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리법에 따른 라면의 나트륨 함량 및 맛 특성

        오창환,정하열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8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4 No.5

        Purpose: A packet of ramyeon contains high amounts of sodium, not only in the powdered-seasoning, but also in the noodles. Although some consumers worry about unnecessary sodium intake, others are only interested in the taste of ramyeon.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ramyeon cooked using different recipes were compared by consumers who were concerned with taste and those who were concerned with sodium intake to select a proper cooking recipe for individual needs. Methods: One serving (120 g) of ramyeon containing 1,790 mg of sodium was cooked separately using three different recipes and the sodium content and taste properties of each cooked ramyeon sample were measured. Results: The total sodium contents of the NCR (normal cooking ramyeon), PWR (pre-washed cooking ramyeon) and MAR (milk-added cooking ramyeon) were 1,890.5 mg, 1,645.3 mg and 2,012.2 mg, respectively. The sodium contents in the cooked-noodle/soup portion of the NCR, PWR and MAR were 863.7 mg/1,026.8 mg, 632.9 mg/ 1,012.4 mg and 854.9 mg/1157.1 mg, respectively. Taste sensing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ltiness, and umami of the cooked-ramyeon samples. The order of saltiness was MAR > NCR > PWR in both the noodle and soup portion, while the order of umami and bitterness in the noodle portion was MAR > NCR = PWR and NCR > MAR > PWR, while in the soup portion they were MAR > NCR > PWR and PWR > NCR > MAR, respectively. Conclusion: The MAR appeared to have a more intense taste than the NCR or the PWR. However, the sodium content of cooked ramyeon could be reduced in the PWR although its overall taste did not seem to be comparable to the MAR or the NCR. Taken together, the MAR could be the choice for consumers who care most about taste, while the PWR could be the best alternative plan for those who want to reduce unnecessary sodium intake without sacrificing taste.

      • KCI등재

        인공위성을 이용한 백두산 하부 마그마 활동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및 가능성

        오창환,최승찬,이덕수,박종현,김명덕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4 국제지역연구 Vol.18 No.3

        The Baegdu Volcano which erupted violently at 1000 AD still has possibility of eruption. However,the study on the volcanic activity in the Baegdu Volcano area is quite insufficient in Korea becausethe Baegdu Volcano is difficult to approach due to its location at the boarder between China andNorth Korea. All the more, the study by Korean geologists on the Baegdu Volcano is restricted orprohibited by not only North Korean government but also Chinese government. As a result it is verydifficult to install regular monitoring system or to get monitored data regularly. Especially, the seismic data which is essential for the study on the volcanic activity can not be obtained becauseChineses and North Korean governments worried about the outflow of information about anunderground nuclear te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ystem which can monitor theeruption of the Baegdu Volcano using satellite. The resolution of the data(gravity data, geoid andgeomagnetic total force) obtined by GRACE, CHAMP and SWARM satellites has been consideredtoo low to be used for monitoring volcanic area. However recently it is found that it is possible touse satellite data for monitoring the volcanic activity of the Baegdu Volcano because large scalemagma chamber(140x20 km2) locates under the Baegdu Volcano. The gravity data and geoid in theBaegdu Volcanic area obtained from GRACE satellite, decreased from 2002 to 2005. The period ofdecreasing is well matched with time when magma activities were recognized in the Baegdu Volcanicarea. The decrease can be interpreted to be the result of decreasing densities of the magma chamberand surrounding rocks due to the increase of temperature related to the new supply of magma. Thegeomagnetic total force in the Baegdu Volcanic area measured by CHAMP satellite, also decreasedfrom 2000 to 2005 and increased after 2005. The period of decrease is well matched with the timewith increased activity of magma chamber under the Baegdu Volcano indicating that the decrease ofgeomagnetic total force is caused by demagnetization of surrounding rocks due to the increase oftemperature of magma chamber. These data indicate that it is possible to use gravity data, geoidand geomagnetic total force observed by satellites for the monitoring of magma activity under theBaegdu Volcano. 백두산은 1000 AD 경에 매우 강력한 화산 폭발을 하였으며 아직도 폭발 가능성을 가지고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백두산의 지역에서 일어나는 화산활동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진한 상황이다. 그 이유는 백두산이 중국과 북한에 걸쳐 분포하고 있어 접근이 어려울뿐 아니라 북한 정부는 물론 중국 정부도 한국 지질학자들의 백두산에 대한 연구를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그 결과 백두산 화산 작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백두산 지역에 정기적인 감시 시설을 설치하거나, 정기적인 관측 자료를 얻는 것이 매우 힘든 상황이다. 특히 중국과 북한은지하 핵 실험에 대한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내학자들에게 화산 활동 예측에 중요한지진 자료 확보를 허락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백두산 화산 폭발 가능성에대한 정기적인 감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GRACE, CHAMP 그리고 SWARM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중력, 지오이드 그리고 자력자료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백두산화산 활동을 연구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으로 얻어진 중력 및 자력 자료의 해상도가 낮아 백두산 지역을 연구하기가 힘들 것으로 예상하여왔다. 하지만 최근 백두산 하부에는140x20 km2의 광역적인 마그마 챔버가 존재하고 있어 인공위성을 이용한 연구가 가능함이 밝혀졌다. GRACE 인공위성에서 획득한 백두산 지역의 중력 자료와 지오이드를 살펴본 결과,백두산 지역에서 마그마 활동 가능성이 인지된 2002년부터 2005년 사이에 매우 뚜렷한 지오이드와 중력 감소가 확인되었다. 이는 새로운 마그마 공급에 따른 온도 증가에 의해 발생한 마그마 챔버와 주변 암석의 밀도 감소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백두산 지역에서CHAMP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측정된 지난 2000년도부터 2010년까지의 자기장 변화를 살펴보면, 마그마 활동이 활발했던 2000년에서 2005년도 사이에 자기장이 감소하고 그 이후 다시증가하는 현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자기장의 감소는 백두산 하부 마그마 온도의 증가에 따른주변 암석의 비자성화(demagnatization)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관측한 중력, 지오이드와 자기장의 변화가 백두산 하부 마그마 활동을 관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지시한다.

      • KCI등재

        GRACE 인공위성 지오이드 변화와 화산 마그마 활동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예비 연구

        오창환,최승찬,이덕수,김명덕,박종현,서민호 한국지구과학회 2013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4 No.6

        In this study, the variations of geoid measured by GRACE satellite are investigated in the 20 volcanic areas erupted since 2005, and it is recognized that a detailed geological study is necessary in using geoid data for a research of the magmatic activities under the volcano.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al geoid variation obtained by GRACE satellite and the change of magma activity, is studied in Japan’s Shinmoedake volcano in the Kirishima volcanic complex whose eruption in 2011 was studied in detail geologically. Throughout this study the increase of geoid from 2002 in the Shinmoedake volcanic area is confirmed to be caused by the increase of gravity under the volcano, which is well matched with g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continuous intrusion of basaltic magma into magma chamber during several years before the 2011 erupt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information of the geoid variation measured by GRACE satellite is useful for monitoring the possibility of volcanic eruption although there is a need to more study to be a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본 연구에서는 2005년 이후 화산 폭발을 경험한 20개의 화산 지역에 대해 그레이스 위성에 의해 측정된 지오이드 변화를 조사하였고 지오이드를 이용한 화산 하부의 마그마 활동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는 자세한 지질학적 조사가함께 수반되어야 함을 인지하였다. 따라서 2011년에 화산 폭발이 있었고 그에 대한 지질학적 연구가 자세히 수행된 키리시마 화산복합체 내 신모에다케 화산 지역을 대상으로 그레이스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측정된 화산지역의 광역적인지오이드 변화와 화산하부 마그마 활동 변화 간의 상관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신모에다케 화산 지역에서 2002년 이후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지오이드 변화는 화산하부 물질의 중력이 증가함에 의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2011년 화산 폭발 수년 전부터 염기성 마그마가 마그마 저장소로 계속 공급되었다는 사실과 잘일치한다. 이는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하기는 하지만 그레이스 인공위성으로 측정된 지오이드의 변화가 화산 폭발 감시 및 예측에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음을 지시한다.

      • KCI우수등재

        마이산과 주변 명산의 형성과정과 그에 관련된 산맥과 수계 변화

        오창환,이승환,이보영 한국암석학회 2017 암석학회지 Vol.26 No.3

        The Jinan Basin which includes Maisan locates in the central part of the northern boundary of the Yeongnam Massif. The basement rocks of the Jinan Basin and surrounding area are Precambrian gneiss and Mesozoic granite which were exposed on the surface before Cretaceous. The Jinan Basin, one of the Cretaceous pull-apart basins in South Korea, formed along the Yongdong-Gwangju fault system. Maisan is composed of conglomerate deposited in the eastern slope of the Jinan Basin showing the shape of horse ears and the unusual topography where many tafonies were developed. The strike slip fault that caused the Jinan Basin was connected to the deep depth so that the magma formed at 200 km depth could have extruded on the surface causing active volcanic activity in and around the Jinan basin. As a result, Cheonbansan composed of pyroclastic rocks, Gubongsan consisting of volcanic neck and Woonilam-Banilam formed by the lava flow, appear around Maisan forming a specific terrain. After the formation of the Jinan Basin and surrounding volcanic rocks, they uplifted to form mountains including Masian; the uplifting time may be ca. 69-38 Ma. At this time, the Noryeong mountain range may be formed in the regions which extended from Chugaryeong through Muju and Jinan to Hampyeong dividing the Geumgang and Seomjingang water systems. Due to the ecological barrier, the Noryeong mountain range, Coreoleuciscus splendidus living in the Geumgang water systems was differentiated from that in the Soemjingang water system. In addition, the Geumgang and Mangyeong-Dongjingang water systems were separated by the Unjangsan, which developed in the NNW direction. As a result, diverse ecosystem have been established in and around Maisan and at the same time, diverse cul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related to Maisan’s unique petrological features, were also established. Therefore, Maisan and surrounding area can be regarded as a place where a geotourism can be successfully established by combining the ecological, cul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with a geological heritage. Therefore Maisan and surrounding areas have a high possibility to be a National Geopark and UNESCO Global Geopark. 마이산을 포함한 진안분지는 영남육괴 북쪽 경계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지역의 기반암은 고원생대 편마암과 이를 관입한 중생대 화강암으로 백악기 이전에 지표로 노출되었다. 진안분지는 백악기에 영동-광주 단층대를 따라 일어난 좌수향 주향이동단층에 의해 형성된 인리형 분지이며 마이산은 진안분지 내의 경사가 급했던 분지 동쪽 경계부에 퇴적된 역암으로 구성된 산이다. 마이산 봉우리는 말 귀의 형상을 보이며 역암 절벽에 타포니가 발달한 특이한 지형을 보여주고 있다. 진안분지를 형성시킨 단층은 지하 깊은 곳까지 연결됨으로서 200 km 깊이에서 형성된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하여 진안분지 내와 그 주변에 활발한 화산 활동을 일으켰다. 그 결과 마이산 주변에는 화산폭발에 의해 형성된 화산쇄설암으로 구성된 천반산, 화산분출시 마그마가 관입한 암경으로 구성된 구봉산 그리고 화산 분출시 분출되어 흐른 용암에 의해 형성된 운일암 반일암등이 특이 지형을 형성하며 나타난다. 그리고 진안분지와 주변 화산암이 형성된 이후 진안분지와 그 주변 지역이 융기하여 마이산을 포함한 주변 명산들을 형성하였다. 융기 시기는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대략 69-38Ma경으로 추측된다. 이때 추가령에서 무주와 진안을 지나 함평으로 연결되는 노령산맥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금강과 섬진강 수계가 나뉘어지고 갈라진 수계에 의해 쉬리의 종이 분화되었다. 또한 북북서 방향으로 발달한 운장산에 의해 금강과 만경-동진강 수계가 나뉘어졌다. 이로 인해 마이산과 그 주변 지역에는 다양한 생태계가 조성되었으며 동시에 마이산에는 특이한 암상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 역사 자원이 존재한다. 따라서 마이산과 주변 지역은 지질유산을 중심으로 생태, 문화, 역사가 잘 어우러진 지질 관광이 성공적으로 개발될 수 있는 지역으로 국가지질공원 및 세계 지질공원으로서의 가능성이 높다.

      • KCI등재

        국내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중 중금속 관련 오염평가의 문제점과 개선책

        오창환,유연희,이평구,박성원,이영엽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 지하수토양환경 Vol.6 No.1

        하천, 고속도로 주변, 광산지역으로부터 채취된 시료를 대상으로 용출법과 산분해법, 완전용해법의 세가지 전처리 방법을 적용하여 중금속을 추출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전처리방법으로 용출법 사용시 중금속 추출량에 비해 산분해법 사용시의 중금속 추출량이 Cu는 2.0∼221배, Pb는 2.4∼2806배, Cd는 1.3∼121배, Fe는 14.1∼1300885배, Mn은 1.2∼272배, Zn은 1.3∼373배, Cr은 2.2∼1735배 높게 나타났다. 용출법에 의한 중금속 추출량과 산분해법에 의한 중금속 추출량간에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다. 이에 반해 산분해법 사용시 중금속 추출량과 완전용해법 사용시 중금속 추출량간에는 다소 상관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국내와 국외의 비농경지 및 공장·산업지역 토양오염 기준치를 비교하여 볼 때 중금속(Cd, Cu, Pb)이 상대적으로 적게 추출되는 용출법을 사용하는 국내의 기준치가 중금속이 상대적으로 많이 추출되는 산분해법을 사용하는 외국의 기준치 보다 낮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기준치가 외국보다 대부분 높게 책정되어있다. 개선책으로 용출법을 계속 적용하되 기준치를 낮추거나 아니면 전처리방법을 산분해법으로 바꾸고 기준치를 재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Heavy metals are extracted from stream sediments, roadside soils and sediments and soils and tailings from mining area using partial extraction, acid digestion and HF-digestion. Compared to amounts of heavy metals extracted using partial extraction, those extracted using acid digestion are higher by 2.0∼221 times in Cu, 2.4∼2806 times in Pb, 1.3∼121 times in Cd, 14. 1∼1300885 times in Fe, 1.2∼272 times in Mn, 1.3∼373 times in Zn, 2.2∼1735 times in Cr. There is no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tracted amounts of heavy metals using partial extraction and those using acid digestion. However, it is possible that there is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those using acid digestion and those using HF-digestion. Although partial extraction, which extracts less amounts of heavy metals (Cd, Cu, Pb) from soil compared to acid digestion, is used in domestic standard method for examination of soil, domestic soil standard for heavy metals in non-agricultural and industrial areas is higher than soil standard in foreign countries which use acid digestion. For improvement of the domestic standard method for assessment of soil, it is suggested to lower the domestic soil standard for heavy metals or to change pretreatment method for extracting heavy metals from partial extraction to acid digestion with modifying the soil standar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