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지훈,張志熏(Jang, Ji-Hoon) 한국서예학회 2019 서예학연구 Vol.34 No.-
한글이 창제된 이후, 한글은 서예와 만나면서 풍부하고 다양한 서체와 미감을 형성해왔다. 다만 전통의 한글 서예는 어떠한 형태로 변화해왔는가에 대해서는 인식하기 용이하나, 어떠한 미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쉽지 않다. 때문에 한글 서예의 미를 논하기 위해서는 한자 서예의 예술적 특징을 한글 서예에서도 발견하고, 이를 부각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글 서예를 전통의 서법적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먼저 한글 서예의 서체는 대략 고체 ․ 정자체 ․ 흘림체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체는 자형이 좌우대칭과 정사각의 기본적인 틀을 유지하고 있으며, 대체로 단정하고 근엄하여 경건(勁健)의 미를 느낄 수 있다. 획의 굵기 변화는 미세하나, 예서와 해서가 혼합된 남조의 해서풍처럼 기필과 수필의 방필(方筆)이 두드러지며, 대체로 금석의 졸박한 기운이 서려있다. 정자체는 전반적으로 평정한 결구와 안정적인 필세가 특징적이다. 판본의 고체가 필사화 되어가면서 고체에 비해 자형이 세련 되고 필획의 유연함이 두드러지며, 직선적인 필획과 방정한 자형의 정제된 글꼴 속에서도 맑고 담백한 운치를 느끼게 한다. 흘림체는 서간이나 가사 등의 경우, 정자체의 기본 자형을 바탕으로 때로는 거칠고 강렬한 필획을 가미하고 필속을 경쾌하 게 하여 절주(節奏)의 미가 강하다. 반면, 궁서의 경우 곡선적인 섬세한 필획을 부드럽게 연결하여 수려하면서도 정제된 멋이 깃들어 있다. 한글은 한자에 비해 비록 문자의 구조와 글꼴은 단순하지만, 한자 서예가 지닌 다양한 서체의 미학이 한글 서예에도 내재되어 있다. 특히 한글 서예는 특정 서체를 막론하고 한국인의 섬세하고 우아한 격조에서부터 역동적이고 변화무쌍한 생동감은 물론, 즉흥적이고 자유분방한 운치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의 자연친화적인 정서와 심미의식이 다양한 형태로 반영되어 있다.
장지훈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2025 Research in Dance and Physical Activity Vol.9 No.1
This research explores the role of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making in developing team-based problem-solving skills within the college dance education curriculum.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study employed a Modified Delphi Method, alongsid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The study identifies six core competencies essential for team-based problem-solving in dance education: communicative choreography mastery, collaborative dance dynamics, innovative movement exploration, performance project management, adaptive choreographic resilience, and empathetic dance collabora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effective communication, flexibility in roles, and the ability to innovate within choreography are critical to success in dance education. Additionally, performance management skills, adaptability, and empathy play a significant role in navigating dynamic environments and fostering a supportive collaborative atmosphere. The analysis also prioritizes sub-factors within these competencies, revealing the importance of clear communication, emotional resilience, and str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uture research should further explore the impact of collaborative learning on creativity, problem-solving, and teamwork in dance education, with the aim of advancing pedagogical practices and improving student outcomes.
장지훈,이용식 한국체육정책학회 2016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admission requirements for university athletic students(UAS) according to admission process(AP) type, evaluation category and criteria, and to suggest the policy on unreasonable factors to be improved and necessary factors to be includ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AP in occasional AP is practical and reasonable for UAS. Second, it is suggested that phased multi-step AP should be expanded for including multiple evaluation factors such as game records, GPA, performance tests, interview etc although both integrated one-step and phased multi-step AP are allowed to AP for UAS. Third, it is suggested that individual records should be added to game records in team sports event, and that both tournaments competition and league match should be evaluated. Evaluation of individual activity and contributiveness will be introduced after completing of quantification according to positions by KFA. Fourth, it is suggested that performance tests in individual sports event should be put under self-imposed control of corresponding university, and that training sustainability, fabricated game records etc should be checked. Individual contributiveness should be evaluated in team sports event. Fifth, it is suggested that academic grades of the highest-rank 2 subjects among Korean language, mathematics, English, social studies, physics should be reflected in GPA, and that minimum academic policy should be considered, and that the reflecting rate of GPA should be maximum 30 out of hundred points. Lastly, it is suggested that the influence of instructors should be minimized to ensure that interview screening do not become the cause of illicit admission, and that evaluation criteria should be quantified, and new evaluation categorie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장지훈 한국동양예술학회 2018 동양예술 Vol.39 No.-
剛菴 宋成鏞(1913-1999)은 일제의 단발령과 창씨개명에 항거하며 평생 儒者의 삶을 지켜온 그는 전통적인 학문을 계승하면서도 시대정신을 예술로 승화시킨 20세기의 마지막 선비이자 서화가이다. 강암은 栗谷(李珥)―艮齋(田愚)―裕齋(宋基冕)로 이어온 학맥과, 蒼巖(李三晩)―石亭(李定稷)―裕齋 등으로 계승된 예맥 위에, 거슬러 歐陽詢 ․ 黃庭堅 ․ 董其昌 ․ 紫霞(申緯) ․ 秋史(金正喜) 등 역대 제가들과 아래로 一洲(金振宇) ․ 潁雲(金容鎭) ․ 雪松(崔圭祥) 등 근대 서화가들을 통섭하였다. 특히 선친 裕齋가 일생동안 학문과 예술의 이념으로 삼아 온 ‘舊體新用’론에 입각하여 장년기까지 갈고 닦은 학문과 예술의 실질을 사회적으로도 발현하여 강암은 自得의 예술세계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강암의 다양한 서예세계를 서체별로 분석하였다. 강암의 전서는 金文의 회화적이면서도 주경한 금석기의 맛과 웅혼한 기상, 小篆의 엄경하고 방정한 조형과 유려한 필세, 碑學의 웅혼한 필획과 자형이 혼융되어 있어서 ‘蒼勁古拙의 미’가 두드러진다. 예서는 끊임없는 자기화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枯淡한 기운이 응축되어 고졸하면서도 맑은 기운이 감도는 ‘苦澁淸虛의 미’가 두드러진다. 해서는 방정하고 수려한 규범을 토대로 풍윤하고 굳건한 기상과 비학의 험절한 서법 등을 두루 섭렵하여 무기교의 탈속적인 ‘瘦拙平淡의 미’를 형성하였다. 행초서는 역대 제가들의 장점을 두루 취하여 瘦硬通神의 기풍을 갖추었고, 공교의 극치를 넘어 탈속의 경계와 천취자연의 서예본질로 회귀함으로써 ‘蒼勁拔俗의 미’를 구현하였다. 강암은 공자의 溫故知新과 왕희지의 詳察古今과 김정희의 實事求是와 송기면의 舊體新用에 입각하여 고금의 서예자료를 섭렵하고, 그 용필과 체세에 대해 면밀히 규찰하고 체득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강암체를 창출하였다.
장지훈,신경준,김재민,강설희,문성종,이상식,조태용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lower limbs muscular strength recruited in power expression, and to provide the basal data for training program. Participants were 35 university male soccer players. Lower limbs muscular strength was measured with isokinetic dynamometer at the angular velocity of 60°/sec. Power was measured with standing long jump and standing vertical jump. As a result, standing long jump record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lexion strength in dominant side knee joint and extension strength in non-dominant side knee joint. Standing vertical jump record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xtension strength in non-dominant side knee joint. Muscular strength in ankle joint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tanding long jump and standing vertical jump record.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muscular strengthening training for the specific muscle recruited in power expression should be included in training program for athletic performance improv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순발력 발현에 동원되는 하지 근력의 특성을 분석하여 훈련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대학남자축구선수 35명이었다. 하지 근력은 등속성 근기능 분석기를 이용하였으며, 순발력은 제자리멀리뛰기와 제자리높이뛰기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제자리멀리뛰기와 주측 무릎관절 굴곡력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비주측 신전력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제자리높이뛰기와 비주측 무릎관절 신전력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제자리멀리뛰기 및 제자리높이뛰기와 발목관절 근력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대학남자축구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훈련프로그램 개발에는 순발력 발현에 특이적인 근육을 대상으로 한 근력 운동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제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