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 대일점령정책: 분석수준에 따른 역코스로의 전환 과정

        최운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0 일본공간 Vol.27 No.-

        This study looked at the process in the shifting of the U.S. occupation's basic policy orientation from reform to economic recovery, that is, the “reverse course.” This work was done at four levels of analysis. At the level of international politics, existing studies claim the Cold War was the cause.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the incident of the Cold War made a policy decision or whether the policy made a Cold War situation. The explanation that it is due to Japan's economic difficulties and the Japanese government's sabotage also raises more questions than answers. The explanation at the level of policy-making groups illustrates the specifics and processes in the organizational shuffle of the Truman administration, the emergence of an anti-MacArthur coalition, the role of unofficial interest groups and the media. But it has the limitation of having to look at all the details. At the level of rationality of the top policy-maker, the importance of the election, the political power of the individual and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style are considered. When these four levels of analysis are considered comprehensively, it produces better explanation on the power. 미국의 대일 점령정책의 목적이 개혁에서 경제회복으로 옮아가는 과정, 즉 역코스 정책으로 전환된 원인과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작업은 4가지 분석 수준에서 이루어졌다. 국제체제 수준에서는 냉전이 원인이었다는 주장이나 자기합리화의 오류라는 가능성을 불식시킬 수 없다. 사건이 정책결정을 만든 것인지 정책이 사태를 만든 것인지 불분명하다. 일본의 경제적 어려움과 일본 정부의 사보타지 때문이 라는 설명도 일본이 피점령국이었음을 고려하면 대답보다 질문을 더 많이 낳을 수있는 설명이다. 정책결정집단 수준에서의 설명은 워싱턴 행정부의 조직개편, 반 맥아더 연대의 출현, 케넌이라는 정책기획관의 등장, 비공식 이익집단과 언론의 역할 등을 통해 구체성과 과정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모든 세부사항을 살펴보아야 한다는 한계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정책결정자 수준에서는 선거의 중요성, 개인의 정치 력과 조직운영 스타일 등, 개인의 합리성이 고려된다. 이들 네 가지 수준의 분석이 종합적으로 고려될 때, 보다 나은 설명력을 낳는다.

      • KCI등재

        일본 민주당의 대미 외교정책에 대한 평가

        최운도 ( Woon Do Choi ) 현대일본학회 2013 日本硏究論叢 Vol.38 No.-

        본 연구는 54년 동안 일당우위의 지배를 유지해 온 자민당을 제2당으로 끌어 내리고 집권한 민주당의 집권 3년간의 대미정책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민당과 민주당의 대미정책에 대한 정당간 비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또 한편으로는 민주당3년을 구성한 세 내각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먼저 정당 간 비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을 수 있다. 첫째, TPP 참가와 후텐마기지 이전 문제는 자민당 정부도 실현하지 못하였으며, 미일관계 회복을 제일의 외교목표로 삼고 있는 아베정권도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민당이민주당 보다는 우호적인 미일관계를 유지해 올 수 있었던 것은 점진적인 역할 분담의 확대를 통해 여전히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 왔기 때문이다. 셋째, 하토야마와 오자와를 비롯한 민주당 총리들은 중국의 부상에 대해 잘못된 대응을 하고 있었다. 단적으로 말해 현실을 무시한 이념과 이상에 기초한 외교정책이 얼마나 실효성이 없는가를 잘 보여주는 예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그룹이 경합하는 민주당의 구성이 외교정책에서도 일관성의 유지를 어렵게 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on the evaluation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and US-Japan relationship under the governments of Japan Democratic Party. Fairness of the evaluation requires the comparisons in performance among the three JDP cabinets as well as the comparison between the JDP governments with the previous governments of Liberal Democratic Party. This reflects the fact that when JDP achieved the landslide victory in the general election of 2009, the party was the mixture of the heterogeneous factions. In general, JDP could not take off the label of anti-Americanism which had been deeply attached even before its seizure of power, even though the following cabinets tried to keep distance from the image. JDP governments made wrong judgement that the China has already risen and US declined. The three cabinets also shared the lack of support from bureaucrats while lacking the experience in running the government. Furthermore they also had the disregard on the process of consensus gathering in common.

      • KCI등재

        패전국 일본이 본 우리의 광복

        최운도(Choi Woon-do)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5 군사 Vol.- No.96

        What did the Korean liberation of 1945 mean to Japan? Why is it important to Korea of today? Japanese perception of disparagement and degradation on Koreans, which began to be formed since early modern period had been expanded and reproduced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Koreans were discriminated as an inferior being but they were mobilized during the war on an equal basis as one of Emperor"s soldiers and as one of Empire"s subjects. Japanese has been perceiving Koreans based on double standards. When the war was over and Japan had to embrace its own defeat, Japanese society went through with apathy toward Koreans. When its own interest is at stake, as was in war reparations and the treatment of Koreans in Japan, they viewed Koreans only as the subject of its own colonial rule but neither as Japanese citizens nor as the citizens of Allied powers. This perception is reflected into the legal frameworks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Korea-Japan Treaty of 1965. Excluded from the list of signature countries in San Francisco Peace Treaty, Korea had to face the negotiation table for property claims against Japan in a disadvantageous position. Even though Korea"s limited claims on war-time damages excluding the reparations on Japan"s colonial rule was not considered in the pearce treaty and had be dealt in the separate bilateral negotiation. The illegality and invalidity of the Annexation Treaty of 1910 was not confirmed in the Korea-Japan Treaty and the issue was stitched up without final decision. The economic aid, which was the main topic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 was interpreted as the fund for the claims against Japan by Koreans and as the congratulatory donation for independence. Because of this ambivalence, Japan has kept avoiding its legal responsibility for individual reparations and compensation during the last 70 years. Korean liberation, as long as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s concerned, will be completed only when Japan changes its perception on Koreans and accepts the invalidity of the Annexation Treaty of 1910.

      • KCI등재후보

        미일 안보동맹의 이해 : 일본의 방위개혁과 미국의 통제

        최운 현대일본학회 2005 日本硏究論叢 Vol.21 No.-

        일본 방위정책에는 지난 10년 동안 중대한 변화가 일어났다. 보다 굳건해진 동맹관계 속에서 일본의 방위관련 역할은 군사적, 지리적으로 확대되었으며, 군사전략에 있어서의 변화는 전수방위에서 적극방위로 전환되었다. 이에 대해 중국과 우리나라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으나 그 염려가 심각한 대결의 수준에 이르지는 않고 있다. 이는 일본 방위정책의 변화가 미국의 철저한 통제 하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미래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미국이 통제할 수 있으리라는 신뢰감에 기초하고 있다. 많은 연구들이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미국의 통제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종전 이후 지금까지 지속되는 일본에 대한 미국의 통제를 미국의 세계전략, 미국의 동아시아 군사전략, 그리고 공동훈련과 절차의 세 가지 수준에서 밝히고 있다.세계전략에 있어서 미국은 최근 일본에게 불허해 온 항공모함, 인공위성, 핵무기 중 앞의 두 가지에 대해서는 제한적인 허용에 합의 하였으나 핵무기에 대한 금지는 유지하고 있다. 군사전략 수준에 있어서의 미국의 통제는 더욱 심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전 세계적인 차원에서 진행되는 미군 재배치 검토(Global Posture Review)에서 일본은 중추기지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고 주일미군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총괄하는 사령탑 기능을 부여할 계획이다. 이러한 변화는 일본의 역할 확대를 더욱 가속화할 것이나 일본 입장에서 이는 곧 미국의 군사전략에 대한 더욱 공고한 편입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는 또한 공동훈련과 절차에 있어서 양국의 긴밀한 협의와 협력을 필요로 한다. 신가이드라인은 공동작전계획과 상호협력계획을 검토하기 위한 공동의 장으로서 포괄적 메커니즘과 조정 메커니즘을 구축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그리고 유사법제는 미군과 자위대의 협력에 의한 위기대처 활동을 법적으로 가능하게 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미일관계와 일본의 국가전략 : 전후체제로부터의 탈각?

        최운도 ( Choi Woon-do ) 현대일본학회 2016 日本硏究論叢 Vol.44 No.-

        2006년의 1차 내각의 출범 때부터 아베내각은 `전후체제로부터의 탈각`을 정권의 목표로 삼아왔다. 본 연구는 그 정권의 목표를 국가전략이라는 틀에 비추어, 미일관계와 안보전략 분야에 있어서 2차 아베내각 4년의 성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일본의 전후체제란 요시다 독트린과 그 제도화를 말한다. 일본은 경제번영이라는 전략적 목표를 달성한바 있으나 바로 그 전후체제에 매몰됨으로써 방위분야에서의 대미의존을 지속해 왔고, 자주적인 국가전략의 수립이 불가능했다는 것이 일본의 보수우익의 판단이다. 그러한 상황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체계적인 노력의 출발점이 아베 내각의 국가안전보장전략이다. 이 문서는 국가전략으로서 갖추어야 할 많은 요소들-국가이념의 제시와 국익 분석, 위협요소를 고려한 구체적 행동 계획 등-을 갖추고 있다. 국가안전보장전략과 집단적 자위권의 행사를 허용하는 안보법제 등은 치밀하게 계획된 일련의 법제도 속에 자리 잡게 되었다. 일본 안보정책의 대미 의존은 계속되고 있지만 집단적 자위권에 대한 평화헌법의 속박으로부터는 벗어난 만큼 전후체제로부터의 탈각은 어느 정도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일본은 이제 개헌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Prime Minister Abe proclaimed "Breaking-away from the Postwar Regime" as the primary policy goal of his cabinet of 2012, which had been suspended for the unexpected early termination of his first cabinet of 2006. This research is to perform the 4-year mid-term evaluation of the accomplishments in the U.S.-Japan alliance and Japan`s security policy innovation in terms of that policy goal. Postwar system was in large part made up by the Yoshida Doctrine and its institutionalization. Japan lacked its own national strategy because it was enjoying the economic prosperity with the help of the dependence on the U.S. security guarantee. One of the efforts to escape from the old system is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approved by the Abe`s second cabinet. The strategy has many qualifications required for to be called as a national strategy and it is placed in the carefully-planned web of policies and laws. Even though Japan`s dependence on U.S. security commitment is continuing, it is getting out of the constraint of the Peace Constitution with the legalization of Collective Self-Defense, and moving toward the constitutional revision of the Article 9.

      • KCI등재

        전후 일본 경제대국화의 원점― 점령의 개혁정치 vs. 역코스 정책 ―

        최운 한국일본학회 2020 日本學報 Vol.0 No.124

        What is the impact of the seven years of U.S. occupation on Japan's economic development? The initial occupation policy aimed at ensuring that Japan does not pose another military threat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ccordingly, the GHQ promoted some reform-oriented economic policies, such as war reparation, the dissolution of chaebol, and anti-trust policies. However, after the reverse course, U.S.'s top priority was on the stabilization and recovery of Japan’s economy, and the government adopted policies such as cancellation of reparation schemes, protection of chaebol, cancellation of economic purge, and Dodge Plan.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reached on the starting point of post-war Japan's economic situation. First, controversy continued over the impact of the U.S. occupation policy on Japan's economic recovery and rapid growth. In particular, the economic achievements of the GHQ's reform policies and the reverse course policy of Dodge Line cannot be determined. Second, there is no doubt that the Korean War acted as a catalyst in Japan's economic recovery. Third, there was an agreement among historians that the conservative alliance and the government-led industrial policy were the top contributors to Japan's rapid growth after the conclusion of peace treaty. The effects of the reverse course policy can be said to be more pronounced in political areas, such as formation of class cartels that enabled industrial policy after the end of occupation rather than the end of economic policies like Dodge line. 미국의 대일점령 7년이 일본 경제대국화에 미친 영향은 무엇일까? 점령 초기의 정책들은 일본이 국제사회에 군사적 위협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최대 목표로 하였다. 그에 따라 GHQ는 전후배상, 재벌해체, 반독점정책 등의 개혁적인 경제정책들을 추진하였다. 그런데 역코스로 전환 이후 일본의 안정과 경제회복을 최우선 목표로 하면서 배상취소, 재벌보호, 공직추방의 취소, 닷지 플랜 등 채택되었다. 전후 일본의 경제회복과 고도성장의 출발점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미국 대일점령 정책이 일본의 경제회복과 고도성장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지금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GHQ의 개혁정책들과 역코스 정책인 닷지 라인의 경제적 성과도 단정할 수 없다. 둘째, 한국전쟁이 일본 경제회복의 기폭제였다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셋째, 미일강화 이후 일본의 고도성장에는 보수연대와 정부주도의 산업정책이 일등공신이었음은 역사학자들 사이에 합의가 형성되어 있다. 역코스 정책의 효과는 닷지 라인과 같은 경제정책 보다 점령의 종료 이후 산업정책을 가능하게 한 계급적 카르텔의 형성과 같은 정치 분야에서 더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본의 정치와 우익교과서 채택과정

        최운도(Choi, Woondo)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4

        기존의 연구들은 우익 교과서의 발행과 검정에 있어서의 국내정치적 배경이나 문제점에 분석의 초점을 두는데 비해, 본 연구는 채택과정에 대한 분석을 목표로 한다. 교과서와 관련된 중앙과 지방의 정치인들과 문부성 관료의 역할, 그리고 일본 시민사회를 주요 행위자들로 간주한다. 중앙에서 정치 우위가 진행되고 있으나 교육정책에 관한한 정치인들과 문부성 관료 사이의 협력은 불가피하다. 채택과정에서 지역에 대한 중앙의 영향력은 두 가지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첫째는 지자체 교육위원회에 대한 문부성의 행정지도이며, 둘째는 중앙의 정치세력이 지방의원연맹이나 지역단체들을 통해 지방의회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채택결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채택지구의 정치수장의 성향과 의지다. 그러나 중앙의 정치과정이 지방선거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은 제한적이다. 55년 체제의 붕괴 결과, 시민사회의 영향력이 축소되고 있는 가운데, 세계화의 영향이 지역사회 시민들의 참여확대로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 일본의 우경화와 신보수주의 교육정책 속에서 교과서 채택과정에 있어서의 반대세력에 대한 배제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Existing researches on the right-wing textbooks of Japan are focusing on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problems, concerned with publication and government screening process. This one, on the contrary, analyzes the textbook selection process which occurs at the local educational district level. Right-wing politicians in the central politics, the bureaucrats in Ministry of Education (MOE), the political leaders and congressmen at local self-government, and the Japanese civil society are assumed to be the major actors in the process. Even though the superiority of politics to bureaucracy is under progress, the cooperation between the politicians and MOE bureaucrats is inevitable. For the linkage between the central and the local politics in the selection process, two routes are identified. The first is the administrative guidance of MOE on the local education committees. The second is the pressure of the political groups in the center on the local congress, exerted by the mobilization of local congress members and local activist groups. However, the influence of the local political leader is the most critical factor in the selection process. This is, however, the area in which the influence of the central politics is limited. Exclusion of the civil society in the selection process will be continued, as it has been since the end of the war.

      • KCI등재

        민족주의와 영토분쟁

        최운도(Choi, Woondo),배진수(Bae, Chinsoo) 동북아역사재단 2015 영토해양연구 Vol.10 No.-

        동북아 지역의 영토분쟁이 국제정치적인 여러 요인들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이들 영토관련 문제들을 이 지역의 민족주의 경향과 결부시켜 이론적 ·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민족주의는 초기 산업화 과정에서 국가건설과 국민의 단합을 위해 필요한 정치적 수단이다. 그리고 그 속성상 민족주의는 영토분쟁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실제로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되고 있는 영토분쟁들에서 역사적 적대감이 높을수록 분쟁의 심각성과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동북아 지역의 영토갈등지역들은 모두 역사적 적대감이 ‘매우 높은’ 사례로 분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랜 기간 지속된 냉전 상황에서의 안보위협은 동북아 지역의 민족주의 발흥을 억제해왔다. 그리고 지난 20여 년 동안 한국과 중국, 일본 3국에서는 민족주의가 강화되는 공통된 경향을 볼 수 있다. 최근 동아시아에서의 영토분쟁은 냉전기부터 존재해온 동일한 분쟁의 연장이 아니라 새로운 동력을 가진 분쟁이라고 인식할 필요가 있다. 민족주의의 지지를 받는 이상 그 영토분쟁은 민감성과 폭발력에서 기존의 분쟁과는 다른 차원의 갈등이라 할 수 있다. Many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are involved in territorial disputes in Northeast Asia. This work is an analysis to explicate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the impact of nationalisms newly-born or resurrected in this region on the issue. Nationalism is one of the political means mobilized in the process of state-building and nation-building which are inevitable in the early-stage of industrialization. In this aspect, nationalism is closely related with territorial dispute. Among the territorial disputes which last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found that the higher the historical antagonism is, the higher the intensity of the dispute is. Expecially, the disputes in East Asia are categorized as the disputes of ‘very high’ antagonism. Security threat hovered over this area during the Cold War suppressed the rise of nationalism.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each of Korea, Japan and China is witnessing the rise and the consolidation of nationalism in the other countries. Current territorial disputes of East Asia should be recognized as disputes with new dynamics but not as the extension of the antagonism which had been existing during the Cold War. As long as disputes are empowered by nationalism, they are the conflicts of magnitued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s in sensitivity and explos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