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ositional and REM dependencies on the severity of obstructive sleep apnea : a cephalometric and nocturnal polysomnographic study

        김성헌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6

        자세의존성과 REM의존성은 수면호흡장애의 임상적 양상에 특정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세성과 비자세성 환자간 및 REM의존성과 REM비의존성 환자간 수면다원검사와 두부규격방사선 사진 분석 결과를 비교 평가하는 데 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된 148명의 환자들을 자세성과 비자세성 및 REM의존성과 REM비의존성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환자들에게 임상 평가, 수면다원검사 및 두부규격방사선 사진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비자세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이 자세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들보다 더 높은 BMI, 더 심한 전체 및 측방위 수면무호흡지수와 더 낮은 평균 및 최소 산소 포화도를 보였다. 2. REM비의존성 환자들이 REM의존성 환자들보다 연령이 높고 전체 및 앙와위 수면무호흡지수가 더 높았으며 평균 및 최소 산소 포화도가 더 낮았다. 3. 비자세성 환자군에서는 REM의존성과 REM비의존성이 거의 같은 정도였으나 자세성 환자군에서는 REM비의존성 환자들이 더 많았다. 4. 두부규격방사선사진 분석 결과 자세성과 비자세성 환자군간 방사선 사진 계측치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REM비의존성 환자들은 설골의 위치를 나타내는 AH⊥MP 값이 유의하게 높았다. 5. REM의존성 환자군은 REM비의존성 환자군보다 stage II와 III및 REM수면이 길었던 반면 REM비의존성 환자군은 stage I 수면이 REM의존성 환자군보다 길었다. 6. 비자세성 환자군은 자세성 환자군보다 훨씬 높은 REM 수면무호흡지수를 보인 반면 NREM 수면무호흡지수에서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7. 자세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군에서 REM과 NREM 수면무호흡지수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비자세성 환자군에서는 REM 수면무호흡지수가 NREM 수면무호흡지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비자세성과 REM비의존성 환자군이 자세성과 REM의존성 환자군에 비하여 기도의 협착도가 상대적으로 더 크며 구강안면부의 해부학적 요인은 자세의존성보다 REM의존성 환자군의 수면무호흡 심도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자세의존성과 REM의존성 여부는 치료 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어진다. Positional dependency and rapid eye movement (REM) dependency are considered to have a specific impact on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sleep related-breathing disorde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differences found in the polysomonography and cephalometric data between positional and non-positional obstructive sleep apnea (OSA) patients and between REM-related and not-REM-related patients. One hundred forty-eight patients with OSA were classified by positional and REM dependencies. Each subject was analyzed by clinical evaluation, and polysomnographic and cephalometric analyse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Non-positional OSA patients have higher body mass indices (BMI), more severe overall and non-supine apnea-hypopnea index (AHI) values, and lower mean and lowest oxygen saturation levels compared to positional OSA patients. 2. Not-REM-related patients were older and showed more severe overall and supine AHI values, and lower mean and lowest oxygen saturation levels compared to REM-related patients 3. The portion of REM-related and not-REM-related patients in the non-positional OSA group was similar while the portion of not-REM-related patients was higher in the positional OSA group.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ephalometric landmarks between positional and non-positional groups. However, the not-REM-related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of the distance between anterior hyoid and mandibular plane (AH⊥MP) which represents the hyoid bone position. 5. REM-related patients have a longer duration of stage II, III, and REM sleep than not-REM-related group, whereas not-REM-related patients have a longer duration of stage I sleep. 6. Non-positional patients showed much higher REM AHI values than positional patients,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REM AHI values. 7.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M and NREM AHI in positional OSA patients whereas REM AH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REM AHI in non-positional patient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both non-positional and not-REM-related OSA patients have more collapsible airway patency than positional and REM-related groups, respectively. Anatomical factors can affect REM dependencies than positional dependencies. Positional and REM dependencies should be considered as a specific clinical entity for treating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

      • 정상 성인에서 Amitriptyline이 REM 수면에 미치는 영향

        김태범 忠南大學校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5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mitriptyline on REM sleep in normal adults, author applied polysomnography of sleep structure to the volunteer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of amitriptyline 25㎎. The subjects were 8 healthy young adults, aged from 20 to 24 years ol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Compared with the baseline, decrease of the absolute value and the relative value of REM sleep, decrease of total REM sleep period and duration, increase of REM sleep interval occurred in the amitriptyline administration night. 2. Compared with the baseline, increase of the absolute value and the relative value of REM sleep, increase of total REM sleep duration, decrease of REM sleep latency occurred in the first recovery night. 3. Compared with the baseline, increase of the relative value of REM sleep, increase of REM sleep efficiency occurred in the second recovery night. 4. REM sleep suppression effect of amitriptyline occurred in the amitriptyline administration night and rebound phenomenon of REM sleep occurred in the first and the second recovery night. 5. REM sleep suppression effect of amitriptyline occurred in totally each REM period time rather in specific sequential REM period, but rebound phenomenon of REM sleep markedly occurred in the first REM period in the first recovery night,

      • Genomic re-annotation and expression analyses of B3 genes reveal lineage- specific evolution and potential roles of REM genes in pepper

        박영수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3

        The B3 gene family, one of the largest plant-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 plays important roles in plant growth, seed development, and hormones. In this study, I performed genome-wide re-annotation of B3 genes in five Solanaceae plants, Arabidopsis thaliana, and Oryza sativa, and finally predicted 1,039 B3 genes, including 231 (22.2%) newly annotated genes. I found a striking abundance of REM genes in pepper species (Capsicum annuum, Capsicum baccatum, and Capsicum chinense). Comparative motif analysis revealed that REM and other subfamilies (ABI3/VP1, ARF, RAV, and HSI) consist of different amino acids. I verified that the large number of REM genes in pepper were included in the specific subgroup (G8) through the phylogenetic analysis. Chromosome location and evolutionary analyses suggested that the G8 subgroup genes evolved mainly via a pepper-specific recent tandem duplication on chromosomes 1 and 3 after speciation between pepper and other Solanaceae. RNA-seq analyses suggested the potential functions of REM genes under salt, heat, cold, and mannitol stress conditions in pepper (C. annuum). This study provides evolutionary and functional insights into the pepper REM gene family. B3 유전자군은 식물 특이적인 전사인자 중 하나로 식물 성장, 종자 발달 및 호르몬 신호 전달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B3 subfamilies중 ABI3/VP1, ARF, RAV, HSI는 종자 발달, 옥신 신호 경로, 개화 시기 및 성숙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REM 유전자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A. thaliana, O. sativa 및 가짓과 식물 5종을 포함하여 B3 유전자에 대한 재동정을 하였다. 그 결과, 1,039개의 B3 유전자로 업데이트하였으며, 231개(22.2%)가 새롭게 찾은 유전자이다. 이 중 211개의 유전자가 REM subfamily에서 발견이 되었다. 재 동정한 B3 유전자들의 motif 분석 결과, REM과 나머지 (ABI3/VP1, ARF, RAV, and HSI) subfamilies는 서로 다른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어, REM subfamily이 독립적인 진화 과정을 겪었음이 추측된다. 진화 분석을 통해 많은 REM 유전자가 고추 특이적 하위 그룹(G8)에 모여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이는 고추가 가짓과에서 분화한 후, 종 특이적으로 tandem duplication을 겪었을 것으로 추론된다. RNA-seq 분석을 통해 고추 REM 유전자는 다양한 비생물적 스트레스(추위, 열, 만니톨, 염분)에 따른 잠재적 기능을 예측할 수 있었다. 특히, 공동 발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고추 REM 유전자와 다른 다양한 유전자들과의 연관성을 파악함으로써, 고추 REM 유전자의 잠재적 역할, 특히 G8 하위그룹의 잠재적 역할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업데이트된 B3 유전자 정보를 활용한 이 연구는 고추 B3 유전자의 구조적 특징, 진화 및 잠재적 기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 연구는 향후 고추 REM 유전자의 기능 분석에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

      • Electroencephalographic changes during REM sleep in chronically sleep restricted mice

        김보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743

        Chronic sleep restriction (CSR) has been shown to impair people’s health and cognitive functions, as well as change sleep homeostasi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CSR may impair non-rapid eye movement (NREM) sleep generation in addition to reducing NREM delta power.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ow CSR alters rapid eye movement (REM) sleep or EEG power spectra during REM. Here, we used a high-density EEG method in freely behaving mice to assess the REM sleep response to CSR. Mice (N=9) were sleep deprived daily for 18-h using periodically rotating wheels, followed by 6-h of sleep opportunity that started at the beginning of each light period. This sleep restriction (SR) protocol was repeated for 5 consecutive days. High-density EEG was analyzed for only 2-h of each 6-h sleep opportunity (1-3h after the initiation of sleep opportunity), whereas conventional EEG data using skull screw electrodes was analyzed for the full 24-h experimental days. The REM sleep time during the daily 6-h sleep opportunities increased as the SR days progressed,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baseline levels. A power spectral analysis of the high-density EEG revealed that low theta power (5-7 Hz)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rontal cortex on SR day 1, then continuously decreased on SR3 and SR5; high theta power (7-10 Hz) was persistently elevated throughout all SR days, especially in the centro-parietal cortex. A close examination of theta oscillation revealed a transition from unimodal to bimodal oscillation showing that a peak frequency at 7 Hz during baseline was split into two peak frequencies at 7 and 9 Hz. Regarding REM gamma power, a gradual but significant increase in low gamma power (30-50 Hz) was observed near the prefrontal cortex especially on SR3 and SR5, while robust increases in high gamma power (70-100 Hz) were observed most significantly in the centro-parietal cortex on SR3. Additionally, the analysis of the cross-frequency coupling between theta phase and gamma power showed that modulation of theta on gamma oscillation was not altered during CSR. Thus, CSR produces opposite effects on the low and high theta power of REM sleep in mice. In addit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CSR significantly increases REM gamma power while 18-h of acute sleep deprivation does no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if REM high theta power and gamma power actually correlates with the behavioral sleepiness and cognitive impairments observed in CSR.

      • 기업지배구조가 실제 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력탁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739

        본 연구는 실제 활동을 통한 이익조정(REM)이 경영자지분율, 기업지배유형, 기업지배구조 평가등급에 따라 그 수준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익조정의 측정치로서 재량적 발생액에 초점을 두고 있는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실제 활동을 통한 이익조정(REM)을 Roychowdhury(2006)모형에 근거하여 개별 측정치와 통합측정치를 각각 측정하여 기업지배구조와 관련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정하고, 분석기간 동안 한국증권거래소에 계속 상장된 제조업에 속한 기업 중 분석 자료의 활용이 가능한 1,311개의 기업-연 자료를 최종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리인이론에 다른 이해일치가설의 시각에서 경영자지분율이 높을수록, 경영자 지배기업보다는 소유자지배기업일수록,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하다고 평가된 기업일수록 실제 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의 수준이 낮을 것으로 기대한다. 종속변수로 통합측정치인 실제 활동을 통한 이익조정(REM)을 사용한 분석결과, 경영자지분율과 기업지배구조평가등급 더미는 (-)유의적인 계수 값을 보였고, 기업지배유형더미는 유의적인(+)계수 값을 보였다. 종속변수로 초과현금흐름 (AC FO)를 사용한 검증결과는 기업유형더미만 (+)유의적인 계수 값을 보였고, 종속 변수로 초과제조원가(APC)를 사용한 검증 결과는 경영자지분율과 기업지배구조 평가등급 더미는 (-)유의적인 계수 값을 보였으며 기업지배유형더미는 유의적인(+) 계수 값을 보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경영자지분율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하다고 평가받은 기업일수록 대리인문제가 감소하게 되어 실제 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은 감소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지배유형은 예상과 다르게 소유자지배기업이 경영자지배기업보다 실제 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how REM is expres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managerial ownership, corporate governance type and corporate governance system. Different to precedent works which focus on discretionary accruals,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as to corporative governance structure by evaluating individual performance measurement and integrated performance measurement of REM respectively based on Roychowdhury(2006) model. This study set a analyzing period from 2006 to 2009, and 1,311 companies’ annual documen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out of listed companies in Korea Stock Exchange. According to the hypothesis of identity of interests based on agency theory, it is expected that companies with higher managerial ownership, owner controlled firms rather than management control firms and firms with effective corporate governance system have low level of REM. When analyzing REM as a dependent variable, the managerial ownership and ratings of corporate government showed a significant(-) coefficient, and corporate governance type groups had a significant(+) coefficient. When ACFO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corporate types groups showed a significant(+) coefficient. And when APC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corporate ownership and corporate governance system assessment level groups showed significant(-) coefficient, but only corporate governance types group had a significant(+) coefficient. This empirical analysis supports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increase of the managerial ownership, and companies with excellent corporate governance system may have low level of REM as the problem of agency may decrease. However, corporate governance type revealed that owner governance companies have a higher level of REM than manager governance companies, which is contrary to the anticipation.

      • Isotretinoin의 국내 처방 현황과 부작용 예방 프로그램 분석

        민지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727

        본 연구는 2015년 7월에 국내 의약품 리스크 완화 전략 (Risk Evaluation and Mitigation Strategy; REMS)이 도입 됨에 따라 국내 위해 의약품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대책을 촉구하기 위함이다. 미국 REMS대상 의약품 중 Isotretinoin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미국의 REMS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 Isotretinoin 처방 현황은 SAS® 9.4 Software를 사용하였으며 2013년도 HIRA-NP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Isotretinoin의 부작용인 기형아 유발성(최기형성)에 대한 국내 관리현황은 전문가 및 제약회사에 문의하여 파악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총 1583명의 환자 중 여성은 792명으로 전체의 50.03%를 차지했고 이들의 처방전수는 총 1,840건으로 10대와 20대의 비율은 78.75%로 나타났다. 피부과와 非피부과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非피부과에서 Isotretinoin을 처방 받은 환자수가 25.60%나 있었다. 게다가 非피부과 처방전의 경우 피부과 처방전에 비해 평균 처방기간이 길고 처방전당 DDD가 높은 것으로 보아 Isotretinoin을 더 쉽게 처방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Isotretinoin을 복용 중이거나 복용 후 30일 이내에 임신한 환자는 3명으로 이 중 1명만 임신을 유지하였다. HIRA-NPS data는 전체 자료의 3%에 해당하는 표본 추출 자료이고 Isotretinoin은 비급여 처방이 많기 때문에 Isotretinoin 복용 중 임신한 실제 환자수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사료된다. 미국에서는 iPLEDGE program(임신 예방 프로그램)에 따라 30일을 초과하는 처방은 불가하다. 그러나 국내 처방전을 살펴보면 전체의 3.75%가 30일을 초과하였다. 30일 이하의 처방전 당 DDD는 8DDD인데 반해 30일 초과 처방의 DDD는 29DDD로 3.63배나 많은 사용량을 보였다. Isotretinoin은 12~17세 소아에는 신중히 투여 해야 한다. 하지만 여성 중 신중투여 대상인 12~17세에선 전체 처방전의 20.71%, 가임기 여성(15~49세)의 Isotretinoin 처방전수는 여성환자 전체의 87.72%에 해당했다. 국내에는 Isotretinoin에 관한 임신 예방 프로그램은 없다. iPLEDGE(미국), Pregnancy Prevention programme(PPP, 유럽) 등과 같은 프로그램의 시행을 서둘러야 한다. 또한 소아나 장기간 Isotretinoin을 복용하는 환자의 관리에 힘써야 한다. 의약품 리스크 완화 전략(REMS) 도입 자체는 매우 환영할 일이다. 하지만 신약과 희귀의약품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하기 때문에 이미 처방이 되고 있는 위해성 의약품에 대한 의약품 리스크 완화 전략(REMS)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Isotretinoin뿐 아니라 다른 위해성 의약품들도 품목별 특징을 충분히 고려하여 의약품 리스크 완화전략(REMS)을 빠른 시일 내에 시행하여야 한다.

      • (A) study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olysomnography of patients visited in snoring and sleep apnea clinic of SNUDH

        김지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91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s defined as a cessation of breathing by repetitive collapse of the upper airway during sleep resulting in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e prevalence is growing and there have been ongoing clinical needs for dentist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anagement of OSA.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olysomnography data of patients who visited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SNUDH) and to suggest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sleep disordered-breathing patients in a dental clinic. Five hundred sixty-two patients who visited the Snoring and Sleep Apnea Clinic of SNUDH were evaluated for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associated comorbidities, age, gender, BMI, neck circumference, and daytime sleepiness and among them 217 patients examined by polysomnography were evaluated for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apnea-hypopnea index (AHI), oxygen saturation levels, and sleep stages. The associations among clinical characteristics, sleep parameters, and positional and REM dependencies of the patients were analyzed. The most common medical comorbidities of the patients were cardiovascular (30.2%), endocrine (10.8%), and respiratory diseases (7.9%). Age (β=0.394), total AHI (β=0.223), and lowest O2 saturation levels (β=0.205)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comorbidities in patients with OSA. Mean O2 saturation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comorbidities. Non-positional OSA patients had higher BMI, longer neck circumferences, more severe AHI values, and lower mean and lowest O2 saturation levels compared to positional OSA patients. Not-REM-related patients were older and had more severe AHI values compared to REM-related patients. Not-REM-related patients have longer duration of stage I sleep and shorter stage II, III, and REM sleep than REM-related pati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sleep stage between positional and non-positional patients. Neck circumference, positional dependency, REM dependency, and percentage of supine posi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verity of OS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AHI value between Korean and US patients, but Korean patients were younger and had lower BMI and smaller neck circumference than US patients.

      • 관계 사건 모델을 이용한 작성 주체 별 온라인 후기 영향력 비교 분석

        최지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73

        소셜 미디어 이용이 활발해지며 온라인 후기가 의사결정에 끼치는 영향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용자들은 자유롭게 후기를 작성하여 대상을 평가하고 서로의 후기를 참고하며 의사결정을 내린다는 점에서 온라인 후기는 이용자들 간의 의사소통의 장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여러 기간에 걸쳐 작성된 후기는 이용자들의 평가와 식당의 인기가 변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는 매체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후기의 재생산 측면에서 후기의 영향력을 평가하고 이용자와 식당의 유형에 따른 반응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9년까지 미국의 온라인 후기 전문 사이트 Yelp.com에 작성된 후기로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Butts (2008) 가 제안한 관계사건모델(Relational Event Model, REM) 로 후기가 이용자에게 받아들여지고 또다른 후기가 작성되는 순환 과정을 연속적으로 관찰하고, 각 네트워크 구성원에 따른 후기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한편 Yelp에서는 모든 이용자가 온라인 후기를 작성할 수 있지만 일부 검증된 이용자에게 엘리트 칭호를 부여하여 더 주목받도록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일련의 후기 재생산 과정에 작성자가 일반 이용자인지 엘리트 이용자인지 이용자의 유형에 따라 기여하는 정도의 차이와 작성된 식당의 운영 기간에 따른 영향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후기 개수가 많을 수록, 평균 평점이 높을 수록, 일반 이용자의 후기 수 대비 엘리트 이용자 후기 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수록 새로운 후기가 등장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오래된 식당과 개업 초기 식당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은 세 가지 연구 기여를 하였다. 첫째로, 실제 온라인 후기 데이터를 네트워크 형태로 재구성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둘째, 기존의 행위자 중심의 질적 연구에서 벗어나 REM으로 종단 분석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용자를 엘리트 이용자와 일반 이용자 집단으로 나누고 식당 역시 오래된 식당과 .개업 초기 식당으로 나누어 두 집단 간의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Online reviews can be seen as a social network where users share thoughts, given that they can freely write reviews and refer to each other's reviews to make a decision. This study constructs the reviewer-restaurant bipartite network and observed changes in users' evaluation and restaurant popularity to analyze dependency between review events. The reviews on Yelp.com over the past twelve years are transformed into a bipartite network consisting of two sets of nodes: reviewers and restaurants. When a consumer leaves a review on a restaurant, an edge is created between the reviewer and the restaurant. As new reviews, reviewers, and restaurants appear, the network evolves. With the Relational Event Model (REM) proposed by Butts (2008), this study evaluates the influence of reviews in terms of reproduction of reviews and compares them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reviewers and restaurants. First, we observe the cyclical process in which users accept reviews and rewrite reviews. Then we analyze the bipartite review network through the relational event model (REM) and distinguish the effect of the target network's previous activity on a future, new review event. In particular, REM is used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an edge creation -a new review occurrence - between a reviewer node and a restaurant node, reflecting past network structures. On the other hand, Yelp allows all users to write online reviews and certifies users as elite. We compare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tribution in a series of review-reproduction processes, depending on the type of user and the restaurant's operational period. As a result, the analysis reconfirms that the restaurant which previously had more reviews and the higher average rating is expected to be reviewed again in the next period at a relatively higher rate. Likewise, an elite user's review and evaluation significantly affect the restaurant's likelihood of being reviewed again. Furthermore, if a restaurant has fewer elite user reviews than the overall reviews, more reviewers are likely to review again in that restaurant. Such a tendency to follow elite users and write an additional review becomes more prominent in restaurants in an early stage. This paper makes three research contributions. First, we enabled the network analysis by reconstructing a bipartite reviewer-restaurant network from real-world online review data. Second, we initiated to analyze networks with REM, deviating from traditional actor-oriented qualitative studies. Lastly, we differentiated restaurants and users into different categories and compared the response.

      • 미세먼지가 태양광발전에 미치는 영향

        김병관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29

        이 논문은 미세먼지가 태양광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에 대한 메스컴 등의 보도가 많아짐으로서 태양광발전설비를 보유한 곳에서는 미세먼지에 대한 현재 및 향후의 예보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소형태양발전의 경우는 태양광발전의 가동상태 및 발전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모니터링시스템을 구비하지 못하는 곳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일단 태양광설비가 구축된 후에는 수동적으로 태양광설비의 가동현황 및 발전량을 수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더구나 태양광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각종 센서를 부착하는 경우는 더욱 드물다. 능동적으로 태양광발전을 개선시킬 수 있는 유지보수 및 사후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분석대상은 한국에너지공단에서 제공하는 신재생에너지모니터링시스템(REMS)를 통해 발전량 및 가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충청북도내 노인복지시설에 설치된 3kW급 소형태양광 발전시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에서 태양광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조건을 파악하기 위해서 청주기상지청 인근의 시설을 대상 범위를 축소하였다. 또한 미세먼지가 태양광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청주시내 송정동 측정소 인근의 시설로 축소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분석기간 중 설비의 고장 및 결측데이터가 적은 청주기상대와 대기오염 송정측정소로부터 반경 2.5km이내의 4곳의 태양광설비를 최종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사용한 데이터는 태양광설비의 발전량 데이터, 일사량 데이터, 강수량 데이터보, 미세먼지 데이터이다. 발전량 데이터는 대상 노인복지시설의 태양광설비의 정보를 취합하는 한국에너지공단에서 운영하는 REMS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일사량(수평면일사량)과 강수량 정보는 청주기상지청에서 종관기상관측장비로 수집한 데이터를 기상자료개방포털을 통해 이용하였다. 미세먼지 데이터는 청주기상지청과 최인근에 있는 송정동 대기오염측정소에서 측정한 미세먼지(PM10)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발전량-일사량-강수량-미세먼지 데이터는 일(day) 단위로 취합하여 연계하여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기간을 전 기간(2019년 1월 1일∼ 11월30일)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미세먼지와 일사량은 매우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발전량과는 상관관계나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은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이상인 PM10 61㎍/㎥이상 경우에는 일사량과의 ‘음’의 상관관계가 커지고, 태양광발전량에도 약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강수량을 고려하여 미세먼지의 영향을 고려한 결과 미세먼지와 일사량의 ‘음’의 상관관계가 더 커지고, 미세먼지와 발전량과의 ‘음’의 상관관계도 더 크게 나타났다. As the supply of photovoltaic power increases, the importance of photovoltaic forecasting becomes more important. In this study, using the data form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Korea Energy Agency(KEA), and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KMO) ; Irradiation and precipitation form KMA of Cheongju brench office, fine dust(PM10) form KMO of Songjeong-dong station, and power generation output of 3kWp photovoltaic system from REMS(Renewable Energy Monitoring system) in KEA which were four senior center with 3kWp photovoltaic system within 2.5 km radius around the KMA of Cheongju brench office and KMO of Songjeong-dong station. The analysis period is from January 1, 2019 to November 30, 2019 and the analysis used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 analysis. The charaterristics of the analysis target area are as follows. They were installed in open areas outside the city and near to the small city park. They used same model of photovoltaic modules and invertor, and installed in the ssame way. The power generation of photovoltaic systems were higher then that of the general. There are a weak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M10 and irradiation but no correlation between PM10 and power generation. If the concentration of PM10 is limited to 61㎍/㎥ or more, weak 'negative' correlation increased between PM10 and irradiation and there are weak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M10 and power generation. The day after rain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M10 and irradiation and between PM10 and power generation were stronger. When weather forecasting 'bad', PM10 is 61㎍/㎥ or more, and 'very bad', PM10 is 151㎍/㎥ or more, PM10 reduces irradiation, contaminates photovoltaic modules, and consequently reduces solar power generation. There is Fine dust(PM10) to consider when making a forecast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