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파수 배가 시야검사계를 사용한 녹내장 및 녹내장 의증의 진단

        최진아,박찬기.Jin A Choi. M.D.. Chan Kee Park. M.D. 대한안과학회 2007 대한안과학회지 Vol.48 No.8

        Purpose: To find applicable parameters of the frequency doubling technology perimeter (FDP), which is known to be useful in detecting early visual field loss. Methods: The subjects were 65 eyes of normal individuals, 58 eyes of glaucoma suspects, and 37 eyes of glaucoma patients. FDP (MD, PSD), SAP (MD, PSD, CPSD), and 5 parameters of OCT were analyzed.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parameter were evaluated, and the comparison of FDP parameters by Pearson`s chi-square was made between the glaucoma suspect group and the normal group. The same comparison was made among the normal+glaucoma suspect and glaucoma group. Results: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normal and glaucoma suspect groups, the FDP-PSD revealed an AUC of 0.745 (cutoff: 3.17dB), which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SAP-PSD with an AUC of 0.660 (cutoff: 1.73dB). In comparing FDP, PSD by Anderson criteria was most reliable with a hit ratio of 0.732. On the other hand, in discriminating among the normal+glaucoma suspect group and glaucoma group, the SAP-PSD showed an AUC 0.971 (cutoff: 2.92dB), much larger than the FDP-PSD with an AUC of 0.863 (cutoff: 3.78dB). In addition, in comparing the parameters of FDP by Pearson chi-square, PSD 1% was the most reliable with a hit ratio of 0.813. Conclusions: FDP is a valuable screening tool in detecting early visual field loss. PSD by Anderson criteria can be a reliable parameter for the diagnosis of pre-perimetric glaucoma, and PSD 1% can be used in the discrimination of perimetric glaucoma.

      • KCI등재

        2.2 mm 동축 소절개 백내장수술의 단기 임상 결과 비교

        최진아,정성근,김현승,Jin A Choi,Sung Kun Chung Ph,D,Hyun Seung Kim 대한안과학회 2008 대한안과학회지 Vol.49 No.6

        Purpose: To compare the postoperative results of 2.2 mm microcoaxial cataract surgery (MCCS) and conventional 3.0 mm cataract surgery (CC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0 patients (40 eyes): 17 patients (21 eyes) had microcoaxial cataract surgery using a 2.2 mm microcorneal incision, and 13 patients (19 eyes) had conventional cataract surgery using a 3.0 mm corneal incision. In these two groups, we measured phacoemulsification time, total phacoemulsification percentage, and effective phacoemulsification time (EPT) during cataract surgery. We compared corneal thickness, endothelial cell count, uncorrected visual acuity, best‐corrected visual acuity, and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SIA) by corneal topography between the two groups preoperatively and at 1 day, 1 week, 1 month, and 2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ly lower SIA (p=0.025) at postoperative day 1 in MCC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at. No difference in phacoemulsification time, total phacoemulsification percentage, EPT, corneal thickness, postoperative uncorrected visual acuity or corrected visual acuity was noted between MCCS and CCS. Conclusions: MCCS using a 2.2 mm small corneal incision appears to be a safe and advanced procedure with a smaller amount of surgically-induced astigmatism during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J Korean Ophthalmol Soc 49(6):904-910, 2008

      • KCI등재
      • KCI등재

        진도 씻김굿의 물질문화 연구

        최진아(Jina Choi) 한국무속학회 2000 한국무속학 Vol.0 No.2

        본 논문은 세습무 형태로 무계가 계승되는 전라남도 진도의 씻김굿을 중심으로 무속의례의 물질문화의 상징적인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의례 속에서 聖의 상징적인 의미로 인식이 전환되는 도구들이 의례 속에서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는지, 또한 그것들이 내포하고 있는 상징적인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제까지 씻김굿 연구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굿에 사용된 물질자료들을 중심으로 살펴 본 결과, 그것들은 단순한 도구로서의 기능만을 수행하기 위한 것만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의례절차가 갖는 일관된 의미맥락과 형식적인 짜임새 속에서 독특한 상징의미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굿의 거리별 특징을 나타내주는 구실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혼베는 혼맞이를, 정주와 복개는 제석굿을, 고풀이베는 고풀이를, 누룩ㆍ솥뚜껑ㆍ쑥물ㆍ향물은 씻김굿을 나타내주고 있었다. 즉, 무구들은 씻김굿이 전달하는 상징의미를 잘 이해하게 해 주는 구체적인 대상물로 굿의 각 거리별 특징을 구별해 주는 수단이며, 제차의 연속성을 갖게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근거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hows that the ritual objects(material) of Ch'indo-Sitkim-Gut(씻김굿). The ritual objects, as the important constituents of Gut(굿) like behavior and verval tradition, have not been researched in the studies on Korean shaman rituals. The reason why I chose yet Ch'indo-Sitkim-Gut of Ch'in-do, Ch'?nnam Korea, traditionally called as Tangol(heriditary shaman, 당골), known for the representative memorial ritual among Korean Shamanistic ones(Gut, 굿), is that there are specific meanings in it not just we get. In material culture of Gut, there are four kinds of ritual objects; shaman's tools, costume, and arrangement of ritual food tables, and musical instruments. They are, in general, considered as 'sacred things' symbolized special mean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Various materials and tools in Sitkim-Gut are beyond their elementary functions in our life, in other words, they have particular symbolic meanings in the specific cases. In conclusion, materials of Sitkim-Gut plays a role as the mediator between shaman, Gut and spectators.

      • KCI등재

        새로운 신을 받아들이는 종교현상 구애비

        최진아(Choi Jin-a) 한국민속학회 2009 韓國民俗學 Vol.50 No.-

        본 연구는 구애비[鬼業]를 통해 神物을 습득한 사례를 중심으로, 이 현상이 새로운 신을 받아들이고 이전 소유자가 모시던 신을 계승하는 종교현상임을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기존에 구애비 현상은 무업입문 유형의 하나로만 받아들여져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와 달리 이미 무업에 입문한 기입문자(강신무)에게도 나타나는 현상임을 규명해 보았다. 또한 구애비의 유형에는 이미 사망한 무당의 것을 가져오는 死後 구애비가 주로 알려졌으나, 생존해 있으나 무업을 중단한 무당에게 떠오는 산구애비 현상에도 주목하였다. 구애비 현상이 나타나는 지역은 중부이북지역으로 제한되어 왔으나, 문헌자료와 현지조사를 통해 얻어진 사례연구에 의하면, 기존 입장과 달리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종교현상을 통해 얻어진 神物은 神體具?請神具?占具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중에서 신을 청하는 방울과 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엽전을 가장 많이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신물들을 무업 수행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들로서, 버리거나 묻는 것은 곧 무업의 중단을 의미할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강신무에게는 신을 청하고, 좌정시키고, 그 말을 전하는 기능이 가장 중요한 직능으로 인식되기 때문인데, 특히 구애비를 통해 얻어진 대상물[神物]들은 그러한 신직매개의 기능이 부여된 것들이 주를 이룬다는 점에서 효용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구애비의 한자식 표현인 鬼業이 곧 귀신을 부리는 일을 업으로 삼는, 곧 巫業의 다른 표현이라는 점에서, 이 현상은 무업을 직업으로 삼는 무당에게는 신의 계시를 구체적인 물질을 통해서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모든 강신무가 구애비로 신물을 얻는 것은 아니다. 만약 이 종교체험을 하였다면, 곧 그 강신무는 영험한 무당으로 인식되는 게 일반화된 정설로 통한다. 또한 물자가 부족했던 근대화 이전에, 이 체험은 신물을 직접 마련해야 하는 수고를 덜었다는 점에서, 선택받은 자라는 인식이 보다 더 강했을 것이다. 이 현상은 무업입문 유형의 하나로 받아들여져, 신병체험 도중에 이 현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이와 달리 이 현상은 구애비를 먼저 한 뒤에 신병체험을 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조사되었다. 후자의 경우는 병의 원인이 무병임을 깨닫게 해 주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 현상은 입문예정자에게는 무업입문의 동기를 부여해주는 계기가 된다. 한편으로 이 현상은 이미 입문한 강신무에게도 나타나, 무업입문기와 동일하게 신병체험을 동반하는데, 강신무에게는 몸주신의 유형에 일정한 변화를 준다는 점에서 무업의 전환점이 되는 계기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구애비는 무업입문 이전과 이후에도 경험할 수 있는 현상이라 볼 수 있겠다. 즉, 안면관계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이후 사용자가 이전 사용자의 신격을 신물이라는 매개물을 통해서 계승하는 현상으로서, 物質(shamanic materials)을 매개로 하여 새로운 몸주신을 받아들이는 비혈연적 종교계승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aims to define ‘Gu-ae-bi(구애비, 鬼業)’ is a non-blooded religious phenomenon accepting new God and acceding God of former shaman throughout analyzing the case that shaman finds shamanic materials. I inquired into ‘Gu-ae-bi is found in not only new shaman as an entrance ritual but also the established shaman (降神巫, Gang-sin-mu). And I paid attention to the ‘San Gu-ae-bi(산구애비)’ phenomenon that brings shamanic materials(神物, shinmul) from shaman who is alive but quit her(him) business(‘Gu-ae-bi’ is widely known as a phenomenon that brings shamanic materials from a dead shaman). ‘Gu-ae-bi appears in the mid-north area of Korea restrictively. But according to the case study by documents and fieldwork, I found out ‘Gu-ae-bi is nationwide phenomenon unlike previous stance. And gained shamanic materials through this ritual are mainly physical device, mental device, diving device. Among them, bell(방울, ‘bangul’) andbrass coin(엽전, ‘yeopjeon’) are the most acquired devices. The bell(‘bangul’) function to invite the God and brass coin(‘yeopjeon’) function to deliver divine purpose. These shamanic materials are essential to perform shamanic work. So dropping or misplacement of it means stop performing shamanic work. Because gained shamanic materials through ‘Gu-ae-bi ritual are the kind of shamanic devices that have the function of inviting the God, taking a seat the God and delivering divine purpose. So ‘Gu-ae-bi phenomenon is understood as a expression that shows divined purpose through the specific material to the shaman. But every shaman does not acquire the shamanic material through ‘Gu-ae-bi ritual. If the shaman(Gang-sin-mu) experienced this religious phenomenon, she is branded as a excellent shaman. And the shaman who experienced ‘Gu -ae -bi was recognized as the chosen shaman because ‘Gu - ae -bi saved her(him) pains of preparing the shamanic materials in the premodernization when resources were insufficient. This phenomenon has been accepted that it is usually experienced during the possession as one of types to become a shaman. But I found that ‘Gu-ae-bi is experienced also before or after the possession. If it appears after the possession, it does offer some clues to realize that the disease cause is the possession. This phenomenon would be opportunity to motivate a shaman-to-be to enter the shamanic work. On the one hand, it comes to the established shaman(Gang-sin-mu) and make her(him) fall into the possession like a phase of becoming shaman. It marks a turning point of shamanic work because it makes a certain change in a type of the Owner God(몸주신, Mom-Ju-sin). In conclusion, ‘Gu-ae-b’ can be experienced before or after the entrance of shamanic work. In other words, It can be explained as a non-blooded religious accession to receive new Owner God(Mom-Ju-sin) who is served by strange prior shaman through the shamanic materials.

      • KCI등재
      • KCI등재

        지전의 유래와 의미의 다양성

        최진아(Choi, Jin-a)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역사민속학 Vol.0 No.45

        본 논문에서는 死者의 노자돈으로서 사령제와의 관련성만이 제기되어 온 지전의 유래와 의미를 사료 중심으로 살펴보고, 기존의 인식과 달리 훨씬 더 광범위한 영역에서 사용되어 그 안에 다양한 의미가 내재되어 있음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중국에서 유입된 지전은 그 역사가 殷나라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설이 있으나, 그 보다는 漢나라 전후에 지전과 유사한 의미의 價値財를 儀物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 초기에는 실물 화폐를 사용하다가 국가의 제재로 종이로 지전을 만들게 되었으며, 이후 唐에 이르러 祀祭에 쓰이기 시작하며 성행하였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에 지전이 정확히 언제 유입되었는지 알 수는 없으나, 8세기경 천도의례에 사용된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는 수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보편화된 시기는 보다 그 이후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고문헌 사례를 통해 지전이 사령제와 같은 종교제의 외에도 국가 및 관청의 제의, 유교의 상장례와 조상제의, 그리고 무속과 불교제의 등 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된 사례를 통해 지전에 내재된 의미를 본문에서는 크게 神體, 請神과 送神의 媒介物, 그리고 禮緞으로 분류해 보았다. 신체의 의미를 지니는 지전은 그 안에서도 신령이 강신하는 상징물과 死者가 머무르는 神主로 구분된다. 전자는 그 자체가 무속의 신령이나 祖上神, 그리고 마을의 수호신으로 여겨져, 신이 존재한다고 믿어지는 부군당을 비롯한 마을의 祭堂이나 巫家의 신당 그리고 개인의 집에 마련해 놓은 사당 등과 같은 聖所에 장식되어, 신의 모습을 가시화 한 畵像이나 彫刻像 등과 등가의 개념으로 인식되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후자는 지전 안에 死者의 영혼이 담겨진다고 믿어 그 자체를 神主와 동일시 여겼던 것으로 이해되었다. 청신과 송신의 매개물의 의미를 지녔던 지전은 유교 상장례와 무속제의에서 사용되었는데, 유교상장례에서는 死者의 招魂의식에 魂을, 무속제의에서는 神과 魂을 초대하고 보내는 請神과 送神의 매개물로 인식되었다. 특히, 이들 제의에서는 매개물로 인식되는 지전이 송신의례에 소각되어짐으로써, 초대한 神과 魂을 떠나보내는 것으로 믿어졌다. 禮緞의 의미를 지니는 지전은 獻物의 의미와 冥錢의 의미로 구분해보았다. 이러한 의미를 지닌 지전은 그것을 태우거나 제장 주변에 놓음으로써 神이 사는 天界와 死者가 사는 冥界에서의 價値財인 財貨로 전환된다고 믿어졌다. 즉, 이승에서와 마찬가지로 그곳에서의 삶을 영위하기 위해 끊임없이 경제적인 價値財가 필요하다는 관념이 당시에 존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맥락에서 보자면, 지전은 神과 死者, 그리고 現世人 상호 간의 소통이 가능하게 해 주는 상징적 매개물로 인식되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Jijeon (紙錢, paper money) has been primarily recognized as a travelling expense for the dead. Up until now, only its relevance to a shamanistic ritual to escort the spirit of the dead to the Heaven was emphasized. This study aims to research and reveal that Jijeon, unlike the current perception of it, was used for multiple purposes in far wider areas, thereby having a number of implications. The study focuses on the origin and multiple implications of Jijeon based on the historical data. The history of Jijeon, which was brought from China, dates back to the Yin dynasty. Yet, it is estimated that a brass coin was circulated before and after the Han dynasty, and Jijeon was used later during the Tang dynasty after paper was created. Commodity money was used in the early days. Religious meaning was given to paper under the sanct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paper came to be used as currency later. This paper money influenced Buddhism, and used for the religious ceremony, reflecting the conception of Buddhism. It is not clear when Jijeon was brought to Korea. But given that Jijeon was used for the funerary rituals in Buddhism around 8<SUP>th</SUP> century, Jijeon is estimated to be introduced at least in the 8<SUP>th</SUP> century. It is highly like that Jijeon was commonly used later. Jijeon was used as a ritual tool in various areas, including government offices, funeral rites, memorial service for ancestors and shamanistic and Buddhist rites. It was placed in Bugundang (shrines set up near or on the grounds of government offices in the capital or in the provinces) as a symbol of Bugun (government office deity) during rituals hosted by the government. People believed that they can call back the spirit of the dead via Jijeon, or the spirit of the deceased in dwelled Jijeon during funeral rites and memorial service for ancestors. Jijeon was also used for a memorial service held before the grave. It decorated the holy place at the shamanistic and Buddhist ritual. Jijeon, used in various areas, holds a number of implications, including the body of god, a medium to communicate with gods and offering for both deities and the dead. Jijeon symbolized as the body of god, has been treated as equal to either one of the gods of shamanism or the guardian of a village. It has been seen as a spirit tablet at the ancestral rite. Jijeon also has been viewed as a medium either to raise the spirit of the dead or to communicate with gods. As offering for deities, Jijeon was burned to be used as money for the spirit. The paper money was believed to be dedicated to the dead and deities while being burned. Being used as a symbol with the religious conception at the funerary rituals in Buddhism, Jijeon was thought to become wealth which can be used in the world of the dead. There was a belief that wealth matters even in the afterlife. People believed that the dead people would need money to live their lives in the other world, just like they did in this world. From that perspective, Jijeon was considered to serve as a symbolic medium which enabled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 KCI등재

        무속의 전승체제 약화가 무구제작에 미친 영향

        최진아(Choi, Jina) 한국무속학회 2014 한국무속학 Vol.0 No.29

        본 연구는 이전까지는 논의의 주제로서 주목받아 오지 못했던 무구제작의 변화원인을 무당 사회 내부의 전승체제 약화 속에서 살펴보았다. 무속은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그리고 산업화 등과 같은 큰 사회적 사건에도 굳건하게 유지되어 왔으며, 그러한 영향으로 인해 내?외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내적으로는 마을단위의 공간 개념의 단골판 조직 와해, 세습무 무가계 붕괴, 무당의 도제식 교육체제 약화를 겪어왔으며, 외적으로는 근대화를 통해 급속도로 발전한 산업화의 영향과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미신타파의 일환으로 주도한 마을신당 강제철거와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아왔다. 그러한 여러 원인 중에 무당 사회 내부의 전승 체제가 약화가 무구 제작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무속의 정규교육인 도제식 교육 시스템의 약화로 인해 무구의 제작기법이 제대로 전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무구의 자급자족적 제작체제가 약화되었을 뿐 아니라, 무당 사회 내부에서의 분업화된 체계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로 인해 무구의 제작이 의례 주재자에게 집중화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요인들이 무구의 제작시스템이 과도기적인 양상으로 변화하게 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무구의 제작 영역에도 변화가 일어났는데, 자급자족적 체제에서 전문장인이 제작한 완제품과 공장에서 대량생산된 무구의 구입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였다. 그로 인해 무구제작의 필요성이 점차 경감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무구의 사용기간에도 일정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는데, 제작방식을 학습하지 못한 경우는 일회성 무구의 사용기간이 장기화 되고 있으며, 또 반면에 장기적으로 사용되었던 무구는 구입이 용이해지면서 그 사용기간이 오히려 단축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구는 의식에 사용될 때에만 의미가 부여되는 물질이 아니다. 의례에 소비되기 이전인 재료의 선택과 제작과정에도 의미가 부여되며,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그 과정도 의례의 일부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과거와 달리 현재는 무구 제작 전 원재료를 수집하는 걸립 과정이 다른 양상으로 변화되었고, 또한 무구의 구입으로 제작의 필요성이 점차 경감되면서 제작과정에 부여되었던 의미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곧 제작과정에 부여했던 종교적 상징의미의 약화현상으로 이해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