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Novel Approach for Taxonomy in the Marine Diatom Genus Chaetoceros (Bacillariophyta) Based on Setae Ultrastructure

        Sang Deuk Lee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937

        To propose identification criteria for Chaetoceros subgenera Chaetoceros and Hyalochaete based on setae ultrastryalochaeteucture, I examined the setae ultrastructure of 38 species, using LM and SEM. Species belonging to the subgenus Chaetoceros were sampled from 42 locations in the Korean coastal waters, and 12 sites in the Chukchi Sea of the Arctic Ocean. Species belonging to the subgenus Hyalochaete were sampled from 53 locations in the Korean coastal waters, and 3 sites in the Chukchi Sea of the Arctic Ocean. In most species, the ultrastructure of the middle part of the intercalary setae were determined. I selected seven identification criteria for 14 species that belong to the subgenus Chaetoceros: (1) spine form, (2) poroid arrangement, (3) number of poroid rows between costae, (4) presence or absence of costae, (5) angle of costa against the seta rim, (6) setae cross-sectional shape, and (7) seta wall silicification. I also selected twelve identification criteria for 24 species that belong to the subgenus Hyalochaete: (1) point of fusion of the sibling setae, (2) spine form, (3) poroid shape, (4) spine arrangement, (5) poroid arrangement, (6) number of poroid rows along the setae, (7) special intercalary setae, (8) connecting bridge-like structure on the basal part of the intercalary setae, (9) siliceous capilli on the basal part of the setae, (10) setae cross-sectional shape, (11) silicification of the setae wall, and (12) direction of setae in relation to the chain axis. Using these criteria, I constructed a dichotomous key to aid in species-specific identification. Additionally, I designated a specimen collected from the East Sea of Korea on August 20, 2013, as a new variety of C. atlanticus, which I named koreanus.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to those of three closely related taxa, C. atlanticus var. atlanticus, C. atlanticus var. neapolitanus and C. atlanticus var. skeleton. The new taxon belong to the subgenus Chaetoceros, which is characterized by numerous granular chloroplasts in the setae as well as the cell body and a rimoportula on each valve. It was placed in the section Atlantica, which is characterized by a long tubular external rimoportula at the centre of each valve, terminal and intercalary setae differing in length and direction, and wide hexagonal apertures. C. atlanticus var. koreanus shares general morphology with three closely related species, but differs in having rows of small poroids forming a grid pattern, a tetragonal cross-section, and perpendicular costae on the setae. Finally, to ensure identification accuracy, the dichotomous keys of the two subgenera were combined. I suggested 10 emended sections and 14 new sections based on setae ultrastructure. 센털의 미세구조를 중심으로 Chaetoceros 속의 두 아속인 Chaetoceros 아속과 Hyalochaete 아속의 분류학적 기준을 제안하고자, 광학현미경(LM)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총 38종의 센털의 미세구조를 연구하였다. Chaetoceros 아속에 속하는 종들은 한국연안 42 정점과 북극해의 척치해 12 정점에서 채집되었다. Hyalochaete 아속에 속하는 종들은 한국연안 53 정점과 북극해의 척치해 3 정점에서 채집되었다. 모든 종에 있어, 절간 센털의 중간 부분의 미세구조가 관찰되었다. Chaetoceros 아속의 14 종의 동정을 위한 7 가지 형질이 다음과 같이 선택되었다: (1) 가시의 형태, (2) 다공의 배열, (3) 돌출맥 사이 다공열의 수, (4) 돌출맥의 유무, (5) 센털의 가장자리와 돌출맥의 각도, (6) 센털의 단면 형태, (7) 센털 벽의 규산화 정도. 또한, Hyalochaete 아속의 24 종의 동정을 위해 12 가지 형질이 다음과 같이 선택되었다: (1) 인접 센털의 접합 지점, (2) 가시의 형태, (3) 다공의 모양, (4) 가시의 배열, (5) 다공의 배열, (6) 센털의 1 µm 당 다공열의 수, (7) 특별한 센털의 유무, (8) 절간 센털의 기부 부분의 연결 구조의 유무, (9) 센털의 기부의 규산화된 털의 유무, (10) 센털 단면의 형태, (11) 센털 벽의 규산화 정도, (12) 군체축으로부터 센털의 방향성. 이러한 기준들을 이용하여 종 수준의 동정을 목표로 차상분지형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추가적으로, 2013년 8월 20일에 동해에서 채집된 C. atlanticus의 신변종을 C. atlanticus var. koreanus로 명명하였다. 이 신변종의 형태학적 형질은 밀접한 유사종인 C. atlanticus var. atlanticus, C. atlanticus var. neapolitanus와 C. atlanticus var. skeleton과 비교되었다. 이 신 변종은 세포 뿐 아니라 센털에도 다수의 과립형 엽록체를 가지고 있고, 각 뚜껑마다 하나의 입술돌기를 가지므로 Chaetoceros 아속에 속했다. 또한 긴 관모양의 입술돌기 하나를 뚜껑의 중앙에 가지며, 끝 센털과 절간 센털의 길이와 방향성이 다르며, 6 각형의 사이틈을 갖는 것으로 보아 Atlantica 절에 속했다. C. atlanticus var. koreanus는 밀접하게 연관된 3 변종과 일반적인 형질들을 공유하지만, 격자무늬의 다공 배열, 사각형의 센털 단면, 센털과 직각인 돌출맥을 갖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동정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두 아속의 차상분지형 검색표를 융합하였으며, 센털의 미세구조를 중심으로 하여 10 개의 수정된 절과 14 개의 새로운 절을 제안하였다.

      • 체외수정 및 체세포 핵이식 유래 돼지 배아줄기세포의 초미세구조 비교

        유현주 충북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638

        The ultrastructure of porcine embryonic stem cells (pESCs) and porcine fetal fibroblasts (PFFs) was analyz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eatures of organelles in in vitro fertilization-derived pESCs (IVF-pESCs) and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derived pESCs (SCNT-pESCs). Also, the features of organelles in high-passage IVF-pESC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low-passage cells. The ultrastructure of IVF-pESCs, showed the presence of rare microvilli on the cell surfaces, round or irregular nuclei with one to two reticular-shaped nucleoli and euchromatin, low cytoplasm-to-nucleus ratios, rich ribosomes, long stalks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rER), elongated mitochondria, rare lysosomes and rare autophagic vacuoles. By contrast, SCNT-pESCs showed rich microvilli with various lengths and frequencies on the cell surfaces, nuclei of the polygon with one reticular-shaped nucleoli and heterochromatin, high cytoplasm-to-nucleus ratios, rare ribosomes, rare rER, round mitochondria, rich lysosomes and rich phagocytic vacuoles. Intercellular junctions were observed in SCNT-pESCs, but not in IVF-pESCs. Furthermore, high-passage IVF-pESCs showed irregularly shaped, pyknosis and numerous lysosomes associated with autophagic vacuoles. TEM analysis of high-passage IVF-pESCs revealed signs of apoptosi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ESCs differ depending on their origin. Thes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might be useful in biomedical research using pESCs. Furthermore,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establish naïve pESC lines. 돼지 배아줄기세포 (pESCs)와 돼지 태아섬유아세포 (PFFs)의 초미세구조를 투과전자현미경 (TEM)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체외수정 유래 돼지 배아줄기세포 (IVF-pESCs)와 체세포 핵이식 유래 돼지 배아줄기세포 (SCNT-pESCs)의 세포소기관의 특징을 비교하는 것이다. 또한, IVF-pESCs의 높은 계대와 낮은 계대의 세포소기관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IVF-pESCs의 초미세구조는 세포표면의 드문 미세융모, 하나에서 두개의 그물모양의 핵소체와 진정염색질을 포함하고 있는 둥글거나 불규칙한 모양의 핵, 낮은 세포질에서의 핵의 비율, 풍부한 리보솜, 긴 줄기의 조면소포체, 드문 골지체, 긴 미토콘드리아, 드문 용해소체와 드문 자가포식공포를 나타내었다. 이와는 반대로, SCNT-pESCs의 초미세구조는 세포표면의 다양한 길이와 빈도의 풍부한 미세융모, 하나의 그물모양 핵소체와 이질염색질을 포함하고 있는 다각형 모양의 핵, 높은 세포질에서의 핵의 비율, 드문 리보솜, 드문 조면소포체, 드문 골지체, 둥근 미토콘드리아, 풍부한 용해소체와 풍부한 포식소체를 나타내었다. 세포사이연접은 SCNT-pESCs에서는 관찰되었지만, IVF-pESCs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높은 계대 IVF-pESCs은 불규칙한 형태와 핵농축, 자가포식공포와 관련된 많은 용해소체를 나타내었다. 또한, 높은 계대 IVF-pESCs의 TEM 분석은 세포사멸의 신호를 밝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래에 따라 다른 돼지 배아줄기세포의 초미세구조 특징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초미세구조 특징은 돼지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생물의학연구에서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naïve한 돼지 배아줄기세포주를 확립하는데 사용될수 있다.

      • Chitin Metabolism and Tyrosine-Mediated Pigmentation in Insect Cuticular Extracellular Matrix

        문슬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634

        곤충을 포함한 절지동물의 큐티클 또는 외골격은 이들이 지구상에서 약 4억 8천만년이라는 오랜 기간 동안 성공적으로 생존할 수 있게 한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여전히 곤충 큐티클의 초미세구조, 생물학적 발달과정이나, 리모델링 또는 구성 물질들의 재사용과 같은 큐티클의 생리 및 생화학적 이해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곤충의 큐티클은 서로 다른 구조적 생체고분자인 단백질과 키틴으로 구성된 우수한 생체물질이며,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 곤충병원성 미생물이나 천적으로부터 곤충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곤충 큐티클은 매우 단단하여 곤충의 성장을 제약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본래 가지고 있던 큐티클을 새로운 큐티클로 교체하는 ‘탈피’과정을 발달 시켰다. 곤충의 탈피는 매 발달 단계 마다 일어나며, 그 과정에서 구조적 지지, 물리적 보호 및 운동성 등에 적합한 특성을 가진 큐티클을 형성한다. 이러한 큐티클 형성 및 분화 과정에는 복잡한 생리 및 생화학적 과정인 키틴대사와 큐티클탄닝(색소화 및 경화)대사가 관여하여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유전자들의 생화학, 분자생물학, 기능 유전체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곤충의 필수적이고 복잡한 큐티클의 발달 과정, 초미세구조 및 형성 기작에 대한 체계적인 분자 메커니즘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곤충의 큐티클 발달 및 형성 과정에 대하여 소개하고, 거짓쌀도둑거저리 모델을 이용하여 키틴대사에 관여하는 group I 키틴탈아세틸화효소인 TcCDA1과 TcCDA2가 탈피, 큐티클 형태, 초미세구조 형성, 곤충 다리 관절의 운동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함을 구명하였다. 또한,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모델을 이용하여 큐티클 탄닝 대사 과정에서 타이로신 매개 큐티클 색소화 및 경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요 유전자들을 발굴하고, 곤충의 체색과 단단한 큐티클의 다양한 층(layer/region)에 특이적으로 일어나는 색소화에 대한 생리학적 기능을 조사하였다. The cuticle or exoskeleton is one of the evolutionary innovations most responsible for the ascendancy and predominance of insects and other arthropods over the past 480 million years. Yet we lack a comprehensive grasp of its ultrastructure and the developmental cascade involved in its biogenesis, remodeling and recycling. Insect cuticle is a remarkable biomaterial/biomass primarily formed from two different structural biopolymers consisting of proteins and chitin. It plays a critical role in protecting insects from environmental stresses and from pathogenic microbes and predators. However, insects must periodically replace their old cuticle with a new one (ecdysis or molting) because it is too rigid to allow for continuous growth. This vital step occurs during each stage of development and is required to produce diverse cuticles with the proper combin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that afford structural support, mechanical protection and locomotion/mobility. For cuticle differentiation and formation, there are two distinct metabolic pathways, including chitin metabolism and cuticle tanning (pigmentation and sclerotization) pathway. Our study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vital and elusiv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biogenesis, ultrastructure and formation of the insect cuticle, with a focus on the bio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functions of genes involved in these two complex metabolic pathways. Here, we demonstrated that group I chitin deacetylases, TcCDA1 and TcCDA2, in the red flour beetle, Tribolium castaneum, are critical for molting, cuticle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as well as for movement of adult leg joints. In addition, we reported functional importance of eight key genes of the yellow mealworm, Tenebrio molitor, related with the tyrosine-derived cuticle tanning pathway in the layer/region-specific pigmentation in the rigid cuticles, which influence the overall adult body color appearance.

      • 참갑오징어, Sepia esculenta 외투 바깥 상피층의 미세구조

        李東根 全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619

        본 연구는 참 갑 오징어, Sepia esculenta 외투 바깥 상피 층의 미세구조와 조직화학적 특징을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연구를 통해 기재하였다. 상피 층은 단층으로 상피세포, 분비세포, 신경아교세포, 섬모세포로 구성되었다. 상피세포는 원주형으로 자유 면에 미세융모가 발달되어 있었다. 상피세포의 정 단 측면에는 밀착연접과 수지 상 막 구조가 존재하여 주변의 세포들과 연결되었다. 세포질의 피질 부에는 잘 발달된 미세섬유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었다. 분비세포는 분비과립의 조직화학적 특성과 미세구조에 따라 A, B, C형으로 구분되었다. A형 분비세포의 세포질은 Masson 삼중염색과 H-E 염색 결과 붉은색을 나타냈으며, 1.3-2 ㎛의 전자밀도가 높은 다각형의 과립들을 함유하였다. 분비공의 크기는 직경 약 8-12 ㎛이었다. B형 분비세포는 AB-PAS (pH 2.5) 및 AF-AB (pH 2.5) 반응 결과, 중성 카르복시화 점액물질 함유하였다. 분비과립은 막을 가지며 전자밀도는 매우 낮았다. 분비공의 직경은 약 12 ㎛이었다. C형 분비세포는 H-E 염색과 Masson 삼중염색에서 균질 한 붉은색으로 나타났다. AB-PAS (pH 2.5) 반응 결과, 중성 점액물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분비물질의 전자밀도는 세 종류의 분비세포 중 가장 높았다. 분비공의 직경은 약 3 ㎛이었다. 신경아교세포는 상피 층의 기저 부에 위치하며, 세포질 내에 전자밀도가 높은 신경성 분비과립들을 함유하였다. 섬모세포는 자유 면에 섬모다발을 가지고 있었으며, 고착기관을 제외한 외투의 전체에 분포하였다. 외투의 상피 층 두께는 등쪽보다 배쪽이 두꺼웠으며, 가장자리보다 중앙부가 두꺼웠다. 외투의 분비세포 분포율은 등쪽보다 배쪽이 높았으며, 중심부보다 가장자리가 높았다. This study was described by light microscopy and electron microscopy study for histochemistry feature and ultrastructure in outer epidermis of sepia esculenta's mantle. Epidermis was simple layer and we was composed epithelial cell, secretory cell, neuroglial cell, ciliated cell. Epithelial cell is columnar and was developed microvilli at free surface. At end-to-side of Epithelial cell is connected peripheral cells by tight junction and membrane interdigitation. At cortical part of cytoplasm, well-developed microfilament was arranged palewise. Secretory cells is divided into type A, B and C following histologic feature and ultrastructure of secretory granule. Cytoplasm of Type A secretory cell show red color at masson trichrome stain and H-E stain, contain polygonal granular which have high electron density as 1.3-2 ㎛. Diameter of secretion pore is about 8-12 ㎛. Result of AB-PAS (pH 2.5) and AF-AB (pH 2.5) reaction, Type B secretory cell contains neutral caboxylation mucus substance. Secretory granule had membrane and very low electron density. Diameter of secretion pore is about 12 ㎛. Type C secretory cell show red color at H-E stain and masson trichrome stain reaction. Electron density of secretory substance is the highest one among 3 type of secretory cell.Neuroglial cell is located basal region of epidermis, contained neurosecretory granule which have high electron density in cytoplasm. Ciliated cell had cilia bundle in free surface and distribute on mantle except adhesive organ. Epidermis thickness of mantle is thick ventral than dorsal and the center than edge of mantle. Secretory cells distribution rate of mantle is higher ventral than dorsal and edge than the center.

      •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lantago asiatica mosaic Potexvirus from Lily in Korea

        윤지선 안동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618

        Plantago asiatica mosaic virus (PlAMV) is the most important virus infecting lily in the world. PlAMV is a member of the genus Potexvirus in the family Alphaflexiviridae. In Korea, Occurrence of PlAMV was surveyed at Jeju, Yesan, Taean, Gwacheon and Gangneung areas in Korea during 2012, 2013 (specimens kept NAS) and 2014, 2015 (specimens collected to this thesis). Symptoms of PlAMV were malformation and mosaic on the leaves, and mosaic, necrosis and pale browning on bulbs. the investigation of viral disease incidence on lily, multiplex primer for Cucumber mosaic virus (CMV), Lily mottle virus (LMoV), Lily symptomless virus (LSV) and PlAMV infecting lily in Korea was used. Average infection rate on the fields cultivated with the imported lily bulbs was 95.6% at 5 areas including Jeju. The total infection rate for single and mixed infection of LMoV was 75.6%. No single infection was observed for PlAMV, but total mixed infection rate of two or more viruses with PlAMV was 36.1%. In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PlAMV infected locally on the plant species of Chenopodium amaranticolor, C. quinoa and Gomphrena globosa. The isolate of PlAMV from Jeju could infect systemically on Tetragonia expansa. However, other isolates of PlAMV without Jeju could not infect on T. expansa. All PlAMV isolates from five areas including Jeju could infect systemically with mosaic symptom on Nicotiana benthamiana and N.occidentalis, and infect symptomless on lily. Electron microscopy for the cells of upper leaves of N. benthamiana infected with PlAMV shown typical ultrastructure of Potexvirus for the cluster of virus particles. The Potexvirus ultrastructure was same on mesophyll and conductive cells. Phylogenetic analysis of PlAMV was done for five PlAMV isolates from lily in this thesis, and nine PlAMV isolates from lily and each of Plantago and Primrose from in NCBI database. From the full sequences, PlAMV could divide five clusters. Korean PlAMV isolates imported from Netherlands were related strongly with PlAMV from Netherlands. In amino acid analysis of PlAMV, Korean isolates were same in genetic relationship. Two isolates of PlAMV classificatied biologically on lily in Korea might have come from Netherlands and seven isolates from Japan were same in genetic relationship. Keyword: Plantago asiatica mosaic virus, Lily, virus infection, host range, ultrastructure, genetic characterization, genetic relationship.

      • Ultrastructure and Immunoreactivity of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 Isoform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Spiders, Achaearanea tepidariorum : 거미 중추신경계의 미세구조와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 의 면역활성에 관한 연구

        황희준 The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2003 국내박사

        RANK : 2607

        거미의 중추신경계는 다른 곤충이나 절지류에 비해, 그 영역이 아직도 불분명하고 기능과 구조에 대해 알려진 바가 상대적으로 적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꼬마거미는, 중추신경계가 위쪽 뇌 또는 supraesophageal ganglion, 아래쪽 뇌 또는 subesophageal gangl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뇌의 위쪽 부분인 supraesophageal ganglion은 거미 두흉부의 전두부 쪽에 위치하며 central body에 세포들이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뇌의 아래쪽 부분인 subesophageal ganglion은 각각의 부속지들을 제어할 수 있는 신경들의 집단으로서, 서로 완벽하게 혼합된 형태를 지니고 있다. 중추신경계에서 신경억제 전달물질인 γ-aminobutyric acid (GABA)는,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 모두에게서 나타난다.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에 의해 GABA가 생성되며, 전체 중추신경계 내에서 특정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신경전달 물질임에도 불구하고 신경과는 직접적인 상관이 없는 조직인 정소, 난소, 난관 등에서도 발견되었다. 최근에는 거미줄의 수용성분에서도 이 GABA에 대한 면역반응이 일어난다는 연구가 있다. Supraesophageal ganglion에서 GABA의 전구물질인 GAD의 면역반응은 central body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는데 거미에게 있어 이 부분은 optic lobe와 연결이 되어 있는 부분이어서 시각의 정보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대한 행동을 조절하는데에 이 신경억제물질인 GABA가 주로 sensory neuron에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subesophageal ganglion에서는 협각과 팽, 그리고 각각 8개의 다리 신경절, opisthosoma 쪽과 인접한 부위에서 GAD의 면역반응이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이 또한 central body와 마찬가지로 거미의 행동, 판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이기에 이 부위에 신경억제물질이 존재해서 주로 motor neuron의 조절에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Central nervous system (CNS) of arachnids is still poorly understood and has a rich unexplored field compared to what is known in insects or crustaceans. The CNS of the spider, Achaearanea tepidariorum, consists of a dorsal brain or supraesophageal ganglion and circumesophageal connectives joining it to the subesophageal mass. As the segmentation of the arachnid brain is still under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play a major role to classify the brain as a protocerebral and tritocerebral ganglion depending on the evidences that are generally accepted. The subesophageal nerve mass underneath the brain is the foremost part of the ventral nerve cord. All of this nerve mass is totally fused together, and forming subesophageal ganglia in this spider. While the nerve cells are packed in the frontal, dorsal and lateral areas of the brain, the nerve cells of the subesophageal and abdominal ganglia are only restricted to the ventral and ventrolateral regions.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organization of the CNS of this spider, Achaearanea tepidariorum is more similar in feature to the Family Araneidae rather than other web-building spiders. The γ-aminobutyric acid (GABA) has long been considered as an inhibitory neurotransmitter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of both vertebrates and arthropods. The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 catalyzes the conversion of L-glutamate to GABA. GAD has a restricted tissue distribution and it is highly expressed in the cytoplasm of GABAergic neurons in the CNS. It is, however, also present in other non-neuronal tissues such as testis, oviduct and ovary.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a GABA-like immunocytochemical reactivity and a ninhydrin-positive GABA derivative, GABamide, exist in the visual ganglia and in the water-soluble fraction of the spider web, respectively. Therefore, this experiment will contribute to identify the exact distribution of the GAD isoform with immunoreactivity in the CNS of the spider to reveal the ecophysiological significance of GABA for spider's behavior.

      • 치수에서의 Substance P 면역양성 신경종말의 미세구조적 특징

        문병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605

        Neuropeptides like as substance P or CGRP (calcitonin gene related peptide) is involved in the neurogenic inflammation accompanied by vasodilatation and plasma extravasation. In addition, they are involved in chronic sustained pain during inflammation.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response of substance P or substance P immuneoreactive nerve fibers to inflammation and their roles in the tooth pulp. However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ultrastructure of substance P containing nerve fibers in the tooth pulp.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issue through substance P immunocytochemistry and electron microscopy in the human and rat tooth pulps. At the light microscopy, dark reaction product showing substance P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within the tooth pulps. Substance P immunoreactive nerve fibers ran within neurovascular bundles and issued few collateral in the radicular pulp. However, in the coronal pulp the substance P immunoreactive nerve fibers occasionally branched and issued many collaterals. They showed many bead like swellings interconnected with axonal stands like as bouton en passant and bouton terminaux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e density of substance P immunoreactive fibers was low in the peripheral part of the tooth pulp adjacent to dentin. Substance P는 신경성 염증(neurogenic inflammation), 그리고 이에 수반되는 혈관확장, 혈장단백질의 혈관밖 유출에 관여하며, 아울러 만성 지속성 염증성 동통의 유발에 관여한다. 치수의 염증시 substance P 그리고 substance P 면역양성 신경종말의 반응에 대하여 그리고 이들의 치수염증에 관여하는 역할에 대하여서는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있어왔으나, 치수에 있어서 substance P발현 신경섬유의 미세구조적 특징에 대하여서는 거의 연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 있어서는 치수를 지배하는 신경섬유 가운데 substance P를 발현하는 신경섬유의 미세구조에 대하여 면역조직화학 기법과 전자현미경기법을 사용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광학현미경적 소견에서 검은 반응산물로 표시되는 substance P 면역양성 신경섬유는 치근관부위의 치수에서 신경혈관다발속에서 주행하였으며, 곁가지는 거의 내지 않았다. 치수실부위의 치수에서 substance P 면역양성 신경섬유는 때때로 분지를 하여 다수의 곁가지를 내었으며, 염주알 모양의 팽창부와 이를 연결하는 축삭가닥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Substance P 면역양성 신경섬유는 상아질과 인접한 치수의 주변부에서는 밀도가 낮았다. 전자현미경적 검색에서 substance P 면역양성 신경섬유는 전자밀도가 치밀한 반응산물이 축삭형질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쉽게 구분되었는데, substance P 면역양성 신경섬유는 대부분이 민말이집 신경섬유였다. Substance P 면역양성 신경섬유의 팽창부에서는 투명한 구형의 소포와 다수의 큰 치밀핵 소포가 함유되어 있는 특징을 보였으며, 팽창부사이를 연결하는 축삭가닥내에서는 이러한 소포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축삭의 팽창부에서는 연접이전치밀질과 연접틈새등과 같은 연접구조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치수내의 substance P 면역양성 축삭팽창부의 특징적인 미세구조는 substance P 그리고 glutamate와 같은 신경전달물질이 공존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는 paracrine action에 의해서 주변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 A Morphological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Odontella (Bacillariophyceae) Based on Ultrastructures in Korean Coastal Waters

        강성은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604

        Species of the genus Odontella are diatoms, which are commonly found in neritic marine waters. This genus was first described by Agardh (1832) with the generic type species Odontella aurita (Lyngbye) Agardh. The genus Odontella has been included in the family Eupodiscaceae, order Centrales. The total number of valid species of Odontella in the world is 13. Despite a large number of nominal names recorded globally, nine species have been recorded from Korea (Lee et al. 1995, Lee 1995). Examination of ultrastructures of the genus Odontella has been underestimated, because the species are easy to identify in light microscope (LM) observation by clas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ell shape and chloroplast structure. In this study, the ultrastructure and taxonomic remarks of Odontella species are examined to validate the ultrastructure characteristics. Field samples were collected at 99 sites during 112 visits from December 2008 to April 2014 in Korean coastal waters, including the Yellow Sea, East Sea, South Sea, and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In this study, eight Odontella taxa were investigated.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genus Odontella are the shape and location of labiate processes, shape of elevations, and the size and location of spines of the valve structure. It is suggested that the eight Odontella taxa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relationships. Group 1 includes O. aurita var. aurita, O. aurita var. obtusa, O. longicruris var. longicruris, and O. longicruris var. hyalina. These four taxa have general characteristics in common: they are elliptical-shaped in valve view, there is no separation into face and mantle, and the valve face has fine granules. Group 2 includes O. dubia and O. rhombus. These two taxa have general characteristics in common that include no separation into face and mantle, costae on the valve face, criba areolae between costae, blunt elevations, spines on the costae, short tube-shaped labiate processes, and labiate processes close to the elevations. Group 3 includes O. mobiliensis and O. sinensis. These two taxa have general characteristicsin common that include being lanceolate-shaped in valve view, having a weak cell wall, a ridge into the face and mantle, one long collar, and two or three small collars on the tip of labiate processes. 돌말류 Odontella 속의 미세구조 연구를 통한 형태학적 분류형질을 제시하기 위하여, 2008년 12월부터 2014년 4월까지의 한국 연안 99개의 정점에서 채집된 시료를 LM과 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8종을 동정하였고, 입술돌기의 모양 및 위치, 융기의 모양, 가시의 크기 및 위치 등의 뚜껑면의 구조가 중요한 형질로 관찰된다. 또한, 이 8종은 형태학적 연관성에 의해 3가지 그룹으로 분류되어 이전의 불확실한 기재를 보완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그룹에 속하는 종은 Odontella aurita var. aurita, O. aurita var. obtusa, O. longicruris var. hyalina, O. longicruris var. longicruris 의 4종으로, 타원형 모양의 뚜껑, 같은 크기로 형성된 다수의 입술돌기 말단 깃의 공통된 형질이 관찰되었다. 두 번째 그룹에 속하는 종은 O. dubia, O. rhombus 의 2종으로, 뚜껑면에 형성된 돌출맥, 깃이 존재하지 않는 관모양의 입술돌기 말단의 공통된 형질이 관찰되었다. 세 번째 그룹에 속하는 종은 O. mobiliensis, O. sinensis 의 2종으로, 피침형 모양의 뚜껑, 뚜껑면 각투의 존재, 하나의 긴 깃과 두 개의 짧은 깃으로 형성된 입술돌기 말단의 공통된 형질이 관찰되었다. 또한 그룹 내 종 간 구별 형질은 입술돌기의 모양 및 위치, 융기의 모양 및 규산화 정도, 가시의 크기 및 위치 등의 뚜껑면의 미세구조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