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연예술 콘텐츠 확장에 관한 연구 : -신용구 이미지퍼포먼스 작업을 중심으로-

        공현규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예술과 매우 유사하면서도 순수 예술을 추구하고 있는 작가 신용구의 이미지퍼포먼스 작업을 통하여 공연예술 콘텐츠의 확장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공연예술은 다수의 관객 앞에서 인간들이 이루어 온 경험을 펼쳐 놓는 무대예술을 말하며, 연극, 무용, 음악, 오페라, 그리고 영화 등의 장르가 있다. 오늘날에는 신체 그 자체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행위예술을 공연예술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공연예술은 21세기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그 영역의 경계가 허물어지기 시작하였으며, 다른 장르와의 융합현상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공연예술은 현장성을 토대로 협업적 구조를 가지고 있어 장르적 속성을 허물고 작가들의 결합을 통하여 다양한 콘텐츠로 진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연예술은 새로운 기술과의 융합, 장르 간의 융합, 다른 산업과의 융합을 통하여 콘텐츠 확장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공연예술 콘텐츠 확장 모색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 고찰한 작가 신용구는 스스로 이미지퍼포먼스라는 개념을 만들어 내고, 이미지에 표상성을 부여하는 것,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신체 등을 이용하여 시간적 흐름에 따라 표현하는 예술행위를 이미지퍼포먼스로 정의하고 있다. 그는 움직임을 통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고, 설치미술과 같은 전시 및 공연 등으로 그의 작품을 구성한다. 더구나 그의 작품들은 일회성 퍼포먼스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스토리텔링, 주제를 위한 연속적 퍼포먼스 작업이며, 이는 전시와 공연의 개념을 각각 확장시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즉, 그의 작품에는 시각예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매체와 공간감을 확대함으로써 새로운 공연의 패러다임을 만들어내려는 작가의 의지가 잘 드러나 있다. 신용구의 이미지퍼포먼스는 형식에 얽매이는 것이 아닌 자유로운 발상을 기본으로 하며 인간의 상상력을 끝없이 촉발시키려고 하는데, 이는 이미지퍼포먼스가 열려진 예술 형식임과 동시에 포괄적인 매체라는 것에 근거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이미지퍼포먼스는 공연예술 영역의 하나의 콘텐츠로서 그 의의를 가질 수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신용구 작가의 이미지퍼포먼스 작품의 철학 및 작업 내용(1991년~2014년 중심으로)을 분석하였고, 2018 󰡐가을, 계룡산에서의 춤―주제 : ‘품-다’라는 무용 콜라보 공연에 참가하는 신용구의 이미지퍼포먼스 작업 “꿈의 조각을 모으다” 기획 및 제작 과정에 참여하고, 공연예술로서의 이미지퍼포먼스의 과정을 분석·평가하였다. 이미지퍼포먼스라는 장르에 익숙하지 않은 관객들은 눈을 사로잡는 다채로운 오브제를 통해 공연에 호기심을 갖고 관람에 집중했으며, 이는 향후 이미지퍼포먼스가 장르의 경계를 넘어 대중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앞으로 공연예술은 다양성을 추구함으로써 콘텐츠를 더욱 확장해 나갈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공연예술 콘텐츠 확장을 위한 과감한 실험들이 많이 생겨나야함은 물론 이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과 후원이 필요하다. 주요어: 공연예술, 공연예술 콘텐츠 This study aims to seek an expansion possibility of performing arts contents through image performance of Shin Yong-Gu, an artist, who pursues pure arts which can be very similar to performing arts. Performing arts refers to theater arts showing human experiences in front of many people, namely audiences, and the performing arts includes such genres as plays, dances, music, operas, and movies. Nowadays, performance arts expressed with human body is also included in the performing arts. The boundaries of domain in performing arts started to be collap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and fusion between genres have been vigorously carried out. Performing arts with collaborative structure based on site attributes evolves into various contents by destroying genre attributes and through the combination of artists. As such, performing arts reveals a possibility of content expansion via fusion between genres, fusion with new technologies, and fusion with other industries. As part of performing arts content expansion, Shin Yong-Gu, an artist examined in this study, makes the concept of image performance himself, and defines artistic activities awarding representativeness and expressing desires to depict using human body depending on the flow of time as image performance. He delivers messages through movements and constitutes his works with installation art exhibition and performance mode. His works are successive performances for storytelling and themes, rather than one-off performance, which has a significance for expanding the concepts of exhibition and performance. His works reveal the artist’s constant will to create a new performance paradigm by expanding multimedia and the sense of space on the basis of visual arts. Shin Yong-Gu’s image performance is based on free ideas, not restrained by cumbersome formality, and promotes human imagination endlessly. This is actually founded on the fact that image performance is an open artistic form and also a comprehensive medium. From this point of view, image performance can have a significance as a content in the domain of performing arts. This study analyzed the philosophy and contents of his image performance works (centered on the period between 1991 and 2014). The author of this study participated in the planning and production processes of the image performance, “Gather the Pieces of a Dream”of Shin Yong-Gu partaking in the dancing collaboration performance, “Fall, Dance in Mt. Gyeryong – Theme: Embrace”in 2018. The author analyzed and evaluated the process of image performance as performing arts. Audiences, unaccustomed to the genre of image performance, concentrated on watching performances through various objects captivating audiences’ eyes. This became an opportunity to seek a possibility that image performance can be acknowledged popularly beyond the boundaries of genre. Need for expanding contents further by pursuing diversity is demanded in performing arts. Many bold experiments for performing arts content expansion should be conducted. Towards this end, active support and sponsorship are required. Key Words: performing arts, performing arts contents

      • Digital Engagement as a Mechanism for Digital Transformation: An Exploratory Study of the Performing Arts

        Ford, Vincent B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Temple University 2019 해외박사(DDOD)

        RANK : 2943

        From changing consumer relationships to demands for new experiences, performing arts institutions are under increasing pressure to embrace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y is altering how audiences engage with the arts. Preferences and consumption habits are rapidly evolving. Strategies to sustain existing formats, customers, and revenue models are unlikely to succeed. Cultural institutions in general and performing arts such as orchestras, ballets, and operas are rapidly adopting technology -- with millions of social media followers, streaming services, and online ticketing. Yet, these initiatives are fragmented, hard to assess, and there is very little known on how to digitally transform performing arts institutions overall. This research asks: What are the mechanisms driving digital innovation in performing arts institutions, and specifically in orchestras? The research approach includes three qualitative studies, which use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fifty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Study 1 explores the overall practice of digital innovation in the performing arts. Study 2 more specifically examines the role of engagement as a mechanism to understand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performing arts in general, and orchestras in particular. Study 3 maps the mechanisms of digital engagement to uncover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performing arts and defines engagement. This research makes several contributions to theory and practice by identifying the performing arts as an important area for applying digital transformation. A research framework was developed through synthesis of performing arts, innovation, business model, and engagement literature. Engagement was defined and identified as an important construct for digital transformation. The components, development, instantiation, and impact of engagement were elaborated in a set of propositions that summarize the role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performing arts. Finally, the research provides recommendations and action items for arts administrators.

      • 공연예술산업의 불공정행위 분석

        성지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2

        Korea has continued to grow every year in industries in various fields, achieving economic revival with per capita income exceeding $33,000. Due to this economic growth,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has expanded the size of the market along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While the performance art market is growing on a scale,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domestic performance agencies is only 70%. This is a significant drop in business value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erefore,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unfair trade among the internal factors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which could act as one of the factors that hinder growth and low financial independence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unfair trade among the various problems arising with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And based on this, the framework will be provided for regulatory or institutional measures on issues related to unfair trade.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and unfair trade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ales, operating profit, net profit, number of works, and works of seven domestic performance agencie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Based on the results, in-depth interview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on employees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and the unfair trade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unfair trade has been categorized and its frequency measured. This study carried out categorization and frequency measurement work using the analysis frame of unfair trade type reconstructed by this researcher through prior research. According to the study, all five types of unfair trade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were found in interviews, and the highest frequency was unfairness to essential facilities for performances, followed by unfairness in government- funded projects. The third was unfair regarding profit distribution, the fourth was unfair about the distribution of tickets, and the fifth was unfair due to human factors.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show that unfair trade with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is somewhat different from other industries. This is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and it is meaningful to promote stable growth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by supplementing the regulation or system of unfair trade as a prior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in Korea.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may be suggested that it is mandatory to set up a theater for pure art, creation, or experimental works, or a certain quota allocation system for performance halls. Second, efforts will be needed to ensure fairness and equality of opportunity with higher values for transparency in the nation's support policies. And third, it is necessary to have a clear awareness of all laws, such as labor law and copyright law, and to receive a fair price based on the perception of workers before the pride of being an artist.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ers who conducted research on unfair trade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through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the problem of unfair trade in this field is not as big as that of other industries. This i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the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to create a clean society. In the future, the improvement of some unfair trade issues revealed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will lead to a healthier ecosystem of performing arts and a brighter future for performing arts. 우리나라는 1인당 국민소득 33,000불을 넘어서 경제부흥을 이루며 각 분야의 산업에서 매년 지속적인 성장을 해왔다. 이러한 경제성장에 힘입어 공연예술산업도 양적, 질적 성장을 이어가며 공연예술시장 전체규모를 확대 해왔다. 이처럼 공연예술시장에서의 규모의 성장 반면에 국내 공연기획사들의 재정자립도는 7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타 산업과 비교 시 사업적 가치가 현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그 원인과 실태를 파악해보고, 공연예술산업의 낮은 재정자립도 및 성장 저해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할 수 있는 공연예술산업계의 내부적 요인 가운데 불공정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연예술산업 내에서 활동 또는 거래 시 발생 되는 다양한 문제 중 불공정행위에 관하여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분석함으로써 불공정행위 관련 문제들에 대한 규제 또는 제도 방안에 기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고찰을 통해 공연예술산업의 특성, 불공정행위에 대해 알아보고 국내 공연기획사 7곳을 대상으로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작품 수, 작품 등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 공연예술산업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에 기초하여 공연예술산업에 종사자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심층 인터뷰를 실시 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불공정행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고 불공정행위를 범주화하여 나눠 빈도수를 측정하였다. 범주화 작업에는 본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통해 재구성한 불공정행위유형 분석틀을 사용하여 범주화 및 빈도수 측정화 작업을 하였다. 연구 결과 공연예술산업 불공정행위 5가지 유형 모두의 사례가 인터뷰를 통해 나타났으며 이를 빈도순으로 나열하면 공연 필수설비에 대한 불공정과 정부 지원 사업에서의 불공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 번째는 수익 배분에 관한 불공정, 네 번째는 티켓의 유통에 관한 불공정, 다섯 번째는 인적 요소에 의한 불공정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공연예술산업 내에서의 불공정행위는 타 산업 분야와는 일정 부분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는 공연예술산업의 특수성에 기인한 것으로 국내 공연예술산업 발전을 위하여 분석 결과 빈도별 우선순위로 불공정행위 규제 또는 제도의 보완으로 공연예술산업의 안정적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모하는 것에 그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순수예술이나 창작, 실험작품의 상영관 설치 의무화 또는 공연장에서의 일정 쿼터 배분제를 제안해볼 수 있다. 둘째 국가의 지원정책에 있어서 투명성에 더 높은 가치를 두고 기회의 공정성과 균등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예술가라는 자부심에 앞서 노동자라는 인식을 기반으로 노동법, 저작권법 등에 대한 의식을 명확히 가지고 정당한 대가를 받으려는 인식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공연예술산업분야의 불공정행위 연구를 진행해본 연구자의 입장에서 이 분야는 타 산업에 비해 불공정행위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그동안 깨끗한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정부와 국민의 노력이 문화예술계까지 이어온 결과로 생각된다. 앞으로 연구 분석 결과를 통해 밝혀진 몇몇 불공정행위의 문제들에 대한 개선의 의지가 실현될 때 더욱 건전한 공연예술산업의 생태계가 정착되어 공연예술산업의 밝은 미래가 도래할 것이다.

      • 전통공연예술과 뮤지컬의 장르적 융합에 관한 연구 : 작품의 유기적 구성 양식과 요소를 중심으로

        김규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2

        Traditional performing arts, which are rooted in Korean history and culture, are currently showing the signs of modernistic development by promoting the production of various contents through the integration with new technologies and different genres while preserving and succeeding to the original forms. While moving into the 2000’s,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has enabled the exchange between various cultures around the world and the extensive embracement of such cultures, and Korea is also conducting and providing various researches and supports for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o expand its cultural industry. Today,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experience the severance from the public as they failed to adapt to rapid socio-cultural changes while undergoing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influx of western culture, colonization by Japan, and the Korean War and also, they are perceived as a peculiar genre of art which require special skills.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various efforts which are made to overcome such phenomena and bring traditional performing arts closer to the people, by applying the concept of ‘integration.’ Among such efforts, this study discussed the meaning and effect of using traditional performing arts by focusing on the genre integration with the musical which shares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First, the trends of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the musical were analyzed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s and advance preceding studies.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an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reative musical’ pieces produced by domestic staff and opened between 2010 and 2020 to determine how traditional performing arts have been used within the compositional format of the musical where the story, song, and dance are put on stage at the same time. Within the limited scope and theoretical background, three pieces: the <Red Cliff> which opened at Jeongdong Theater, the musical <Pan> which opened at CJ Azit Theater on Daehakno and Jeongdong Theater, and the musical <Seopyeonje> which opened four times since 2010, were analyzed in depth. The compositional format and the elements derived from traditional performing arts were analyzed,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rew members of the pieces were also conducted to verify the objectiveness of the study.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 pieces into ‘non-organic stage’ where the elements derived from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rm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in the compositional format of the musical, the ‘transitional stage’ where both simple integration and partial organic relationship were found, and ‘organic stage’ where each of the elements were applied appropriately and the quality of the piece was high.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effect of forming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musical by applying the concept of integration by focusing on the modernistic development of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volved with a musical piece. In summary, the combination of the compositional format of the musical and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rmed an organic relationship which reduced negative perceptio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it into a unique musical format that can be produced in Korea. This possibility of development represents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that can not only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s a genre but also eliminate overheated competition and lack of materials, the problems emerging in domestic musical market.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expand the scope of reinterpretation regarding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lead the cultural industry of Korea. 오늘날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는 전통공연예술은 전통적인 원형을 보존하고 계승함과 동시에 새로운 기술이나 여러 장르와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 제작을 활성화하는 현대적인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기술의 발달로 세계 각국의 다양한 문화 교류가 가능하고 적극적인 수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기에 한국 역시 문화 산업의 확장을 위해 전통공연예술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전통공연예술은 서양 문화의 유입과 일제강점기, 남북전쟁 등 역사적 사건을 겪으며 급변하는 사회문화적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전문성을 요구하는 특수한 예술장르로 인식되어 대중들과 단절되는 현상을 겪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고 대중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 시도하는 여러 가지 방안을 ‘융합’의 개념을 적용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그 중에서 공연예술적 성격이 공통으로 성립하는 뮤지컬과 장르적 융합을 중심으로 전통공연예술의 활용 의의와 효과를 논하고자 한다. 먼저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전통공연예술과 뮤지컬의 동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야기와 노래와 춤이 동시에 실연되는 뮤지컬의 구성 양식 안에서 전통공연예술의 활용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 2010년부터 2020년 사이에 개막한 국내 창작진이 제작하는 ‘창작 뮤지컬’ 작품으로 심층 분석 사례를 제한하였다. 제한된 범위 안에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정동극장에서 개막한 <적벽>과 대학로 CJ 아지트 극장과 정동극장에서 개막한 뮤지컬 <판>, 2010년부터 총 네 차례 개막한 뮤지컬 <서편제> 세 가지 작품의 심층 분석을 진행하였다. 작품의 구성양식과 활용 요소 분석을 진행하되, 연구의 객관적인 증명을 위해 작품 제작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추가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뮤지컬 구성 양식 안에서 유의미한 관계를 형성하는 정도의 기준으로 설정하였을 때 단순한 결합 형태를 이루는 ‘비(非)유기적인 단계’, 단순한 결합과 일부 유기적인 관계가 공존하는 ‘전환기적인 단계’, 각각의 구성 요소가 적절히 활용되면서 작품 완성도가 높은 ‘유기적인 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전통공연예술의 현대적 발전 양상 중 뮤지컬 작품 안에서 활용되는 형태를 중심으로 융합의 개념을 적용하여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의의와 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뮤지컬의 구성 양식과 전통공연예술이 결합하였을 때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전통공연예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요소를 감소시키고 한국에서 제작할 수 있는 독특한 뮤지컬 양식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도출하였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발전 가능성은 비단 전통공연예술 장르의 한계뿐만 아니라 국내 뮤지컬 시장에 도래한 경쟁 과열과 소재 고갈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의 가능성을 대변한다. 더 나아가 전통공연예술을 재해석하는 범위를 확장하여 한국의 문화 산업을 이끄는 일환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 公演文化施設의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關한 基礎的 硏究 : 오페라하우스의 面積構成 分析을 中心으로

        전형준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941

        연극이나 음악회 같은 공연예술은 현대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정신적 필수품이 되어 왔고, 공연장은 연극 또는 음악회를 대중이 감상할 수 있는 시설로서 중요한 사회적 의의를 갖고 있다. 공연예술의 기원은 원시지역사회의 종교의식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흔적이 인류역사의 발자취가 미치는 곳마다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공연예술은 인간의 생활상이나 정신세계를 반영해 주었고 변화하는 시대의 조류에 따라 변화를 거듭해 왔다. 과거 종교 의식의 의례와 합창이라는 주술적 행위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오페라, 뮤지컬, 콘서트, 심포니, 발레, 연극 등 다양한 양식으로 발전하면서 대중성과 전문성에 바탕을 둔 각 공연양식에 맞는 공간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21세기의 주요산업으로 문화산업을 언급하고 있는 이 시대에 대표적인 산업시설이며, 공연예술의 생산기반시설 이라고 할 수 있는 전용 공연장을 갖추는 것은 공연예술의 인프라를 형성함은 물론 우수한 공연예술의 창조와 대중에게 전달하는 보급 장소로서 그 사회적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이미 세계 선진 도시들에서는 다양한 공연문화시설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추가 건립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서구에 비해 늦게 이루어 졌지만 국내에서도 근대화 이후, 현대 공연장은 대중문화예술 보급의 목적으로 각 지방을 중심으로 문예회관 등이 건립되고 있으나,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공연문화시설을 보면 각각의 기능군 들의 연계를 고려한 배치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공연장들과 해외의 공연장들을 비교해 보았을 때 사용자에 대한 배려가 고려되지 않음으로 인해 실제로 공연장을 사용하는 배우나 공연물을 제작하는 스텝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공연문화시설의 공간구성과 운영방법의 유기적인 관계구축에 따른 재기능 수행에 있어서는 그 체계가 아직 부족한 상태이며, 또한 대부분의 문예회관시설이 다목적 성격을 가지고 있어 용도와 사용자 요구에 따른 전문적인 시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연문화시설의 확보는 더욱 미흡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공연예술 각 장르별 전용 공연장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용 공연장의 건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전용 공연장의 건립이 추진되어야 하며, 더불어 공연장 건축계획에 필요한 관련연구와 특히 오페라극장과 같은 전용공연장의 경우 전문적인 성격상 건립단계 이전부터 공연운영·기획과 규모 및 공간구성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한 이해와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건축 계획적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공연장 건축계획에 있어서 선행연구의 고찰 결과 객석과 무대에 관한 연구는 많은 진척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나 공연장의 특성에 따른 공간구성과 각 공간별 사용자를 고려한 Space Program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앞서 살펴본 연구주제의 설정배경, 연구 필요성 등을 전제로 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속성을 고려한 공간별 분류체계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일반적인 공연장과 실제 운영되고 있는 공연장의 공간구성을 분석하여 향후 건립될 전용 공연장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Space Program에 관한 일련의 연구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용 공연장을 그 대상으로 하여 공연장의 Space Program에 관한 내용을 사용자적 특정에 따라 공간체계를 분류함과 동시에 면적특성의 추출을 통해 공연장의 공간계획 즉 Space Program의 기본방향 수립 시 합리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실질적인 계획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진행은 우선 일반적인 공연장의 내용을 고찰하여 공연장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와 함께 공연장의 사용자와 공간구성을 바탕으로 분석을 위한 공연장의 공간구성 체계를 추출하였으며, 전용극장 즉 오페라 상연이 가능한 공연장과 객석규모 1,500석 이상의 중·대규모 공연장으로 한정하여 국·내외 10개의 공연장의 공간구성 및 면적구성을 앞서 추출한 공간구성 체계를 기준으로 대영역(공공서비스·공연·공연지원·관리)과 세부영역(순수서비스·문화서비스·관객·무대·공연·공연지원·제작·관리·설비·공용)으로 분류 하고 각 영역별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공연장의 구성 특성 및 면적구성의 특성을 파악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사·분석의 결과 본 연구의 조사대상관을 중심으로 진행한 공연문화시설의 스페이스 프로그램 즉 공간구성 및 면적특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공연장의 면적분포 구성은 공연장의 구성 및 부속실의 배치 유형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그 특징이 대별됨을 알 수 있었다. 그 특징으로는 공연장의 구성을 단독/분동형 및 복합형(분리형 및 혼합형)으로 또한 배치 유형에 따라 후/측면 배치형, 양측면 배치형, 혼합 배치형 으로 유형화 할 수 있다. 두 번째, 공연문화시설에서 공연영역 즉 무대와 객석이 공연장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거의 유사하게 분석되었다. 이는 공연영역의 면적이 객석 수가 증가함에 따라 또한 무대의 개수 및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무대와 객석의 면적이 늘어나는 산술적 비례의 차이를 보이지만 연면적 대비 분포면적은 각 공연장이 거의 유사하며 이는 공연문화시설의 연면적 및 분포비율, 즉 규모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공연장의 스페이스 프로그램 선정 시 전체면적 및 연면적 대비 각 영역별 평균적 분포는 1,500석 내외의 공연장을 기준으로 공공서비스 영역 29.64%, 공연영역은 17.49%, 지원영역은 32.18%, 관리영역 20.69%이고 2,000석 이상의 공연장을 기준으로는 공공서비스 영역 32.86%, 공연영역은 13.51%, 지원영역은 28.66%, 관리영역은 24.97%로 분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평균적인 분포의 차이가 나타나는 공연장의 경우에는 공연장의 특성, 즉 기획·운영적 특징과 Producing, Non-Producing, 레퍼토리 시스템 등 지향하는 성격에 따른 무대영역의 비중 및 지원시설에 따라 틀려지는 바 이는 향후 공연문화시설의 면적구성 계획에 있어 중요한 고려요소라 할 수 있다. 결국 공연장의 공간구성 및 규모의 차이는 반드시 객석의 수로만 정해지는 것이 아니며 공연장의 운영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공연장의 규모는 오히려 관객이 볼 수 없는 영역인 무대 주위의 공연지원시설과 제직부문의 비율에 따른 시설의 차이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고 무대와 객석 즉 공연영역이외에 공연장의 규모를 결정짓는 가장 큰 요소는 공연장의 기획과 운영측면에서 본 공연장의 지향하는 특성 및 성격이다. 그와 함께 규모를 결정 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이 바로 Non Producing Theater와 Producing Theater의 차이이다. 이것은 제작부문 공간의 유무가 결정되며 그에 따라 면적의 차이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속단체의 유무에 따라 그 규모가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내용은 공연장의 총 규모를 산정하는데도 중요하지만, 세부 시설의 관계를 결정하는데도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Producing Theater를 추구하는 공연장일 경우 무대의 시설과 면적, 무대 주위의 공연지원시설의 면적과 연면적 대비 비율의 충분한 확보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연장 공간구성 즉 스페이스 프로그램의 계획적 특성 중 조사대상관의 도면과 관련문헌상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소요 제실 및 세부영역의 면적구성을 분석 하였으나 공연장을 계획함에 있어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수히 많다. 그 중 각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분류된 공연장의 영역과 운영방식과의 상관관계 분석에 있어 실제적인 현장조사와 국·내외 사례에 있어 한정된 범위로 인한 제한된 정보습득 등 연구의 한계를 추후의 계속된 연구를 통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연장의 공간구성 및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대한 계획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현대의 전용화 양상에 따른 오페라 전용 공연장 건축의 기본계획 방향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performing arts, such as play or concert, have become psychological necessities of a modern life, and the performing arts center is a facility of great social significance, where the general public can enjoy play or concert. The origin of performing arts goes back to religious rituals of a primitive community, and their trace can be found along every pathway of human history. Accordingly, performing arts reflect human life style or spiritual world, and they have been changed continuously with the changing currents of time. Originated from shamanistic rituals and chants of the past religious rituals, the performing arts have now developed into various forms, such as opera, musical, concert, symphony, ballet, and play, requiring an appropriate space for each performing art based on popularity and speciality. In the 21st century, where the cultural industry is considered as the main industry, the importance of facilities dedicated to performing arts is being addressed as the facilities will be able to form an infrastructure for performing arts, as well as to create and present quality performing arts for the general public. Many developed countries have already been using various performing arts facilities, and they are continuously building additional facilities. Korea joined this trend late compared to the West, but many cultural centers have been built since the modern age across the nation to spread popular culture and the arts. However, the functions of the facilities under operation are not arranged properly, and the needs of the users have not been considered; as a result, the complaints of actors and staff members who use the facilities are on the rise.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performing arts facilities and a system of operation are still poor, and most of the arts and cultural facilities have also multi-purpose functions so performing cultural facilities with specialized functions on the needs of users should be secured. The importance of performing arts centers dedicated to each genre of the performing arts is being addressed, and more dedicated performing arts centers should be constructed accordingly. Research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performing arts centers, especially opera house due to its specialized characteristics, is needed before the construction stage, a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planning/size of performance and the spatial composition,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should be considered in conducting such research. From a literature review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performing arts centers, it was found that a lot of research was done on the auditorium and stage, but few research was conducted on space program, considering the spat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s and users of each space. In addition, based on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research reviewed, a classification system of space should be deriv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users, and a series of research on space program that can accommodate various needs for future performing canters should be planned by analyzing general performing arts centers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centers that are currently under operation. In this study, the space programs of dedicated performing center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area, a rational method and practical planning guidelines are suggested to establish a basic direction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r space program of performing arts centers. In proceeding this study, the contents of general performing arts centers were first reviewed,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users and spatial composition of performing arts centers, a system of spatial composition for performing arts centers was derived. Limited to the theaters dedicated to playing operas, as well as medium/large size centers with a seating capacity of over 1,500 seats, the spatial composition and area composition of 10 performing centers from local and aborad were classified into the large scale features (public service, performance, performance support, and management) and the detailed features (general service, cultural service, audience, stage, performance, performance support, production, management, equipment, and shared space), and comparative analyses of each classification were conducted. From the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sition and area composition were found.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rom the analyses of the space programs (spatial composition and area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faciliti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First, the area/distribution/composition of performing arts centers are affected by the composition of the centers and the arrangement types of annex buildings,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are the composition of the centers (single/pavilion type and mixed type), and the arrangement types (rear/side arrangement type, both-side arrangement type, and mixed arrangement type).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ratios of the performance areas, that is the stage and the auditorium, in performing arts facilities are almost are almost similar. As the performance area increases, the number of seats and the number and size of the stage are increased. However, the ratio of a gross floor area to a distribution area was found to be similar for each center.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gross floor area and the distribution ratio of performing arts facilities are not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 size of the centers. Third, when selecting a space program for a center, an average distribution of each area to a total area and a gross floor area is 29.64% for the public service are, 17.49% for the performing area, 32.18% for the supporting area, and 20.69% for the management area obtained from the performing centers of about 1,500 seats; and 32.86% for the public service are, 13.51% for the performing area, 28.66% for the supporting area, and 24.97% for the management area obtained from the performing centers of over 2,000 seats. In the case of the performing centers that have differences in an average distribu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s (planning and operation), a ratio of the stage area In conclusion, the differences i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size of performing centers are not necessarily determined by the number of seats, but are determined by an operational method of the centers. The size of performing area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in facilities depending on a ratio between the performance supporting facilities and a production area, where the audience cannot see.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size of performing center, excluding a performing area (stage and auditorium), is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ty of the center. Another factor is the difference between non-producing theater and producing theater. This implies that the size of the center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a producing space. This fact is important in both estimating a total size of a performing center and determining a relation with detailed facilities. Especially, in the case of a center pursuing a producing theater, the facility and size of stage, as well as a ratio between the area of performance supporting facilities and the gross floor area, should be sufficiently secured. In this study, the area composition of each required facilities and detailed areas based on objective data that can be confirmed from the drawings and related literature of the centers under investigation. However, in planning a performing center, there are several other factors that can affect space program. Among the factors, in analyz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erforming area and an operation method, which are classified by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limited by an actual on-site survey and the limited information acquired from cases locally and abroa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cent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program were analysed in this research. Basic information obtained from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for planning a performing center dedicated to opera.

      • The impacts of cultural experience on customer repurchase intention : In performing arts service markets

        유선정 성균관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941

        Many managers predict and assume their audiences’ behavior for developing sum of profit and boosting cultural welfare or service quality. In service marketing studie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has exhaustively studied and clarified the pathway of customer behavior. Using the service business structure model, we explore how audiences make decisions to repurchase in the performing arts market. To predict on the consumer’s desire to repurchase with merging new conceptual ideas, cultural experience is explored as something emotionally charged and complex in services in the performing arts. Moreover, this dissertation will seek to build a model and tests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constructs in predicting repurchase intention in a performing arts context. To fill a gap in the literature on performing arts service quality, this study has conducted an empirical investigation. Also, a survey instrument has been designed based on European audiences attending Korean performing arts by utiliz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of AMOS 7.0 software. The statistical result shows that cultural experience significantly influences customer behavior intention and gives us the suggestion of how the impacts of cultural experience occur on the customer decision- making process. 극장의 매니저가 고객의 의향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면 고객에게 보다 만족스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문화복지를 향상시키고, 극장의 수익증진까지 기대할 수 있다. 이에 고객 행태를 분석하기 위한 서비스마케팅 관련 연구는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연예술서비스 마켓을 중심으로, 이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고객의 재 구매 의사결정의 진행과정과 그 구조를 ‘구조모형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특히 재 구매결정에 있어 고객의 감정적 평가가 가지는 영향력이 보다 강력하고 복잡하게 작용하는 공연예술시장만의 특수성과 현 시점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해, 이제껏 시도해 보지 않았던 ‘문화적인 경험’이란 새로운 개념을 독립적 변수로 추가 도입하였다. 공연예술시장에서 재 구매 의향을 이루어내는 기존 구성개념에 새로운 개념을 더해, 각 구성개념간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재 구매 의도 파악의 구성개념에 대한 또 다른 접근법을 제시, 그 실제적 효용가치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공연예술 서비스 품질관련 연구를 실증분석을 토대로 보강하고, 새로운 접근방법 구현을 실체화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럽 최대 공연시장이라 할 수 있는 ‘Fringe Festival’에서 한국공연을 관람한 다국적 고객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6개국, 총 인원 568명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AMOS 7.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공연관객들의 ‘문화적 경험’이 고객의 재 구매 의사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고, 그 영향의 통계적 결과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공연예술시장의 고객의사결정 모형에서 문화적 경험효과를 찾아내 재조명하고, 또 이러한 문화적 경험효과의 영향력을 실체화 할 수 있게 되었다.

      • 미국 비영리 공연예술조직의 운영사례분석

        안지은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0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 scale, scope and social importance of American non-profit organizations have continued to expand. In particular, the number of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is steadily increasing every year. The value added that they contribute to the economy is also very high. However, most of the economically profitable organizations are for-profit organizations that host Broadway shows and pop singers' concerts, and the profits of non-profit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are decreasing every year. In addition, the non-profit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that runs classical genre as its main repertoire with limited audience are in financial trouble due to low ticket sales and attendance. Government subsidies and corporate donations are unstable and they depend on the regime change and economic situation follow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 proposal to abolish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NEA) and the National Endowment for Humanities(NEH), which have been discussed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current Trump administration, and the long temporary closure of concert halls due to COVID-19 are further aggravating this dire situation. Thes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are not the only threat to the survival of non-profit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They are failing to develop new audience because the existing aging program format cannot attract the younger generations and they are not properly using new digital technology to suit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institutions. In this paper, I present the research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U.S. non-profit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current situation, market limitations, and solu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analysi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on-profit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in the U.S. by type, I produce case studies on Carnegie Hall, Lincoln Center, Alvin Ailey, and the TriBeCa Performing Arts Center. I also explore the operational goals, operational entities, directions, and ways to improve profits of each organization. It is regrettable that public information on U.S. profit-making and non-profit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are limited. In light of these difficulties, I first approached the present performing arts world in the U.S. from a broad perspective. Second, I performed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ze data related to culture and arts, and then create a framework to analyze operational methods of non-profit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Third, I researched on the background, operations, and funding of the four organizations through case studies. Lastly, I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each organization and the operation plans based on interviews with each institution, available data, information on each organization’s website, research analysis, relevant interview articles, and agency promotional materials.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 performing arts market through case studies of four organizations and reaches the following six conclusions. First, transformation in operations in response to social needs. Non-profit arts organizations in the U.S. respond to the needs of society. In the past, the performing arts organization was operated for the enjoyment of the wealthy, but since the 20th century, their position has emerged as a center for solving social issues. Second, diversification of program development. In line with the tendency of the audience to change according to the times, the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diversified its program from classical music to jazz, folk, and popular music. They also use non-traditional performance venues and communicate with audiences around the world through digital service programs that are not limited by physical space. Third, maintencance of financial stability. Since the organizations cannot be maintained with only unstable government subsidies and classical art programs, they are trying to stabilize finance by developing new audiences through digital technology and fundraising campaigns. Fourth, development of digital programs.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has enabled many US non-profit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to develop digital marketing, digital database, and customer management systems. In addition, digital collaboration with other organizations enables more diverse types of content to be distributed to audiences around the world, thereby improving content revenue and reducing marketing costs. Fifth, development of digital programs. Organizations developing more active fundraising activities and programs to escape from the unstable subsidies of governments and businesses following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They are working to strengthen the team by hiring financial experts while focusing on increasing membership services and donations using a unified database and cooperating with other teams in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he active fundraising activities of the Boards of Directors who hav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ocial connections are positively impacting organizations’ financial management. Sixth, partnerships with local communities, schools, cultural institutions, artists,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Organizations can receive alternative financial support from companies or local communities. They also help realize and promote public interest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While the organizations covered in this paper canno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s of all non-profit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in the U.S., I want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n non-profit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by analyzing cases in the U.S.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other research that will continue under the same theme. 지난 수십 년에 걸쳐 미국 비영리조직의 규모, 범위 및 사회적 중요성 은 계속 확대되고 있다. 특히 공연예술조직의 수는 매해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들이 경제에 기여하는 부가 가치 또한 매우 높다. 하지만 경제 적 이익을 얻는 대부분의 조직은 브로드웨이 쇼나 대중가수의 콘서트 등 을 주최하는 영리조직이 주를 이루며 비영리 공연예술조직의 수익과 이윤 은 매해 감소하고 있다. 또한, 관객의 규모가 제한적인 클래식 장르를 주 레퍼토리로 사업을 하는 비영리 공연예술조직은 낮은 티켓 판매와 관객 수로 인해 재정적인 어려움에 처해 있다. 특히 정부 지원금과 기업 후원 금은 매 대선에 따른 정권교체와 경제 상황에 따라 불안정하며, 현 트럼 프 정부가 들어선 이후 계속 논의되는 미국 국립 예술기금(NEA)과 국립 인문기금(NEH) 폐지 제안, 더불어 COVID-19으로 인한 공연장들의 긴 임시 휴관 등은 그들의 경영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사회, 경제적 변화만이 비영리 공연예술조직의 생존을 위협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노화된 기존공연 프로그램 형식 유지와 새로운 디지 털 기술을 기관의 특성과 필요에 맞게 적절히 사용하지 못함은 관객개발 실패를 초래한 중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비영리 공연예술조직의 역사적 배경 및 특성에 관 한 연구, 현재 상황 및 시장의 한계, 그리고 문헌검토, 리서치 분석 등을 통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형에 따른 미국 비영리 공연예술조 직의 특성을 연구 분석하기 위해 대규모 비영리 문화예술기관인 카네기 홀, 링컨센터 그리고 앨빈 에일리와 같은 무용 단체 회사 및 중소 규모 저예산 정부 비영리 공연예술센터인 트라이베카 공연예술센터에 관한 사 례연구를 통해 각 조직의 운영목표, 운영 주체와 방향 및 수익향상방안에 관해서도 알아보았다. 본 논문을 위한 연구를 하며 미국의 영리, 비영리 공연예술조직들에 관 한 공공정보는 제한적이기에 이로 인한 부분적인 한계를 가졌으며 미국은 주 정부마다 문화예술정책이 다르므로 이러한 환경적 요소들에 대해 차별 적으로 접근해야 했지만 이러한 제한적 정보로 인해 주 정부적 정책의 차 별성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고려하여 저자는 첫째, 광범위한 관점에서 주제에 접 근하여 현 공연예술 정보를 기반으로 미국의 공연예술 세계는 어떻게 묘 사되고 있는지, 공연예술의 특성이 조직의 다른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미 칠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둘째, 문화예술과 관련된 데이터가 포함된 리 서치, 문헌검토를 시작으로 비영리 공연예술조직에 관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정보를 조사함으로써 이들의 선진적 운영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고 분석할 수 있는 틀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셋째, 케이스 스터디를 통 한 각 조직의 설립배경, 운영 주체와 방향, 그리고 대표적인 수익향상방안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그들의 운영형태 및 운영 방향의 변화나 조직의 재 원 조성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넷째, 각 기관과의 이메일을 통한 인터뷰 및 제공된 자료와 홈페이지 정보, 리서치 분석, 관련 인터뷰 기사, 기관의 홍보자료 등을 바탕으로 각 공연예술조직의 현황과 그들의 운영계획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4개 각 조직의 사례연구와 미국 내 보고서, 학술지, 문헌 연 구 등을 통한 미국의 공연예술 시장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이를 통해 미국 공연예술계의 6가지 특성에 관한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는 운영 방향의 변혁이다. 과거의 예술공연 조직은 부유층의 즐거움을 목적으로 운영되었지만, 20세기 이후부터는 이 들의 위치가 사회 이슈나 혁신의 해결 원천의 중심지로서 부각 되었으며 현재는 정치나 사회문제에 연관된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정치적 표현의 중심지로서 운영되고 있다. 이같이 미국 비영리 예술조직은 시대와 사회 의 요구에 따라 운영 방향과 경영 전략을 빠르게 대응하고 변화하는 자기 변혁적 특성이 있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의 다각화 방향이다. 시대에 따라 변하는 관객의 성 향에 맞추어 예술공연조직은 클래식 음악뿐만이 아닌 팝, 재즈, 민속 음악 및 대중음악까지 프로그램을 확대하였고 조직의 자체 예술 공연 프로그램 에만 제한되지 않고 학교 교육프로그램,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사회연계 프로그램 등으로 장르를 확장하였다. 또한, 공간의 다각화 측면인 비전통 적인 공연장소 및 공간 활용 전략적 운영과 물리적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는 디지털 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전 세계 관객과 교류한다. 셋째, 재정적 안정유지를 위한 노력이다. 불안정한 정부 보조금 및 고전 예술 프로그램으로만 조직이 유지될 수 없으므로 새로운 관객개발을 위해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프로그램 개발과 펀드레이징 캠페인을 통해 안정적 재정 유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넷째, 디지털 활용 프로그램 개발이다. 21세기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많 은 미국 비영리 공연예술조직이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마케팅, 데 이터베이스 구축, 고객 관리 시스템과 자체 플랫폼 강화와 같은 프로그램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기업과의 디지털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조 직의 미션 성취와 이 신기술을 통해 전 세계 관객에게 더욱 다양한 형태 의 콘텐츠 보급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콘텐츠 수익향상 및 마케 팅 비용 절감 효과 등을 누리고 있다. 다섯째, 펀드레이징 캠페인 프로그램 개발이다. 미국 비영리 예술조직들 은 정치와 경제변화에 따른 정부와 기업의 불안정한 보조금에서 탈피하고 자 그 어느 때보다도 적극적이고 활발한 펀드레이징 활동 및 프로그램 개 발에 힘쓰고 있다. 이를 위해 경험과 연륜이 있는 재정 관련 전문가를 고 용하여 Development팀 강화에 힘쓰는 한편, 조직 내 다른 팀과의 협력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기부자와 잠재고객 형성을 통한 회원 관리 및 기부금을 늘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전문적 지식과 사회적 커넥 션을 가진 이사회의 활발한 펀드레이징 활동과 조직경영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는 결과적으로 조직의 재정관리 및 신용등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므로 성공적인 이사회 설립은 펀드레이징과 매우 연관되어 있다. 여섯째, 지역사회, 학교 및 문화기관, 예술가, 정부 및 기업과의 파트너십 이다. 파트너십은 정부의 비영리조직에 대한 재정지원 감소에 대비한 재 정적 자구책 중 하나이기도 하지만 파트너십을 통해 기업 또는 지역사회 로부터의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동시에 교육적, 지역사회 지원의 중심지로서의 공공적 이익 실현과 전문 예술가와 양성 및 예술조직의 활 성화를 통해 전 세계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다뤄지는 조직들이 미국의 모든 비영리 공연예술조직의 특 성과 운영형태 등을 대표할 수는 없지만, 비영리 문화예술 조직의 운영이 발달된 미국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비영리 예술조직의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가 한국에서 앞으로 지속될 미국 비영리 공연예술조직에 대한 이해를 도우며 같은 주제로 지속될 연구 등 에 기여되기를 바란다.

      • 중국 공연예술에서 영상기술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중국 중앙방송국 CCTV의 <춘완(春晩)>을 중심으로

        윤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40

        Modern works of art are implemented in a fusion of a variety of different media and techniques of expression. Performing arts is the Comprehensive arts that are showing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and various media. Today's performing arts is being extended as art director and creative collaborative space with many artists’ space as well as the performers. The artist has tried their ways in different periods in order to overcome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in performing arts. With the repeated experiments and numerous attempts, today’s performing arts came to the situation that crosses time and space through the most advanced imaging technology. China has increased the interest and demand for performing arts and the requirement for the completion of the show since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cial culture after the reform and opening-up policy in 1978. The typical case is the 2008 Beijing Olympic Games opening ceremony. In that show, China produced performing content of the material of Chinese civilization and showed the most advanced imaging technology such as depicting the making of paper. However, the current research on the imaging technology in Chinese performing arts is insufficient, including Chin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imaging technology in Chinese performing arts. Spring Festival Gala is the symbol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mong many shows. In this paper, firstly, the process of imaging technology being introduced into the performing arts is described from the concept of total art to derive the meaning of image in performing arts. Secondly, this paper describes the methods of visual expression in the performing arts, including projection mapping, LED screen, and hologram performance. To investigate the use of imaging technology into China performing arts, this paper analyze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Chinese market in performing arts and imaging technology in performing arts in the view of cultural policy, and then explains the meaning and existence value of Spring Festival Gala in China through the history of Spring Festival Gala and the issues between Chinese cultural critics. The target of analyzing imaging technology focused on the Spring Festival Gala from 2013 to 2015. Spring Festival Gala has been composed of the average of 35 individual performances, every image cut of the performances is presented and analyzed the imaging technology in it. Check the performing atmosphere based on the analysis in section 2.2, through representative works, analyze the application form of specific imaging technologies utilized in the Spring Festival Gala. In conclusio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imaging technologies in the performing arts,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the coexistence of collaboration of imaging technologies continu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right form of the performing arts ,and suggesting the study seeks its way that need to be performed continuously. 현대의 예술작품은 다양한 표현기법과 다양한 매체와의 융합으로 구현된다. 그 중에서도 공연예술은 이 모든 것을 가장 잘 보여주는 종합예술이며 오늘날의 공연예술은 예술감독과 출연자의 공간일 뿐만 아니라 여러 예술가들과의 협력적인 창조 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다. 공연예술에서 시간과 공간에 대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부동한 시기에 부동한 예술가들이 각각의 방법으로 노력해왔다. 반복적인 실험과 수많은 시도를 거쳐서 오늘날의 공연예술은 최첨단 영상기술을 통해 시공간을 넘나드는 혁신적 상황에 이르렀다. 중국도 1978년 개혁개방정책 이후로 과학기술 및 사회문화의 발전으로 인해 공연예술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공연의 완성도에 대한 요구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2008년 베이징올림픽 개막식이며, 여기서 중국의 문명을 소재로 공연 콘텐츠를 제작하여 종이를 형상화한 두루마리 스크린과 지구를 형성화한 입체 스크린으로 펼치며 최첨단 영상기술을 선보인바 있다. 하지만 현재 중국을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중국 공연예술에서 영상기술의 활용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공연예술에서의 영상기술의 활용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했다. 중국의 많은 공연 중 매년 섣달 그믐날 마다 진행되는 중국의 전통적 문화기호인 CCTV의 <춘완>을 중심으로 한다. 먼저 이론적 고찰에서는 총체예술의 개념으로부터 출발하여 영상기술이 공연예술로 도입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공연예술에서의 영상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공연예술에서의 영상표현기법을 프로젝션 매핑, LED 스크린 모션그래픽, 홀로그램 퍼포먼스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중국 공연예술에서 영상기술의 활용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공연 영상기술의 분석에 앞서 문화정책과의 관련선상에서 중국 공연예술 시장과 중국 공연예술에서의 영상기술 활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춘완>의 발전사와 중국 문화비평가의 논쟁을 통해 <춘완>이 중국에서 갖는 의미와 존재가치를 부각시켰다. 영상기술 분석 대상으로는 2013년~2015년 사이에서 진행된 CCTV의 <춘완>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춘완>은 평균 35개의 개별적인 공연으로 이루어졌는데, 매 공연의 이미지 컷을 제시하고 해당 공연에서 사용한 영상기술에 대해 전반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2.2절에서 제시한 분석을 토대로 공연 분위기를 살펴보고 대표적인 작품을 통하여 <춘완>공연에서의 구체적인 영상기술 활용형태를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공연예술에서 영상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영상기술이 공연예술에서 올바른 형태로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려면 공연 콘텐츠와 퍼포머, 영상 사이의 협업과 공존의 관계를 이해하고 그 방법을 모색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 국공립공연장의 유아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한계은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39

        우리나라에서 국민의 문화예술향수를 위한 정책이 중요하게 자리 잡고있는 가운데 많은 공공문화시설들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다양한 계층을 위한 프로그램을 활발하게 운영하고자 노력할 뿐만 아니라 유아 · 어린이의 문화예술경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확대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등의 공공문화시설에서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사회적 요구에 따른 반영이자,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항구적인 관객기반형성 방안의 일환으로 유아 ·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에 비해 공연장에서 유아가 관객으로서 공연예술경험을 갖는 경우는 매우 취약하고, 유아의 공연관람은 어린이 프로그램 안에서 관람연령에 따라 참여여부가 달라지고있다. 공연장에서 유아프로그램은 장기적인 관객개발 측면에서 필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유아프로그램 제공의 미온적인 태도와 유아관객에 대한 인식 부족이라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하여 우리나라 공연장의 주류이며 공공성을 지닌 국공립공연장에서 유아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위한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2장의 연구는 유아관점에서 예술경험의 의미와 유아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국공립공연장의 유아관객의 인식과 유아프로그램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3장에서는 국내 국공립 공연장 사례의 유아프로그램 현황에서 공연장 측면과 유아프로그램 측면에서 문제점 분석해보았다. 4장의 연구에서는 유아공연관람의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분석 및 결과를 통해 유아공연관람의 수요층 형성과 잠재 수요층을 확인하였고, 5장에서는 해외사례의 유아프로그램의 현황 파악과 유아프로그램의 특징 및 활성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마지막 6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이 담긴 유아프로그램을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국내 국공립공연장에서의 유아프로그램은 해외 경우에 비해 체계성과 지속성이 떨어지는 것을 보완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 유아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방향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첫 번째로 국공립공연장에서 유아프로그램 확립을 위해서는 예술향유자로서, 관객개발의 기반형성에 유아를 포함하여 관객으로 인식해야하고, 유아프로그램 전문담당자를 두어 프로그램이 개발 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유아프로그램에 대한 기본적인 원칙이나 근거 배경을 설정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유아프로그램의 제공을 할 수 있는 내부적인 환경을 먼저 조성해야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유아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의 방향을 세워야한다. 유아의 진정한 예술향유를 위해서 유아의 특성을 인지하고 유아전문가의 조언을 참고하여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유아에게 단순한 공연관람 보다는 놀이의 요소를 혼합하여 경험을 통해서 유아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야 한다. 또한 유아의 정서적 발달이나 창의성발달에도 도움이 되는 교육적이면서 독창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한다. 이와 같이 유아프로그램의 개발은 예술향유 · 참여 · 교육적 측면의 균형을 이루어야한다. 유아프로그램 개발에 따른 운영 활성화를 위해서는 유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관람연령을 세분화한 유아프로그램을 지향해야하고, 유아 · 가족관객에게 국공립공연장의 유아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확립하고자 시기와 기간을 특화하여야한다. 또한 전속 · 상주 · 지역 예술단체의 상호협력관계를 통한 유아프로그램을 제공해야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제안을 통해 국공립공연장은 유아와 가족관객에게 공연문화화를 가까이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고, 관객기반의 밑거름이 되는 유아관객의 확대를 위해 유아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를 기대한다. 더불어 국공립공연장이 유아 · 가족 관객층에게 지속적인 유아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친화적인 공공문화시설로 다가설 수 있게 본 연구가 미약하게나마 일조 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olicy for the citizen to possess the enjoyment of culture and arts has been a major issue in Korea, and the interest has been focused in public cultural facilities. An effort to operate the programs for various age groups has not only been given, but also the essentiality of the arts experience for young children and youth has been recognized. The movement for the program development and expansion has obviously been shown up in public cultural facilities such as museum, gallery, library, and so on. This is a reflection of social demand. Therefore, a scheme for the formation of audience, including young children and youth, is required to maintain the business operation of the culture and art industry. In spite of this atmosphere, it is rare to have programs that enrich young children's arts experience, and young children's attendance in youth program is even determined by the age rating of the performance. Although the program for young children in performing theater is an important part on the side for long-term audience development, a lukewarm reception for providing young children program and the lack of recognition of young children audience still remain as the problems. Based on above facts, the research of the activation plan for the young children program in the public performing arts centers, which is the mainstream arts centers in Korea, commenc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Chapter 2 states the significance of art experience on young children,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he young children program and the recognition of young audience in the public performing arts centers. The facts are formulated through the abstract study in the essentiality of young children program. In Chapter 3, the problems a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art centers and young children program in view of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public performing arts centers. In Chapter 4, it summarizes the result of the survey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young children performance in theaters,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demand of the young children performance has already been built up. Chapter 5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uccess factors of activation plan for the young children program. At last, Chapter 6 proposes the activation plan of young children program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To prevent the decline of systematization and durability in comparison to the overseas case and to activate the young children program of national and public theaters, it is necessary for the young children program to be developed and to have the operating direction. First of all, in order to establish the young children program in the public performing arts centers young children must be regarded as art possessors and as audience by recognizing and confirming the foundation purpose. Providing the environment and condition to develop the program, it is necessary to assign professional people to be in charge. Most important of all, setting up the internal environment is vital to keep the program systemic and durable by enacting the principle, basis, and background about the program properly. Secondly, it is necessary to have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young children program. In order to provide a real art exposure to young children, acknowledg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and referring to the professionals’ advice are needed. It is better to combine the interesting elements with performance to lead to voluntary participation rather than having a simple performance. Also, it is useful to create educational and creative program to help young children for emotional growth and increase their creativity. As such, these young children program developments should be balanced in terms of art exposure, participation and educational purpose. To activate the operation to develope the young children program, it is better to have a separate program for each sub-divided age in consideration of young children's characteristic.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young children program to let the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y to recognize with cooperation between a major and local arts company. It is the public performing art centers' role to lead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y to watch the performance with positive attitude. Through the proposal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y can easily approach to the performance culture in the public performing arts centers by setting the suitable environment. It is also expected that by activating the young children program, we can encourage art exposure to young children as th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ir life. Moreover, the young children must be regarded as the current audience and the potential audience. It is wished this study would be little helpful to which the public performing arts centers would friendly step forward to the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