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대 말안장鞍裝 장식을 통해 본 몽골의 주체성

        최국희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 Vol.- No.34

        Mongolia, which established the largest empire in human history by connecting Europe and Asia into a world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has been recognized as a barbaric being that used looting and slaughter. However, through archaeological excavations and exhibitions developed in the Mongolian Empire, we newly realized their luxurious cultural tastes and identities. Among them, the saddle arches found in China's Inner Mongolia region(內蒙古), Mongolia, Ukraine, and the Middle East region, reflect Mongolia's subjectivity best. For Mongolians, horses were indispensable for survival and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birth of the Mongolian Empire. The saddle, a type of harness, was a symbol of the status of owners as well as practicality, and horses were very important in Mongolian society, so the saddle arches were splendidly made not only for practical purposes but also for hunting and showing off in processions. Horse saddle arches were unique to horse-riding nomadic peoples who were active on horseback in the northern part of China, and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Xianbei(鮮卑) tombs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of Weijin(魏晉南北朝), and many saddle arches made of gold and silver were excavated from Liao Dynasty(遼代) tombs. In Yuan Dynasty(元代), the saddle arches shows a clear difference from before in the deformities and decorative patterns, giving the overall practical, concise, and luxurious feeling. Moreover, these saddle arches, all excavated from the tombs of Mongolian women, show the role and status of Mongolian women who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the Mongolian Empire. The reason why such a new type of saddle arches was produced in Yuan Dynasty was that Mongolia embraced a group of craftsmen from various backgrounds, leading the cultural conflicts and convergence between them to naturally permeate art. In addition, Kublai Khan, who unified all parts of China to build a circle, reorganized the Organization of the Imperial Workshops during the Yuan Dynasty by bringing together artisans scattered in various regions. In the end, Mongolians embraced and made full use of artisan groups from various backgrounds to order and produce the goods they wanted to suit their tastes and preferences, and to reflect their own cultural identity in art. 13∼14세기에 유럽과 아시아를 하나의 세계로 연결하여 인류역사상 가장 거대한 제국을 세웠던 몽골은 그동안 약탈과 학살을 일삼은 야만적인 존재로 인식되어왔다. 하지만 근래에 이루어진고고학적 발굴성과와 전시회를 통해서 그들이 가진 고급스러운 문화적 취향과 정체성이 새롭게부각되기 시작했다. 그중에 중국의 내몽골지역을 비롯하여 몽골, 우크라이나, 중동지역 등의 몽골제국에 속했던 지역에서 두루 발견된 말안장 장식은 몽골의 주체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기물 중의하나이다. 몽골인들에게 말은 생존을 위한 불가결한 존재이자 몽골제국을 탄생시킨 원동력이었다. 마구의일종인 안장은 실용성과 더불어 소유자의 지위를 상징하는 기물로 몽골 사회에서 말의 중요성에비추어 볼 때 안장 장식은 실용적인 목적에서뿐만 아니라 사냥과 행렬에서 과시를 위한 목적으로화려하게 제작되었다. 안장 장식은 중국의 북방 지역에서 말을 타고 활동했던 유목민족들의 고유한 기물로 위진남북조 선비계 무덤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였고 요대 무덤에서 금과 은으로 만들어진안장 장식이 다수 출토되었다. 원대에 이르러 안장 장식은 기형과 장식문양에서 이전과 확연한 차이를 보이며 전체적으로 실용적이고 간결하면서도 호방한 느낌을 준다. 더욱이 몽골 여성들의 무덤에서 출토된 이들 안장 장식은 몽골제국을 건립하고 유지하는데 공헌했던 몽골 여성들의 역할과 위상을 가장 잘 보여주기도한다. 원대에 이렇게 새로운 형식의 안장 장식이 제작된 원인은 몽골이 다양한 배경을 가진 장인집단을 포용하여 그들 사이에 발생하는 문화적 충돌과 융합이 자연히 스며들도록 이끌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국 전역을 통일하여 원을 건설한 쿠빌라이 칸(세조, 재위 1260-1294)이 여러 지역에 흩어져 있었던 장인들을 중앙에 집중시켜 원대 공방 제작기구를 개편한 것도 그 이유 중의 하나이다. 이렇듯 몽골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장인집단을 포용하고 십분 활용하여 자신들이 원하는 물품을 자신들의 취향과 기호에 맞게 주문・제작하였고 그들 스스로가 가진 문화적 정체성이 자연히그 속에 반영되도록 이끌었다.

      • KCI등재

        요대 불탑 출토 향로 연구

        최국희 숭실사학회 2023 숭실사학 Vol.- No.50

        This study analyzes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incense burners excavated from the pagodas of the Liao Dynasty by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their usage, and examines the aspects of Incense culture in Buddhism of the Liao Dynasty by examining the excavation environment, the accompanying artifacts, and the combination of incense vessels. During the Liao Dynasty (916-1125), Buddhist culture flourished greatly as the imperial court actively embraced and venerated Buddhism from the beginning of the dynasty. There are currently more than 100 pagodas of the Liao Dynasty that contain a large number of Buddhist artifacts, including Sarira Reliquries and the censers that burn incense. In Buddhism, incense is recognized as a medium that connects humans to the Buddha's world, making it one of the most important items in Buddhist rituals. The Incense burners of the Liao Dynasty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how they are used: Incense burner(거향로), which is placed in an incense table or on a Buddhist altar; Incense burner with handle(병향로), which has long handle for carrying by hand; and Incense burner with string(현향로), which has chains for hanging up. Regardless of the type of incense burner, incense burners are often used in sets with incense cases in the Liao Dynasty. These incense burners excavated from the pagodas of the Liao Dynasty were probably used in Buddhist rituals at the temple and then buried as offerings, but the same type of incense burners depicted on the tomb Murals of the same period suggest that they were also used for private reading Buddhist scriptures and performing ceremonies. In particular, what is unusual about the use of incense burner in the Liao Dynasty is the appearance of incense burner with string, which naturally reflects the habit of attaching objects to the body during the frequent movement of the nomadic people of Khitan. In addition, it is worth noting the Buddhist incense culture of the Liao Dynasty, in which various types of incense are placed in various types of vessels inside the pagoda, such as the Qingzhou White Pagoda. 본 논문은 요대 불탑에서 출토된 향로를 사용방식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여 형태상의 특징을 분석하고 출토 환경, 공반 기물 및 향구간의 조합상을 살펴 요대 불교에서의 향문화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요나라(916∼1125)는 개국 초기부터 황실에서 불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숭상하면서불교문화가 크게 융성하였다. 요대 불탑은 현재 100여 기가 남아 있는데 사리장엄구를 포함한 불교공예품이 다량으로 매납되었고 그중에 향을 피우는 향로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불교에서 향은 인간을 부처님의 세계와 연결시켜 주는 매개체로 인식되면서 불교 의례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이 되었다. 요대 향로는 사용하는 방식 따라 향안이나 불단에 놓고쓰는 거향로, 손으로 들고 다닐 수 있도록 긴 손잡이가 달린 병향로,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슬이 달린 현향로 등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향로는 유형에 무관하게 대개 향을 담는 향합과 세트로 사용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요나라 불탑에서 출토된 향로는 사찰에서 설행된 불교 의례에 사용된 후 공양구로 매납되었을 것이나 동시기 무덤 벽화에 등장하는 동일한 유형의 향로 도상을 통해서 개인적으로 행해진 독경이나 예불에서도 사용되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요대 향로 사용에 있어서 특이한 점은 긴 사슬을 걸어서 사용하는 현향로가 등장으로, 이것은 거란의 유목민 특유의 잦은 이동 생활 중에 물건을 신체에 부착하고 다녔던습속이 향문화에도 자연히 반영된 것이다. 이밖에 경주백탑과 같이 불탑 내에 다종의 향료를 여러 종류의 기명에 담아 매납하는 요대 불교 향문화 양상도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

        遼代 陳國公主墓 출토 이슬람 유리병을 통해 본 향문화

        최국희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9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origin, inflow route, and uses of the Islamic glass bottle excavated from the tomb of Princess Chen and her husband, Xiao Shaoju, at Naiman Banner, Inner Mongolia.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incense culture and Islamic spices introduced in the Liao and Song dynasties was investigated. The wide-mouthed, long-necked, and flat cylindrical shaped glass bottle found at the tomb of Princess Chen and Xiao Shaoju is typical of the glassware that began to emerge in the 9th century in the Islamic world, including the Mediterranean and West Asia. This type of glass bottle was presumed to have been used as a perfume bottle for storing rose water. It was found with cloves at the underground relic crypt of Zhenshen Pagoda at Changgan Buddhist Temple in Northern Song in Jiangsu province, and it was verified to be a vessel to store incense in China. By comparing this glass bottle with the excavated items of Nishapur, Iran, it was confirmed that the glass bottle excavated from the tomb of Princess Chen and Xiao Shaoju was made in Iran.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it was introduced through land trade routes in the north in the 10th and the 12th centuries as a result of frequent contact and exchanges between the Liao and Islamic empires. This kind of glass bottles, which contained frankincense and rose water, were used to add fragrance to spaces and clothing and were used for beautification in daily life. They were handed down during the Liao and Song dynasties and were dedicated as incense offerings in Buddhist rituals. Moreover, this type of glassware influenced not only the Song dynasty but also the Goryeo dynasty; therefore, it was made into a celadon vase and was used as a flower vase. Islamic glass bottles found in certain ancient sites such as the tomb of Princess Chen and Xiao Shaoju are important as they serve as a valuabl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age of Islamic glassware in museums when the age of the excavated site is unclear. This study is decisive evidence that the Liao and Islamic regions actively interacted through the northern land trade route when it was somewhat neglected in history due to the extensive use of the Silk Road during the 10th and the 12th centuries. 본 논문은 內蒙古 通遼市 奈曼旗 遼代 陳國公主墓에서 출토된 유리병의 원류와 유입경로를 분석하고 요나라와 송대에 아랍으로부터 유입된 향료와의 상관관계를 살펴 그 용도와 요대 향문화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진국공주묘에서 발견된 입이 넓고 목이 가늘고 길며 몸체가 원통형으로 된 유리병은 9세기 지중해, 서아시아를 포함한 이슬람권에서 출현하기 시작한 전형적인 이슬람 유리기이다. 이 유형의 유리병은 일찍이 장미수를 담는 향수병으로 추정되었는데 실제로 江蘇 南京 大報恩寺 유적 내 北宋 長干寺 眞身塔 지궁에서 정향이 담긴 채 발견되어 중국에서 향을 담는 향구로 사용되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진국공주묘의 유리병은 이란 니샤푸르 출토품 및 전세품과 상호비교를 통해서 이란지역에서 제작되어, 10∼12세기 요와 이슬람 제국 간의 전개된 빈번한 접촉과 교류의 결과로 북방의 육상교역로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같은 유리병은 요와 송대 전해진 아랍계 향료인 유향과 장미수를 담아 일상생활에서 공간, 의복, 미용 등에 향을 더하는 용도로 활용되었고 불교 활동에서 향공양물로써 봉헌되었다. 아울러 송과 고려의 도자기 기형에도 영향을 끼쳐 동일한 유형의 청자병이 제작되었고 꽃을 꽂는 화병으로 사용되어 그 쓰임새가 확장되었다. 진국공주묘와 같이 紀年이 확실한 유적에서 발견된 이슬람 유리병은 출토지가 불명확한 상태로 박물관에 소장된 이슬람 유리기의 연대를 결정하는 데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더욱이 요대 이슬람 유리기는 10∼12세기 실크로드 연구사에서 다소 소홀하게 취급받던 북방 육로를 통해 요와 이슬람 지역이 당시에 활발하게 교류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물적 증거가 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 KCI우수등재

        漢代 海昏侯墓 출토 향로 연구: 鳳鳥立龜座博山香爐를 중심으로

        최국희 한국미술사학회 2024 美術史學硏究 Vol.321 No.321

        본고는 중국 江西省 南昌市 新建區 墎墩山에서 새롭게 발견된 前漢 海昏侯 劉賀墓(B.C.92∼B.C.59) 출토품을 포함한 전한대 봉조입귀좌 박산향로의 기형적 특징과 조형적 의미를 분석하여 그 용도와 소비계층 및유행 배경에 대해서 논의한 것이다. 유하는 武帝의 손자이자 昌邑王, 廢帝 그리고 해혼후를 두루 지낸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이다. 그의 무덤에서 출토된 16점의 동제 향로는 당시 왕실을 비롯한 신선사상의 유행에 따른 승선에 대한 희구와 열망의 표현이기도 하다. 특히 봉조입귀형 박산향로에 표현된 봉황과 거북은 이들이 가진 신성이 극대화되어 장수 혹은불멸을 향해 생성된 혼합체로서 선계로의 승천을 표현한 박산향로에서 핵심적인 구성 요소였다. 따라서 후한대에 이르러 유교에 기반한 합리주의가 대두되고 지성이 우선시되면서 승천에 대한 관념이 변화함에 따라서봉조입귀좌 박산향로는 서서히 소멸하게 된다. 그리고 이 향로는 고위층 남성들의 서재 혹은 손님을 맞이하는공간에서 출토되어 주로 남성들의 사용하던 전유 기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반도에 설치된 한사군 중의 하나였던 낙랑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향로가 중국으로부터 영향을받아 계속하여 사용되었는데 석암리 9호분에서 발견된 봉조입귀좌 박산향로도 그중의 하나였던 것이다. 따라서 낙랑 사회에서도 향이 사용자의 취향과 용도 및 소비 양상에 따라 취사선택하여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stylistic features and artistic significance of the “Boshanxianglu with Phoenix and Tortoise Designs” unearthed from the recently discovered Han dynasty burial site (92~59 BCE) of Liu He, the Marquis of Haihun, located in Nanchang, Jiangxi Province, China. It discusses the incense burner’s function, consumer group, and cultural context that contributed to its widespread adoption. Liu He, the grandson of Emperor Wu, held the titles of King of Changyi and Marquis of Haihun. He was also deposed as an emperor. The sixteen bronze incense burners found in his tomb are a testament to the prevalent beliefs in immortality and the aspirations of the royal family. The symbolism of the phoenix and tortoise on the “Boshanxianglu with Phoenix and Tortoise Designs” encapsulates the themes of longevity and immortality, hinting at a journey to the celestial realm. As Confucianism-based rationalism gained traction during the later Han dynasty, notions of ascension evolved, leading to a decline in the popularity of incense burners adorned with phoenix and tortoise motifs. This type of incense burner was discovered in upper-class males’ study chambers or reception areas, suggesting their predominant usage among men. In Nangnang, a Han commandery on the Korean Peninsula, various incense burners influenced by Chinese styles were used. The standout discovery of the “Boshanxianglu with Phoenix and Tortoise Designs” at the Sŏgamni No. 9 site, suggests a tailored approach to incense selection and usage based on individual preferences, purposes, and consumption habits within Nangnang society

      • KCI등재

        안악 3호분 벽화에 나타난 원구형 향로 연구

        최국희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31

        The images of people’s lives expressed in Koguryo’s ancient tomb murals and the various objects featured in them are important materials for an in- depth understanding of Koguryo culture. Among them, It is noteworthy that incense burner was shown in the portrait of owner’s wife in Anak No. 3. In this paper, an analysis of the incense burner of Anak Tomb No. 3, which is a round-shaped(圓球形). Its source was found in the ruins of the Eastern Han in Henan(河南) and Shandong(山東) regions of China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riginal incense burner of the Hanjin(漢晉) era. In addition, it seems that it was one of the types of incense burners used mainly by women during the Hanjin era in China, as they were mainly excavated along with women’s graves and women’s goods, it is also found in tombs of influential political officials at the time, indicating their affection for incense in the upper classes. Therefore, Dongsu(冬壽), who was a general in Qianyan(前燕) and his wife, the tomb of Anak No. 3 were already familiar with and enjoyed the incense culture, which was naturally reflected in the murals.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당시 사람들의 삶의 모습과 그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기물은 고구려 문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그중에서 안악 3호분의 <묘주부인도>에 향을 담아 태우는 용도로 사용된 향로가 묘사되어 있어 주목된다. 향은 일찍이 중국에서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부터 벌레나 악취를 제거하고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며 의복에 좋은 냄새를 더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한대(漢代)와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에는 일상생활에서뿐만 아니라 종교활동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한사군(漢四郡)의 하나였던 낙랑(樂浪)의 석암리(石巖里) 고분군에서 박산향로가 출토된 바 있어 한반도에서도 향이 이미 전해지고 사용되었을 것이나 고구려 향로는 일본 동경국립박물관 소장의 장병향로 이외에 거의 전하지 않고 다만 안악 3호분과 장천 1호분 벽화에 표현되어 있을 뿐이다. 본고에서 고찰한 안악 3호분의 향로는 반구형의 노신과 뚜껑이 결합하여 동그란 공모양을 이루는 원구형 향로이고 중국 한진(漢晉)시기의 원구형 향로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그 연원을 중국 하남(河南)과 산동(山東)지역의 동한(東漢)대 유적에서 찾을 수 있었다. 한편 중국 한진시기의 원구형 향로가 주로 여성묘에서 출토되거나 여성기물과 함께 부장되는 양상을 보여 여성들이 주로 사용했던 향로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게다가 당시 유력 정치관료들의 무덤에서도 발견되고 있어서 상류층의 향에 대한 애호를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전연(前燕)에서 사마를 역임하고 고구려로 망명한 안악 3호분 묘주인 동수(冬壽)와 그 부인도 이미 향문화에 익숙하고 즐겨 사용했을 것으로 그 모습이 <묘주부인도>에서 원구형 향로와 함께 나타난 것이다.

      • KCI등재

        원대 음주기로 본 몽골제국의 동서교류

        최국희 ( Choi Gukhee ) 동양미술사학회 2024 동양미술사학 Vol.18 No.-

        본 연구는 몽골의 음주문화를 살피고 원대 새롭게 조합된 금속제 음주기의 기형, 문양, 기법 등을 분석하여 원대 음주기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원을 포함한 몽골제국에서 발견된 음주기도 함께 비교하여 기물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 그리고 이들 지역 간의 교류 양상도 탐색하였다. 몽골이 세운 원대에 사용된 음주기는 이전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그들이 음용한 주류의 특성과 음주 취향, 그리고 몽골제국의 확장에 따른 다양한 민족ㆍ문물ㆍ문화적 요소가 융합되면서 독특한 양상을 보인다. 원대 신유형의 음주기는 몽골제국에 속한 러시아 남부의 주치 울루스와 중동의 훌레구 울루스에서도 등장하였다. 이는 지역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거리를 초월한 ‘대몽골 울루스’ 라는 하나의 연합체 안에서 음주문화가 공유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대 음주기는 금속기와 도자기로도 두루 제작되어 재질 간의 기형을 공유했을 뿐만 아니라 고려에도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This study examines the drinking culture of Mongolia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Yuan dynasty drinking vessels by analyzing the deformities, patterns, and techniques of newly assembled metal drinking vessels in the Yuan dynasty. Drinking vessels from the Mongol Empire, including the Yuan Dynasty, were also compared to explo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rtifacts, as well as patterns of exchange between the regions. Drinking vessels used in the Yuan Dynasty, founded by the Mongols, inherited earlier traditions, but were also uniqu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quors they drank, the nature of their drinking tastes, and the fusion of various ethnic, artistic, and cultural elements as the Mongol Empire expanded. This new drinking behavior is also found in the Juchi Ulus and Hülegü Ulus, both of which belong to the Mongol Empire, along with the Yuan, indicating a shared drinking culture that transcended distance, albeit with some regional variations. The drinking vessels used in the Yuan Dynasty were also produced in both metal and ceramics, which greatly influenced Goryeo.

      • KCI등재후보

        만성한묘(滿城漢墓)출토 향구(香具)를 통해 살펴본 한대 향문화(香文化)

        최국희 ( Choi Gukhee ) 동양미술사학회 2020 동양미술사학 Vol.10 No.-

        香은 중국에서 악취나 벌레를 제거하고 의복에 좋은 냄새를 더하며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려는 목적으로 춘추전국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한대에 이르러서는 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왕실을 중심으로 향구가 사용되면서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수량도 풍부해졌으며 사용범위도 확대되었다. 滿城漢墓는 景帝의 아들이자 武帝의 이복형이었던 中山國 靖王 劉勝과 그의 부인 竇綰의 무덤으로서 香爐 6점과 香枕 2점 그리고 향료가 출토되어 서한대 왕실의 향문화를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만성한묘의 향구에 대한 분석과 동시대 문헌기록의 해석을 통해서 한대의 향문화를 고찰하였다. 만성한묘의 향로는 형태의 특징에 따라서 豆形, 博山形, 多足形, 帶柄形 등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향을 담아 사용하는 향침에는 산초나무 열매(花椒)가 가득 채워져 있었는데 이 열매는 중국 본토향료로 향신료, 약재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후에 망자의 혼령을 하늘로 인도해 준다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한대 향에 대한 관념과 사용은 향구의 형태, 함께 부장된 기물 및 출토된 공간의 특성에 따라서 예의상의 향과 생활 속의 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만성한묘에서 祭器, 酒器와 함께 출토된 향로는 연회 혹은 제사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던 것이고 욕실공간에서 목욕기물과 함께 부장된 향로는 냄새와 세균을 없애서 욕실의 환경을 개선하거나 목욕시 몸에 향이 스며들도록 사용되었던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In China, the incense began to be used from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with the aim of removing bad odor or bugs, adding good smells to clothing, and purifying air in the room. In Han Dynasty, Increased interest in fragrance and the use of incense vessels around the royal family, the incense vessels has also developed. The owner of Tomb No.1 is Liu Sheng, Prince Jing of the Kingdom of Zhongshan in the Western Han While Tomb No. 2 belongs to his spouse Dou Wan, eight incense vessels and spices have excavated there. In this paper, an analysis of the incense vessels of the tomb, which can be divided into 4 types based on their different shapes. Combining the artifacts discovered from archaeological excavations with historical literature, we find that incense was used in ceremonies, banquets and lifestyle during this period, particularly by the upper class.

      • KCI등재후보

        당대(唐代) 경산사(慶山寺) 지궁(地宮) 출토 인면문호병(人面紋胡甁) 연구

        최국희 ( Choi Guk-hee ) 동양미술사학회 2020 동양미술사학 Vol.11 No.-

        중국 陝西 臨潼縣에 위치한 慶山寺는 1985년에 우연히 地宮이 발견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고 이곳에서 출토된 <上方舍利塔記>를 통해서 唐 開元 29년(741)에 조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경산사 지궁에서는 금은제 舍利具를 비롯하여 淨甁, 錫杖, 香爐, 高足杯, 유리병 등의 다양한 기물이 모두 129점이 출토되었다. 그중에 황동으로 제작된 人面紋胡甁은 재질뿐만 아니라 기형과 도상이 중국 전통에서 벗어난 이질적인 요소가 농후하여 외래품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이 호병의 기형은 구연부가 새 부리형으로 되어 있고 손잡이 상단이 구연부로 바로 연결되며 짧고 두꺼운 권족의 형태에서 소그드 계통의 금속기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호병의 동체에 여섯 개로 된 인면상은 종종 힌두교의 스칸다 상이라고 해석되기도 하지만 여러 인종과 종교가 혼합된 인도 서북부 사람들의 얼굴을 모방하여 표현했을 가능성도 있다. 결국 경산사의 인면문 호병은 황동으로 제작된 소그드 계통의 금속기로 그 제작지는 인도문화와 소그드 문화 그리고 불교문화가 융합된 인도 서북부 지역일 것이다. 그리고 이 호병은 개원 29년(741) 4월 8일에 4년간의 경산사 중건을 완성하고 성대하게 열린 불교의례에서 공양구로써 사용된 후에 특별히 매납되었던 것이다. A Hu-style bottle with six-sided human face was found in the underground chamber at the Qingshan Buddhist Temple(慶山寺), Lintong County(臨潼縣), Shaanxi Province(陝西省), in 1985. A total of 129 objects were excavated from the Qingshan Buddhist Temple including the gold and silver sarira reliquaries, incense burner, goblet, and glass bottle. Among them, a Hu-style bottle with six-sided human face is known to be a foreign product with rich foreign elements, as well as the shape and design is distinguish from the traditional Chinese style. This bottle has the shape of a beak-like mouth, a dragon-shaped handle, and the terminals of the handle are attached at the rim and shoulder, totally its shape is very close to typical Sogdian bottles. The six-sided human face image expressed on this bottle is often interpreted as a Skanda image of the Hindu God of War. However, this bottle is not accompanied by objects or rides reminiscent of the Skanda statue. It is possible that the six-sided human face image of the this bottle was expressed in a decorative iteration, referring to the faces of people in northwestern India, who were mixed with numerous religions and races, rather than the Skanda of image of the Hindu God of War. In the end, the bottle with six-sided human face at Qingshan Buddhist Temple was made in the northwest of India, the site was a place mixture of Indian culture, Sogdian culture, and Buddhist culture. And on April 8, 741 year of its opening, this bottle was specially buried after it was used as a buddhist tool in a grandly open Buddhist ritual after completing the four-year reconstruction of Qingshan buddhist Tem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