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형성교아세포종을 동반한 Von Recklinghausen氏 병 1예
이현개,이종수,백민우,이승재,박효일,지제근 인제대학교 1981 仁濟醫學 Vol.2 No.4
가족성으로 신경섬유종증에 동반되는 중추신경계의 종양으로 수막종, 신경교종, 신경초종 등이 있으며 이들은 드물지 않게 보고되었다. 그러나 신경교세포에 생기는 종양 중 신경섬유종증에 동반되어 대뇌에 생긴 다형성교아세포종은 매우 드물다. 본 교실에서 가족성으로 발생한 신경섬유종증의 환자에 동반된 다형성교아세포종을 경험하였으며 가족중 부친은 von Recklinghausen씨 병을, 또 두 자녀는 다발성 cafe´ au lait spots를 가지고 있었다. The tumo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ssociated with familial neurofibromatosis are meningioma, glioma, and neurilemmoma, which are not uncommon. Of the glial tumo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e association of cerebral glioblastoma multiforme with neurofibro matosis is very rare. We have experienced the unusual coincidence of neurofibromatosis and glioblastoma multiforme in a 33 year old man, whose father was afflicted with von Recklinghausen's disease and whose son and daughter had also multiple cafe´ au lait spots on their bodies.
李孝鍾,任訓撤 全北大學校 1996 論文集 Vol.41 No.-
A transputer is a powerful micro-processor, which can communicate with other processors with its own communication links and can be utilized into a powerful parallel computer system with easy way and low price. However, its usage has been limited to a few people because of its own programming language and complicated user interfaces. This paper presents programming tools to use a transputer system easily. It includes Transputer Integrated Environment(TIE) which has many developing tools, and Transputer Manager which can monitor and manage the system and developed programs on the transputer networks and visualize the performance status of each processor so that they can write efficient parallel programming codes. We also implemented a parallel raytracing algorithm by using TIE in order to test the feasibility and functionalities of these tools.
인공해수 중에서 0.17C-Ni-Cr-Mo 합금강의 피로수명
이성근,김효종,박철민 東亞大學校 海洋資源硏究所 1990 硏究論文集 Vol.3 No.1
Fatigue life of base and weld metal of 0.17C-Ni-Cr-Mo alloy steel have been investigated in synthetic seawater under smooth and notched conditions at frequencies of 4Hz and 30Hz. Most data for the alloy steel agree with that for HY-100 steel. The form of a simple power relation can be suggested as a conservative design criteria for the fatigue life in aggresive environments.
기관지천식 환자의 정신신체의학적 특성 : Focused on Alexithymia 감정표현불능증을 중심으로
이종명,김상헌,임효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1
본 연구는 감정표현불능증적 성격 경향이 정신신체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고유한 성격적 특성인지를 알아보기위해, 단일 신체 질환인 기관지천식 환자군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여러 가지 도구들을 사용하여 감정표현 불능증을 중심으로 한 정신신체의학적 특성들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정상군(30명), 기관지천식 환자(30명), 정신분열증 환자(30명) 그리고 신경증 환자(33명)를 대상으로 하여 각 장애를 가진 환자들의 감정표현불능증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신의학적 면담과 BIQ, MMPI-A, TAS, 주제통각검사를 실시하였고, 각 군의 특징적인 성격 경향 그리고 내재하는 정신병리를 확인하기 위하여 MMPI와 SCL-90-R을 시행하였다. MMPI와 SCL-90-R에서 각 군은 정상 범위안에 있었는데, 신경증 환자군의 정신병리의 수준이 가장 높았고 정상군이 가장 낮았다. 기관지천식 환자군과 정신분열증 환자군은 양 극단 사이의 중간 수준을 보여주었다. BIQ 평균점수에서 기관지천식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다른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MPI-A 평균점수 및 TAS 전체 합산 점수 모두에서 각 군은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제통각검사에서 신경증 환자군은 가장 많은 정동 어휘를 기록하였지만 정상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비해, 기관지천식 환자군과 정신분열증군 환자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정동 어휘 수를 기록하였다(p<0.0001). 즉 기관지천식 환자군은 감정표현불능증적 경향이 주제통각검사에서는 신경증 환자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많고(p<0.001), BIQ에서는 정상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TAS, MMPI-A 검사 상에서는 정상군을 포함한 다른 대조군들과 유의하게 구분되지 않았다. 이러한 소견에 따라 본 연구는 감정표현불능증이 기관지천식 환자군만의 특징적 성격 특성이라는 추정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는 못하였지만, BIQ는 정상군과 정신신체질환군을 변별하는 데, 그리고 주제통각검사는 신경증군과 정신신체질환군간의 관계를 변별하는 데에는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의 수가 적고 보다 다양한 정신신체질환을 대상으로 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4가지 연구 방향을 결론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첫째 향후 정신신체의학 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집단 속에 존재하는 감정표현불능증을 감별해내는 데 있어서 각 도구들이 가진 특정한 변별 특이성을 고려하여 단일 도구가 아닌 각 도구들의 집합체를 종합적으로 이용해야 할 필요성, 둘째 향후의 연구로서 대규모 임상연구에 의한 정신신체질환과 정신병적 상태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셋째 외국 검사 도구들의 국내 임상에의 적용 과정에서 보다 철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과 한국화에 대한 연구 그리고 국내 독창적인 도구의 개발, 넷째 감정표현불능증적 경향이 실재로 정신신체질환에만 특정적으로 존재하는 성격적 소인이 아닐 가능성과 이런 방향으로의 국내 정신신체의학 연구 등이 그것이다. 앞으로 다양한 정신신체질환에서 감정표현불능증과 다른 정신과적 질환과의 관계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와 함께 한국적인 상황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을 평가하는 보다 신뢰성 있고 타당성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psychosomat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alexithymic tendency, of the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and to determine whether alexithymia is a unique personality characteristic of the patient with classical psychosomatic disorder, using various methods developed for measurement of alexithymia. Thirty normal healthy persons, thirty patients with extrinsic bronchial asthma, thirty schizophrenic patients, and thirty-three neurotic patients were studied to assess differences in alexithymic tendency using the methods of thirty minute psychiatric interview, BIQ, MMPI-A, TAS and TAT. They were also assessed by MMPI and SCL-90-R to evaluate general personality traits and underlying psychopathology. All the groups were in the normal range of the scores of MMPI and SCL-90-R. The neurotic patien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sychopathology, and the normal group the lowest in both inventories. Bronchial asthma and schizophrenic patients, were between the highest and the lowest extremes of the scores. The mean score of BIQ in the bronchial asthm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normal group(p<0.05) and no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other groups. The mean scores of MMPI_A and the total scores of TAS showed no difference among all the groups. In TAT the neurotic patients scored the highest in affect word counts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unts than ther bronchial asthma patients and schizophrenic patients(p<0.0001), while the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normal persons. That is, in TAT the group of bronchial asthma had more alexithymic tendency than that of the neurotic patients(p<0.0001), and in BIQ it had more alexithymic tendency than that of normal(p<0.05). Bronchial asthma patients were found to express less emotional words than normal persons and neurotic patients, but were not differentiated any more from groups of the schizophrenic, neurotic, and normal by TAS and MMPI-A. The authors with the inconsistent results of this study, could not confirm the assumption that alexithymia is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 of patients with classical psychosomatic disease. But we found that BIQ was useful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groups of normal and psychosomatic disease, and TAT was useful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groups of neurosis and psychosomatic disease with alexithymia construct.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the number of subjects and the diversity of psychosomatic diseases, but in spite of those limit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some considerations are needed for further investigation. The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 study on the need of the combination of multiple tools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discriminating ability of each tool ; secondly, a clin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ychosomatic diseases and the psychotic state in a large population ; thirdly, a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foreign tools in the Korean culture and on the problem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uch tools ; and a study is needed on the possibilities that alexithymic tendecy is not a specific predisposing factor of personalities with psychosomatic disorder. It is thought that more variegated stud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verse psychosomatic diseases and alexithymia, and on the development of reliable tools with validity in the measurement of alexithymia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culture should be taken in further investigations.
자발성 뇌간 혈종(출혈) 5예 : Especially in Midbrain, in Pons, and in Ponto-mesencephalon
이현개,호종수,이승재,박효일 인제대학교 1982 仁濟醫學 Vol.3 No.4
자발성 뇌간 혈종은 흔하지 않으며 특히 중뇌에 생긴 자발성 혈종은 대단히 드물다. 뇌간에 생긴 혈종은 생긴 장소와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과 vital sign의 변화를 보인다. ocular sign 및 vital sign의 변화와 의식상태 등에 의해서 뇌간 혈종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뇌간 혈종이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중에 환자의 의식상태는 혈압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며 수축기 혈압이 140mmHg이거나 이보다 약간 높은 상태에서 비교적 안정될 때는 환자의 의식이 호전되었고 강하시에는 의식의 악화를 보였으며 또한 혈압에 따라 이외의 신경학적 증상의 변화를 보였다. 본 교실에서는 Brain CT에 의해서 자발성 뇌간 혈종 5예, 즉 중뇌 혈종 1예, 뇌교 혈종 2예 및 뇌교-중뇌 혈종 2예를 경험하였다. Spontaneous brain stem hematoma is not common, especially spontaneous midbrain hematoma is extremely rare. Brain stem hematoma leads to variable neurological deficits and wide variations of vital signs correspending to its location and volume. It is possible to localize the hematoma in the brain stem by means of changes of ocular signs and vital signs, and the level of consciousness. During treatment of the patients with brain stem hematomas we found that the level of patient's consciousness was closely related to the level of blood pressure. At or slightly above 140mmHg of systolic pressure the patient's consciousness was markedly improved, but the decreased systolic pressure caused its deterioration. Also according to level of blood pressure other neurological findings were slightly variable. We hove experienced five cases of spontaneous brain stem hematoma which were diagnosed with brain CT. They were a case of midbrain hematoma, two cases of pontine hematoma and two cases of pontomesencephalic hematoma.
이유진,김건년,박효덕,이종홍 호서대학교 반도체제조장비국산화연구센터 2001 반도체장비학술심포지움 Vol.2001 No.-
실리콘 마이크로머시닝 기술과 바이폴라 공정으로 집적화된 압력센서를 제작하고 동작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센서부 보상파라미터를 추출하였고 트리밍 공정을 통하여 출력전압의 보상을 수행하였다.센서 특성은 압저항 위치, 마스크 정렬 오차, 다이어프램 정밀두께제어 정도, 보호막의 과도식각 정도 등에 의하여 민감하게 좌우됨을 알 수 있었다.웨이퍼별 샘플추출을 통하여 센서부 감도는 평균 0.653mV/kPa, 감도의 온도계수는 -2078.8ppm/℃, 옵셋전압은 30.78mV, 옵셋전압의 온도계수는 32.11uV/℃로 측정되었다.추출된 샘플의 다이어프램 두께오차는 27±2.5㎛였다.센서부 특성평가 결과를 통하여 신호처리회로의 옵셋 및 스팬보상, 온도보상을 위한 트리밍 공정을 수행한 결과 개발사양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종범,조희중,임효덕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95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 No.1
Clozapine의 약리장용기전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혀보기 위하여, in situ hybridization의 방법을 이용하여 clozapine과 전형적 항정신병약물인 haloperidol의 장기 투여(28일간)가 흰쥐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pENK, pTAK, pNT의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ENK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 대조군의 경우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 많은 pENK-mRNA 함유신경세포가 관찰되었다. Haloperidol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에서 pENK-mRNA 함유신경세포들이 유의한 숫적증가를 보였으며(P<0.05). 측좌핵에서는 pENK-mRNA 함유신경세포의 유의한 숫적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pEN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P<0.05). Clozapine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pENK-mRNA 함유신경세포의 수 혹은 pEN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2. pTAK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 대조군의 경우 많은 pTAK-mRNA 함유신경세포가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관찰되었으며 미상피각에서는 외측부에서 내측부보다 더 많은 pTAK-mRNA 함유신경세포를 함유하고 있었다. Haloperidol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에서는 pTAK-mRNA 함유신경세포의 유의한 숫적감소(P<0.05) 및 pTA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유의한 숫적감소가 관찰되었다 (P<0.05). 측좌핵에서도 대조군에 비하여pTAK-mRNA 함유신경세포의 유의한 숫적감소(P<0.05) 및 pTA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유의한 숫적감소가 관찰되었다(P<0.05). Clozapine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pTAK-mRNA 함유신경세포의 수 혹은 pTA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3. pNT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 대조군의 경우 pNT-mRNA 함유신경세포는 미상피각에서는 매우 드물게 관찰되었으며 측좌핵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pNT-mRNA 함유신경세포 및 이들 세포상의 은입자수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고, clozapine 투여군의 경우도 대조군에 비하여 아무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clozapine을 장기투여할 경우, ENK, TAK 및 NT의 합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clozapine은 dopamine계나 dopamine계와 관련이 많은 GABA계, acethylcholine계와는 무관한 기전으로 작용하며 따라서 extra-dopaminergic system과의 관련성이 보다 중요한 기전임을 시사하고 있다고 하겠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pharmacological action mechanisms of clozapine(atypical antipsychotics) compared with haloperidol(typical antipsychotics). The author observed the level of proenkephalin(pENK) mRNA, protachykinin(pTAK) mRNA and proneurotensin(pNT) mRNA in the caudate putamen(CP) and nucleus accumbens(NA) of the rat with in situ hybridization histochemistry after chronic treatment for 28 days with haloperido(1mg/kg) and clozapine(20mg/k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aloperidol induced the elevated level of pENK-mRNA in CP and NA, but clozapine mad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vel of pENK-mRNA in both areas. 2) Haloperidol decreased the level of pTAK-mRNA in CP and NA, but clozapine mad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vel of pTAK-mRNA in both areas 3) The level of mRNA was not changed in CP and NA after chronic administration of haloperidol or clozapin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ongterm phamacological action mechanisms of clozapine were not related with the dopaminergic system and might also be unrelated with GABA system and Ach system, which have close connections with the dopaminergic system. So, clozapine is suspected to have a more important effect on the extradopaminergic system.
인터넷 메타데이타 검색 및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이원석,박경용,양영종,정효택,김순용,이규철 한국문헌정보학회 1997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1 No.2
인터넷은 디지탈 형태의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한다는 점에서 매우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대량의 인터넷 정보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 자원을 정확하게 많이 얻어 낼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정보 자원의 메타데이타를 관리하기 위해 SeriCore라는 SGML 형식의 메타데이타 DTD(Document Type Definition)를 정의하고, 이들 메타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검색,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The Internet has gained popularity because o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in digital format.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provide methods which make it possible to search adequate information resource from bulk of Internet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define a SGML metadata DTD, named SeriCore, and design and implement a metadata retrieval and management system which can store, retrieve and manage the Internet metadata efficiently
李孝鍾 全北大學校 1994 論文集 Vol.37 No.-
Cirrus influences severe impacts on development of forecasting model, high altitude flying, and electronic warfares. Since cirrus is not detected easily on the ground, satellite imageries are used to be analysed. However, it is not simple process to distinguish low-level cloud or reflectance from ground, such as snow from high-level cloud. Thus, an expert system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local data and other researches for detection of cirrus. Since the expert system is covered by GUI(Graphical User Interface) shell, non-expert about cloud physics can use the system easily. The system was developed under LISP environment so that it does provide convenient features, such as unlimited addition of new rules found later, and easy simulation by new parameter changes, and no recompilation for modifying sources.
이효경,이정남,박종권 한밭대학교 정보통신전문대학원 2005 정보통신전문대학원 논문집 Vol.3 No.1
본 논문에서는 UWB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CPW 급전 구조을 이용한 평면형 반원 UWB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를 설계하기 위해 CST사의 MWS를 이용하였다. 유전율이 4.5이고, 두께가 0.762mm인 TMM4 기판을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VSWR≤2를 기준으로 2.6GHz에서 12.2GHz까지 UWB 전체 대역을 만족한다. 제안된 안테나의 group delay 변화량이 1ns 미만으로 UWB 통신 시스템 응용에 적합한 안테나이다. In this paper, a planar half-disk ultra-wideband (UWB) antenna fed by CPW is designed for UWB communications. We have used the Microwave Studio of CST to simulate the proposed antenna. It is designed to work an a substrate TMM4 of thickness 0.762mm and relative permittivity 4.5. The proposed antenna covers the entire UWB band (3.1 GHz ~ 10.6 GHz) from 2.6 GHz to 12.2 GHz for VSWR≤2. Group delay variation is less than 1 ns, thus indicating the proposed antenna a good candidate for UWB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