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색소성 기저세포암의 임상 및 조직학적 연구

        전영민,송은섭,이지범 대한피부과학회 1999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7 No.11

        Background:Pigmented basal cell carcinoma(PBCC) is a clinical and histological variant of BCC, which is known to show better prognosis than non-PBCC. There has been no report about the PBCC among Korean patients. Objective:Our purpose was to identify the clinical and histologic characteristics of PBCC and to determine whether this correlated with prognosis. Methods:A clinical and histological survey was done with 62 lesions of 56 cases of PBCC that visited the Department of Dermatology, Presbyterian Medical Center during the last 10 years(1988 - 1998). Some results were then compared with results of non-PBCC. Results: 1. The frequency of BCC in the total number of new outpatients was 0.34%, and 83.6% of BCC contained pigment histologically. 2. The male-female ratio was 1.24:1, and 92.9% of the patients with PBCC were older than the age of 40 years with the mean age of 62.9 years. 3. 88.7% of the PBCC occurred on the face, especially on the nose(38.7%), cheek(19.4%), and eyelid(17.7%). Clinically, most of the tumors were noduloulcerative(77.4%) and diffuse pigmentation was more common than dotted. 4. The most frequent histologic types were nodulocystic(43.6%) and mixed(43.6%) type followed by superficial(6.4%), micronodular(1.6%), adenoid (1.6%), infiltrative(1.6%), basosquamous(1.6%) types. Histologically 51.6% of the tumors were associated with ulceration, and 71% of the tumors were associated with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5. Fontana-Masson stains showed pigment is melanin and it was found in both tumor nests and surrounding dermis in most cases(95.0%). Hypertrophic melanocytes with prominent dendrites were seen in the tumor nodule(77.8%) and in the normal epidermis overlying tumor(22.2%). 6. Margins were examined for evidence of residual tumor in 48 lesions that were excised. In 4 lesions(8.3%) were the margin positive for tumor. This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p$gt;0.05) compared with 10 excisions of non-PBCC in which 2(20%) showed positive margins. Conclusion:High incidence of PBCC is a characteristic feature in Korean patients, and PBCC showed better prognosis than non-PBCC because it is more frequently excised with adequate margins.

      • 위암 수술 후 발생한 복강 내 체액 저류의 치료

        전영민,안혜성,유문원,조재진,이정민,이혁준,양한광,이건욱 대한위암학회 2008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8 No.4

        목적: 위암 수술 후 이환율 및 사망률과 관련된 인자로 복강 내 체액 저류가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위암 수술 후 복강 내 체액 저류가 발생한 환자군의 임상적 특징과 이에 관한 치료 방법으로 경피적 배액술을 시행한 군의 임상적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4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서울대학병 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수술 받은 1,277명 환자 중 117명에 서 체액 저류가 확인되었다. 체액 저류의 치료 방법에 따 라 임상 병리학적인 인자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복강 내 체액 저류가 확인된 117명의 병기는 1기 42 명(36.8%), 2기 23명(20.2%), 3기 16명(14%), 4기 33명(28.9%)이 었다. 수술 방법으로 위아전절제술은 38명(32.5%), 위전절제 술은 27명(23.1%), 위확대전절제술은 41명(35%)이었다. 치료 방법으로써 경피적 배액술 시행 군과 보존적 치료를 한 군 간에 나이, 성별, 동반 질환 유무, 림프절 청곽술 범위, 병기, 체질량지수 등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그러나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체액 저류 크기가 4 cm 이상인 경우와 감염증이 있는 경우에 치료 방법으로써 경피적 배액술을 더 많이 시행하였다(P<0.05). 결론: 위암 수술 후 복강 내 체액 저류가 발생한 환자는 4기 위암 또는 타 장기 합병 절제의 경우가 많았고 체액 저류에 대하여 2/3 (41명, 35%)에서 보존적 치료로써 호전 이 되었다. 경피적 배액술은 체액 저류 크기가 4 cm 이상 일 때 또는 감염증이 있을 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DCT 기반 워터마킹의 적응적 강인화 방법

        전영민,김계영,최형일,Jun, Young-Min,Kim, Gye-Young,Choi, Hyung-Il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0 No.6

        본 논문에서는 인간시각에 대한 워터마크의 무감지성을 향상하고 워터마크를 제거하고자 하는 공격에 강인한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워터마크를 삽입할 대상의 DCT 블록에 대한 인간의 시각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워터마크의 삽입 여부와 블록에 삽입될 워터마크의 위치와 강도를 적응적으로 결정한다. 워터마크될 블록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특징은 텍스쳐, 휘도, 대비이다. 본 논문은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절단, 영상강화, 저주파 필터링, PEG 압축의 영상처리 공격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인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roved method of watermarking to increase the invisibility of a watermark and robustness against attacks for the purpose of removing the embedded watermark. The proposed method adaptively selects DCT blocks and determines position and intensity for watermarking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visual system. The used features are texture, luminance and contrast. We show the experimental results against image processing attacks such as cropping, image enhancement, low pass filtering, and JPEG compression, and then discus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 KCI등재

        복구패턴 정합을 통한 기하학적 왜곡에 적응적인 워터마킹

        전영민,고일주,김동호,Jun Young-Min,Ko Il-Ju,Kim Dongh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2 No.3

        워터마킹에서 영상의 평행이동, 회전, 크기변환 왜곡에 기인한 워터마크 삽입 위치와 추출 위치의 불일치는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복구패턴 정합을 통한 영상동기화를 이용함으로써 기하학적 왜곡에 강인한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복구패턴을 정의하여 워터마크가 삽입된 영상에 복구패턴을 삽입 배포한다. 그리고 배포된 영상으로부터 복구패턴을 추출하여 삽입한 복구패턴과 비교함으로써 기하학적 왜곡 여부를 확인한다 기하학적 왜곡이 발생하였다면 왜곡된 만큼 역변환을 함으로써 워터마크 삽입 위치와 추출 위치를 동기화 한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동, 회전, 스케일링 공격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인다. The mismatched allocation of watermarking position due to parallel translation, rotation, and scaling distortion is a problem that requires an answer in watermark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watermarking method robust enough to hold against geometrical distorting using restoration pattern matching. The proposed method defines restoration pattern, then inserts the pattern to a watermark embedded image for distribution. Geometrical distortion is verified by comparing restoration pattern extracted from distributed image and the original restoration pattern inserted to the image. If geometrical distortion is found, inverse transformation is equally performed to synchronize the watermark insertion and extraction positio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experiments in translation, rotation, and scaling attack are performed.

      • KCI등재

        단축형 단도박 자기효능감척도(GASS-9)의 개발과 타당화

        전영민 한국건강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단도박 자기효능감척도(Gambling Abstinence Self-efficacy Scale: GASS)의 21문항을 기반으로 한국의 임상표본에 적합한 단축형 GASS(GASS-9)를 구성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도박중독 치료를 받으러 온 2,945명(남성 96.8%)이었다. 이들을 무선적으로 두 집단으로 나눈 후, 임상표본 1(1,472명)을 대상으로 한글로 번안한 GASS를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9문항 3요인(부적정서, 재정압박, 도박자극) 구조의 GASS-9를 구성하였다. GASS-9의 3개 요인은 전체 변량의 75.36%를 설명하였다. 임상표본 2(1,473명)의 자료에 대해서는 임상표본 1을 기반으로 구성된 GASS-9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9문항의 3요인구조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고, 각 하위척도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0.76~0.88, 전체 문항의 신뢰도는 0.85었다. 또한 수렴 및 변별 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와 변화민감도를 확인하였다. 문제집단과 비문제집단을 변별해주는 GASS-9 전체점수의 절단점은 37점(민감도 58.24%, 특이도 68.67%), 부적정서 요인의 절단점은 11점(민감도 35.88%, 특이도 87.95%), 재정압박 요인의 절단점은 10점(민감도 47.65%, 특이도 77.71%), 도박자극 요인의 절단점은 13점(민감도 61.76%, 특이도 66.87%)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short version of the Gambling Abstinence Self-efficacy Scale (GASS-9) based on Gambling Abstinence Self-efficacy Scale (GASS) and confirm the validity of the GASS-9, which is optimal for the clinical sample in Korea. Two thousand nine hundred and forty five problem/pathological gamblers (male 96.8%) seeking treatment completed the GASS.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Explan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linical data sample for group 1(1,472) to construct GASS-9,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performed on clinical sample group 2(1,473), and the validity was confirmed. Based on explanatory factor analysis on the clinical data sample for group 1, GASS-9 consisting of three factors (negative emotion, financial pressure, gambling stimulus) and nine items was constructed. These three factors accounted for 75.36% of the total varianc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confirmed using the clinical sample group 2. Results from the CFA suggested that three-factors consisting of nine items was appropriate in goodness of fit. GASS-9 showed good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sensitivity to change. A cutoff-score of ≤37 for the total score of GASS-9 was found to have 58.24 sensitivity and 68.67 specificity for the problem gambl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알코올의존자의 단축형 치료효과검사의 타당화

        전영민,차진경,이종은 한국건강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2 No.4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tribute to the validation of scores on the Brief Outcome Questionnaire(BOQ) which has been bound to be useful for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psychotherapy over time. Participants in the current study were 224 alcohol dependent patients. As has been intimated in past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one- and three-factor models conventionally associated with scores on the OQ45(Outcome Questionnaire 45) did not fit the data. This led to a rather rigorous shortening of the scale resulting in the ultimate deletion of 25 of the 45 items. Four related dimensions appeared to explain responses to the remaining 20 items. This Brief Outcome Questionnaire(BOQ) displayed a high reliability and good convergent validity. 본 연구는 심리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치료효과검사(Brief Outcome Questionnaire: BOQ)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알코올병원과 거주시설에 입원중인 알코올 의존자 2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OQ45(Outcome Questionnaire45: OQ45)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한 요인구조를 탐색하여 45문항에서 20문항으로 단축된 단축형 치료효과검사(Brief Outcome Questionnaire: BOQ)를 구성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원저자가 이론적으로 제안한 3요인 모형보다 20문항의 4요인 모형이 더 적합하였고, 신뢰도 및 수렴타당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모유 수유 중인 만삭아에서 발생한 일과성 장병성 선단 피부염 1예

        전영민,송은섭,이지범,원지연,정기동 대한피부과학회 1999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7 No.6

        We herein report a case of transient acrodermatitis enteropathica in a 3-month-old, breast-fed, full-term infant. The patient was presented with a 2-month history of diarrhea and crusted erythema- tous patches on the periorificial area. Similar lesions were seen in his siblings. His serum zinc level and the zinc level in his mother's breast milk were markedly reduced. Diarrhea and skin lesions disappeared promptly with oral zinc supplementation and did not recur when zinc was discontinued after three weeks. Our case indicates that even full-term infants, who feed excl-usively on mothers milk, run a risk of developing zinc deficiency, if the concentration of zinc in the breast milk is very 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