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ung Transplantation in Six Patients with Idiopathic Pulmonary Artery Hypertension

        ( Hyeonhwa Kim ),( Dongkwan Kim ),( Sehoon Choi ),( Geundong Lee ),( Dongkyu Oh ),( Hocheol Kim ),( Jaeseung Lee ),( Sungho Jung ),( Pilje Kang ),( Won Kim ),( Seungil Park ),( Sangbum Hong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21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9 No.0

        Idiopathic pulmonary artery hypertension (IPAH) is an incurable and invariably fatal disease. Lung transplantation is a useful therapeutic option in patients who are unresponsive to medical treatment; however, lung transplantation performed for pulmonary hypertension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high perioperative mortality rates. We report a case series of six patients who underwent lung transplantation for IPAH between October 2008 and June 2021. Patients’ median age was 28.5 years, and the study included 5 of 6 women (83%). Pre-transplantation hemodynamic parameters showed mean right atrial pressure of 12.0±7.1 mmHg and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of 62.2±29.5 mmHg. Two of six patients receive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therapy as a bridge to transplantation over 14 and 17 days, and four patients underwent elective transplantation. Two patients required prolonged postoperative venoarterial (V-A) ECMO support. Grade 3 primary graft dysfunction occurred in one patient; however, the clinical course improved following prolonged V-A ECMO therapy. Five patients (83.3%) required intervention for postoperative bleeding control; one of these patients died of uncontrolled bleeding concomitant with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on the 14th postoperative day, and we observed no other perioperative deaths. One patient died of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bacteremia, a year postoperatively. The 1-month, 6-month, and 1-year survival rates were 83.3%, 83.3%, and 66.7%, respectively. In view of the poor prognosis of IPAH, lung transplantation (1-year mortality rates <40%) merits consideration as a useful therapeutic option in this patient population. However, postoperative bleeding tends to occur in most patients; therefore, close monitoring is important during post-transplantation management.

      • KCI등재후보

        우유 대체 식물성 기반 우유 유사체 개발에 관한 현황과 미래

        김태진 ( Tae-jin Kim ),서건호 ( Kun-ho Seo ),천정환 ( Jung-whan Chon ),윤혜영 ( Hye-young Youn ),김현진 ( Hyeon-jin Kim ),김영선 ( Young-seon Kim ),김빈 ( Binn Kim ),정동관 ( Dongkwan Jeong ),송광영 ( Kwang-young Song ) 한국낙농식품응용생물학회 2021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JMSB) Vol.39 No.4

        기능 식품 및 기능성 식품 시장은 새로운 식품 개발 범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식품 부문 중 하나이다. 최근 음료 산업의 초점은 식품을 보다 영양가 있고 기능적으로 풍부하게 만드는 방향으로 급속하게 이동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양학적 기능이 있는 식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능성이 밝혀진 식물재료들을 식품에 직접 첨가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추출방법으로 기능성 물질을 분리하여 사용한다. 다양한 음료 중에서 우유는 다량 영양소(지방, 단백질, 탄수화물)와 미량 영양소(칼슘, 셀레늄, 비타민 B 복합체 등)를 균형 잡힌 비율로 제공하는 건강에 좋은 완전 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전 세계의 일부 나라 또는 특정 지역에서는 우유를 이용할 수 없는 환경에 있는 경우도 있다. 특정 미네랄(철), 비타민(엽산) 및 기타 생체 분자(아미노산)의 낮은 함량뿐만 아니라 우유 알레르기, 유당 불내증 및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같은 복합적인 이유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식물성 기반 우유 대체품(유사체)을 찾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우유 대체품(유사체)의 조건으로는 기존 우유보다 영양가가 최소한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식물성 우유 또는 혼합 우유 유사체는 한가지 또는 다른 이유 등으로 더 좋은 비낙농 식물 우유 유사체를 찾는 사람들을 위해 식품산업계에서는 기존 우유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식물기반 우유 유사체의 시장은 현재 두유, 귀리 우유, 코코넛 우유, 대마 우유, 코코아 우유, 잡곡 우유 등이 주요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생리활성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우유 대체품(유사체)들은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 특성과 상관관계가 있는 기능적 활성 성분으로 인해 높이 평가되고 있다. 기존 우유에 비해 우유 대체품(유사체)의 주요 이점 중 하나는 생산된 우유 단위당 에너지 요구량이 동물성 우유에 비해 훨씬 적으면서 수요에 따라 구성을 쉽게 조정(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전통적인 음료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주요 제한 요소는 까다로운 생산기술 등이다. 예를 들면, 콩과 식물에서 추출한 음료의 경우에는 좋지 않은 관능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능성 생리활성 식품 분야에서 경제적이면서도 영양적으로 우수하고 기능이 개선된 맞춤형 신규 음료를 생산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총설논문에서는 비낙농 식물성 우유 대체품(유사체)의 현재 상태, 시장 잠재력 및 건강 문제에 대한 과학적 비교 및 전반적인 개요, 그리고 비낙농 식물성 우유 대체품(유사체)에 적용되는 다양한 기술관련 자료 등을 재정리하였으며, 궁극적으로 비낙농 식물성 우유에 관한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many people are increasingly becoming interested in health and environmental issues. Therefore, the sale of vegan or vegetarian products has been increasing over the last few years, as well as interest in non-dairy plant-based milk that can replace cow’s milk. Furthermore, the global food industry has developed an interest in such products, considering the recent changes in consumer trends. In Korea, various products are being launched annually due to the increasing interest in non-dairy plant-based milk. However, research with regard to the quality and type of products produced in Korea is still at the preliminary stage when compared to those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herefore, the present review has summarized non-dairy plant-based milk analogues based on the following key aspects. First, the types of non-dairy plant-based milk analogues and their production technologies (in the order of almond milk > cocoa milk > coconut milk > hemp milk > kidney bean milk > oat milk > peanut milk > rice milk, and soy milk). Second,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for non-dairy plant-based milk analogues. Third, recent trends and future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non-dairy plant-based milk analogues. Fourth, the current status and outlook of the non-dairy plant-based milk analogue market in Korea. In conclusion, the present review could provide the food industry with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non-dairy plant-based milk analogue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related products. Data were obtained from previously published studies.

      • KCI등재

        Evaporation of Water in an Aqueous Lithium Bromide Solution flowing over a Horizontal Tube

        Dongkwan Kim,Moohwan Kim 대한설비공학회 2001 International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 Vol.9 No.3

        Falling film heat transfer analyses with aqueous lithium bromide solution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copper tubes. Finned (knurled) tube and a smooth tube were selected as test specimens. Averaged generation fluxes of water and the heat flux were obtained. As the film flow rate of the solution increased, the generation fluxes of water increased for both tubes due to the fact that the heat transfer resistance increased with the film thickness. The effect of the enlarged surface area at the knurled tube was supposed to be dominant at a small flow rate. The generation fluxes of water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degree of tube wall superheat. Nucleate boiling is supposed to occur at a wall superheat of 20 K for a smooth tube, and at 10 K for a knurled tube. The increased performance of the knurled tube was supposed to mainly come from the effect of the increased heating surface area.

      • Comparison of media and membrane filtrations for seawater desalination pretreatment

        Kim, Dongkwan,Choi, Juneseok,Lee, Wontae Balaban Publishers 2016 Desalination and Water Treatment Vol. No.

        <P>We compared microfiltration (pressurized and submerged) and media filtration as pretreatment to increase the removal of organics and to reduce reverse osmosis (RO) membrane fouling. The studied plant (feed rate=2,500m(3)/d, production rate=1,000m(3)/d) was taking seawater from East Sea of Korea and originally consisted of strainers, coagulation, dissolved air flotation, dual media filters (DMF), and RO membrane processes. A pressurized microfiltration (MF) and a submerged microfiltration (SMF) were installed and compared with DMF as pretreatment to the RO process. Upon pilot test results over one year, MF exhibited higher removal of dissolved organic materials. Average removals of UVA(254) were 23, 19, and 13% at MF, SMF, and DMF,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confirmed with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compositions of humic and fulvic acids. Silt density index (SDI) values were lower in membrane processed waters, and the SDI results correlated with transparent exopolymer particles (r=0.73). The results indicated that MF can be an effective pretreatment to reduce RO membrane fouling with higher removal of organic materials.</P>

      • SSAM 모형을 이용한 LPI 효과분석

        김동관(KIM, Dongkwan),박상준(PARK, Sangjun) 대한교통학회 201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5 No.-

        본 연구는 신호교차로에서 보행자 안전의 향상을 위한 LPI 기법의 적용 효과를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 SSAM모형과 VISSIM을 이용하여 효과를 현실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 개발된 기법을 적용하여 LPI의 효과에 기여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LPI 기법을 적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효과를 개략적으로 산정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VISSIM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시 횡단보도 링크와 커넥터를 중첩되게 설정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둘째, LPI 효과 영향분석에는 효과척도 값의 변화보다는 상충횟수의 변화를 효과산정의 기준으로 사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LPI 적용 효과는 교통량과 보행량의 수준과 관계없이 현저하였다. LPI 지속시간의 경우 최소 5초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한 것으로 판단되며, 안전측면에서는 7초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차로 기하구조의 경우 부도로의 차로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충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LPI기법 적용전의 상충횟수에는 차이가 있으나 평균적으로 97% 감소된 것으로 분석되어 안전측면에서의 효과가 매우 현저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지역별 혁신 네트워크의 차이와 영향요인 분석: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 혁신주체의 관점에서

        김동관 ( Dongkwan Kim ),남태우 ( Taewoo Nam ) 한국경제지리학회 2021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4 No.3

        본 논문은 지역별 혁신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를 혁신주체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고, 혁신주체 간 네트워크의 결정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정책 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혁신주체의 활동에 대한 실제적인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혁신주체 네트워크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QAP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역마다 대표적으로 활동하는 혁신주체는 지역마다 차이가 존재하고 혁신주체의 활동은 시기적으로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혁신활동의 네트워크는 수도권과 대전을 제외하고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지역과 공동연구개발을 많이 수행한다. 그리고 전체적인 공동연구의 건수가 증가하더라도 지역 내 국지적인 네트워크를 발생시키지 않았다. 셋째, 혁신주체의 네트워크는 지리적 근접성과 연구비의 규모 차이가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과거의 지속적인 관계가 강한 연구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actor networks in regional innovation processes with a focus on actors’ activities and finds the determinants of the networks, thereby aiming to provide information useful for regional innovation policy makers.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the national R&D projects data and identified the activities of innovation actors. Finding out the network determinants was QAP analysis. The study suggests three main findings as follows. First, a meaningful difference exists in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activity by region. Second, the network of innovation actors meaningfully differs from region to region. The centrality of the network was found to be high in universities and businesses in Seoul and Gyeonggi, and in public research institutes in Daejeon. There are regions where all the networks of innovative actors are composed of one component, while some regions are not yet established with the network. Finally, although the networks of innovation actors are influenced by the geographical proximity and the size of the R&D fund, it is notable that the previous continuous relationship forms a strong research net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