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황장애 환자에서 인지행동치료의 약물 감량 효과

        최영희,김경미,박기환,윤혜영 대한정신약물학회 2003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4 No.4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CBT is effective in tapering or discontinuing medica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medication and its maintenance effects after long-term follow up. Method : 224 patients meet DSM-IV criteria for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agoraphobia completed 12 weekly sessions of Panic Control Therapy (PCT; Barlow et al.). 80 patients who were using benzodiazepines alone and 144 patients who were using benzodiazepines and Antidepressants were measured with several screening scales at the pre- and post-treatment. The scales wer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pielberg State Anxiety Inventory (STAI-State), Spielberg Trait Anxiety Inventory (STAI-Trait), Body Sensation Questionnaire (BSQ), Agoraphobic Cognition Questionnaire (ACQ), Anxiety Sensitivity Index (ASI), Panic Belief Questionnaire (PBQ). These patients were assessed at 3 months, 6 months, 12 months of follow up and they were also assessed for their medications, panic frequency, and End-State Functioning. Results : After the completion of PCP, both benzodiazepines alone group and benzodiazepines and antidepressants combin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P<0.001) in all the results of 7-self reported questionnaires. 54% of patients discontinued their medication and 90.9% of patients were in HES at post-treatment. 70 % of patients were in HES at 3 month, 6 month, and 12 month follow up. The patients who could not discontinue medication also tapered their medication afterwards. The rate of discontinuing medi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patients using benzodiazepines alone (86.3%) than patients using combination of benzodiazepines and antidepressants (56.3%).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ppor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an replace medication and these effects seem to last long. 목 적:공황장애 환자들에 대한 인지행동치료가 치료 약물의 종류와 무관하게 약물을 중단하는데 도움을 주며, 장기간에 걸쳐 호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DSM-Ⅳ 진단에 따라 공황장애로 진단 받고 약물치료중인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12회기 집단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하였다. 인지행동치료 전 복용 약물을 벤조다이아제핀계 약물 복용 군 80명과 벤조다이아최영희 등 375 제핀과 항우울제 병합요법군 144명의 환자군으로 나누어, 치료 전과 후에 시행한 Beck Depression Inven -tory(BDI), Spielberg State Anxiety Inventory(STAI -State), Spielberg Trait Anxiety Inventory(STAI-Trait), Body Sensation Questionnaire(BSQ), Agora-phobic Cognition Questionnaire(ACQ), Anxiety Sen -sitivity Index(ASI), Panic Belief Questionaire(PBQ)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3개월, 6개월 12개월 추적조사를 통해 각 약물군별 약물복용 여부와 최종상태기능(End-State Fungtioning)을 평가하여 분석하였고, 12개월 추적조사기간동안 약물 복용양 변화와 약물군별 차이, 최종상태기능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인지행동치료 전 사용 약물의 종류와 상관없이, 인지행동치료 이후 모든 임상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인지행동치료 직후, 대상군의 54%의 환자들이 약물을 끊었고 이들 중 90.9%가 상위 최종 상태를 유지되고 있었으며, 3개월, 6개월, 12개월 추적조사에서 이들의 약 70%는 여전히 상위최종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약물 복용을 중단하지 못한 환자들도 지속적으로 약물 복용을 감량하여 3개월 뒤에는 약 6%, 6개월 및 12개월 추적조사 시에는 약 68%의 환자가 약물 복용을 중단하였고 이들 역시 약 70%에서 상위최종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벤조다이아제핀 단독 투여군의 경우 86.3%의 환자가 인지행동치료 이후 약물복용을 중단하여 이후 추가적인 약물복용이 필요하지 않았으며 이들의 약 70%는 약물 복용 없이 상위최종상태를 유지하고 있었고, 2.7%만이 약물 감량 이후 재복용 하였다. 반면 벤조다이아제핀계 약물과 항우울제 병합요법군은 57.0%의 환자가 인지행동치료 이후 약물복용을 중단하여 지속적으로 약물복용을 하지 않았다.

      • KCI등재
      • KCI등재
      • 형질전환 생쥐에서 Bovine $\beta$-Casein/Bovine Growth Hormone 재조합 유전자의 유전적 안정성에 관한 연구

        최영희,오건봉,강용국,방남수,서길웅,이경광,이철상 한국동물번식학회 1998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22 No.3

        To investigate the fidelity of transgene transmission and expression, we produced transgenic mice carrying bovine $\beta$-casein/bovine grwoth hormone(bGH) fusion gene and examined transmission efficiency and expression level of the transgene in the founders and their progeny. The transgene was composed of 1.8 kb bovine $\beta$-casein promoter and 2.1 kb bGH gene. Ten transgenic mice were produced. Milk and mammary gland were collected from eight transgenic lines at 10-day lactation and a, pp.ied to Western and Northern blot analyses. The bGH expression was detected in four of them. The concentrations of bGH in milk were highly variable from 4$\mu\textrm{g}$/ml to 600$\mu\textrm{g}$/ml depending on the lines. The bGH mRNA level in mammary gland wa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bGH concentration in milk in each transgenic lin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GH transgene expression was a, pp.opriately regulated in the mammary gland and secreted into milk in transgenic mice. By using two transgenic lines(#2, #7) secreting a considerable amoung of bGH into their milk, the inferitance and maintenance of transgenic phenotype were assessed in successive four generations. The mean transmission frequencies of transgene in lines #2 and #7 were 34% and 40%, respectively. The bGH concentration in milk were 80, 240, 120, 60$\mu\textrm{g}$/ml in each G0(generation 0), G2, G3, G4 generation of line #2 and 600, 1600, 860, 900$\mu\textrm{g}$/ml in each G1. G2, G3, G4 generation of line #7.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bovine $\beta$-casein/bGH gene was stably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a Menelian fashion in trasgenic mice and consistenly expressed in their milk throughout the generations, although there was a little variation in the transmission frequency and expression level of the transgene between generations.

      • KCI등재

        광학적 반사률이 적용된 단순평면패턴 도광판 모델의 시뮬레이션

        최영희,마혜준,최은서,신용진 한국물리학회 2009 새물리 Vol.59 No.2

        We proposed two-layered light guiding model having partial reflectivity to expect the performance of designed light guiding panel. Simplified inner scatterer based light guiding panel has different reflectivity on each surface without any absorption. On the surface, the Gaussian scattering happens at every reflection. From the simulation results, linear pattern provided similar average brightness (231 cd/mm2) to experimental results (211 cd/mm2) in the condition of 40 % reflectivity and 60% transmissivity. But in the case of curved pattern, there are big discrepancy from the experimental value of 429 cd/mm2. The detailed simulational and experimental research for the effect of optical reflectivity of each surface including absorption property could provide more exact expectation to the designed light guiding panel. 본 연구는 도광판(LGP: Light Guide Panel) 성능 예측을 위한 방법으로 반사율과 투과율을 부여하고 산란모델을 적용된 두 개의 층이 적용된 전산모사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단순평면패턴의 두 개의 층에 각각 반사율과 투과율을 변화시켰고 흡수율은 0%로 고정하였다. 단순평면패턴의 광학적 특징으로는 가우시안 산란모델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선형패턴의 경우 반사율이 40%이고 투과율이 60%인 단순평면패턴에서 평균휘도 값이 231 cd/mm2로 실험치 211 cd/mm2과 유사하게 나왔다. 그러나 같은 반사율과 투과율에서 곡면패턴의 경우엔 실험치의 429 cd/mm2의 평균 휘도값과 많은 차이점으로 보였다. 따라서 반사율과 투과율 이외에 흡수율과 산란체들의 산란모델에 대한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가톨릭 학교의 지침과 종교교재

        최영희 한국종교교육학회 2006 宗敎敎育學硏究 Vol.22 No.-

        종교교육에서 충만한 신앙의 관점으로 양육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가톨릭 학교의 지침과 종교교재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가톨릭 학교에 관한 교육지침은 종교교재가 지녀야 할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있을 뿐만이 아니라 신앙인으로 양육해야 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먼저 가톨릭 학교의 지침이 무엇인지 명확히 알아야 필요가 있다.본 논문에서는 가톨릭 학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톨릭 교육’ 및 ‘가톨릭 학교’에 관한 문헌들을 살펴보면서 ‘가톨릭 학교에 관한 지침’을 주로 고찰하게 된다. 가톨릭 학교에 관한 주요 지침을 크게 다섯 가지로 제시한다. 즉 첫째, 그리스도께 토대를 둔 전인교육, 둘째, 가톨릭 학교의 교회적 그리고 문화적 독자성, 셋째, 가톨릭 학교의 교육적 사명(가톨릭적 교육 목적의 실현), 넷째, 사회에 대한 봉사, 다섯째, 학교 내에 자유와 사랑 그리고 복음적 정신이 충만한 공동체 형성에 두고 있다.우리나라에서의 가톨릭 종교교재에 대한 것은 1958년을 시작으로 2002년까지 제작된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초창기 때의 종교교재는 교리 중심적이고 주지적인 경향이 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종교교재로 사용하고 있는 《중학교 종교》(2002년에 출판)와 《고등학교 종교》(2002년에 출판)는 그 내용이 좀 어렵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한 종교교재의 내용이 일상생활에서 적용되고 활용될 수 있느냐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종교교재를 새로 만든다면 교육 현장의 생생한 소리를 듣고 학생들에게 접목될 수 있는 교육 내용과 방법을 동원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교과 내용이 아무리 훌륭하더라도 교육 현장에서의 효용성 여부에는 여러 가지 변인이 있기 때문이다. 교과 내용을 배우는 학생들이 그 교과 내용에 관심이 없다거나 가치부여를 하지 않는다면 전인교육에 지장을 초래하기 쉽다. 그러므로 종교교육의 특징에 부합하는 교수-학습 분위기를 조성해야 할 것을 설명하고 있다. 이는 학습자가 종교교육에 대한 내용을 알고, 깨닫고, 실현할 수 있는 교육 분위기 형성으로 삶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