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백서 심근경색모델에서 시간경과와 경색의 크기에 따른 심자도의 변화

        김미성(Mi Sung Kim),박영선(Young Sun Park),권순길(Sun Gil Kwon),지정훈(Jeong Hoon Ji),신종성(Jong Sung Shin),오광식(Kwang Sik Oh),양용모(Yong Mo Yang),연태진(Tae Jin Youn),김동운(Dong Woon Kim),조명찬(Myeong Chan Cho),이용호(Yong Ho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2 No.1

        N/A Background: Magnetocardiogram (MCG), which records the changes of magnetic fields generated by the heart`s electrical activity, theoritically can provide unique data for clinical application. To date, MCG has been investigated only at a single time point after myocardial infarction (MI) with severe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in ra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sequential changes of MCG after MI and to evaluate effects of infarct size on MCG. Methods: Acute MI were induced by the permanent ligation of left coronary artery in 22 rats. Magnetic fields were recorded just above a rat with Nb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SQUID) gradiometer inside a magnetically shielded room. MCG was measured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surgery and it was subsequently recorded at the time points of 1, 4 and 6 hours post operatively. MCG was also measured at 1, 3, 7 and 21 days after surgery. Results: Elevation of ST segment and appearance of pathological Q wave on the MCG were evident immediately after the ligation of coronary artery and persisted to 6 hours after MI. On MCG, ST segment was depressed and T wave was inverted from 1 day after MI. In rats with small-and moderate- sized MI (infarct size〈30%), ST depression returned to near the isoelectric level and Q wave disappeared from 7 days after MI. However, ST depression and Q wave were still present in rats with larger infarct (infarct size≥30%). Conclusion: Evolutional changes of MCG were well-recognized up to 21 days after MI. Furthermore, the infarct size can be expressed by the extent of Q wave and ST segment depression on MCG. Taken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MCG is a helpful modality for the diagnosis, evaluation of infarct size and follow up after MI.(Korean J Med 62:42-48, 2002)

      • KCI등재후보

        Mycobacterium intracellulare에 의한 요추부 척추염 1예

        장은영,김미영,김정욱,송은희,백관미,정용필,성흥섭,김미나,김양수,우준희,이상호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3

        비결핵성 미코박테리아에 의한 척추염에 대한 증례 보고가 국내에서는 아직 없었다. 저자들은 기저질환이 없는 환자에서 M. intracellulare에 의한 척추염을 rpoB 유전자에 대한 PCR-RFLP 방법을 통해 진단하였고 수술적 치료와 3제 병합 항균 요법으로 성공적인 임상 경과를 보인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We report a case of vertebral osteomyelitis due to Mycobacterium intracellulare in a 60-year-old man without predisposing conditions. He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surgical excision of the inflamed tissue and combined antimycobacterial therapy consisting of clarithromycin, ethambutol, and rifampin. In this case,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PCR-RFLP) based on the rpo B gene of cultured isolates allowed rapid identification of M. intracellulare. Although very rare,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 should be suspected as a causative pathogen of vertebral osteomyeliti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of vertebral osteomyelitis caused by NTM reported in the Korean literature.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남자 알코올 의존 환자의 기질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성곤,민영기,이덕기,김미영,송영상,권도훈,고영훈,박제민,정병선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3 생물치료정신의학 Vol.9 No.1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남자 알코올 의존 환자의 기질적 특성을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를 이용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방 법: DSM-Ⅳ 진단 기준에 맞는 알코올 의존 환자 30명과 정상인 36명을 대상으로 연구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기질적 특성을 한글판 TCI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모든 대상자의 나이는 30~60세였다. 결 과: 1) 두 군간 평균 나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 정도와 결혼을 유지하고 있는 비율 및 취업률은 알코올 의존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2) 알코올 의존군에서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Harm Avoidance(HA) 점수와 Self-transcendence(ST)점수는 유의하게 높았으며, Self-directiveness(SD)점수는 유의하게 낮았다. 3) 알코올 의존군 내에서의 각 척도들 간의 상관관계는, HA와 SD 점수, HA와 Persistence(PE) 점수, ST와 SD 점수는 각각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ST와 PE 점수, SD 점수와 Cooperativeness(CO) 점수, Reward Dependence(RD)와 CO 점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 남성에서 수줍음을 잘 타며, 걱정도 많고, 염세적이고 쉽게 피로해지는 기질적 특성이 알코올 의존과 연관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temperament of male par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Methods : The subjects were 30 patients who met DSM-Ⅳ criteria for alcohol dependence and 36 normal controls. All subjects completed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 which was developed by Cloninger. Results : 1) Th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in alcohol dependenc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rmal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ge between two groups. 2) Among the scores of TCI, the score of harm avoidance(HA) and self-transcendence(S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lcohol dependence group than in the normal control group. 3) In the alcohol dependence group,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mong the scores of TCI was between HA and SD, HA and Persistence(PE), ST and SD,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 and PE, SD and Cooperativeness(CO), Reward Dependence(RD) and CO.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hy, fearful, pessimistic and fatigable temperament are related to developing alcohol dependence in Korean males.

      • KCI등재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교육이 아동의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성은,황영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3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2 No.-

        본 연구는 아동의 다중지능 발달을 위해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교육 모형' 정립하여 이를 실제 적용한 후,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교육이 아동의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 연구를 기초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학, 관련교과 활동 영역으로 구성된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교육 모형' 정립하고 Gardner의 다중지능을 4 지능 측면으로 IQ적 측면, EQ적 측면, SQ적 측면, NQ적 측면에서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다중지능 발달에 관한 Shearer의 다중지능 발달 척도에 관한 사전 검사 실시 후, 총 8주동안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교육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IQ적 지능의 하위 MI 영역인 언어적 지능 발달에는 매우 효과적이었으나 논리-수학적인 지능의 경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EQ적 지능의 하위 MI 영역인 음악적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발달에 모두 효과적이었다. 또한 SQ적 지능의 하위 MI 영역인 대인관계 지능, 개인이해 지능 발달에 효과적이었으며, NQ적 측면의 지능 발달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부분의 보완과 다중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총체적 언어교육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해 교사들이 고려할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s of whole language education, through children's poetry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To do this study has been established by being constituted by the related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literature and related subject matters. Also, the 8 intelligences of Gardener have been distinguished in to the following categories: IQ, EQ, SQ, and NQ.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second graders. The model of whole language education through children's poetry had been used in a language classroom after investigating Shearer's position on the criteria of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 of second graders. The developed model had been executed in the language classroom during 8 weeks from March to May. As a result, it was shown to be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language intelligence (which is a sub MI area of IQ) and also for the development of musical, physical intelligence (which is a sub MI area of IQ) but not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lso, it was effective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understanding intelligence (which is a sub MI area of SQ), but was not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NQ. Therefore, a suggestion for further investigation of ways to supplement the non effective aspects of this model taking into consideration teachers will be stated. Finally, for whole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the role of the teacher is pivotal. This investigation deals with the need for Whole language and the related strategies for practicing it. Thus, this investigation is meant to be of concrete and substantial help for teachers in practice who want to apply whole language education to their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

        건강, 교육, 취업 현황에 대한 여성장애인의 인식과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욕구 : 사회단체 회원인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focused on health, and employment

        성정현,이영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3 재활복지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실태조사에서 나타난 건강, 교육, 취업영역의 성별 통계의 차이를 여성장애인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와 같은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충족되어야 할 여성장애인의 욕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명의 여성장애인과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여성장애인 1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장애인은 건강, 교육, 취업에서의 성별 통계의 차이를 가부장적 관념과 남성중심의 사회구조에서 비롯된 차별로부터 기인하며, 차별은 취업과 교육, 건강의 순으로 심각하다고 인식하였다. 성별로 인한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건강분야에서는 일상적인 건강과 관련된 가사, 육아도우미 서비스의 제도화와 산후조리서비스, 임신 및 출산문제에 대한 지원과 같은 전통적인 성역할과 관련된 실질적인 욕구를 갖고 있었으며, 그와 함께 건강교육 및 정보제공, 전문병원의 설립, 건강비용의 감면 등을 통해 이동의 제한이나 경제적 어려움이 남성장애인보다 더 큰 현실을 근본적으로 해소해줄 것을 원했다. 교육에서도 성별을 고려한 취업교육과 이동권을 보장을 원했으며, 학업을 중도포기하는 여성장애인이 다수인 점을 고려한 검정고시반 설치를 원한다. 또한 이동의 문제를 고려한 취업직종의 개발과 직원의 인식개선, 여성상담원의 배치에 대한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건강, 교육, 취업에서 여성장애인들은 일관되게 비전통적 인 성역할을 지향할수록 욕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장애인의 의식과 행동에 성역할 태도가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Women with disabilities face a double discrimination due to their gender and disabilities. To monitor and evaluate the impact of policies on disabled women, it is important to seek perspectiv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understanding of the real situations of Korean women with disabilities and investigate the need for gender mainstreaming. The three main policie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were reviewed: health, education ,and employment. The study combines analysis of focus group interview data and survey questionnaires. The study reveal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more than 50% of the disabled women in this study experienced discrimination.; second, women with disabilities in this study feel the need of the gender sensitive policies; disabled women who have modern sex role attitudes demand more need than those who have traditional sex role attitudes.

      • KCI등재

        임플란트의 collar design이 변연골과 연조직에 미치는 영향

        유현상,강선녀,정창모,윤미정,허중보,전영찬 대한치과보철학회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1

        연구 목적: 임플란트 경부가 잘 설계된 경우 양호한 연조직 반응을 통해 변연골을 보존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실험에서는 연, 경조직 경계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임플란트의 collar design이 변연골 변화와 연조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동물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마리의 건강한 Beagle dog에 임플란트 collar design만 다른 두 종류의 임플란트(Neobiotech Co. Seoul, Korea)를 식립하였다. Collar에 bevel 을 부여한 군(Bevel 군)과 "S"자 형태를 부여한 군(Bioseal 군)으로 나누어 마리 당 7개, 군당 7개, 총 14개의 임플란트를 무작위로 식립한 후 Healing abutment를 즉시 체결하였다. 디지털 표준구내 방사선사진을 이용해 4주 간격으로 총 12주간 근원심 변연골 변화를 관찰하였고, 12주에 희생하여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협설 변연골 흡수 및 임플란트 주변 연조직 반응을 평가하였다. Mann-Whitney test를 통해 동일한 방사선 사진 촬영 시점에서 근원심 변연골 변화량 및 조직계측치를 군 간 비교하였고, Kruskal-Wallis test를 통해 방사선 사진상 근원심 변연골 변화량이 시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군 내 분석 한 후 Duncan test를 통해 사후 검증하였다(α=.05). 결과: 방사선학적 분석 결과 각 촬영 시점에서 두 군간 근원심 변연골 변화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군 내에서 시간에 따른 근원심 변연골의 흡수량을 분석한 결과 Bevel 군에서는 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05), Bioseal 군에서는 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4주및8주와 비교했을 때 12주에서 변연골의 증가를 보였다(P<.05). 조직학적 분석 결과 협설측 변연골 흡수량에서 두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05), Bevel 군에 비해 Bioseal 군에서 더 견고한 결합조직부착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생물학적 폭경의 값은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P>.05), 접합상피부착은 Bevel 군에서 유의하게 길었고, 결합조직부착은 Bioseal 군에서 더 길게 나타났다(P<.05). 결론: Bevel 군에 비해 Bioseal 군에서 결합조직부착은 길게 형성된 반면에 접합상피부착은 더 짧게 나타났으며, 생물학적 폭경과 초기 변연골 흡수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연조직 반응의 차이가 실제 기능하중 하에서 변연골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mplant collar design on marginal bone change and soft tissue response by an animal test. MATERIALS AND METHODS. Two types of Implant (Neobiotech Co. Seoul, Korea) that only differs in collar design were planted on two healthy Beagle dogs. The impl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with a beveled collar (Bevel Group) and the second group with "S" shaped collar (Bioseal group). Standardized intraoral radiograph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mesio-distal change of the marginal bone. Histological analysis was done to evaluate the bucco-lingual marginal bone resorption and the soft tissue response adjacent to the implant. Mann-Whitney test was done to compare the mesio-distal marginal bone change at equivalent time for taking the radiographs and the tissue measurements between the groups. RESULTS. Radiographic and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rginal bone change between the two groups (P>.05).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Bioseal group had more rigid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than the Beve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biological width (P>.05). Bevel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nger junctional epithelium attachment and Bioseal group showed longer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P<.05). CONCLUSION. For three month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arginal bone change between the Bevel group and the Bioseal group. As for the soft tissue adjacent to the implant, Bioseal group showed longer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while showing shorter junctional epithelium attachmen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iologic width.

      • KCI등재후보

        고정근무간호사와 교대근무간호사의 건강상태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성미혜,김현주,한영미 대한간호학회 간호행정학회 2007 간호행정학회지 Vol.13 No.1

        Purpose: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se the health statu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Method: The subjects were a group of 90 nurses on fixed day nurse and the other group of 100nurses on night nur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using the SPSS WIN(10.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x²-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years in services. In nurses on day shift, there was a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health status and job satisfaction. And in nurses on day shift, job satisfaction level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personality, satisfaction to pay, and current health status. In nurses on night shift, nurses' job satisfaction level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satisfaction to pay.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health of nurses is greatly affected by shift work. so,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and promote their health status in nurses on night shift. We must find out the factors that greatly affect health of nurses, and continuously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