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role of the United States in the comfort women controversy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이은영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19

        On April 30, 2015,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became the first Japanese prime minister to deliver a speech to a joint session of the U.S. Congress. Critics hoped to see Abe’s acknowledgement on the coercion and involvement of the Japanese government in the comfort women issue, but Prime Minister strayed away. The Korean media took it as a failure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the zero-sum game to get America’s support. As such, in a recent occurrence, the ‘comfort women’ issu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has taken place in the U.S. soil by Korean-American communities erecting monuments and statues commemorating comfort women. The U.S. Congress also passed bills and resolutions regarding the ‘comfort women’ issue, perceiving the issue as a violation against women’s rights, intertwined with the universal values and norms that the United States advocates. President Barack Obama and government officials have also revealed their concerns on the issue that is becoming an impass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n this context, this paper looks at the role and stance of the United States in comfort women issue, which it it perceives a human rights issue and an impediment against cooperation between its two most important allies in Northeast Asia.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crutinize (1) U.S. stance along the lines of South Korea-Japan relations regarding the comfort women issue and (2) the dynamics between the U.S. government and the U.S. Congress in order to analyze the United States’ official role in the comfort women issue that does not directly involve the United States and is not exactly a national security issue.

      • (A) Study of the 2015 Korea-Japan "Comfort Women" Agreement : Problems and Prospects

        김명선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19

        Abstract A Study of the 2015 Korea-Japan “Comfort Women” Agreement: Problems and Prospects By Myung-Sun Kim Master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 Graduate Institute of Peace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Dr. Ki-Joon Hong The main actors who have endeavored to resolve the Japanese “Comfort Women” issue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ivil society actors, government actors, and global level actors. This means that these three levels of actors must be satisfied in order for the “Comfort Women” issue to be solved. Because these three actors interact with each other, they influence each other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ways. In particular, the “Comfort Women” Agreement between Korea and Japan in 2015 upset the combined efforts of civic, governmental, and global actors to frame the “Comfort Women” issue as a global human rights issue, degrading the issue at hand into a mere bilateral one between Korea and Japan. The negotiation also failed to address the matter of legal liability, such as whether the 1965 Korea-Japan Claims Agreement finalized the issue of Japan’s legal responsibility once and for all, which is the main dispute regarding the “Comfort Women” issue along with the matter of compensation, the “Comfort Women” Peace Statues, and history education. Since then, Park Geun-hye has been impeached and new presidential candidates have pledged to renegotiate the “Comfort Women” Agreement. In 2017, Moon Jae-in was elected as President but there has been no renegotiation of the “Comfort Women” Agreement. The Moon administration has proclaimed that the “Comfort Women” issue should be treated as an international and universal human rights issue. It also announced that it will not renegotiate the “Comfort Women” issue with Japan but also claimed that there is no reason to follow through with the 2015 negotiations. Correspondingly, the Moon administration noted that the one billion yen monetary contribution by Japan will not be used and will be returned. The public and victims have been frustrated by the government’s unwillingness to disclose the specific reason it is not renegotiating because they have yearned for further action, such as renegotiation. Nevertheless, concrete measures for the future have not been proposed yet. The “Comfort Women” issue is not simply a problem between Korea and Japan. After the 2015 Agreement, countries such as China, Taiwan, and the Philippines, where other “Comfort Women” victims are from, have also shown interest to settle with Japan. In addition, the “Comfort Women” system was conducted not only by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but also by the victors of WWII and Germany. However, after WWII, atrocities such as the “Comfort Women” system and other sexual violations were not addressed. Therefore, the “Comfort Women” issue, 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should be dealt with as a worldwide agenda. In other words, it should be discussed at the UN, the ultimate arena of multilateral diplomacy, where civic, governmental, and global actors can come to an agreement.

      • Comfort Women, Documentary, Media Representations and Cross-cultural Implications : A Comparative Study on Chinese Documentary and Korean Documentary with Semiotic and Discourse Analyses

        김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19

        During World War II, hundreds of thousands of women, about 80 percent of whom were from Korea and China, were forced into sexual slavery by the Japanese army to ‘serve’ soldiers on the front lines — generally known as comfort women. As the survivors of the comfort women passed away, China and Korea remembered this particular group and let the people remember by media repres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ays of media representations of comfort women and figure out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The authors selected two comfort women documentaries, <Twenty-Two> (2017) and <A long way around> (2019), by conducting semiotic and discourse analysis, to find the differences in narrative structures, main conflicts, relationships among the main characters, and societal and cultural meanings between the documentar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rough narrative analysis, the Chinese documentary found recovery from suffering narrative, abandon the hate narrative, seeking happiness narrative, and contribution to fight against the Japanese soldier’s narrative. Korean documentary found a desire to be accepted by society narrative, restoration of self-esteem narrative, feeling unhappy with her situation narrative, and recovery from suffering narrative. Through paradigmatic analysis, the Chinese documentary found dichotomous structures for long-suffering, family care, and neighbors’ prejudice. Korean documentary found dichotomous structures for long-suffering, ways of overcoming suffering, thankfulness towards helpful people, disappointed towards the Korean government, and anger and respond to the Japanese government. Through actantial model analysis, Chinese comfort women’s ultimate goals in the in-depth structure are to restore self-esteem, ordinary life, and reconstruction of the family. Korean comfort women, they want to the initiative in their life, social consideration, and protection at the national level. Through the discourse analysis, the Chinese documentary found the hardships of life, restoration self-esteem, individualism, family centralism, and non-government involvement. Korean documentary found the hardships of life, overcoming suffering, thankfulness towards people who have helped, expressed disappointment over the Korean government, anger towards the Japanese government, collectivism, and government involvement. In conclusion, through the analysis of comfort women documentaries in Korea and China. It shows that the Chinese and Korean comfort women’s ways of overcoming suffering, with the expectations and hopes for society and the nation is different. Furthermore, the disappointment, frustration, and anger for the Japanese government’s response different as well.

      • Comparison of “Comfort Women” Issues in Korea and Indonesia : Missing Link between Diplomatic Protection and Human Rights

        Mendrofa, Ruth Adianti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17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Republic of Indonesia share common history in having been former Japanese colonies during the period of the Second World War. At that time, women from both countries were made victims of wartime sexual violence in alleged violations of human rights. The victims are recognized as the “comfort women.” The issue has since then grown into a legal debate between Japan and the national states of the victims pertaining to whether or not Japan was legally responsible for those crimes and whether the terms of the peace treaty between the states at the end of the war conclusively settled the matters. Some scholars have argued that the government omission of not exercising diplomatic protection on behalf of the victims constitutes violation of the women’s fundamental rights, while others contend that the government has no legal duty to do so. The research will focus on this legal problem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comfort women diplomatic protection in Korea and Indonesia and analysing whether the classical principle of diplomatic protection can be a mandatory norm in the case of human rights and jus cogens violation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analysis, this piece of work would proceed to discuss whether the new developed norm could be applied to the case of Korean and Indonesian comfort women.The current prevailing view is that diplomatic protection is solely a discretionary right of a state and there is no obligation in international law to provide such protection. However, emerging state practices through three stages: provision of the right to diplomatic protection to individual or as a compulsory obligation through the national law, invocation of the right to diplomatic protection through constitutional or administrative track and judicial review of the discretion pertaining to diplomatic protection by competent judicial body, play a significant role in providing the missing link between diplomatic protection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This is due to the ability of those domestic mechanisms to control the executive discretion and dilute the state-centric nature of diplomatic protection. As a result, diplomatic protection could be utilized effectively to enforce individual rights that have been violated and secure the reparations. This was known as the progressive practices of international law which are embodied in Article 19 of Draft Articles on Diplomatic Protection and its commentaries, adopted by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in 2006. The states of nationality of the former comfort women are recommended to implement the progressive practices to solve the case, in order to ensure due process in enforcing the victims’ human rights. It will also open a bigger opportunity for the victims to receive the appropriate reparation under international law. Furthermore, the compliance to the progressive practice will help to achieve the goal of contemporary international law, namely the advancement of individual human rights.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일제 점령 하 식민지를 거쳤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동일성을 가진다. 두 국가의 여성들은 식민지 시기 일본의 인권침해 행위에 고통을 겪었으며, 이와 같은 피해자들은 “일본군 위안부”라고 불리고 있다. 그 이후 해당 문제는 일본과 피해자들이 속한 국적국들 사이에서 일본이 법죄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는지 여부와 전후 평화조약 상의 조건으로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법적인 논쟁으로 비화되었다. 여러 학자들이 외교적 보호권을 이행하지 않는 국적국 정부의 부작위를 국민의 기본권 침해라고 분석하는 반면, 정부는 외교적 보호 의무를 지지 않는다는 의견도 상존하는 실정이다. 본고는 상기 문제의 법적인 문제를 살펴보고, 세 가지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우선 첫번째로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위안부에 관련된 외교적 보호권이 인권 분야의 강행규범 위반에 대응하는 규범이 될 수 있는지 논의한다. 그 다음으로는 국제법에서 외교적 보호권을 의무로 변화시킬 수 있을지 분석한다. 마지막으로는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위안부 사례에서 상기 분석한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지 종합적인 평가를 수행하고 국제법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현재 대세적인 견해로 비추어 볼 때, 외교적 보호권은 국가의 재량권이며 국제법적인 의무에 이르지는 않는다. 그러나 국가실행의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단계를 통해 새로운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국내법을 통한 강제적 외교적 보호의 의무 제공, 두번째, 헌법 또는 행정법을 통한 외교적 보호를 받을 권리 발동, 그리고 세번째, 관할 법원에서 외교적 보호에 관한 재량에 대한 사법심사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세 가지 국가실행은 외교적 보호권과 국제 인권을 연결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국내 메커니즘은 집행부의 재량권을 통제하고 외교적 보호권의 국가중심적인 특성을 희석시킨다. 결과적으로 외교적 보호권은 침해된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피해자들은 손해배상을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것은 2006년에 국제법위원회가 채택한 외교적보호권에 관한 조문 초안 제 19 조 및 전체 주석에 구체화된 국제법의 진보적인 실행으로 볼 수 있다. 국적국은 피해자의 권리 집행 시 정당한 절차를 보장하기 위해 위안부 사건의 해결을 위한 진보적인 국가실행을 이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국가실행이 축적된다면 국제법에 따라 피해자가 적절한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는 더 큰 기회가 열릴 것이다. 나아가 진보적인 실천을 준수하는 것은 동시대 국제법의 목표, 즉 개인의 인권의 보장 및 발전에 도달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Endless Contention, Narrow Compromise: Comfort Women Deal’s Two-Level Game

        김인협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6

        Despite mutual benefits of cooperation, historical animosity remains as the prime obstacle for furthe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Amongst many historical problems, the comfort women issue remains as the center of contention where it lingers as the prime obstacle to the bilateral relationship. What is so special about the comfort women issue that it persists so long? Why are people overly sensitive about the issue? And why is especially difficult to reconcile the comfort women issue? This research finds the answer to the peculiarity of the comfort women controversy in the unique development of the comfort women activism in Korea and Japan. It finds the role of civic organization as the determining factor for such peculiarity. The main argumen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In Korea, comfort women issue was discovered and developed not by the Korean government, but by a strong civil group, the Korean Council for Justice and Remembrance for the Issues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hence the Korean Council). This phenomenon has led to an over-representation of the Korean Council and mis-represent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The nationalistic discourse of the Korean Council has led nationalism to be the dominant voice in Korea, making comfort women issue as the symbolic representation of national suffering, while their unique redressive acts have further limited the Korean government’s capacity to negotiate as it went beyond the state parameter. In Japan, the Korean Council and their unique redressive acts, especially their attempts for internationalization of the issue not only failed to institutionalize apologetic discourse within Japanese society, but was actively used by the right-wing civil society a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national humiliation and defamation, institutionalizing right-wing mobilization. Especially with changes in political environs and rise of conservativism, their voices grew stronger, and their own redressive acts further limited the Japanese government’s capacity for negotiation. These factors will be systematically analyzed through the concept of Putnam’s two-level game to highlight how these domestic ratifications influence foreign policy outcome. 한. 일 협력의 상호 이익에도 불구하고, 두 나라간 역사적 적대감은 더 깊은 협력을 막는 주요 장애물로 남아 있다. 많은 역사적 문제들 중, 위안부 문제는 특히 논쟁의 중심으로 남아 있다. 위안부 문제는 그 어떤 문제들보다 더 오래 지속되고 있고, 유독 더 민감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위안부 문제의 특수성에 대한 해답을 한국과 일본 위안부 운동의 독특한 전개에서 찾고 시민단체의 역할을 결정요인으로 구분 짓는다. 본 연구의 주요 논점은 다음과 같다. 한국에서는 위안부 문제가 한국 정부가 아닌 강력한 시민 단체인 정대협에 의해 발견되고 발전되었다. 이 같은 현상은 정대협의 과잉대표와 한국 정부의 잘못된 대표성을 초래했다. 정대협의 민족주의적 담론은 민족주의를 한국사회의 지배적인 목소리로 이끌었고, 위안부 문제는 민족적 고통의 상징으로 대변되었다. 또한 그들의 다양한 행위 (redressive acts)는 한국 정부의 협상 능력을 저하시켰다. 일본에서는 위안부 문제의 국제화 시도가 일본 사회 내에서 사과 담론을 제도화하는데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역설적으로 우익 시민사회로 인해 민족적 굴욕과 국가 명예훼손으로 인식되고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우익의 동원, 특히 정치적 환경의 변화와 보수주의의 대두로 이들의 목소리는 더욱 거세 졌고 이러한 요소들이 일본 정부의 협상 능력을 제한하는 변수로 작동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소들을 푸트남 (Putnam)의 양면 게임 이론 (two-level game)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이러한 한일 양국간의 시민사회 역할이 외교정책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명하고자 한다. 즉 국내 외교의 원천이 국제 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 (A) study on Korean "Comfort women" films : problematizing girlhood in spirit's homecoming and snowy road

        김희주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32316

        한국의 상업 영화 귀향 (2015)은 개봉 이후 놀라운 성공을 거두었다. 이 영화는 제 2 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에게 강제적으로 징집당해 성 노예가 된 한국 소녀들을 보여준다. 개봉 이후 영화를 본 관객들은 이 소녀들이 맞이하였던 전쟁 범죄의 잔인한 참상 속으로 초대되어 소녀들과 함께 분노하고 슬퍼했다. 이와 같은 대중의 관심과 수용에도 불구하고 귀향은 지속적인 비판과 논쟁의 핵심으로 자리잡았는데 대한민국과 일본 사이의 외교적, 정치적 분쟁 관계에서 가장 중점적인 사안이며 정치적, 문화적, 담론적 영역을 가로지르는 복잡한 쟁점 중 하나인 “위안부” 문제를 영화의 주제로 삼았기 때문이다. 학자들은 귀향의 재현 윤리성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비평하였다. 이중 특히, 페미니스트 학자들은 이 영화 내에서 사실적으로 묘사되는 폭력 및 강간 등의 선정적인 장면들이 민족주의적 열망으로 정당화되는 성차별적인 시선을 은밀하게 충족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학자들의 지적은 한국 사회가 굳건하게 유지하는 민족주의적 정서가 남성 중심적으로 구성된 역사 서사와 긴밀히 연대해왔고 이에 따라 위안부 희생자들을 잔인한 전범 국가에 의해 짓밟힌 국가의 역사를 상징하는 미학적, 문학적 수사 용법으로 전유해왔다는 맥락을 고려하였을 때 더욱 정당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무력하고 수동적인 피해자로 묘사되는 소녀들에게 집중하는 서사 장치와 집단 강간 및 학살의 장면으로 이루어지는 폭력의 스펙터클에 기대고 있는 귀향의 영화적 수사학은 식민지 대한민국의 무력함을 강조하기 위하여 “소녀” 라는 다면적인 정체성을 무력한 피해자로 환원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후 개봉된 위안부 재현 영화 눈길 (2015) 은 여성 감독 이나정에 의하여 제작되었다. 성적 폭력의 스펙터클화를 지양하고 있다는 점에서 귀향과 눈길은 차별성을 보인다. 그러나 눈길 또한 낭만화된 소녀들을 통하여 관객들의 동정심에 호소함으로 전쟁 트라우마의 기억을 흐리게 한다는 지점에서 문제적이다. 눈길운 소녀를 무고한 피해자로 재현하는 서사적 전략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귀향과 유사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 영화는 피해자들의 주체성을 한국 식민지 역사와 위안부의 기억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소녀상”에 투영된 이상화된 이미지 틀 속에 가둬버리고 있다고 비판될 수 있다. 이 “소녀상”은 사회적 정의 실현과 일반 한국 대중의 탈식민적인 불안, 욕망, 그리고 요구를 투영하는 도상으로 작용한다. 이와 동시에, “소녀상”은 어리고 수동적인 소녀에 대한 낭만적 이상성을 상징한다. “소녀상”이 재현하는 문제적 지점을 반영하고 있는 영화 눈길의 낭만화된 소녀들은 지난한 삶을 이어 나가며 보상과 정의 실현을 위해 투쟁중인 피해 당사자들의 다면적인 주체성을 흐리고 있다. 이와 같은 비판지점에도 불구하고 한국 위안부 영화들의 재현 문제에 집중되어 있는 비평적 담론의 흐름에서 면밀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지점이 있다. 두 영화의 거의 동시적인 개봉 시기와 이어진 대중들의 적극적인 반응을 고려했을 때 위안부 문제의 영화적 재현에 대한 집중된 관심이 어떠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이 영화 내의 “소녀”로 재현되는 위안부의 주체성에 대한 비판과 수용을 탈식민주의 비평적 틀로 접근하고자 한다. 귀향과 눈길 모두 1990년대 보상 운동이 시작된 이후 위안부 문제를 다시 긴급한 정치적 사안으로 다시 끌어올리는 데 도움을 주었다. 두 영화는 한국 식민지 역사에 대한 합의된 인식을 구성하는 동시에 영화라는 매체가 일구어내는 문화적인 상상력으로 위안부라는 민감한 정치적, 외교적 문제를 평범했던 어린 소녀의 이야기로 재조립하였다. 가족과 이웃들에게 보호와 사랑을 받았던 평범한 소녀들이 마주한 비극을 통해 관객들은 동정심, 연민, 그리고 분노를 경험하고 이를 통해 정치적인 운동 주체로 고정된 나이 든 여성들의 역사를 역으로 추적했다. 이러한 영화적 효과를 통해, 일반 대중과 비어있던 위안부 주체의 이야기가 연결이 되고 개인적이고 긴밀한 유대감이 형성되었다. 이것을 두 영화에서 소녀들에게 집중되는 서사가 만들어내는 정동적 효과라 볼 수 있다. 대중 매체를 통해 역사적인 현장을 목격한다는 실천 행위는 궁극적으로 대중을 근대화의 그늘에 가려졌던 한국의 식민 역사의 한 부분에 적극적으로 관여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영화 속 재현된 어린 소녀들은 비어있는 기표로 대중들이 감정을 투영하고 기억을 형성하게 만드는 촉매로 작용한다. 소녀들을 통하여 한국 대중들은 그들의 탈식민적 주체성을 다시 기입한다. 본 논문은 위안부 문제를 다루고 있는 한국의 상업 영화 귀향과 눈길의 양면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안부를 어린 소녀들로 재현함으로 얻을 수 있는 영화적 잠재성과 위험성을 교차적으로 논한다. 두 영화 내 성 재현의 문제의 기저에 자리한 한국의 사회문화적 불평등 구조와 위안부라는 역사적 주체를 인식론적 객체로 구성하였던 한국 민족주의를 영화의 양면성을 분석하기 위한 틀로 다룰 것이다. 소녀들의 몸에 가해지는 성적인 폭력에 대한 정치적, 윤리적 논쟁 관계를 살펴본 이후 본 연구의 영역을 영화적 재현이 대중의 정치 의식을 구성하는 데에 미치는 정동적 효과에 대한 논의로 확장할 것이다. 이러한 영화적 정동을 통해 대중은 합의된 역사 의식과 식민지 역사 속 피해자성에 대한 정치 의식을 구성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영화 귀향과 눈길은 역사 기술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위안부를 ‘소녀’ 로 재현하는 상업 영화들의 문제점과 역사 서사로서 기능하는 위안부 영화들의 한계와 가능성을 동시에 검토할 수 있게 된다. The astonishing success of the Korean commercial film, Spirit’s Homecoming (2015), which invited audiences to witness the horrendous war crimes committed against the innocent Korean girls forced into sexual slavery by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WWII, has also sparked many controversies within South Korean academia. As the film attempts to thematize the issue of “comfort women,” one of South Korea’s most sensitive diplomatic issues crossing political, cultural, and discursive terrains, academic polemics have been actively debating Spirit’s Homecoming. Scholars have emphasized the ethics of cinematography with regard to the representation of comfort women in the film. In particular, feminist critics argue that the film’s realistic portrayal of violence and rape in fact insidiously serves the inherent male gaze of the audience, which is justified by nationalism. Since the beginnings of the comfort women discourse in South Korea, nationalistic sentiments tied with an androcentric perspective formulated the victims of the comfort system as an aesthetic or literary trope representing a victimized nation trampled by a brutal perpetrator. From scenes depicting young and vulnerable girls being helplessly trafficked to the scene of mass rape and massacre, the film strategically appropriated the images of the victimized girls to accentuate the helplessness of colonized Korea. The subsequently released film Snowy Road (2015), directed by a female producer, seems to bear similar limitations as Spirit’s Homecoming in terms of how it represents girl victims. Despite its omission of provocative spectacles of sexual violence, the film tends to portray the traumatic memory of comfort stations through idealized, romantic girl characters as they harmlessly arouse the sympathy of audiences. Thus, Snowy Road tends to fix the multi-dimensional subjectivity of victims into the mold of the ideal image projected in the “Statue of Girl,” which was erected in memory of the painful history of comfort women in South Korea. Though the “Statue of Girl” operates as an icon of public demands for social justice, the romanticized image of girls in Snowy Road blurs the subjectivity of victims who, in real life, are still fighting for reparations and redemption of their traumatic experience. Nevertheless, there is an aspect that the critical discourse surrounding “comfort women” films representing girls as victims or martyrs does not deal with. It is possible to analyze comfort women films through the framework of postcolonialism due to the contextual circumstances that fueled interest in the production of cultural projects dealing with comfort women. Both Spirit’s Homecoming and Snowy Road help build public consensus about the urgency of the comfort women issue which gained attention again in the 2010s after movements for reparation began in the 1990s. Popular cultural imagination enabled the public to revisit the previously overlooked colonial memory of Korea. Those in the audience who were once young girls, protected and cherished by their families, feel a personal connection as the films trace the history of the old ladies crying for justice in front of the Japanese Embassy. The practice of witnessing through entertainment, focused on the experience and affect of girls, ultimately makes the audience engage with the parts of Korea’s past hidden in the shadows of the modern. Young girls trigger a dramatic cinematic affect as the audience is made to vicariously experience their horror and sadness. Through the act of witnessing and comprehending the cruelest aspect of Korea’s colonial history, the public rewrites their own postcolonial subjectivity urging for social justice. In this thesis, I will examine the ambivalent aspects of commercial films about comfort women produced in South Korea. My goal is to shed light on the subject of rewriting postcolonial memory and the trauma of victimization. In order to do so, I will discuss the seemingly contradictory potential and risk of representing comfort women as young girls in Spirit’s Homecoming and Snowy Road. The issue of the sociocultural establishment of gender representation in both films, and its intersecting discourse about Korean nationalism, are a natural part of this discussion. After analyzing feminist arguments about girls’ bodies and sexual violence, I will expand my research into the cinematic affect of girls’ representation in forming public political consciousness. The cinematic affect transmitted by the victimized girls in the movies ultimately establishes a collective awareness of the memory of victimization in Korea’s colonized history. In this context, I will present the potential for comfort women films to act as historiography.

      • 남북한의 '일본군대 위안부'에 대한 대응 및 정책 연구

        양순임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14

        본 논문은 남북한의 ‘일본군대 위안부’ 문제에 대한 대응 및 정책을 비교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우선 일본군대위안부 문제에 대한 남북한의 정책을 각각 살펴보았다. 남한의 민간단체가 1990년 초 가해자 일본을 상대로 피해자의 명예와 원상회복을 위한 대일 소송을 제기하는 과정에서 ‘일본군대 위안부’의 실체를 밝혔다. 이에 국제 사회에 큰 충격과 함께 관심을 집중시킨 초기의 한국위안부 등장과 확산과정, 그리고 인식과 대일대응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바탕으로 남북한의 위안부에 대한 정책을 살펴보고 같은 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비교, 전망하는데 본 논문의 목적을 두었다. 남한정부는 위안부 문제가 한일협정 시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위안부 문제를 정부차원에서 일본에 대해 제기해야 한다는 민간단체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우방국 보호외교우위 정책으로 일관했다. 이에 민간단체가 ‘일본군대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을 회복하기 위해 일본정부에 직접 대응했다. 대일보상청구소송 및 위안부 증언청취 등으로 일본이 ‘일본군대 위안부’의 일부강제연행을 인정하게 한 것은 정부가 아닌 민간차원의 대일 대응 성과로서 북한과 큰 차이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한편, 남한 정부는 위안부 피해당사자들의 노후생활안정을 위한 보호정책을 지속적으로 우선시 해왔다. 이 또한 북한과 비교되는 점이다. 북한은 일본과의 미수교 상태로 인해 일본에 직접 문제를 제기하는데 있어 제약이 있었기 때문에 위안부 문제를 유엔 등 국제사회에 제기하여 일본을 우회적으로 압박하는 정책을 취하였다. 물론 일본과의 직접적인 관계에 있어서도 위안부 문제를 부각시킴으로써 일본에 대해 외교적 우위를 차지하려고 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위안부 문제를 조속하고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남한은 한일협정의 위안부 문제 재협상을 북일 수교를 계기로 강력히 요구하여 해결해야하며, 북한도 지금까지 일관되게 주장한 대일 사죄와 보상을 새로운 전략정책으로 성취시켜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북한이 2002년의 ‘평양선언’으로 종전의 모든 주장과는 상반된, 그리고 한일협정과 유사한 방식으로 북일수교를 맺는다면 남북한의 위안부 문제는 해결될 기회를 상실할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compare the policies of the Republic of Korea(ROK or South Kore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DPRK or North Korea) on the issue of 'comfort women' in the service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 during World War Ⅱ. This study first looks into both Korea’s policies on the so-called 'comfort women' respectively. A South Korean civic organization publicly made an issue out of the wartime comfort women in the early 1990s filing a suit against Japanese government for atrocities it had committed during its colonial rule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paper looks at the initial government-level perception and responses toward the comfort women issue in South Korea. And then, it deals with the comfort women issue’s effects on South Korea-Japan relations. Based on the review, this study compar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olicies pursued by each North and South Korea against Japan’s wartime abuse of women. Over the last three decad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put diplomatic priority on maintaining amicable relations with Japan even after the wartime comfort womem issue was brought up.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reluctance to take a stand on the issue resulted from the omission of the comfort women issue in the 1965 agreem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on compensation for Japan’s colonial rule. Despite pressure of the Korean civic organizations to officially raise the comfort women issue, Seoul continued to protect Tokyo as an ally. Without any government-level responses, South Korean civic groups directly demanded for the Japanese government an apology and compensation for the victims. They filed a compensation suit against the Japanese government, representing former Korean comfort women. They persuaded former comfort women to come forward and testify to their sufferings. Thanks to their efforts, the Japanese government came to partly admit its role in conscripting and forcing women from neighboring Asian nations to become comfort women for Japanese soldiers during World War Ⅱ. The achievement by South Korean civic organizations constitutes a difference from North Korea in tackling the comfort women issue. However, unlike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continued to protect and offer financial support to aging former Korean comfort women. By contrast, North Korea has difficulty in complaining to Japan of the comfort women issue because it has yet to establish diplomatic ties with Japan. Therefore, the North has taken a roundabout way to pressure Japan, such as by bringing up the issue before the U.N.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Pyongyang has used this issue to take the moral high ground in diplomatic contact with Tokyo. In conclusion, to swiftly and effectively resolve the comfort women issue, South Korea should strongly demand that the issue be renegotiated once DPRK-Japan relations are normalized. The North also should adopt a new strategy in tackling the issue based on its consistent demand for an apology and compensation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The comfort women issue will remain unresolved permanently if North Korea normalizes relations with Japan under an agreement similar to the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 Remembering the forgotten : Nora Okja Keller's comfort woman and Chang-rae Lee's a gesture life

        박주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7 국내석사

        RANK : 232299

        노라 옥자 켈러와 이창래는 그들의 소설을 통해 공적 역사를 재조명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그들은 단 하나의 역사 서술 방식을 거부하며, 그 동안 역사책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소외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재조명한다. 노라 옥자 켈러는 종군 위안부였던 주인공 아키코를 통해 위안소에서의 삶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위안부들은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았으며, 성적인 억압을 견디어내야만 했다. 아키코는 자신의 경험을 테이프에 녹음하여 역사를 구전으로 전달하는 동시에, 자신과 같은 경험을 했던 수 많은 여성들을 위무한다. 이렇게 구술로 기록된 역사는 아키코의 딸인 베카에게로 전승된다. 그녀는 사실이란 눈으로 보는 표면의 것과는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비정상적인 여자라고 생각했던 자신의 어머니는 사실 위안부로서 엄청난 고통을 받고 그것을 극복한 무당이었다. 아키코의 과거 회상을 통해 작가는 위안부들의 역사를 기억하며, 이 기억은 다음 세대로 전승되어야 하는 것임을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켈러는 아키코를 미국 이민지로 설정함으로써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한국의 관계를 조망한다. 아키코는 위안소에서는 일본군들에게, 결혼 후에는 미국인 남편에게 억압 당한다. 아키코가 감내해야만 하는 이러한 상황은 대한민국이 일본 식민주의에 의해서, 그리고 해방 후에는 미국의 신식민주의에 의해 지배당했던 역사를 그대로 보여준다.이창래는 위안부 역사를 기술하는 데 있어서 다른 시각을 취한다. 제스쳐 라이프의 주인공은 일본군이다. 하타는 한국인 부모에게서 태어나 자라다가 일본 가정으로 입양된 남성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는 전후에 미국으로 이민해 새로운 인생을 살아가게 되는데, 소설은 그의 현재 미국에서의 삶과 과거 일본에서의 경험을 병치시키며 진행된다. 하타는 켈러의 주인공인 아키코와는 달리 과거를 기억하는 데에 수동적이다. 하타는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타인과의 솔직한 대화를 거부한다. 참전 군인의 과거 이야기는 그의 회상을 통해서 독자에게만 전달된다. 한국에서 일본으로, 일본에서 미국으로 이주해가는 하타는 이동할 때마다 새로운 사회가 요구하는 모습으로 변모하며 그 사회의 관습과 문화를 받아들인다. 일본에서 그는 일본 사회의 식민주의적 사고를 그대로 받아들인다. 그는 일본 사회의 일원으로 살고자 하는 염원을 지니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민족성을 부정하게 된다. 미국으로 건너가서도 하타는 변하지 않는다. 그는 바람직한 시민으로 보이고자 하는 자신의 욕구 때문에 사람들에게 가까이 다가가지 못한다. 베들리 런이라는 백인 동네에서 하타는 백인 사회에 내재되어 있는 인종 차별을 그대로 받아들인다. 그가 내면화한 흑인에 대한 인종 차별은 그의 입양아 써니와 그의 관계에 영향을 끼친다. 흑인 피가 섞인 한국 여자 아이 써니에게 하타는 부성애를 느끼지 못한다. 도리어 그는 자신과는 확연하게 다른 그녀의 외모에 불편함을 느낀다. 결국 아슬아슬하게 지속되던 부녀의 관계는 써니가 흑인 남성과의 연애를 통해 아이를 갖게 되었을 때에 끝난다. 하타는 만삭에 가까운 써니를 유산시키고, 결국 써니는 유산 후 하타를 떠나버린다. 하타 자신의 백인 여성과의 연애 또한 하타의 인종 차별적인 시각 때문에 실패하게 된다. 그는 백인 사회에서 동양인과 백인의 관계는 부적절하게 여겨진다는 사실을 잘 인식하고 있다. 그의 조심스러운 처신은 상대를 지치게 만들 뿐이다. 지속적으로 한 사회에 소속되고자 하는 하타의 모습을 통해 이창래는 이민자의 문제를 드러낸다. 그는 종군 위안부라는 소재를 통해 잊혀진 역사를 드러내는 것뿐 아니라, 현재 미국 사회의 문제를 지적한다켈러와 이창래는 한국의 과거사를 미국의 현대사와 연결시켜 이해하고 있다. 그들은 소설 쓰기를 통해 잊혀졌던 위안부 역사를 드러내어 독자들로 하여금 현실과 과거를 연결 지어 생각할 수 있도록 한다. 위안부와 일본 군인의 상반된 입장에서 쓰여진 두 소설은, 상충된다기 보다는 서로 보완적 역할을 하고 있다. 한 가지 입장으로 역사를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나의’ 절대적인 역사 서술을 거부한다면 이 두 소설의 우열을 가리는 것 또한 불필요하게 된다. 독자는 두 작품을 읽음으로써 위안부 역사에 대한, 한미 관계에 대한 자신의 역사 의식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잊혀진 이야기를 재구성한다는 것, 그 과정에서 과거를 현재와 연결시켜 독자의 현실과 역사를 잇는다는 것이 두 작가의 공통적인 성과라고 생각한다. Stories of the subaltern are usually omitted from national history. Historical facts do not speak for themselves; documents and facts that collide with national interests are elided in national history textbooks. Nora Okja Keller and Chang-rae Lee both re-examine the official history and oppose the one narrative represented to be the official history. Through their works Comfort Woman and A Gesture Life, the writers evoke the forgotten issue of comfort women.By depicting a former comfort woman, Akiko, Keller vividly illustrates life in the comfort camps. The sexual violence and dehumanization of the comfort women are depicted through Akiko’s narration. The remembered history of a former comfort woman is recorded as an oral testimony and a consolation to the deceased women. The cassette tape that bears the history of comfort women is passed on to Beccah, Akiko’s daughter. By listening to the tape the second generation, Beccah, is able to comprehend history and also to take on the role of a mourner. She is enlightened with the fact that the truth may differ from what meets the eye. Her mother, whom she regarded as a mad woman, reemerges as a shaman who survived through much hardship in her life. In her portrayal of Akiko’s life in the United States, Kell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kiko’s husband, Bradley, symbolizes the U.S. posing as a liberator of Korea, concealing its desire to dominate the peninsula. Akiko is continuously violated by Japanese soldiers, and later by her American husband. The violence Akiko has to endure throughout her life represents how the Korean peninsula was first dominated by Japanese Imperialism and later by American neo-colonialism.Chang-rae Lee takes a different vantage point in retelling the issue of comfort women. His protagonist is a former medic of the Japanese Army. Hata is an ethnic Korean adopted into a Japanese family. He later immigrates to the United States to start a new life, and the novel juxtaposes his past with his present life in the States. Through the life of Franklin Hata, Chang-rae Lee explicates the life of an Asian immigrant. Moving from Korean to Japan to the United States, Hata has to adapt to the new locations and accept the moral values of each community. He used to adhere to the colonial ideas of the Japanese Empire while he was serving in the military. He desired to assimilate to Japanese society, which keeps him from identifying himself as Korean. His life in the United States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in Japan. He fails to develop intimate relationships because of his yearning to be seen as a model citizen. Residing in Bedley Run, a white dominated town, he adjusts to the values of the white community. By portraying Hata’s continuous suffering to assimilate into his adopted/immigrated society, Chang-rae Lee depicts the problem of immigration and uncovers the forgotten history of the comfort women.Hata is different from Keller’s protagonist, Akiko, in dealing with the traumatic experiences in World War II. He constantly denies his past, and is not willing to reflect on it. Hata’s reluctance to remember and share his pain also hinders him from having close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He presents himself as good Doc Hata, but does not allow anyone to enter into his emotional sphere. Lack of communication hampers his familial bonding, and he never reveals his past to his daughter. The history of a war participant is told only in his own reflections and memories. Thus, although the readers are able to acknowledge his past stories, the information is not passed down to the second generation.Scholars of Asian American studies often express their concern with Asian American writers’ interest in the Asian past, explaining that it is dangerous to linger on the past and to avoid societies’ present and imminent difficulties. However, Keller and Lee connect Korea’s history with the present lives of Asian Americans. Their novels reveal the forgotten history of the comfort women, encouraging their readers to contemplate history in the light of the present. Despite each novel’s merits and demerits, it is impossible to evaluate their authors’ works by comparing one to the other. Comfort Woman and A Gesture Life do not oppose each other; rather, the two works supplement each other by taking different vantage points in remembering the issue of comfort women. By reading the two works, readers would be able to comprehend that there is no “ultimate truth” in history.

      • 일본군‘위안부’ 피해와 피해자의 의미 : 한일청구권협정 부작위 위헌소송을 중심으로

        이재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98

        본 연구는 한국 사회가 일본군‘위안부’를 어떻게 문제화해왔는지를 ‘피해’와 ‘피해자’에 대한 이해방식을 통해 탐구했다. 이를 위해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작위의무를 둘러싸고 피해와 피해자의 의미가 경합했던 한일청구권협정 부작위 위헌소송(2006-2011)의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불운한 삶을 살아온 할머니에 불과했던 일본군‘위안부’는 1987년 민주화 이후 과거사청산 운동과 반성폭력 운동의 흐름에서 ‘피해자’로 호명되기 시작했다. 정신대문제 운동은 피해자를 투쟁가로, 이들의 개별화된 고통을 정치적 동력으로 변환시키고자 노력했고 1990년대 이들에 대한 보호와 지원이 제도화되었다. 이후 2000년대 인권 담론의 확장과 과거사청산 작업의 본격화와 함께 ‘피해자’는 인권 주체로서 논의되기 시작했고 이들의 고통은 사회공동체의 기억과 인권을 위해 이야기되었다. 즉, 소송 이전 ‘피해자’를 권리 주체로 보는 관점이 등장했고, 이것은 여전히 이들을 인도주의적 보호·지원 대상으로 보는 관점과 병존했다. 위헌소송에서 피해자의 배상청구권 실현을 위한 한국 정부의 작위의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외교통상부의 주장은 ‘피해자’를 권리 주체가 아닌 보호·지원의 대상으로 축소하는 것을 의미했다. 특히 외교적 보호권 논의에서 ‘피해자’는 인권과 평화와 배치되는 ‘국익’을 추구하는 국가 중심의 외교 행위 대상으로 부차화되었다. 또한, 외교통상부는 ‘피해’를 미래를 재고하도록 하는 현재의 인권문제가 아닌 한국 정부의 부작위와 관계없는, 식민지 시기 누구라도 겪을 수 있었던 과거의 사건으로 복속시켰다. 피해자들의 고통은 이들의 권리 회복 대신 개개인에 대한 인도주의적 조치를 정당화하는 개인의 아픔으로 소환되었지만, 담론경합에서 피해의 특수성과 사회적 차원이 논의되지 못하면서 이 경향은 제어되지 못했다. 2010년대 피해자 기표와 이들의 고통이 탈정치화되고 개인화되는 양상이 강화되면서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해결은 피해자들의 고통 경감에 있다는, 사회운동에 대한 백래쉬가 일었다. 2015년 12.28 한일 위안부 합의가 보여주듯 그 가운데 여성의 경험을 통한 평화구축, 그리고 사회 변혁을 통한 재발 방지를 요구해온 여성운동의 문제 제기는 관철되지 못하고 있다. 페미니스트 이행기 정의의 실현을 위해 피해와 피해자의 의미를 재의미화해야 하는 이유다. 본 논문은 위헌소송의 담론경합에서 드러난, 한국 정부가 상정한 피해와 피해자의 의미와 그것을 전제로 한 대항 담론이 일본군‘위안부’ 운동의 피해자 정치(politics of victimhood)를 무력화하고 페미니즘의 논의를 굴절시키고 있음을 밝혔다는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explored how South Korean society has represented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to be a problem through a way of understanding “harm” and “victim.” To this end, research data of litigation surrounding the illegality of an omission in the “Agreement”(2006-2011) were examined, in which the meanings of harm and victim competed with each other over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commissive duty to act o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ho had been only known as old women with unfortunate lives, began to be recognized as “victim” through the movements to face the past and the movements against sexual violence after democratization in 1987. The movement surrounding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problem tried to transform victims into fighters and their individual suffering into political movements. In addition, protection and support for the “comfort women” became institutionalized in the 1990s. Later, in the 2000s, along with the expanded discussion of human rights and full-scale work to deal with the problems of the past, the “victim” began to be discussed as a subject of human rights, and their sufferings were shared by the social community for the memory and human right. In other words, prior to the lawsuit, a new perspective on “victim” appeared which viewed them as a subject of rights, and this new perspective coexisted with the humanitarian one of seeing them as subjects deserving protection and support.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asserted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oes not have a commissive duty to make the victim's right to claim for reparation valid in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This implied a narrower definition of victim as the recipients of protection and support, not as subjects with rights. In particular, “victim” have been marginalized by state-centered diplomatic activities that pursue “national interests” contrary to human rights and peace in the discussion of the right of diplomatic protection. In addition, the Ministry has minimized the concept of harm into a past incident that anyone in the colonial period could have experienced and which does not have anything to do with the omission in the Agreement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rather than as a human rights issue that allow people to reconsider the future. The suffering of the victims was recalled as individual pain that justified humanitarian measures for individuals instead of restoring their rights. However, this trend could not be controlled as the specificity and social dimension of the harms were not discussed. In the 2010s, as the signifier of victims and their suffering became depoliticized and got more and more personalized, a backlash to the social movement occurred which claimed that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could be resolved by alleviating victims’ pain. Even though feminist movement requested the prevention of recurring problems through social transformation and the peacebuilding based on women’s experiences, their request has not been fulfilled, as shown in the Korea-Japan Agreement of December 28, 2015 on the Issue of “Comfort Women” Issue. This is why the definition of harm and victim must be re-defined in order to make feminists’ transitional justice feasible. This paper is meaningful for the following reason. It uncovered the definition of harm and victim used by South Korean government in the competitive discussion of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based on that, the counter-discourse has paralyzed the politics of victimhood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movement and distorted the discussion on feminism. keywords : Victim,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Human Right, Peacebuilding, Transitional Justice, Transnational Feminist Movement

      • 일본군'위안부'운동을 둘러싼 기억과 정동의 배치 : 평화나비 활동가 경험을 중심으로

        장소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298

        This study analyzes the experiences of Peace Butterfly activists to situate young women as crucial actors i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movement.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15 Peace Butterfly activists and conducted textual analysis of Peace Butterfly position statements, solidarity speaks, and press releases. This study revealed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movement experience of a generation of young women who accepted the issue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as “my” issu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and diversified media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yeonghwabee generation’s awareness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A large reason for their subsequent entry into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movement was their recollection of their own daily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which they perceived and overlooked in order to recognize the repetition of structures of violence surrounding women’s bodies. Second, in the course of their activities, the Peace Butterfly built a sense of solidarity by holding various events such as Wednesday demonstrations and festivals named FESTA. They also raised issues of social and national violence and joined forces with other movements. One of the reasons why the movement was able to expand was the encounter with a Halmoni who transformed from a victim survivor to a human rights activist and “reached out” to others. Third, the social political landscape surrounding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movement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work of the Peace Butterfly. Arrangement over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the peace statue attacks, and the rise of the extreme-right have had the effect of rallying the movement, but internally, the movement has experienced limitations in mobilization due to the physical nature of each region and camp, conflicts due to the absence of feminism within the progressive movement, and the gateway to employment that university students are expected to perform in their life cycle, making it difficult to sustain the “comfort women” movement.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eace Butterfly Movement continues to function as an important actor for the influx of female youth into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movement, and that they are actively engaged in the movement. It has shown that female youth activists can not be pigeonholed into a flat discussion of Future Generations and are enriching the movement from where they are. We hope that this will enrich our understanding of the actors i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movement. 본 연구는 평화나비 활동가들의 경험을 분석하여 여성 청년을 일본군 '위안부' 운동의 주체로 위치시키고자 했다. 15명의 평화나비 활동가를 심층면접하고, 평화나비 입장문, 연대발언문, 보도자료 등을 텍스트분석했다. 이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나의 문제'로 받아들인 여성 청년 세대의 운동 경험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도출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화비 세대가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인지하게 되는 데에는 교과 과정과 다각화된 미디어가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 평화나비 활동을 비롯한 일본군‘위안부’운동에 진입하게 된 큰 이유는 여성의 몸을 둘러싼 폭력 구조가 반복되고 있다는 사실을 지각하고 지나쳤던 자신의 일상적 성폭력 경험을 회고했기 때문이다. 둘째, 평화나비는 활동 과정에서 수요시위와 페스타(Festa) 등 여러 행사를 개최하며 연대감을 구축했다. 이외에도 다양한 사회적·국가적 폭력에도 문제를 제기하고 다른 운동과 연대했다. 운동이 확장될 수 있었던 이유는 피해생존자에서 인권운동가로 변모해 다른 이들에게 ‘손내미는’ 할머니와 조우했기 때문이다. 셋째, 일본군‘위안부’운동을 둘러싼 여러 사회·정치적 지형도 평화나비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15 한일합의와 평화비 테러, 극우세력의 등장은 운동이 결집되는 효과를 일으켰다. 그러나 운동 내부적으로는 각 지역과 지부의 물리적 특성으로 인한 동원의 한계, 진보 운동 내에서 부재한 페미니즘으로 인한 갈등을 경험했다. 또한, 대학생 단체라는 특성 때문에 대학생이 생애주기상 수행해야 하는 취업의 관문 등이 운동을 지속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평화나비 운동이 일본군‘위안부’운동에 계속해서 여성 청년이 유입될 수 있는 중요한 경로로 작동하며 운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여성 청년 활동가는 단순히 ‘미래세대’라는 납작한 논의에 갇힐 수 없으며 각자 위치한 곳에서 풍부하게 운동을 만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일본군‘위안부’운동의 행위자를 더욱 풍성하게 조명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