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xploring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the Philippines through the Lens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신티아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2017 국내박사

        RANK : 4959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the Philippines has undertaken a process of self-renewal in the light of various challeng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with the goal of producing high-qualit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s key agents of national progress vital for nation building. However, despite effort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the fact remains that there is still a gap as evident by the result of the Licensure Examination for Teachers (LET). The challenge is how to produce high-qualit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quipped with a wide range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methodological skills to pass the LET.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the Philippines through cultural historical and activity theory (CHAT). Specifically, this paper aim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are the main features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the Philippin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2) What is the context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the Philippines at present. This study addresses how the use of CHAT as a theoretical framework can help improve the qualit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the Philippines. It is because the main concern now does not only lie in how science educators and policy makers address the contemporary issues related to pre-service science teacher preparation, learning and policy but also necessitates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of CHAT elements that exist in the activity systems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that mediates their preparation. The use of CHAT provided a graphical representation to understand those relationships that are usually underrepresented in many science teacher educational researches particularly in the Philippines. Also, the use of CHAT aids in understanding the cultural-historic constraints faced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uring their preparation as they geared up to pass the LET and attain quality. This study is descriptive in nature and to be able to answer the identified questions, the mixed-methods approach was utilized. The quantitative data were gather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nd the qualitative data were gathered from the in-depth written interviews. To further achieve the objectives identified, CHAT was utilized as an analytical tool. The participating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selected based on two qualifications: 1) those involved in the preparation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2) those offering Bachelor of Secondary Education (BSED) and Bachelor of Elementary Education (BEED) major in science. Sixteen educational institutions satisfied the two qualifications and gave their 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se include one local university, five state colleges and universities, four private sectarian universities, one private non-sectarian college, two private non-sectarian universities, two public science high schools, and one city school division. All these institutions are located in some parts of Luzon, Visayas and Mindanao. A total of 235 participants consented to be involved in this study. They are 171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are enrolled in a BSED and BEED major in science, 35 in-service science teachers who are teaching basic science and are involved in mentor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22 professors and 7 administrators who are teach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are involved in the supervision and management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21 professors and administrators answered the in-depth written interviews. Aside from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the researcher also made use of secondary data available from teacher education literatures and documents from the Commission on Higher Education (CHED) and Professional Regulation Commission (PRC) in the Philippines. Data obtained from these documents and literatures were graphically depicted using the Engstrom triangle and were verified through a survey questionnaire. Internal reliability test using Cronbach Alpha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internal reliability of the survey questionnaire. All elements with a reliability coefficient above 0.7 were considered for this study and elements with a reliability coefficient below 0.5 were discarded as not accep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resulted in a 101- item questionnaire (excluding the 10-background information) from the original 146-item.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it has undergone face validation by three science educators who are experts in pedagogy, research and instrumentation. The survey contains questions that allow respondents to express their opinion across the 6 CHAT elements (tools, object, division of labor, community, rules and outcome) using a 5-point Likert scale, 1 as the lowest and 5 as the highest. This study was granted approval to conduct a survey questionnaire and in-depth written interview without the informed consent coming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since neither personal information nor email addresses are elicited in this study. In-depth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some information from the experts provided in the survey questionnaire. The analysis of data included several stages. The first stage was concerned with the analysis of the key features of the past and present activity systems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the Philippines through the lens of CHAT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help improve the qualit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the Philippines. The second stage dealt with the statistical treatment of data us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mean was computed for determining the opinion of respondents on the context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at present. Standard deviation was used to measure the homogeneity or heterogeneity of responses for each item. Lastly, the third stage involve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experts’ views on the goals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factors that constrain or afford possibilities for attaining quality, and the policies that must be strengthened or weakened to achieve the goals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Research question number 1 on the main features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the Philippin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reveals its main features to include the cultural and historical processes that shaped the preparation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search question number 2 on the context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the Philippines at present includes the resources used, the object of pre-service and science teacher education,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he roles played by the participants, the rules that govern the activity and the outcome of the activity system. It was found out that both the context and the main features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are constrained by the cultural and historical factors embedded within the activity systems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The historical factors come in the form of socio-cultural practices, conditions of science teaching as a profession, science teaching practices and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country. The historical aspect brought by the participants to the activity system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affects the culture that shapes the community. The cultural and historical factors that constrained the activity systems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are known as contradiction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contradictions that emerged in this study may provide an avenue to reinvigorate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the Philippines through the lens of CHAT bringing a new concept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 preparation to attain science teachers’ quality, and may use it for educational practice. This results in a historically new form of social activity which emerges when constraints are resolved. This may help solve the issue of teacher quality in the Philippines and worldwide. However, if the contradictions arising within the activity system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remain unconsciously ignored, this activity system may continue to operate in a kind of unstable equilibrium. Thus, may continuously reproduce low-qualit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sults may encourage policy makers to look at the root cause of low quality pre-service science teacher as catalysts for changing the notion of quality; and hence, to translate these concepts into policies that are meaningful and attainable, inclusiv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needs and interests. Furthermore, results may provide science educators, administrators and policy makers in the Philippines with the impetus to unite and collaborate towards a common goal of attaining optimum quality. CHAT as an analytical tool is strongly recommended to be used by academic researchers, policy-mak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as an integral part of improving, if not overhauling the qualit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Furthermor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academic undertaking might help fill the gap on what constitutes a quality pre-service science teacher in the Philippines. This also indicates a quest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quality and production of highly qualified science teachers to sustain the needs of its local population and of the global community. There is indeed a common reason for the deep-rooted problems or constraints in the preparation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gardless of country or contex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nduct an in- depth review of the science teacher education across countries. This is imperative in the context of a borderless and globalized education. 필리핀의 과학 교사 교육은 국가 건설에 필수적인 국가 진보의 주요 요원으로 양질의 예비 과학 교사를 양성한다는 목표하에 과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도전에 비추어 자기 갱신 과정을 수행했다. 그러나 과학 교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사 자격 시험 (LET)의 결과로 분명히 나타난 바와 같이 여전히 차이가 남아 있다. 문제는 LET를 통과하기 위한 광범위한 이론 지식과 방법론적 기술을 갖춘 고품질의 예비 서비스 과학 교사를 만드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역사 및 활동 이론 (CHAT)을 통해 필리핀의 과학 교사 교육을 탐구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고자한다. 1) 과거부터 현재까지 필리핀의 과학 교사 교육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 2) 현재 필리핀의 과학 교사 교육의 맥락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CHAT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는 것이 필리핀에서 예비 과학 과학 교사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다룬다. 주요 우려 사항은 이제 과학 교육자와 정책 입안자가 예비 과학 교사의 준비, 학습 및 정책과 관련된 현안을 어떻게 다루는가에 달려있을 뿐만 아니라 활동에 존재하는 채팅 요소의 관계를 분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들의 준비를 중재하는 과학 교사 교육 시스템. 채팅의 사용은 특히 필리핀에서 많은 과학 교사 교육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미미한 관계를 이해할 수있는 그래픽 표현을 제공했다. 또한 CHAT의 사용은 예비 과학 과학 교사들이 준비 과정에서 직면한 문화 - 역사적 제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연구는 본질적으로 설명적이며 식별된 질문에 대답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혼합 방법 접근법이 활용되었습니다. 정량적 데이터는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정성적 데이터는 심층 서면 인터뷰에서 수집되었다. 확인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CHAT는 분석 도구로 활용되었습니다. 참여 교육 기관은 다음 두 가지 자격에 따라 선정되었다. 1) 예비 봉사 과학 교사 준비에 참여한 자 2) 과학 분야에서 중등 교육 학사 (BSED) 및 초등 교육 학사 (BEED)를 제공하는 학생. 16 개 교육 기관이 이 두 가지 자격 요건을 충족시키고 연구 참여에 동의했다. 여기에는 지역 대학 1 개, 주립 대학 5 개, 사립 종파 대학 4 개, 비 종파 대학 1 개, 비 종파 대학 2 개, 공립 과학 고등학교 2 개, 도시 학교 1 개가 포함됩니다. 이 기관들은 모두 루존, 비사 야스 및 민다나오의 일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총 235 명의 참가자가이 연구에 참여하는 데 동의했다. 그들은 BSED에 등록 된 171 명의 예비 서비스 과학 교사들과 과학 분야의 전공자들 35 명, 기초 과학을 가르치는 35 명의 현직 과학 교사들, 예비 봉사 과학 교사, 22 명의 교수 및 7 명의 관리자들 예비 봉사 과학 교사이며 과학 교사 교육 기관의 감독과 관리에 관여하고있다. 21 명의 교수와 행정가가 심층적인 서면 인터뷰에 답변했다. 설문 조사 및 인터뷰와는 별도로, 연구원은 또한 필리핀의 고등 교육위원회(CHED) 및 전문 규제위원회(PRC)의 교사 교육 자료 및 문서에서 제공되는 보조 데이터를 활용했다. 이 문서들과 문헌들로부터 얻은 데이터는 Engstrom 삼각형을 사용하여 그래픽으로 묘사되었고 조사 설문지를 통해 확인되었다. 설문지의 내부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Alpha를 사용한 내부 신뢰도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신뢰성 계수가 0.7 이상인 모든 요소는 본 연구에서 고려되었으며, 0.5 미만의 신뢰도 계수를 갖는 요소는 본 연구의 목적 상 허용되지 않는 것으로 폐기되었다. 그 결과 원래 146 항목에서 101 항목 설문지(10 배경 정보 제외)가 되었다. 설문지의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교수법, 연구 및 계측의 전문가인 3 명의 과학 교사가 Face validation. 설문 조사에는 응답자가 5 점 Likert 척도 (최저점은 1 점, 최상위점은 5 점)를 사용하여 6 개의 CHAT 요소 (도구, 대상, 노동부, 지역 사회, 규칙 및 결과)에 대한 의견을 표명 할 수있는 질문이 포함되어 있다. 이 연구 설문지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을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사전 동의없이 실시하도록 승인되었다. 조사 설문지에 제공된 전문가의 일부 정보를 명확히하기 위해 심층 서면 인터뷰가 수행되었다. 데이터 분석에는 여러 단계가 포함되었습니다. 첫 번째 단계는 필리핀의 과학 선생님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울 수있는 이론적 틀로서 CHAT 렌즈를 통해 필리핀 과학 교사 교육의 과거와 현재 활동 시스템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두 번째 단계는 평균 및 표준 편차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통계 처리를 처리했다. 평균은 과학 교사 교육의 맥락에서 응답자의 의견을 결정하기 위해 계산되었다. 표준 편차는 각 항목에 대한 반응의 동질성 또는 이질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단계는 과학 교사 교육의 목표, 과학 교사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강화되거나 약화되어야하는 정책, 품질 달성 가능성을 제약하거나 여지가있는 요인에 대한 전문가의 견해에 대한 질적 분석이 포함되었다. 필리핀에서의 과학 교사 교육의 주요 특징에 관한 연구 질문 1 번은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예비 서비스 과학 교사의 준비를 형성하는 문화적, 역사적 과정을 포함하는 주요 특징을 보여준다. 현재 필리핀의 과학 교사 교육에 관한 연구 문제 번호 2는 사용된 자원, 예비 봉사 및 과학 교사 교육의 대상, 지역 사회 구성원, 참가자가 수행하는 역할, 활동 및 활동 시스템의 결과, 과학 교사 교육의 맥락과 주요 특징은 과학 교사 교육의 활동 시스템에 포함 된 문화적, 역사적 요소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역사적 요인은 사회 문화적 관행, 직업으로서의 과학 교습 조건, 과학 교육 관행 및 국가의 사회 경제적 지위의 형태로 나타난다. 참가자가 과학 교사 교육의 활동 시스템에 가져온 역사적인 측면은 지역 사회를 형성하는 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과학 교사 교육의 활동 시스템을 제약 한 문화적 및 역사적 요인을 모순이라고합니다. 이 연구는 이 연구에서 나타난 모순들이 CHAT 렌즈를 통해 필리핀의 과학 교사 교육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있는 통로를 제공하여 과학 교사의 질을 달성하기위한 예비 서비스 과학 교사 준비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교육 관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고 결론 지었다. 이것은 제약이 해결 될 때 나타나는 사회 활동의 역사적으로 새로운 형태를 낳는다. 이것은 필리핀과 전세계에서 교사의 질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과학 교사 교육 활동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모순이 무의식적으로 무시된다면 이 활동 시스템은 일종의 불안정한 균형 상태로 계속 운영 될 수 있다. 이것은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의 예비 봉사 과학 교사를 재현할 수 있습니다. 결과는 정책 입안자들이 질의 개념을 바꾸기 위한 촉매제로서 낮은 수준의 예비 봉사 과학 선생님의 근본 원인을 바라 보도록 장려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념을 의미있는 성취가 가능한 정책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예비 봉사 과학 교사의 필요와 관심을 포함한다. 또한, 결과는 필리핀의 과학 교육자, 관리자 및 정책 입안자에게 최적의 품질을 달성한다는 공통의 목표를 향해 연합하고 공동 작업 할 수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분석 도구로서의 CHAT은 예비 서비스 과학 교사 교육의 질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학계 연구자, 정책 입안자 및 학교 행정가가 개선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사용할 것을 강력히 권장한다. 또한, 이 학문 사업에서 파생 된 함의는 필리핀의 우수한 예비 서비스 과학 선생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지역 사회 주민들의 요구와 지역 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예비 봉사 과학 선생님의 질과 우수한 과학 교사의 양성을 위한 모색을 나타낸다. 실제로 국가나 상황에 관계없이 예비 봉사 과학 교사를 준비하는 데 뿌리깊은 문제나 제약이있는 공통된 이유가 있기 때문에 각국의 과학 교사 교육에 대한 심층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것은 국경없는 세계화 교육의 맥락에서 필수적이다. 키워드 : 문화 역사 활동 이론 (채팅), 예비 서비스 과학 교사, 교육 인증서, 제약, 과학 교사 교육

      • From genocide to development : a study on collective learning process of Gasi-ri village, Jeju, Korea

        고혁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4924

        Through the case study of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Gasi-ri village, this research examines the process of and motivation for collective learning in community development. Although the village was burned to the ground and more than 300 people were branded as communists and massacred by the government in 1948, the village was successfully reconstructed and received “The Best New Village Award” in the 1970s. In order to analyze the historical singularity of Gasi-ri village in the perspective of learning, this study introduces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as a conceptual framework. By conceptualizing humans’ object-oriented behaviors as an act of learning, CHAT enables us to capture everyday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learning. In this regard, the villagers’ interaction which occurred in the process of village reconstruction is analyzed as a collective learning system that continues to create expansive activities. Meanwhile, the central pillar of the village’s historical singularity is the memory of genocide caused by the Jeju 4.3 Incident.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ocidal experience and village reconstruction has been raised as a crucial factor during the data collection process,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of the village based on the collective memory theory, which deals with memory and identity at the group level. With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the researcher conducts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village reconstruction of Gasi-ri can be seen as a collective learning process. The first stage of group learning occurs when a group member shares a common objective from their inner necessity. In the case of Gasi-ri, the discovery of economic crops which are suitable to cultivate in the village served as a momentum of common objective sharing, and the crops were identified by the “Gasi-ri 1.5th generation,” who mainly led all of the rebuilding activities since the early 1950s. The 1.5th generation was a few educated people who survived the genocide by virtue of their young age and they played a central role in rebuilding the village with their distinctive responsibilities. By introducing modern economic food processing techniques such as those for making sliced potato and dried slice radish, they made it possible for the villagers to set the common objective of increasing income through the mass production of economic crops. Since then, the villagers began to forge a collective learning system under a common objective. In order to realize effective mass production, they divided production, distribution, and parenting tasks according to their roles in the village. In addition, they established several sub-organizations such as the Youth Association, Men and Women’s Association, and Agricultural Cooperative to systematically implement each role, while the village’s general assembly decided on the ground rules of co-production and co-sale to respond to external commodity price fluctuations. Through this interaction process, the villagers not only learned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increasing income, but also established a collective learning system that enabled them to improve their circumstances. Once the system was established, it contributed to establishment of new future objectives, not to mention the overcoming of immediate difficulties. In the early 1970s, for instance, the villagers determined to pave new mountainous road for improving the distribution of goods despite the fact that they had already achieved considerable improvement in terms of income and standard of living. In this determination, the group’s enhanced ability to learn caused by the establishment of collective learning system was heavily affected. As a result of sustained collective learning activities, the community of Gasi-ri village achieved economic prosperity. Furthermore, by being recognized by the state, they could recover their self-esteem, which was severely damaged following the 4.3 Incident. Secondly, the genocidal memory of the Jeju 4.3 Incident heavily influenced the motivation of collective learning in the village. During the field study and in-depth interview processes, the researcher found that most of the villagers had an ambivalent attitude about the 4.3 incident. 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contradiction caused by the recognition gap between the past-self and the present-self. Specifically, the villagers’ past-selves are represented by fear and chagrin. On the other hand, their present-selves are signified by the regretful remembrance of their ignorance. Among these, the latter is directly linked to the motivation of village reconstruction. Since the villagers recognized that their ignorance had caused the genocide in the village, they felt that being freed from the fetters of ignorance was the only way to prevent future tragedies. The researcher’s analysis suggests that the external (or environmental) context, which suppressed the memory of genocide, and the internal context, which endeavored to protect the unity of the community, were simultaneously affected in the process of recognition. As the decades-long military dictatorship had created an oppressive atmosphere in the village, the villagers could not mention anything about the genocide and state violence. Nevertheless, the survivors could not be thoroughly frustrated; they distorted their memories of genocide by transforming them from “resentment against the state” to “blaming themselves for being ignorant.” It was the only constructive alternative to maintaining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situation of extreme poverty and social disgrace. Additionally, the memory of conflict and enmity between the villagers, especially the tragedy of fratricidal experiences, has become a tacit taboo in the village. Therefore, the distortion of collective memory was not only an internally attributed response to social oppression, but also self-censoring to protect the solidarity of the community. Namely, it is found that the community tried to sublimate their tragic experience into a new driving force for the village reconstruction. The newly formed collective memory caused the formation of a new collective identity characterized by diligence and austerity, responsibility, and the desire to learn. It was a catalyst to facilitate the learning activities in the village. The researcher conceptualizes the process as a collective learning mechanism in the following manner: contradiction recognition, collective memory formation, collective identity form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ctivity system. This process seems to be not linear but cyclical. Meanwhile, not all contradictory recognition is connected to a new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and identity. For a successful collective learning progress, it is necessary for group members to share recognition of the common objective. In addition, a contributory factor such as a successful experience is helpful for the recognition-sharing process. In the case of Gasi-ri village, the 1.5th generation, who had a different identity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and other villagers, they could share their collective memory by being encouraged by the success of economic crop mass-cultivation in the early 1960s. Consequently, Gasi-ri village reconstruction was a collective learning process which followed the procedures of setting a common objective, deciding on rules and the division of labor, and acting collectively under a common objective. In this process, the villagers’ contradictory perception of the Jeju 4.3 Incident worked as a fundamental motivation by forming a new collective memory which blamed the villagers’ ignorance to facilitate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collective learning system, the villagers continuously learned and extended their objective, thereby resulting in the villagers’ economic prosperity and psychological recovery.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mplies that we nee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historical factors of each community when it comes to implementing a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development studies, it offers the significant possibility for researchers to explain the development process with the integrated concept of learning rather than the existing traditional tendency in development studies, which considers education and learning simply as an instrumental factor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process. 이 연구는 제주 가시리 마을의 재건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주민 주도형 지역사회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집단 학습의 양상과 성과, 학습이 발생하게 된 동인을 탐구한다. 연구 지역인 제주 가시리는 1948년 제주 4.3사건으로 인해 마을 전체가 전소되고 300여 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20여 년 만에 자체적으로 마을을 재건하여 1970년대 국가로부터 최고 새마을 칭호를 받은 특징적인 역사를 지니고 있다. 연구자는 가시리 마을의 역사적 특이성을 학습의 관점에서 면밀히 분석하기 위하여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개념틀로 도입하였다.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은 개인과 집단의 목표 지향적 행위를 학습의 과정으로 개념화함으로써 일상의 활동들을 학습의 맥락에서 포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재건 과정에서 발생했던 주민들의 상호작용과 역동들은 지속적인 활동을 창출하는 집단학습의 과정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가시리 마을 역사의 특이성을 구성하는 또 다른 중요한 축은 제주 4.3사건 즉, ‘집단 학살의 기억’이다. 자료 수집의 과정에서 집단학살의 경험과 마을 재건의 연관성이 중대한 탐구요소로 제기된 바, 연구자는 집단의 기억과 정체성의 문제를 다루는 집합기억이론을 토대로 마을 재건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심층면담 및 참여관찰, 문헌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가시리 마을의 재건 과정은 마을 공동체가 지속적으로 목표를 확장하며 의미를 산출해 나가는 집단학습의 과정으로 분석된다. 일차적으로 집단 내에서 학습활동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집단적 필요에 의해 구성원이 공유할 수 있는 공통의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가시리의 경우 1960년대 초 마을의 토양과 기후에 적합한 경제작물의 발견이 목표 설정의 계기가 되었다. 경제작물 발견의 주체는 4.3사건 직후 야학 설립에서부터 70년대 초 도로확장에 이르기까지 마을 재건활동의 전반을 주도했던 ‘가시리 4.3 1.5세대’였다. 이들은 4.3의 참상을 직접 목격하였으면서도, 15세 미만의 어린 나이 덕분에 생존할 수 있었던 마을 내 소수의 교육받은 인재들이었다. 이들은 ‘마을을 재건해야 한다.’는 특유의 책임감으로 재건 활동의 촉진자 역할을 담당했다. 이들은 농업기술원으로부터 ‘절간 고구마(주정원료)’, ‘무말랭이’ 등 경제작물 가공기술을 도입, 마을 내에 소개함으로써 마을 공동체에 ‘경제작물 대량생산을 통한 소득 증대’라는 공통의 목표 형성을 가능케 했다. 이러한 공통 목표 아래 가시리 마을 공동체는 집단학습체제를 구축하기 시작한다. 효율적인 생산과 유통을 실현하기 위한 ‘생산 - 유통 - 육아’의 분업구조를 마련하는 한편, 각자에게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청년회, 부녀회, 협동조합 등의 세부 실천조직이 마련되었다. 마을 총회를 위시한 공동체 내 이러한 조직들은 여러 차례의 토론 과정을 거쳐 “공동생산, 공동유통을 통해 상품 가격 변동에 대비하는 동시에 마을 전체의 소득을 증대시킨다.”는 내부규칙을 정했다. 이러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과정 속에서 마을 주민들은 소득향상을 위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했을 뿐 아니라, 지속적인 현실 개선을 가능케 하는 학습체제를 구축할 수 있었다. 일단 구축된 집단학습체제는 눈앞에 주어진 난관의 해결뿐 아니라, 미래의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1970년대 초 이미 상당부분 소득 증대를 이루었음에도 마을 주민 전체가 상품유통 개선을 위한 산간도로 확포장을 추가적으로 결의하게 된 배경에는 학습체제 구축으로 인한 집단의 학습능력의 증대라는 요인이 작용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4.3으로 폐허가 된 땅을 일구어 집단적 학습체제를 20년 이상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학습한 결과, 가시리 공동체는 소득 증대라는 경제적 목표를 성취했을 뿐 아니라, 국가의 인정을 받아 4.3으로 인해 심각하게 손상되었던 심리적 자존감 또한 회복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가시리 마을에서 집단학습이 발생하게 되는 과정에 4.3이라는 집단학살의 기억이 하나의 계기로써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연구자는 증언 수집 과정에서 대다수의 주민들이 과거의 자아와 현실의 자아의 괴리에서 발생하는 4.3에 대한 이중적 인식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유 없이 가족들이 죽임을 당해야만 했던 원통함’, ‘그로 인한 군경과 빨치산에 대한 분노’ 등이 과거의 자아를 대변한다면, ‘이 모든 것이 자신들의 무지로 인한 것이었다는 후회’가 현실의 자아를 대변하고 있었다. 이 중 후자의 서사구조가 마을 재건의 명분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4.3의 비극이 주민들의 ‘무지’로 인한 것이라면, 무지로부터 벗어나는 것이야말로 미래에 있을지 모르는 비극을 방지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 되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인식에 이르게 된 과정에 학살의 기억을 억압하려는 환경적 맥락과 공동체의 결속을 유지하려는 주민집단의 내부적 맥락이 동시에 작용한 것으로 분석한다. 4.3사건 발생 이후 수십년 간 계속된 군사독재정권은 가시리 주민들로 하여금 집단적 추모 행위는 물론 집단 학살과 국가 폭력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할 수 없도록 억압적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거대한 억압적 환경 속에서 생존자들은 자신들의 부모 세대처럼 철저하게 좌절당할 수만은 없었다. 그래서 이들은 4.3에 대한 자신들의 기억을 ‘국가에 대한 원망’으로부터 ‘무지에의 자책’으로 왜곡하였다. 극도의 빈곤과 ‘폭도 마을’이라는 불명예 속에서 이러한 집단 기억의 왜곡은 마을 공동체 유지를 위한 유일한 건설적인 대안이었다. 더불어 4.3사건 당시 마을 내에서 서로 갈등하고 반목했던 기억들, 경찰과 주민, 주민과 주민 간에 서로 죽고 죽여야만 했던 참담한 기억들은 마을 주민들 사이에서도 절대로 발설해선 안되는 암묵적 금기였다. 따라서 집단 기억의 왜곡은 사회적 탄압에 대응하기 위한 내부 귀인의 과정이자, 공동체의 유지를 위한 자기 검열 과정이었던 것이다. 여기에는 참상의 기억을 마을 재건을 위한 새로운 동력으로 삼으려는 마을 공동체의 의도가 강력하게 반영되어 있다. 4.3에 대한 변화된 인식은 근면과 내핍, 책임감, 배움에의 열망 등의 특성을 지닌 새로운 집단 정체성의 형성을 가져왔고, 이는 재건을 위한 학습활동을 촉진시키는 기폭제가 되었다. 연구자는 새로운 집단 기억의 형성이 학습활동을 촉진시키기까지의 과정을 ‘모순 인식 -《인식의 공유 - 집단 기억 형성(이중화) - 집단 정체성 형성》- 활동체제 구축’으로 개념화한다. 모순을 인식함에서부터 새로운 집단 기억이 등장하여 집단 정체성으로 형성되는 내부 과정은 단선적이기보다는 순환적이다. 한편 모순적 상황에 대한 인식이 모두 새로운 집단 정체성의 형성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 과정에는 새로운 집단 기억을 확산시키려는 의도에 공감하는 많은 구성원들의 인식 공유가 필요하며, 인식 공유에는 성공경험과 같은 일종의 유인 기제가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가시리의 경우 이전 세대와 다른 새로운 집단 기억을 가진 ‘가시리 4.3 1.5세대’가 경제작물의 도입에 성공함으로써 인식공유를 이루고 새로운 집단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요컨대, 가시리의 경우 4.3에 대한 모순적 인식이 ‘무지’를 자책하는 새로운 집단 기억을 형성함으로써, 마을 재건 참여의 동인으로써 작용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마을 재건의 과정은 집단의 구성원들이 토론을 통해 공통된 목표를 설정하고, 그러한 목표 아래 규칙과 세부 조직 분업관계를 설정하여 추진하는 집단적 학습의 과정이었다. 이러한 집단학습체제의 구축으로 마을 주민들은 지속적으로 자신들의 목표를 확장해 나가며 학습함으로써, 경제적 성취뿐 아니라 잃었던 마을 공동체의 자존 또한 회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지역사회개발에 있어 지역 공동체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함을 다시 한 번 시사하는 한편, 학습이 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한 수단이라는 도구적 개념을 넘어 개발 과정 전반을 설명할 수 있는 통합적 개념틀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 일터에서의 성과향상 활동 참여를 통한 협력과 학습에 관한 문화역사적 분석 : 정보통신 A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4923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was to analyz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ctivities from the cultur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a sample company's performance improvement activity system in detail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ctivities and examine the patterns of cooperation and learning through interactions or participation i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ctivities at the workplace. To this end, this study set up the study points; in what procedures and formats would the corporate performance improvement activity system be operated? How would the interactions and learning unde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ctivity system proceed? Thus, this study sampled 'Genius-program' being operated by team 'B' of 'A' company and thereby, conducted in-depth interview, FGI, data research, informal dialogue and complementary participatory observation for 6 months. In order to mak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more specific, they were substituted into the procedures of the ISPI model of HPT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and thereby, outputs and developments of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ctivities were classified. Besides, the patterns of the dynamic interactions of the activity system based on the contexts of the organiz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framework of Engeström(2001)’s 3rd-generation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 company's performance improvement activities were generated and expanded through 4 stages: 'beginning period' - 'formative period' - 'developing period' - 'stabilizing period.' First, during 'the beginning period,'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ctivities were originated within the organization in the process of its response to the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but they were characterized by a collective introspection on the invisible discords and contradictions. Such collective introspection operated as a motive for an organized change and innovation to provide for an opportunity to form a strong goal of the activity system. Secondly, during 'the formative period,' the activities to achieve the suggested goals of the organization were formed specifically. Namely, the goals of the performance were specified by the implementing organization or the subjects of activities, while collective activity systems were constructed to match the goals. At this stage, a single activity system was branched out into diverse activity systems: subjects' production activity system, tool production activity system, rulesr production activity system, division of labor formation activity system, etc. Thirdly, during 'the developing period,'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ctivities began to be activated and implemented on a full scale, while the dynamics of the activity systems were expressed, and diverse interactions occurred inside and outside of the activity systems. Such an interaction process provided for a momentum to reveal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inside and outside of the systems. Especially at this stage, interactions between adjacent activity systems were very vigorous; more than 2 activity systems formed a network relation to turn expansively to new second or third objects (goals) or showed some limits. In particular, just before the expansion, the existence of the management played a great role, which would prove the powerful influence of the management. Fourthly, during the stabilizing period,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ctivity system would turn again into the ordinary one of the organization or expand toward the peripheral areas, or spread to other activities, being linked to or integrated into customs, institutions, systems or working procedures of the organization. The special environment or the enterprise requires its members to make performances on a continual basis through changes and innovations. Accordingly, as a performance improvement system expands, the process of being internalized in the organization becomes important. Such internalization would become another groundwork forming a cultural historical context of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ctivity system for the organization, while encouraging its members to achieve through cooperation or learn through introspection in their participation and practice at the workplace. 본 연구는 기업의 성과향상 활동에 대한 문화역사적 분석을 실시한 질적 사례연구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성과향상 활동체계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성과향상 활동의 전개 과정을 파악하고, 성과향상 활동에 참여하고 실천하는 상호작용의 과정을 통해 일터에서의 협력과 학습의 양상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기업의 성과향상 활동체계는 어떤 절차와 형태로 나타나는지, 성과향상 활동체계의 상호작용과 학습의 양상은 어떠한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자는 국내정보통신 A사의 B팀 주도로 실시한 ‛Genius-프로그램’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6개월간의 심층면담, FGI, 문서자료 수집, 비공식적 대화, 보완적 참여관찰을 통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구체화하기 위해 ISPI 수행공학(Human performance Technology, HPT) 모형의 절차에 대입하여 성과향상 활동의 발생 및 전개 과정을 분류하였으며, 조직의 맥락에 기반한 활동체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의 양상은 Engeström(2001)의 제 3세대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분석틀에 입각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사의 성과향상 활동은 ‘태동기’- ‘형성기’- ‘전개기’- ‘안정화기’의 4단계를 거쳐 발생하고 확장되어 가는 것으로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첫째, ‘태동기’에는 외부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조직내에 내재되어 있었으나 구체성을 띈 실체로 드러나지 않고 있던 기존의 불협화음들과 모순에 대한 집단적 성찰이 이루어졌다. 이는 조직적인 변화와 혁신의 동기로 작용하면서 활동체계의 강력한 목표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형성기’는 제시된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들이 구체적인 모습으로 구성되어지는 단계였다. 활동의 주체가 되는 실행조직에 의해 성과 목표가 구체화되었고, 목표에 부합하는 집단적인 활동체계들이 구축되었다. 이 단계에서는 하나의 활동체계로부터 다양한 활동체계로 분화가 이루어졌는데, 주체생산 활동체계, 도구생산 활동체계, 규칙생산 활동체계, 분업형성 활동체계 등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셋째,‘전개기’에서는 성과향상 활동이 본격적으로 적용되고 실행되면서 활동체계의 역동성이 표출되었고 활동체계의 내, 외부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이 일어났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과정은 활동체계 내, 외부에서 갈등과 모순을 드러내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이 단계에서는 특히, 인접한 활동체계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발생하였는데, 두 개 이상의 활동체계가 네트워크 관계망을 이루며 새로운 제2, 제3의 객체(목표)를 향한 확장적 전환을 이루기도 하고, 한계를 보이기도 하였다. 특히 확장의 직전 단계에서 경영진의 존재가 큰 역할을 하게 되었는데 이는 기업의 성과향상 활동에서 경영진의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보여주는 특징적인 단면으로 해석되었다. 넷째, ‘안정화기’에서는 성과향상 활동체계가 또 다시 조직의 일상적인 일로 전환되어 주변부로 확산되거나 타 활동으로 전이되며 조직의 관습, 제도나 시스템, 일하는 방식과 연계되거나 통합되는 형태로 나타났다. 기업이라는 특수한 환경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변화와 혁신을 통한 지속적인 성과창출을 요구한다. 따라서 하나의 성과향상 활동체계가 확장하면서 조직에 내재화되는 과정이 중요하다. 이러한 내재화는 조직적 차원에서는 성과향상 활동체계의 문화역사적 맥락을 형성하는 또 다른 토대가 되며 구성원들에게는 일에의 참여와 실천 과정에서 협력을 통한 성취, 성찰을 통한 학습을 이끌어 일터학습으로 나아가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 대학부설평생교육원 프로그램 참여자의 확장학습 사례 : 제주대학교 수필창작교실을 중심으로

        강효정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4907

        Lifelong learning takes place in specific contexts in life. It provides learners with environment and conditions that allow them to change their daily life and autonomous and self-directed learning paradigm based on which they can grow and dynamically interact with the social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d how former participants in a program offered by a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who had different personal contexts and motivations continued the learning process and discussed the meaning of learning and development into expansive learning, by conducting one-to-one in-depth interview with four subjects who have been continuously attending the essay writing class organized by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of Jeju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ansive learning process of participants in a program offered by a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Here, expansive learning refers to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activity elements and systems based on contradiction and tension of activity systems that interact with one another. Adult learning theories including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tial learning, and transformative learning showed limitations in helping with understanding of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 toward learning that takes place in daily life and collective attributes related to learning. Therefore, in this study, learning of adult learners and their teacher were examined comprehensively based on the expansive learning theory and various learning patterns found in daily life. The program participants, for the purpose of writing essays, used such media as published essays, videos, and books related to humanities to form a community, i.e.‘essay writing class,’ with other people sharing the goal, which was divided into teacher, learners, and administrator according to a set of rules. While continuousl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experience various types of contradictions and tensions related to elements of a new activity system, and became the principal agents of the activity system as they searched for solutions to the relevant issues.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brought out different results such as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ir lives through profound introspection, becoming a professional writer, or entering a new field through self-actualization. Through a new activity system, the participants achieved their goals they had when they chose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By opting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the participants. This activity system became integrated into the lives of the participants, forming a relationship with their lifestyles that helped develop the initial goals of the participants from a personal and result-oriented goal such as changing their lives or learning new social and cultural tools to a more expanded one such as self-development or coexistence with the community. 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met in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at has a clear set of educational goals, they did not limit themselves to the specified learning space and framework and, instead, expanded their learning activities in their daily lives. Furthermore, rather than relying on external forces for their learning activities, they resolved contradictions and changed the activity system on their own. This study was meaningful as it investigated significant changes within the interaction between and activities of adult learners and their teacher, instead of limiting the meaning of activities performed by participants in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to the participants only. their own ways. 평생학습은 구체적인 삶의 맥락 속에서 일어난다. 학습자는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자신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성장한다. 따라서 평생학습은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자 중심의 패러다임을 강조한다. 확장학습이론에 따르면 인간 활동은 활동체계 요소들 간 혹은 활동체계들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발전한다. 본 연구는 확장학습의 관점에서 대학부설평생교육원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과정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제주대학교부설평생교육원 수필창작교실의 교수자와 5년 이상 지속적으로 활동에 참여 하고 있는 학습자들 중 4명을 선정하여 각각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은 수필창작을 목적으로 수필집, 동영상, 인문학도서 등의 매개물을 이용한다. 이때, 함께 활동하는 사람들과 공동체를 이루고, 교수자, 학습자, 관리자로 과업을 분담한다. 그들은 규칙을 바탕으로 활동과 그들 간의 관계를 규정하면서 ‘수필창작교실’이라는 하나의 활동체계를 형성하였다. 참여자들은 새로운 활동체계의 주체로 자리매김하였고, 지속적으로 활동하면서 각 구성요소 사이에서 다양한 모순을 겪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활동체계의 요소들이 영향을 받아 변화했다. 프로그램의 학습자들은 깊은 자아성찰을 통해 삶의 방향이 달라졌다. 작가로 등단하여 활동을 하거나, 자아실현을 통해 또 다른 분야를 개척하는 등 다양한 결과를 이끌어 냈다. 학습자들은 교육활동의 참여를 선택하였을 때 계획했던 자신의 목적을 새로운 활동체계를 통해 달성하였다. 이러한 활동체계는 학습자들의 삶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유지됨으로써 그들이 살아가는 방식과 관계를 맺었다. 이 관계는 활동 초기의 목표가 자신의 삶의 변화, 새로운 사회적․문화적 도구에 대한 학습과 같은 목적적이고 개인적인 것에서 벗어났다. 즉, 자신의 발전 또는 자율적으로 형성된 공동체와의 공존 등과 같은 보다 확장된 관계로의 발전을 가져왔다. 교수자의 측면에서 보면, 대학 강단에 오랫동안 서있던 교수자는 성인학습자를 대할 때, 교수자로서 갖추어야 할 노하우와 가치관을 새롭게 형성해갔다.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서 초기 학습자들이 전문성을 쌓아가며 전문수필가로 나아갔다. 이에 따라 교수자는 성인학습자를 단순히 제자로, 가르쳐야할 대상으로 인지하지 않고 함께 공부하고 학문을 나누는 도반(道伴)으로 인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교수자는 사범대학 교수로, 평생교육원 수필창작교실 교수자로 자신의 활동을 충실히 수행해 오는 가운데 ‘시수필’이란 새로운 수필영역을 개척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뚜렷한 교육적 목적을 지닌 평생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만났지만 그들에게 주어진 학습공간과 틀에 한정하지 않았다. 자신들만의 방법으로 학습활동을 일상세계로 확장해 나아갔다. 또한, 일상 안에서의 학습을 외적 힘에 의존하지 않고 참여자들 스스로 만들어 가며 모순을 해결하고 성장해 나갔다. 지금까지의 대표적인 성인학습이론이었던 자기주도학습, 경험학습, 관점전환 학습 등은 일상적인 삶 속에서 발생하는 학습에 대한 통합적인 관점과 학습이 지닌 집단적, 공동체적 속성에 대한 이해를 제공해 주는 데에 한계를 보였다. 반면에 이 연구는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을 확장학습이론의 관점으로 살펴봄으로써, 우리의 일상에 나타나는 다양한 학습양상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고, 학습자들의 공동체적 학습 과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교육을 제공받는 학습자’, ‘교육을 제공하는 교수자’의 전통적 모습에서 탈피하여,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학습자’와 ‘학습자로부터 배우는 교수자’ 모습을 밝힘으로써, 평생학습 현장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 관계를 경험적으로 드러낼 수 있었다.

      • 대학원에 재학하는 직장인들의 학습과 전이에 관한 연구

        김지영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4905

        본 연구는 불확실한 경제·사회 환경으로 인해 평생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일과 학습이 동시다발적으로 중첩되어 나타나는 현상에 주목한다. 우리사회에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학습근로자들의 증가는 이러한 현상을 가장 잘 반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기반으로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대학원에 재학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학교와 일터사이에서의 경계 넘나들기를 통한 학습과 전이에 대해서 살펴본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근로자들은 학교와 일터에서의 활동을 통해 어떻게 학습하는가? 둘째, 학습근로자들은 학교와 일터에서의 경계 넘나들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모순을 통해 어떻게 학습하는가? 셋째, 학교와 일터에서의 활동을 통한 발달적 전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넷째, 학교와 일터에서의 활동요소들은 학습 및 전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를 위해 탐구적 순차적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질적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설문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질적 연구를 통해 학습근로자들의 학교와 일터에서의 활동체계를 분석한 결과 활동의 객체는 일과 계속교육을 통한 경력개발로 나타났다. 학습근로자들은 경계이동자로서 이론과 현장을 접목시키고, 기존의 개념을 확장시켰으며, 더 나아가 새롭게 개념을 정립했다. 또한,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학교와 일터의 조직·공동체의 학습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와 일터에서의 새로운 맥락을 창출하고, 변화를 이끌었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정체성을 학습했다. 반면에 학습근로자들이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것은 순조롭게만 이루어지지 않았다. 서로 다른 학교와 일터 활동체계를 넘나들며 학습하는 과정에서 활동체계 내부적으로 구조적인 갈등들이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학교활동체계에서는 규칙, 분업, 도구와 객체 사이에서 모순이 나타났으며, 일터활동체계에서는 규칙, 공동체, 분업과 객체사이에서 모순이 나타났다. 학습근로자들은 구조적인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활동체계의 요소를 변화시키거나 새로운 활동체계를 구축 하는 등의 확장학습이 나타났다. 확장학습은 발달적 전이로 이어졌다. 양적 연구를 통해 학교와 일터에서의 활동요소들이 학습과 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개인차원에서의 학습에는 학교활동요소에서 경쟁력 강화, 전공에서의 역할, 교수와의 상호작용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일터활동요소에서는 객체인 관계향상, 자아실현 변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학교에서의 전공시스템과 일터에서의 업무수행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발달적 전이에는 학교활동요소에서 수업참여의 적극성, 전공에서의 역할, 교수와의 상호작용 변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일터활동요소에서 자아실현, 직장에서의 역할, 상사와의 상호작용, 업무시스템의 체계화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학습전이에는 학교활동요소에서 경쟁력강화, 전공에서의 역할, 학사시스템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일터활동요소에서는 자아실현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습근로자들은 학교와 일터사이에서 경계 넘나들기 활동을 통해 단기적·장기적인 학습을 경험했다. 이는 개인차원에서의 학습뿐만 아니라 조직·공동체차원의 학습으로 확장된다. 학습근로자들에게서 전이는 다면적이고 복합적인 방식으로 나타나며, 이는 발달적 전이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정책적인 영역과 학문적인 영역에서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overlapping phenomenon of work and learning which are being conducted at the same time as the importance of lifelong learning has become emphasized under uncertain economic·social environment. Based on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student-workers’ learning and transfer though boundary crossing between school and work, which explains the phenomenon best, will be reviewed.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the followings. First, how do student-workers learn through activities in school and workplace? Second, how do student-workers learn through contradiction arising from boundary crossing between school and work? Third, how can development transfer through activities in school and workplace be expressed? Fourth, how do components of activities in school and workplace impact on learning and transfer? For this study, exploratory sequential mixed methods are applied. Based on the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questionnaire was designed and quantitat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irst of all,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tudent-workers’ activity system in school and workplace has been analyzed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object of activity is the career development through work and continuing education. As boundary crossers, student-workers have integrated theories and practices, expanded concepts, and furthermore established new concepts. Also, by sharing knowledge, they have impacted on organizational learning in school and workplace, created new contexts in school and workplace, and led changes. In this process they learned new identities. On the other hand, it was not processed smoothly for student-workers to conduct work and learning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learning across different school and workplace activity systems, the activity systems internally revealed inner structural conflicts. Specifically, in the school activity system, contradiction appeared between rule, division of labor, tool and object, and in the workplace activity system, contradiction appeared between rule, community, division of labor and object. In the process of resolving structural contradiction, student-workers showed expansive learning such as changing the components of activity system and establishing another new activity system. Expansive learning has continued to developmental transfer.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effect that activity components in school and workplace have on learning and transfer was reviewed and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components which have an effect on individual learning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show that among the components of the school activity system, the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from object, the role of academic major from division of labor, and the interaction with professors from community are significant variables. Among the components of the workplace activity system,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and the self realization from object are significant variables. Second, the components which have an effect on identity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academic major system from rule is a significant variable among the components of the school activity system and the task performance from tool is a significant variable of the workplace activity system. Third, in case of developmental transfer, the activeness of class participation from tool, the role of academic major from division of labor, and the interaction with professors from community are significant variables of the school activity system and the self realization from object, the role in the workplace from division of labor, the interaction with supervisors from community, and the systemization of work from rule are significant variables of workplace activity system. Fourth , in case of learning transfer, the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from object, the role of academic major from division of labor, and the course system from rule are significant variables of the school activity system and the self realization from object is a significant variable of workplace activity system. In conclusion, this study captured short-term and long-term study which appears in the process of student-workers’ boundary crossing activities between school and work. This is expanded to organizational level study as well as individual level study. To student-workers, transfer appears as multifaceted and complex ways, which can be explained as the concept of developmental transfer.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policy areas and of academic areas a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areas are suggested.

      •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Pedagogical Choice in the American College Classroom: Perspectives from International Teaching Assistants

        Shofer, Sharon LaBurt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The University of 2020 해외박사(DDOD)

        RANK : 4892

        Most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use international teaching assistants (ITAs) in many of their lower level or introductory courses, particularly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where there is often a shortage of American graduate students (Anderson, 2013; National Foundation for American Policy, 2017). Since the1980s, colleges and universities across the United States have implemented ITA training programs designed to help ameliorate the perceived cultural and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American undergraduate students and ITAs, and ITA training programs have since evolved from having a largely linguistic focus to including elemen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pedagogy (Zhou, 2009). Concurrently, there has been an evolution in thought and practice regarding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s researchers and educators have sought to move away from traditional teaching models and toward student-centered learning (SCL) as a pedagogy that promises to engage more learners at a deeper level (Gibbs & Coffey, 2004; Lea et al., 2003). In an effort to reflect best practices and the stated preference of university administrations, many didactic training programs intended for graduate teaching assistants, including ITA specific programs, have increased emphasis on SCL methods. Although whether ITAs decide to appropriate SCL methods when they teach is subject to many factors, few scholars have studied the appropriation of SCL pedagogy by ITAs after a training program. In order to gain insight into the factors that may be influential in the adoption of SCL by ITAs, I conducted a qualitative, descriptive, collective case study of eight ITAs after they completed an ITA training class. Data collection included semi-structured interviews, observations, and document analysis.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Kaptelinin, 2005) was used to explain how the mental functioning of an individual is related to and influenced by the cultural, institutional, and historical contexts in which the individual lives, along with their pre-existing schema.

      • Transformative Agency toward the Ownership of Inclusive Education Constructing Collective Knowledge, Identities, and Practices

        Bravo de Martins Bastos, Fabiane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The University of 2022 해외박사(DDOD)

        RANK : 4892

        The long-held global agenda for inclusive education often ignored indigenous knowledge, local assets, and cultural-historical context. As a result, those top-down policies become either fruitless or oppressive. They are not sustained and may result in unintended or negative outcomes. In Brazil, student profile at the specialized schools designed for specific disability categories is rapidly changing with a growing numbe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change requires the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work in which local practitioners can engage in collective knowledge-production and problem-solving in response to their concrete local needs vis-a-vis a new activity. This study presents a formative intervention study, Learning Lab, conducted to design a new system at a specialized school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students to answer to local changes. Fourteen teachers from different grade levels engaged in nine meetings with the final goal of producing a new system of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process informed by the theory of expansive learning organized tasks that channeled critical dialogue, expansive learning, and collective agency to design the future of their school for inclusive education. Contradictions were a driving force and catalyst for expansive learning that resulted in the re-mediation of the activity. Teachers produced collective knowledge from which they re-mediated the meaning of inclusive education, their practices, and professional identities.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신생팀의 학습과 협력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의도적으로 통합된 E사 C팀의 사례 분석

        김성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4635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후반 대기업을 중심으로 ‘팀제’라는 이름으로 팀의 개념을 업무수행을 위한 조직단위로서 도입하기 시작하였고 지금은 대부분의 조직에서 팀제를 활용하고 있다. 팀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많은 연구가들이 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이들의 다양한 노력들에도 불구하고 팀과 관련된 대다수의 연구들은 팀의 성공사례와 같은 무비판적인 경영자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연구들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팀 내 구성원들의 갈등이나 협력을 위한 인지과정, 의사소통과정의 탐구와 팀을 둘러싸고 있는 조직의 문화?역사적 맥락에 주목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E사 C팀의 사례를 통해 일터에서 의도적으로 통합된 신생팀의 성장과정에서의 학습을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해 분석하여 그 양상과 특징을 파악하는 것에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학습의 전제가 되는 갈등과 모순의 발생 맥락을 알아보는 것, 팀 구성원들간의 학습과 협력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자는 의도적으로 통합된E사 C팀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총 5개월여의 기간 동안 참여관찰을 통한 사례연구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C팀과 그 구성원들의 역동적인 활동체계를 분석하고자 총 10개의 장면을 선정하여 제3세대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이론적 틀에 입각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C팀은 여러 번의 조직개편이라는 복잡다단한 문화역사적 맥락에 의해서 갈등과 모순이 발생하였다. 흡수된 팀원으로서의 업무적 불안감에 의해 발생한 활동체계와 새로운 팀의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한 팀장이 주체인 활동체계 간의 갈등으로 발생한 ‘2인자되기 VS 권한해체’, 기존 팀과 새로운 팀의 업무적인 각본의 충돌로 발생한 ‘경력개발 VS 비용절감’, 철저한 독립채산제에 의해 팀들간에 갈등이 발생한 ‘팀 독립채산제의 모순’이 그 특징적 사건이다. 두 번째, 목표에 정렬되어 있는 활동체계 요소들의 상호작용으로 갈등으로 인한 방해가 발생하고 갈등을 해결하고 학습하는 과정에서 협력을 도모하는 현상과 협력을 이루지 못하는 사건들이 생성되었다. 이러한 사건들이 의미하는 바는 수직적이고 형식적인 교육이 아니더라도 팀 구성원들의 즉각적이고 우발적인 행동이나 팀에 내재된 문화역사적인 배경에 의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학습의 결과가 팀의 성장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활동체계의 내부적 갈등들을 규명함으로써 방해가 발생한 현장과 혁신들이 어떻게 근접발달영역에 재배치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기업교육활동체계 변화 연구

        주동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4633

        이 논문은 다국적 기업 B사의 제약영업직무종사자들의 교육 및 학습활동체계 변화를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틀에 비추어 고찰하고 맥락을 서술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다국적 제약기업 B사의 영업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단계별 교육 및 학습활동은 어떠한지, 둘째, 단계별 교육 및 학습활동체계와 영업조직 활동체계 사이의 상호작용은 어떠한지 이다. 이를 위하여 B아카데미의 4단계 교육과정에 참여한 5명의 영업사원과 연구자를 포함한 2명의 교육담당자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도구적 사례연구로 관련 정보수집, 자료 분석, 심층면담 및 인터뷰, 현장 참여관찰을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순환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인터뷰 자료를 모두 전사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읽기를 수차례 반복하면서 자료들을 범주화하고 반영적 분석과정을 통해 패턴을 도출하였다. 분석을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elf-paced module은 제약회사 영업사원으로서 기본이 되는 의학 및 관련 제반지식을 이러닝을 통하여 학습하는 과정이었다. 1단계 학습 간 주체와 강한 규칙 사이 갈등으로 주체의 학습의지가 반감되었고, 주체와 매개체 사이의 학습 집중도와 몰입도 유지에 한계점이 드러나면서 최초 취지였던 자기 주도적 학습달성에 모순이 발생하였다. 주체와 분업 사이에서도 영업지점장에게 주어진 두 가지 역할에 대한 분업이 활동체계 안에서 양립하지 못하면서 갈등을 일으켰고, 학습의 결과물인 객체1과 객체2로의 자연스러운 확장과 연결이 유도되지 못하였다. 둘째, Module1은 10일간의 집체교육으로 주체와 분업, 주체와 매개체 사이의 교육 및 학습활동 강화가 이루어졌다. 이는 객체1, 객체2로의 확장과 전이를 촉진하여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몰입을 가속화하였다. 하지만 주체와 공동체 사이에 외부압력이 개입하면서 예외사항이 발생하였고 이는 공동체간 갈등을 조장하였다. 셋째, Module2는 Mini med school이라는 심화학습과정으로 주체와 매개체 사이의 교감과 합의가 충분하지 못해 난이도 조절이 실패하였다. 매개체와 분업 사이에서도 외부로부터 영입한 매개체의 통제와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모순적 상황이 초래되었다. 조직내외부에 닥친 구조조정, 경영진 해고 등의 요인에 따라 학습활동과 영업활동 모두 큰 갈등을 겪게 되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도 개인의 학습의지 강화와 같은 모순적 상황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넷째, Organizational learning은 조직 내 함께 배우고 학습하기 과정으로 주체와 매개체 사이에 역할 바꾸기를 통한 적극적 참여와 활동 강화가 이루어졌다. 주체와 분업 사이에는 쌍방향 의사소통이 원활해지면서 전문성이 공유되고 소통의 장이 마련되었다. 주체와 공동체 사이에서는 교육 열외가 사라지면서 조직 내 갈등이 해소되었고 이는 더 높은 차원의 지식공유로 발전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기업교육활동에 있어 분업이 매우 중요하고, 둘째, 교육 및 학습활동의 도구는 매우 다양하며 그 특징에 따라 주체의 학습활동양상도 크게 변화한다. 셋째, 활동체계 내의 규칙은 발생적 태생과 형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고, 강도가 너무 강하거나 혹은 너무 약할 경우 활동체계운영에 심한 갈등과 모순의 상황을 불러일으켰다. 넷째, 기업의 교육활동에서는 그 공동체의 역사와 문화 전반에 흐르는 정치적 요소가 매우 중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