "사회참여" 그리고 간화선 세계화의 담론에 대하여

        은화 ( Eun Hwa Ja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2 禪文化硏究 Vol.12 No.-

        한국불교에서 간화선 세계화의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누구에게?``라는 세계화의 대상에 대한 논의는 찾아보기 힘들다. 필자는 간화선세계화의 논의에서 세계화 대상으로서 ``여성``과 ``사회``에 대한 논의가 절실하 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본 논문의 목적은 간화선 세계화의 담론에 ``여성참 여``와 ``사회참여``의 논의가 필요함을 역설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일본계 미국선의 ``여성참여``와 ``사회참여`` 현상을 분석한 후, 이런 현상이 간화선 세계화 담론에 크게 유용함을 역설했다. 일본계 미국선은 여러 가지 면에서 간화선 세계화의 선례가 되며, 또 여성과 사회라는 담론은 현대 간화선의 존속에도 직결된다고 본다. 동아시아 선불교는 가부장적 출가 승단전통에서 전승되었기 때문에 여성이 지도자로서 참여하기가 어려웠고, 사회참여의 전통도 없다. 그러나 미국에 정착한 선불교는 재가자 위주이기 때문에 사회생활을 영위하면서, 여성도 남성과 동등하게 수행에 참가하고 있다. 현재 여성은 선수행의 모든 면에서남성과 동등하게 참가하고 있으며, 선불교의 사회참여는 인종, 성, 환경, 경제, 정치의 모든 측면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의 선불교는 불과백 년의 역사 속에서 적어도 여성과 사회참여의 면에서 보자면 그 원천인일본의 선불교와 크게 다른 길을 가고 있다. 미국 선불교의 여성과 사회참여 현상은 간화선의 대중화와 세계화의 논의를 더 깊게 해주고,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수행의 주안점이 깨달음에서 일상적인 수행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 그리고 선불교를 종교가 아닌 철학으로 받아들이며, 전통을 선별적으로 수용하여 미국화하고 있다는 사실은 충분히 숙지하여 간화선 포교 시 참고할 만하다고 본다. It seems difficult to find out such topics as ``for whom`` in the currently active campaign for the worldwide propagation of Ganhwaseon by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I think, however, that it is necessary to start discussing the ``woman`` and ``society`` in the discourse of the campaign for the globalization of Ganhwase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dvocate the necessity of including the discussion of the two topics, that is, ``women`s participation`` and ``social engagement,`` into this campaign. To achieve this, this paper analyzed these two topics in the Japanese - derived Zen in the US and emphasized this analysis would be of much use for the discourse of the worldwide propagation of Ganhwaseon. After all, Japanese Zen in the US will serve as an example for Ganhwaseon to learn. Furthermore, the discourses on the women`s participation and social engagement are directly concerned with the survival of Ganhwaseon in the modern world. As East Asian Chan (Seon, or Zen) Buddhism has been passed down primarily to the patriarchy - oriented Sangha communities, women`s participation as the leaders was severely restricted and thus, there has been no tradition of social engagement by Seon practitioners at all. The Zen communities established in the US, however, are made up of lay - persons who lead their social lives. It is also reported that the lay practitioners take part in their Zen practice without experiencing any gender inequality. Currently, women take part in every respect of their Zen activities on the equal terms with their male counterparts. Social engagement by Zennists is actively performed in every area of their society while addressing such problems as race, sexuality, environment, economics, and politics. Concerning women`s participation and social engagement, its seems that Japanese-derived Zen in the US has chosen its utterly separate ways from its Japanese origin in its relatively short history. The emergence of women`s active participation and socially engaged Buddhism in Zen in the US is significant for the campaign for the worldwide propagation of Ganhwaseon. After all, discussing and analyzing the former can contribute to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as well as lessening the trial and errors of, the latter. Especially, the facts that US Zen`s emphasis is shifting from the pursuit of spiritual enlightenment to daily lives` practice activities and that the US Zennists tend to selectively appropriate East Asian traditional Zen are instrumental in the propagation of Ganhwaseon.

      • KCI등재

        아동의 자아개념 및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

        은화,어주경 한국가족치료학회 2013 가족과 가족치료 Vol.21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self-concept, cross-cultural experience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354 male and 329 female) in 4th through 6th grade in Seoul and Kyunggi-do. The researchers used Pearson correlation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self-concept, cross-cultural experience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Results: The researchers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otal self-concept and total multicultural acceptance. In particular, the personal, social, and academic dimensions of self-concept were significantly highly correlated with multicultural acceptance.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nts’ total cross-cultural experience and their total multicultural acceptance. However, the researchers fou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nts’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and their competence in multicultural relations and multicultural awareness.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hildren’s self-concept influences their multicultural acceptance in all sub-factors: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empathy, competence in multicultural relations, and multicultural openness.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아동 683명(남아 354명, 여아 329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자아개념 및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수용성과의 관계를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가정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정도는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여아가 남아에 비해 다문화 수용성 정도가 높았고,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셋째, 아동의 자아개념 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 수준이 높았으며, 특히 인성적 자아, 사회적 자아, 학업적 자아와 다문화 수용성 간의 상관이 높았다. 넷째, 초등학생의 다문화 경험은 다문화 수용성과 상관이 없었으나, 각 변인의 하위영역에 있어서 다문화 교육 경험은 다문화적 관계형성능력 및 다문화적 인식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해 볼 때 아동의 자아개념이 다문화적 관계형성능력, 다문화적 인식, 다문화적 개방성, 다문화적 공감 등 다문화 수용성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불교용어의 로마자표기에 대하여

        은화 ( Eun Hwa Ja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1 No.-

        본고의 목적은 한국불교용어의 로마자표기 현황을 검토하고, 아울러 현행 규정과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그리고 현재 서구 학계에서 통용되는 한국불 교의 로마자표기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여 필자 나름의 세칙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근년의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등재된 불교관련 논문의 로마자표기 사례를 분석하여 인명, 지명, 개념어 등의 로마자표기가 일관성 없이 사용되는 사례를 지적해보았다. 우선 필자는 한국의 표준 표기 법인 문광부 방식과 해외에서 많이 사용되는 매큔 - 라이샤워 방식을 제시하여 두 방식의 차이를 명확히 제시하면서 아울러 두 방식의 인명표기가 다른 점도摘示해 보았다. 현행 문광부 방식은 띄어쓰기나 대문자 표기 규정이 없는데 불교표기에서는 이런 규정이 꼭 필요하다. 따라서 한국어 자모의 표기는 문광부 방식으로 하되, 띄어쓰기 등의 통사규칙은 한국어뿐 아니라 서양언어의 관습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했다. 또한 원지음표기의 원칙을 인명 지명의 고유명사뿐 아니라 일반 개념어에도 확장해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밝혀 보았다. 이어서, ``한국 禪``의 적절한 로마자표기를 알아보면서 ``Seon``과 ``Zen``의 두 표기의 차이를 분석해 본 후 ``Seon``이 더 적합함을 논증해 보았으며 더불어 ``간화선``,``화두`` 등 한국 선과 관련된 어휘에 대한 표기에 대해서도 바람직한 기준을 고찰해 보았다. 다음으로 통사적인 원칙으로서 띄어쓰기와 대문자 사용에 대한 원칙을 제시해 보았으며 결론에서는 올바른 로마자표기의 기대효과를 정리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use of romanization of Korean Buddhist terms; to analyze it in comparison with some typical examples by foreign scholars; and to propose the author`s own prescription. To serve the purpose, the author made a case analysis of romanized Korean Buddhist terms as shown in the Korean Citation Index(KCI) and then pointed out not a few inconsistent romanizations of Korean Buddhist proper names and key technical terms. To help one understand the transcrip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author first of all presented the two standard rules currently being used, the one by the government(2000) and the other by McCune - Reischauer(1939), while at the same time demonstrating the different transcriptions of personal names between the two. Both the present rules lack the principles for word division and capitalization despite their necessity for the Buddhist romanization. Thus, the author emphasized that the transcription for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should follow the existing governmental system, but that the syntactic rules like word division should reflect the feature of both Korean and western languages like English. Besides, the present author made it clear that the principle of transcribing by indigenous sound should be applied to the technical terms in general as well as to the proper names. Next, he investigated which is the appropriate romanization for ``한국 禪``, ``Korean Seon or Zen``, and extended such discussion to other Korean Seon Buddhist terms like ``간화선`` and ``화두``. Finally the author proposed some principles for syntax, viz., word division and capitalization, and also several expected effects of correct romanization for the Korean Buddhist terminology.

      • KCI등재

        자율실습교육에서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가평가 학습법이 간호술기 수행능력, 자율실습만족도,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은화(Chang, Eunhwa),박수현(Park, Soohyun) 기본간호학회 2017 기본간호학회지 Vol.2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 on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atisfaction and learning motivations in nursing students’. The setting was the open laboratory hour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pre/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in September 2015. The participants were 82 sophomore nursing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The experimental group did self-evaluation by watching recorded video clips of their performance.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any self-evaluation. The primary outcomes were scores from the foley catheterization checklist, scores from a student satisfaction tool, and scores from a learning motivation tool. Data were analyzed using x<SUP>2</SUP>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higher mean score in levels of satisfaction b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2.26, p=.027). In addition,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skills by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mprovement in the control group (t=3.96, p<.001). Conclusion: Findings show that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s has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both communication skills and satisfaction with practice during open laboratory hou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 is useful as a supplement to traditional open laborator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