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무예와 군사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 연구 : 수원 화성과 무예24기 중 마상무예(馬上武藝)를 중심으로

        최형국 역사실학회 2012 역사와실학 Vol.48 No.-

        This study deals with measures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based on ‘24 martial arts(Muye 24ki)’ which i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waseong Fortress in Suwon by raising subtle examples. Especially, this study tried to be helpful for future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for region by concentrating on study about Martial arts on horseback among 24 martial arts.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 completed in Jeongjo reign in Chosun includes martial arts that soldiers in Jangyongyeong(壯勇營) practiced-the soldiers guarded Hwaseong Fortress in Suwon. Accordingly, it was identified that if cultural contents where tangible Hwaseong Fortress in Suwon and intangible 24 martial arts are in harmony, are developed, this could lead maximized synergy effect. Specifically, cultural contents strategy was mentioned by classifying contents to development of exhibition contents through restoration of traditional space and exhibition, development of contents for tourism through experience related to Martial arts on horseback and military history in Hwaseong Fortress. And it was identified through further task and perspective tha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central training hall for 24 martial arts’ for systematic study and restoration of traditional martial arts, to list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 on UNESCO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조선시대 활쏘기 중 鐵箭[六兩弓] 射法의 특성과 그 실제

        최형국 국립민속박물관 2020 민속학연구 Vol.0 No.46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f Cheoljeon (Iron arrow), the main exam of Mugwa, which was one of main subject for military officials subject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is to correctly understand the traditional exam of military officials bow-type Cheoljeon. In order to restore this, this is a study that expanded the range of empirical studies by restoring various feed analysis and actual training. Iron arrow is about 10 times heavier than general arrows, so it corresponds to a special bow from the Joseon era that shoots a special bow called Yukryangjeon. Thus, using a heavy and heavy arrow compared to a general bow was a way to test the power of soldiers. In particular, to go up to the Mu-in dang sang-gwan (state council governement official), you have to pass Cheoljeon in the monthly archery test. However, it was too difficult to shoot Cheoljeon, and until the method of playing the test on behalf of others and Supervisor corruption, it became a social problem. Unlike the general bow, Cheoljeon is characterized by jumping and shooting technique in which jumps peculiarly and barbs the arrow. It's also confirmed that the Cheoljeon bow glove was a necessary auxiliary tool for these special method. We also examined how to use the Jogeundae tool for cheating in the exam. Finally, in the genre picture in the Joseon Dynast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the Kim Hong Do and Shin Yun Bok’s archery pictures were Cheoljeon and YukRyangjeon. 본 연구는 조선시대 무과시험의 핵심 과목이었던 鐵箭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한 것이다.이를 통해 전통의 활쏘기 방식 중 鐵箭 射法의 모습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복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사료분석과 함께 실제 實演으로 실증연구의 폭을 넓힌 연구이다. 철전은 일반 화살에 비해 10배 정도가 무거웠기에 六兩弓이라는 특수 활로 쏘는 조선시대 특수 활쏘기에 해당한다. 이처럼 일반 활에 비해 강하고 무거운 화살을 사용하는 것은 무인의 힘을 시험하기 위한 방법이었다. 특히 武人 堂上官에 오르기 위해서는 매월마다 진행하는 활쏘기 시험에서 철전을 통과해야만 했다. 그러나 워낙 철전 쏘기가 어려워 남이 대신해서 시험을 보는 代射나 시험관을 매수하는 일이 벌어져 사회문제화되기까지 하였다. 철전은 일반 步射와는 다르게 독특하게 앞으로 도약하며 화살을 발시하는 ‘踊躍射法’이 특징이다. 또한 이러한 특수 사법을 위해서는 철전용 활 장갑이 반드시 필요한 보조도구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助筋帶’라는 철전 시험시 부정행위 보조도구의 활용법까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조선시대 풍속화 중 김홍도와 신윤복의 활쏘기 관련 그림에서 해당 그림의 내용이 철전과 육량궁임을 확인하였다.

      • 『무예도보통지』에 수록된 마상무예의 특성과 실제

        최형국 龍仁大學校 武道硏究所 2011 武道硏究所誌 Vol.22 No.1

        이 연구는 조선후기 편찬된『武藝圖譜通志』에 실린 마상무예 6가지의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武藝圖譜通志』의 편찬과정을 임진왜란 이후부터 시기적으로 검토해 본 결과 정조대에 완성된 이 병서의 가장 큰 특징은 마상무예의 보급을 통한 기병전술의 확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표적으로 기창교전과 마상편곤의 보급은 기병의 단병접전술이 당시 기병전술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격구의 경우는 정조대 당시 실전되었지만 기병의 마상무예 훈련을 위해 반드시 복원해야할 무예로 인식되었기에 이 병서를 통해 재보급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武藝圖譜通志』편찬을 통한 마상무예의 보급추이는 기병의 전술적 활용가치를 극대화시킨 것으로 정조대 당시 기병력이 우수한 대청방비를 위하여 조선군의 전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실제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17세기 대북방 전쟁과 조선군의 전술 변화 - 심하전투를 중심으로 -

        최형국 육군군사연구소 2012 군사연구 Vol.- No.13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 of the changes in the military tactics of Joseon army in the 17th century through the process in the war with northern countries. This study has looked into the books of military tactics Muyejebobeonyeoksokjip(武藝諸譜飜譯續集) and Yeonbyeongjinam(練兵指南) published after the Imjin war in 1592,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s in individual soldier's war fighting styl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military tactics.In addition,the limits in the military tactics were addressed through the analys is of Simha battle.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books of military actics, in the battle formation and the martial art that a soldier trained, the roles to protectthe cavalry were greatly expanded. Through this,it was identified that the military tactics of Joseon army, which was focused on the infantry because Joseon army had to fight against Japan's army since the Imjin war in 1592, was trans formed to protect the cavalry against the northern countries. In addition,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 diversifcation of the military tactics was pursued through the combined tactics of military carts, cavalry and infantry by enforcing the chivalry's fighting power, not the infantry military tactics which was simply focused on artilleryman. 본 논문은 17세기 조선군 전술변화의 양상을 대북방 전쟁 과정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임란 이후 편찬된 병서인 『무예제보번역속집』(武藝諸譜飜譯續集)과『연병지남』(練兵指南)을 구체적으로 살피면서 전술변화에 따른 군사 개개인의 전투방식의 변화까지도 확인하였다. 또한 심하전투의 분석을 통하여 전술적 한계를 짚어 보았다. 특히 병서의 내용 중 진법이나 군사 개개인의 익히는 무예의 경우는 기병을 방어하는 역할이 대폭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임진왜란 이후 일본군을 상대하기 위하여 급속하게 보병 위주로 변화된 조선군의 전술체제가 다시금 대북방 기병전력을 방어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순한 포수 위주의 보병전술이 아닌 살수와 기병전력을 보강하여 거기보(車騎步)통합전을 통한 전술 다양화를 모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兵學通』의 전술과 華城幸行 「班次圖」의 武藝 侍衛軍 배치 관계성 연구

        최형국 한국무예학회 2021 무예연구 Vol.15 No.1

        This study is based on the 『Byeonghagtong(兵學通)』 tactics of Military tactical book, which was compiled in the King Jeongjo era. Using the weapons of the actual paramilitary procession of this 「Banchado(班次圖)」 illustrations, analysis was conducted from a military historical point of view, such as tactical development of combat and tactical signal development using flags and musical instruments. When the real king's procession faces a military threat until the arrival from Palace Changdeoggung(昌德宮) to Suwon Hwaseong(華城), it is most effective to protect the king and move the procession steadily to the next shelter. Therefore, the procession of 「Banchado」 was more than a ritual procession, and the actual protection military tactical arrangement of the King was carried out. In particular, King Jeongjo arranged five layer of Royal guard, a sword soldier, a spear soldier and gun soldier to make his escort thicker. This was designated as Muyecheongjagmun(武藝廳作門) and was strictly controlled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unit. In addition, King Jeongjo confirmed that the close-guard area formed by the Royal guard that quickly responded to a surprise attack through the cavalry unit of Seongidae(善騎隊). This is a tactical deployment that protects the most important generals during the 『Byeonghagtong』 march when attacked by an enemy, and this is reflected in the 「Banchado(班次圖)」.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King Jeongjo's procession of the 「Banchado(班次圖)」 is more than a simple chairperson procession, and reflects the military tactical meaning. 본 연구는 정조대 편찬된 진법서인 『병학통(兵學通)』의 전술 내용을 바탕으로 화성행행(華城幸行) 「반차도(班次圖)」의 실제 시위군 행렬의 무기활용 및 무예, 전투전술전개, 깃발이나 악기를 이용한 전술신호 전개 등 군사사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도성의 궁궐인 창덕궁을 시작으로 수원 화성(華城)에 도착할 때까지 실제 국왕의 어가 행렬이 군사적 위협에 봉착했을 때, 가장 효율적으로 국왕을 보호하고 대오를 안정적으로 다음 기착지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시위군병의 기본적인 임무였다. 따라서 「반차도」의 행렬 배치는 단순한 의례행렬의 넘어 실제 국왕의 보호하는 군사 전술적 배치가 이뤄졌다. 특히 정조는 자신의 호위를 더 두텁게 하기 위하여 5열의 환도수, 조총수, 장창수와 능장수 등을 배치하였고,‘무예청작문(武藝廳作門)’이라 하여 마치 군영의 출입구로 엄히 통제하는 방식을 취했다. 또한 정조가 탄 어승마 부분의 위내(衛內)는 선기대(善騎隊)의 기병병력을 통해 기습 공격시 빠르게 대처하는 기동군으로 편성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병학통』에서 행군시 적의 기습을 당할 때 가장 빠르게 주장(主將)을 보호하는 전술전개인데, 이것이 「반차도」 상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결론적으로 정조의 을묘년 반차도상의 국왕의 행렬은 단순한 의장행렬을 넘어 군사 전술적인 의미가 충분하게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武藝圖譜通志』의 「銳刀」 자세 분석과 「本國劍」과의 연관성 연구

        최형국 한국무예학회 2020 무예연구 Vol.14 No.4

        In this paper, I study the sentence structure of the martial arts book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 「Yedo(銳刀)」 in the Joseon era and the actual posture of it. In addition, it is a study of the correlation with 「Bonguggeom(本國劍)」. In the case of 「Yedo」, it is the simplest movement that is the most basic in training a knife called ‘Chosp(Basic training)’. The mainly way of movement, it’s basic attacked and defended, It was composed of a very simple posture. More specifically, If analysis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 「Yedo」. First sentence describes its posture. Second, it explains the possibilities of which parts or attacks can be carried out in this way. Thirdly, it is an explanation of the actual movement. It was able to find out what step method was used to explain the final posture when moving from the first posture to the next posture. In addition, when creating a new martial arts posture name in some martial arts books including 「Bonguggeom」, confirmed that the name of the newly created posture was borrowed based on the similarity of the movements. Based on this, if there is in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corresponding posture of the posture that matches the name of 「Yedo」 in 「Bonguggeom」, or if it does not exist, Borrowed the explanation of that action with 「Yedo」. For example, in the case of Jocheonse(朝天勢), Jwahyeobsuduse(左挾獸頭勢) and Baegwonchuldongse(白猿出洞勢), it was found that a natural connection posture is possible when add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본 논문은 조선후기 병법서인 『武藝圖譜通志』 중 銳刀의 문장 구조 및 그에 따른 실제 자세와 본국검과의 연관성을 연구한 것이다. 예도의 경우는 ‘初習’이라고 할 만큼 칼을 수련함에 있어 가장 기초가 되는 단순한 동작인 주로 칼을 접었다가 공격하는 움직임이나 공격하였다가 겨누는 방식으로 지극히 단순한 자세로 구성되어 있을 알 수 있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예도의 전체 문장구조는 가장 먼저 해당 자세에 대한 모습을 설명하고, 바로 이어 이 방법으로 어느 부분 혹은 어떤 공격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가능성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실제 움직임에 대한 설명을 첫 자세에서 다음 자세로 움직일 때 어떤 손과 발을 사용하고 어떻게 움직여 어떤 보법으로 마지막 자세를 하는지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武藝諸譜飜譯續集』을 비롯한 여러가지 무예서에서 새롭게 무예 자세 명칭을 만들어야 할 경우 그 동작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만든 자세의 명칭을 차용했다는 부분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국검에서 예도의 명칭과 일치되는 자세 중 해당 자세에 대한 설명이 소략하거나, 없을 경우에는 예도에서 그 동작설명을 차용하여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면, 朝天勢, 左挾獸頭勢, 白猿出洞勢의 경우는 예도의 동작설명을 바탕으로 추가하면 공방기법에 따라 자연스러운 연결세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토양의 배수조건 차이가 참깨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

        崔炯局,具滋玉,金容在,李敦吉 韓國作物學會 1982 한국작물학회지 Vol.27 No.3

        본 시험은 1981년에 참깨품종 "수원 9호"를 Pot에 공시하여 토양의 배수력 차이에 따른 참깨의 생육과 수량형성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즉 점토와 세사를 용량비(V/V Ratio)로 각각 0:100, 25:75, 50:50, 75:25 및 100:0가 되도록 혼합한 토양에 6일 간격 20mm 관수와 3일 간격 10mm 관수의 효과와 반응차이를 해석하였다. 토양의 용량비에 따른 수분의 배수성은 점토혼합율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토양배수성 차이에 따른 참깨의 생육반응은 순세사토에서만 한해가 인정되므로 관수의 증대가 요구되었고 그 외의 배수조건의 차이에 따른 생육반응에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수량구성요소 가운데서 수량에 기여도가 가장 컸던 것은 주당삭수로서 수량과 마찬가지로 점토와 사토가 75%:25%로 혼합된 조건 즉 배수성보다는 보습성이 양호한 토양에서 가장 많았으며 삭당입수나 등숙성은 선행형질인 주당삭수와의 부적상관 때문에 보습성 보다는 배수성이 양호한 토양에서 증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수방법간에 이들 수량구성 특성의 차이는 없었으나 수량은 6일 간격 20mm보다 3일 간격 10mm 관수로서 보습력(점사율 75%:25%)이 높은 조건에서 최다수준이었으며 과도한 배수성이나 보습성의 조건에서는 뚜렷한 감수의 경향이었다.감수의 경향이었다. To estimate the responses of sesame plant in growth and yielding traits to different soil drainage conditions, a pot trial was conducted by using of sesame variety "Suweon-9" were introduced with 5 different mixing combinations of clay and sea-sand soils as 0:100, 25:75, 50:50, 75:25, and 100:0 percents in volumetric ratio. Also two irrigation methods as 20mm/6 days interval and 10mm/3 days interval were detected. As a result, water drainage was linearly decreased with increament of clay contents. And the excess drainage condition(such as pure sand soil) required more irrigation, however in crop growth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various soil drainage conditions except the pure sand were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among other yielding components, was most contributed factor to the yield, which was effectively given from the soil mixed with clay and sea-sand as 75% and 25%, respectively. Therefore, much similar responses were also detected from the seed yields per a sesame plant. However, the number of seeds per capsule and maturity function were more effectively composed under the soil mixed with clay and sea-sand as 25% and 75% respectively better than under the soil of 75% and 25%. As a conclusion, the yielding responses of sesame plant was advanced more effectively at the soil conditions of water conserved type (e.g. 25%/75% in clay/sand ratio) than of water-draining type (e.g. 75%/25% in clay/sand ratio).nd rati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