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ocal governments’accountability and public trust in Nepal

        Narayan Aryal Graduate School of Government, Business, and Entre 2021 국내석사

        RANK : 232446

        정부에 대한 시민의 신뢰는 정부 기관의 효과적인 기능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민주적 거버넌스의 정당성과 효과성을 높이고 시민들 간의 협력을 촉진합니다.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정치 조직에 대한 대중의 신뢰는 선진국과 개발 도상국 모두에서 적어도 지난 30 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정부에 대한 대중의 신뢰가 전 세계적으로 핵심 관심사로 남아 있기 때문에 개혁 전략은 공공 부문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한 의제에 의해 주도되었습니다. 책임 강화에 대한 추구는 최근 수십 년 동안 공공 부문 개혁의 원동력이었습니다. 탈 중앙화 기반의 대중 참여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 수준에서 신뢰가 가장 높은 경향이 있다는 사실에 의지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개혁의 주요 추세가 되었습니다. 신뢰는 정부에게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 정부가 그들의 행동과 정책을 통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입니다. 정부에 대한 시민의 신뢰는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개발 도상국에서 중요한 신뢰의 동인을 파악하는 데 필요합니다. 성능 및 문화 이론은 대중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측면을 탐구하기 위해 현대 연구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이 연구는 Koppell (2005)의 책임 모델을 적용하여 투명성, 결과에 대한 시민의 책임에 대한 대응 성, 규칙 지향적 책임 및 통제 가능성을 포함하는 다각적인 공공 책임을 개념화합니다. 책임감은 일반적으로 대중의 신뢰를 유지하는 데 기능적으로 기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네팔의 맥락에서 대중 참여의 중재 효과를 통해 책임 성과 대중 신뢰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입니다. 대중 참여의 중재 효과를 통해 책임과 대중의 신뢰 사이의 관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분석 프레임 워크가 개발되었습니다. 가설을 실증적으로 테스트하기 위해 네팔의 3 개 지방 정부에서 두 개의 다른 지방에 있는 횡단면 (우편)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598 개의 분산 설문 조사 중 총 504 개의 응답이 반환되어 84.8 %의 응답률을 기록했습니다. 다중 회귀 분석을 기반으로 한 결과는 책임과 공공 신뢰 사이의 인과 관계를 확인했습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명성, 대응성 및 대중 참여의 구성과 관련된 데이터는 네팔에 대한 대중의 신뢰에 대한 중요한 예측 요인으로 밝혀졌지만 책임은 중요한 예측 요인이 아닙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부에 대한 신뢰는 정부의 성과와 네팔 사람들의 문화적 측면 모두에 달려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성과 측면이 더 영향력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 결과는 이론적 및 실제적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인식 된 대중 참여의 조절 효과를 추가하여 진행중인 문헌의 '성과-신뢰 모델'에 기여합니다. 또한 중앙, 지방 및 가장 중요한 지방 정부의 다양한 행위자가 프로세스, 프로그램, 계획 및 진행 과정에서 보다 투명하고, 공공의 요구와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응답하고, 정책 결정 및 의사 결정에 참여하여, 대중의 신뢰를 유지하고 회복합니다. Citizens’ trust in government is sin qua non for effective functioning of government institutions. Despite its importance, public trust in government and political organizations is in continuous decline for at least last three decades in both advanced and developing countries. Since public trust in government has remained an issue of core concern around the globe, reform strategies have been driven by agendas to increase trust in public sector. Decentralization-based public participation has become the major trend of reform all around the world by resorting on the fact that trust tend to be highest at local level, where services are delivered. Trust is not something that just happens to government, but something that government can influence through their actions and policies. Performance and cultural theories are used widely in the contemporary research to explore the aspects influencing public trust. This study applies accountability model of Koppell (2005) to conceptualize multifaceted public accountability, encompassing transparency, responsiveness to citizens’ liability about consequences, rule-oriented responsibility, and controllability. In this backdro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ountability and public trust through the moderation effect of public participation in the context of Nepal. An analytical framework enabl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countability and public trust through the moderation effect of public participation was developed. To test the hypothesis empirically, a cross-sectional (mail) survey was conducted in three local governments of Nepal from two different provinc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results confirm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ccountability and public trust. More specifically, data relating to the constructs of transparency, responsiveness and public participa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public trust in Nepal while liability and responsibility were not significant predictors. Findings suggest that trust in government were dependent on both governments’ performance and cultural aspects of people in Nepal. However, performance aspects were found to be more influential. The findings hav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performance-trust model’ of ongoing literature by ad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public participation. Also, it recommends different actors in central, provincial, and most importantly, in local government to be more transparent in process, program, plan and progress, responsive in fulfilling public needs and demands, and participative in policy making and decision making to generate, maintain and restore public trust.

      • 한국인의 사회이동가능성 인식과 신뢰 : 대인신뢰와 공적신뢰를 중심으로

        이두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442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trust and public trust on Koreans' perceptions of social mobility. Previous literatures have analyzed that an individual's social mobility experience and judgment on economic opportunity structure affect the formation of social mobility perception. This studies interpreted the gap between objective mobility and subjective mobility perception as a result of cognitive bias, lack of information, or political attitudes. However, discussions on social opportunity structures including various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civil society and the public sector have been overlooked in their studies. In the context of growing concerns about economic inequality and the adhesion of hierarchical structures in Korea,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members of civil society, trust in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resource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social mobility perception.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trust and public trust on Koreans' perception of social mobility through OLS and 2SLS regression analysis with interaction terms using the 2019 Social Integration Survey data in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rough an exploratory major factor analysis on institutional trust, public trust was divided into 'government sector institutional trust' and 'private sector institutional trust' to examine the effect of trust in each sector on the perception of social mobility. Generalized trust was measured as the radius of trust, which was estimated by a fixed-intercept multi-layer model. Furthermore, given the possibility that public trust and interpersonal trust may influence each other, analysis included an interaction term between public trust and interpersonal trust. It was found that interpersonal trust and public trus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mobility perception. First, interpersonal trus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social mobility even if the level of public trust is not guaranteed. Second, public trus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mobility perception only when trust in different sectors must be guaranteed over a certain level: nearly the mean. When trust in institutions in the private sector is very low or trust in government institutions is very low, public trust in either the private sector and the government does not by itself increase the social mobility perception. Third, the effect of interpersonal trust was affected by trust in private institutions, but occurred independently of trust in government institutions. When trust in private institutions is high, the effect of personal trust on increasing mobility prospects increases, but the degree of trust in government institutions does not change the effect of interpersonal trust.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paper have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social mobility perception of Koreans. First, trust in people and institutions are important. Second, the effect of trust on the mobility perception is complementary between different types of trust. Third, trust in civil society members and the private sector has a more universal effect than trust in government. The hope for upward mobility of Koreans is related to the trust structure of Koreans, which is characterized by low trust in government and high trust in a narrow radius of trust. 이 연구는 한국인의 사회이동가능성 인식에 대한 대인신뢰와 공적신뢰의 효과에 대해 논의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개인의 계층이동 경험과 경제적 기회구조에 대한 판단이 사회이동가능성 인식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해왔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은 객관적 이동가능성과 주관적 이동가능성 인식의 괴리를 인지적 편향이나 정보의 부족의 결과 내지는 정치적 태도에 종속되는 것으로 해석해왔다. 그 과정에서 시민사회와 공공영역의 다양한 제도적‧환경적 요인을 포함하는 사회적 기회구조에 대한 논의는 간과되어 왔다. 한국에서 경제적 불평등과 계층구조의 고착화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고는 시민사회의 구성원에 대한 신뢰, 공공영역과 민간영역의 조직적‧제도적 자원에 대한 신뢰와 사회이동가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를 제기한다. 본고는 2019년 한국행정연구원의 사회통합실태조사를 사용하여 상호작용항을 포함한 OLS 회귀분석과 도구변수를 포함한 2SLS 회귀분석을 통해 한국인의 사회이동가능성 인식에 대한 일반신뢰와 공적신뢰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기관신뢰에 대한 탐색적 주요인분석을 통해 공적신뢰를 ‘정부영역 기관신뢰’와 ‘민간영역 기관신뢰’로 대별하여 두 영역의 기관신뢰가 사회이동가능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폈다. 일반신뢰는 고정절편 다층모형을 활용하여, 한국인의 신뢰의 반경을 측정해 독립변수로 활용하였다. 나아가 공적신뢰와 대인신뢰가 서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고려하여, 공적신뢰와 대인신뢰의 상호작용항을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대인신뢰와 공적신뢰는 사회이동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대인신뢰는 공적신뢰 수준이 보장되지 않아도 사회이동가능성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공적신뢰는 서로 다른 영역의 기관신뢰가 일정 수준 이상 보장되어야지만 사회이동가능성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민간영역의 기관에 대한 신뢰가 매우 낮거나 정부기관에 대한 신뢰가 매우 낮은 경우, 민간과 정부 어느 한 영역의 공적신뢰는 그 자체로 사회이동가능성 인식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셋째, 대인신뢰의 효과는 민간기관 신뢰에는 영향을 받지만, 정부기관 신뢰와는 독립적으로 발생했다. 민간기관에 대한 신뢰가 높을 때 대인신뢰가 이동가능성 전망을 높이는 효과가 증가하지만, 정부기관에 대한 신뢰의 정도는 대인신뢰의 효과를 변화시키지 않았다. 논문의 분석결과는 한국인의 사회이동 전망에 대해 몇 가지 함의를 갖는다. 첫째, 사람과 기관에 대한 신뢰는 중요하다. 둘째, 신뢰가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다른 신뢰 유형 간에 보완적이다. 셋째, 시민사회 구성원과 민간영역에 대한 신뢰는 정부신뢰보다 보편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국인의 사회이동에 대한 전망은, 낮은 정부신뢰와 좁은 신뢰의 반경에 대한 높은 신뢰를 특징으로 하는 한국인의 신뢰 구조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청소년지도자의 직무특성 인식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상사신뢰,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서영옥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34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variables of youth workers' job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 key human resource that supports balanced growth of youth, and to verify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such as supervisor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intended to enhance the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youth workers in public youth cent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youth workers at public youth centers nationwide, and 506 copies were collected using the online survey system. With the exception of two unfaithful responses, 435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69 responses to the head of the Facility, considering that one of the parameters was trust in the Supervisor.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Jamovi 2.3, and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were verified using Process Macro model 6.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based on the 95% confidence interval in the bootstrapping(5,000 time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direct effect, total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of the research model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following is specifically examined. First, the direct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addition, the direct effect of supervisor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on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job characteristics, supervisor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of youth workers,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means identification with psychological attachment to the organization.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supervisor tru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 trust was verified. This means that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increases as youth workers increase their trust in their superiors along with their awareness of job characteristics.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organizational tru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was verified. This means that as youth workers increase their awareness of job characteristics and trust in the organization,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increases. Fourth, the indirect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 sequenti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ving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These results show that youth workers' perception of job characteristics strengthens supervisor trust, which further enhances organizational trust and further strengthens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indirect effects, the value of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was greater than the value of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 trust. This means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more effective when improving supervisor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at the same time than just improving supervisor trust. As a way to strengthe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youth workers in public youth centers,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rust in the supervisor and organization along with the perception of youth workers' job characteristics.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균형 있는 성장을 지원하는 핵심적 인적자원인 청소년지도자의 직무특성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변인을 고찰하고, 두 변인 간 영향 관계에서 상사신뢰, 조직신뢰 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공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지도자들의 정서적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전국 공공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지도자로, 온라인 설문시스템을 활용하여 506부를 회수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 2부와 매개변인 중 하나가 상사신뢰인 점을 고려하여, 시설장(센터장)으로 응답한 69부는 제외하고 43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Jamovi 2.3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 model 6을 활용하여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등을 검증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부트스트래핑(5,000회) 방법에 95% 신뢰구간을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모형의 간접효과, 총간접효과, 총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특성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상사신뢰와 조직신뢰가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직접효과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지도자의 직무특성, 상사신뢰, 조직신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질수록 조직에 대한 심리적 애착과 동일시를 뜻하는 정서적 조직몰입의 수준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둘째, 직무특성이 상사신뢰를 거쳐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상사신뢰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청소년지도자가 직무특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상사에 대한 신뢰가 증가하면 정서적 조직몰입도 증가된다는 것이다. 셋째, 직무특성이 조직신뢰를 거쳐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조직신뢰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청소년지도자가 직무특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조직에 대한 신뢰가 증가하면, 정서적 조직몰입도 증가된다는 것이다. 넷째, 직무특성이 상사신뢰와 조직신뢰의 순차적인 인과관계를 거쳐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상사신뢰와 조직신뢰의 이중매개효과가 증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지도자의 직무특성 인식이 상사신뢰를 강화시키고, 이는 조직신뢰를 더욱 높여 정서적 조직몰입을 더욱 강화시킨다는 것이다. 한편, 간접효과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사신뢰 및 조직신뢰의 이중매개 효과 값이 상사신뢰의 매개효과 값보다 컸다. 이는 직무특성과 정서적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상사신뢰만 향상시키는 것보다 상사신뢰와 조직신뢰를 동시에 향상시킬 때 더욱 효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공공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지도자의 조직몰입을 강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청소년지도자의 직무특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상사에 대한 신뢰와 조직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The) citizen-centric e-government evaluation for Senegal : a public value construct model

        Ndione, Adama Sungkyunkwan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32332

        Given the substantive efforts that the public sector has been making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ICT for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e-Government channels to improve interactions with citizens, there is increasing need and interest in determining whether these investments are paying-off, and whether there is any need to check how citizens are perceiving the services provided to them over the time. In the context of Senegal for example, most of e-Government implementing measures are diverse and are taken in an almost random and disarticulated way, without any consistent evaluation hitherto. In addition to that, Information Systems through which Government implements e-Government projects generally have various and diverse effects with their outcomes, on citizens. This necessity arouses from the context of finding out if the goals of public value creation are liable to be reached in the long run. Considering this context, this paper more specifically analyzed, on the one hand, what is the perception of citizens regarding e-Government, to help public administrators have adequate responses to people’s demand in terms of designing new and more appropriate services fitting their needs, for their satisfaction and welfare, and ultimately their happiness. On the other hand, the paper tried to find out how to provide a clear roadmap which is liable to help bureaucracy find the best policies and strategies for taking decisions and designing e-services for citizens. Survey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statistical data from 300 Senegalese citizens from the 14 regions of the country, to empirically test their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and practicability of e-services used over the past 12 months in terms of value creation, their attitudes towards theses services provided by Government, their expectations, their assumptions about their relevance, motivation for using them, and how satisfied and happy they are with those services. The study used SPSS and SEM analysis via AMOS. The preliminary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complicated Information Systems decreased their frequency of use and therefore their outcome, and that Government Support was key to build strong Public Value and Net Benefits. Results showed also that citizens from different regions of the country have diverse conceptions about the services provided to them, even though most of the surveyed are expecting a lot of improvements mainly in the ease of use of the system, the quality of the internet access, the time and cost of the services, and a more diversified panel of e-services.

      • Making Open Data Work for You: A Participatory Governance Perspective in Bicol Region, Philippines

        Allen Roy Olea Prila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298

        Looking at the perspective of a developing country such as the Philippin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ynamics of open government data within the local government context particularly on the Civil Society Organizations' role in participatory governance. Analyzing and evaluating selected cities—Naga City (53.75/100), Iriga City (37.5/100), and Legazpi City (26.88/100)—showed varied degree of openness scores. Although Local Government Units (LGUs) excel in data availability and timeliness, usability and machine readability remain lacking. LGU online platforms are limited to only serving as an information dissemination medium, however, require innovation along data and information sharing, and knowledge generation. Statistical analysis supported the hypotheses of this paper, affirming that higher data openness correlates significantly with increased Civil Society Organization (CSO) participation and the reinforcement of the perception of public trust (p-values ≤ 0.002). The result inferred that higher openness strongly influences and directs the increase in participation and the improvement of perceived trust.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open data in reinforcing democratic values and highlights the need for improved mechanisms such as policies, infrastructures, and capacity building for effective public engagement in local governance. Further, this study advocates and supplements the continuous longitudinal research to establish the enduring relationship between trust, participation, and open data, and addressing knowledge gaps. Also, emphasizing on the dynamics of local governments—an area often overlooked in prior studies, this paper provides innovative ideas for replication and highligh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ance influenced by local actors personified through the CSOs. Lastly, shedding light on the underexplored role of CSOs as partners in local governance, the findings in this paper reveal how their engagement with open data reinforces their capacity for involvement. Finally, this paper highlighted the need for updated national strategies and polici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infrastructure in successful open data initiatives. Recommendations include updating of national strategic plans, passing the Freedom of Information Bill, and enhanc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frastructures. At the local level, suggestions involve the adoption of a context-based open government data strategic plan, expanding the utility of LGU websites as open data medium, and capacity development for CSOs. The Department of the Interior and Local Government (DILG) with its role in empowering CSOs and promoting transparent governance, requires interventions such as open data integration, local performance assessment enhancement,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Governance Research Center (LGRC) to facilitate collaboration and knowledge exchange.

      • 유튜브 정치 동영상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연령과 정치성향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안이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49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political videos on Youtube have on its users. To start with, for motivation for watching Youtube political videos, ‘seeking political information’, ‘convenience of media usage’, ‘pleasure of political wry’, and ‘rest and habit’ were deduced. Among these, ‘seeking political information’ and ‘convenience of media usage’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atching political videos. The effect watching Youtube political videos has on users has been examined, and watching Youtube political videos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olitical attitude polarization of user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addition, individuals’ political attitude polarization and public trust were having significant effects on political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moderation effect, Age has shown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only on the effect watching Youtube political videos has on public trust. This study is relevant as it looked into what values Youtube political videos should pursue by exploring motivation for watching Youtube political videos. Also, it is meaningful as it empirically verified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watching political videos has on users and raised the necessity for social and institutional discussion on Youtube political videos. 본 연구는 유튜브 정치 동영상의 시청 동기를 살펴보고, 유튜브 정치 동영상 시청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긍·부정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튜브 정치 동영상 시청이 이용자의 정치적 태도극화, 공적신뢰,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연령과 정치 성향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튜브 정치 동영상 시청 동기는 ‘정치정보추구’, ‘매체편리성’, ‘정치풍자오락성’, ‘휴식 및 습관’으로 도출되었으며, ‘정치정보추구’와 ‘매체편리성’ 동기가 유튜브 정치 동영상 시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 정치 동영상 시청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치 동영상 시청은 이용자의 정치적 태도극화와 정치참여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개인의 정치적 태도극화와 공적신뢰는 모두 정치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의 조절 효과 검증 결과, 유튜브 정치 동영상 시청이 공적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만 연령이 유의미한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치 성향의 경우, 유튜브 정치 동영상 시청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모든 영향에서 조절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유튜브 정치 동영상 시청 동기를 탐색하여 유튜브 정치 동영상이 추구해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정치 동영상 시청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긍·부정적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유튜브 정치 동영상에 대한 사회적·제도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고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교회 이미지마케팅에 대한 연구

        정은표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248

        기독교가 이 땅에 들어 온 후 100여 년 동안 이 나라의 전반에 걸쳐 지대한 공헌을 해왔다. 그러나 1990년대 하반기에 들어서면서 교회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내보이기 시작했다. 그것은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난 교회에 대한 불신이다. 이로 인해 한국교회의 성장은 이미 멈추거나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상을 야기한 한국교회의 문제 중 가장 큰 원인을 ‘사회 공신력 상실’이라고 본다. 사회에서 예수님의 사랑을 증거 해야 할 교회가 사회로부터 외면을 당하고 있는 것이다. 아니 싫어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불편한 존재로까지 여겨지고 있다. 다른 말로 하면 교회의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사회에 비쳐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교회는 사회에 비쳐지는 교회의 이미지를 갱신할 필요가 있다. 그것을 위해 이미지마케팅이라는 경제학적 이론을 교회에 도입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교회 이미지마케팅이란 무엇인가. 이미지마케팅이란 마케팅을 함에 있어 단지 지금 가지고 있는 나의 품목을 파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기업이나 제품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끌어올리는 작업을 말한다. 그로인해 기업의 전체 제품에 대한 매출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교회 이미지마케팅도 마찬가지다. ‘사회 공신력 상실’이라는 사회가 교회에 대하여 부정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현실에서 사회가 가지고 있는 교회에 대한 이미지를 긍정적인 것으로 끌어올리고자 하는 것이 교회 이미지마케팅의 목적이다. 교회 이미지마케팅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지역사회에 대한 리서치가 이루어져야하며, 대상이 설정되어야 하고, 교회가 가지고 있는 자원을 살펴봐야 하며, 교회에서 가지고 나아갈 이미지를 선정해야 한다. 이러한 것들이 이루어진 이후에야 교회의 이미지마케팅을 실행될 수 있다. 삼일교회의 ‘청년 교회’라는 이미지는 청년들이 가지고 있던 고리타분하고 재미없는 곳이라는 교회의 이미지를 깨뜨리고 청년들을 교회로 끌어들였다. 광염 교회의 ‘봉사하는 교회’라는 이미지는 사람들로 하여금 교회를 긍정적인 곳으로 생각하게끔 해 주었다. 새 안산 교회의 ‘열린 교회’의 이미지는 교회의 문이 세상을 향해 열려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은 교회의 이미지는 선전하는 것이 하니라 실천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Christianity has contributed to this country tremendously in general for about 100 years since it was brought into this land. However, from the latter period of the 1990’s, it began to expose some problems. That is the very disbelief in church which is spread in all areas of this society. Because of this, the growth of Korean church has already stopped or decreased. The biggest reason that has brought about this phenomenon among the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can be said to be the ‘loss of the society’s public trust’. The church which needs to verify the Jesus’s love in a society is neglected from it. That is not just the people’s dislike to church but their regarding of it as an inconvenient presence. In other words, the image of church is reflected in this society negatively. In this reality, the church need to renew its image reflected in the society. Therefore, image-marketing, a theory of economics, needs to be introduced to the church. Then what is the image-marketing for church? Image-marketing means to enhance the image of a company or product, not to sell the products one has as one does the marketing. Based on this, one can raise the sales of the company’s general products. It is applied to the image-marketing for church in the same way. The purpose of the image-marketing for church is to improve the image that the society has about church in the reality where the society has a negative image about church that undergoes the ‘loss of public trust’. There are several things to be preceded for church’s image-marketing. One should research the local society, select the subject, check the resources of church, and select the image that church should have afterwards. Church’s image-marketing can be done after all these things are performed. The image of the Samil Church, ‘an adolescent church’ broke the preexisted image that the young had about church, a boring and uninteresting place and attracted them into church. The image of the Gwangyeom Church, ‘a serving church’ has allowed people to think church as a positive place. The image of the New Ansan Church, ‘an open church’ shows us that a church’s door is always open to the world. However, one thing we should remember is that the church’s image is not for publicizing but for practicing.

      • E-Participation Intention in Mongolia : Focusing on the Effect of Trust, Red Tape,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BURMAA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218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enabled high-tech tools to connect governments, citizens, and businesses, improving efficiency and democracy. This transformation has led to an increased level of civic engagement, regardless of time and location, allowing citizens to provide valuable feedback on decision-making, collaborate on policy development, monitor progress and performance of policy implementation, access government information, and voice their concerns with unprecedented ease and convenience in developed countries. Mongolia aims to utilize e- governance to improve citizen engagement and public service delivery. It'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e-participation intentions.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interaction of e-participation intention among three vital determinants, namely trust in government, red tape,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within the Mongolian context. It sheds light on the intricacies of e-participation in this distinct socio-political landscape.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ituation of e- participation in Mongolia and clarify citizens’ intention of online participation and recommend further development suggestion towards e-participation. This research conducted in Mongolia, employs a quantitative method that includes a primary survey questionnaire and secondary resources. The study aims to explore how trust in government, red tape,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affect an individual's e-participation intention. The research not only examines direct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but also tests several mediation relation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with bias- corrected confidence estimates. In particular, the study tested the mediating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of red tape and e-participation inten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SM between the association of trust and e-participation intention. Moreover, mediating effect of PSM between certain demographic variables and e-participation intention examined. The survey method was stratified and conducted with 354 general citizens from rural and urban areas of Mongolia. To address the research objectives and major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sets the eight hypothe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ested all paths and ANOVA examined demographic variables and endogenous variables associ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d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association with e-participation intention. Similarly, trust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e-participation intention, but red tape has a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e- participation intention. Additionally,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employment status, easy access of internet, and gender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PSM, whereas location, and age had nega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PSM. According to our data analysis, citizens are more likely to use online platforms or applications to receive public services, and less likely to give feedback, discussion, and vote. The results of study demonstrated that reducing red tape, increasing PSM and increased trust in government lead to higher level of e-participation intention in Mongolia. 4차 산업 혁명은 정부, 시민, 기업을 연결할 수 있는 기술적 혁신을 통해 결국 정부의 효율성과 사회의 민주주의에 기여한다. 전자 거버넌스로 대표되는 이러한 기술 변화로 인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시민 참여의 수준을 향상시켜 시민들의 의사 결정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피드백을 제공하고, 정책개발을 도우며, 정책집행의 진행과정과 성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정부의 효율성 제고에 기여한다. 또한 정부가 제공하는 정보에 쉽게 접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의견을 개진할 수 있게 하여 결국 민주주의 향상에도 기여한다. 몽골 역시 시민 참여와 공공 서비스 향상을 위해 전자 거버넌스 활용을 강조하고 있으며, 시민들의 온라인 참여는 정부의 정책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몽골의 온라인 참여를 온라인 참여의도에 초점을 두고 레드테이프, 신뢰, 그리고 공공서비스 동기를 주요 결정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몽골이 처한 독특한 사회정치적 지형을 고려하여 온라인 참여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온라인 참여 현황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참여에 대한 시민들의 의도를 밝히고 온라인참여에 대한 발전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몽골의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의 일반 시민 3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을 통해 그 결과를 해석하는 정량적 방법을 채택하였다. 레드테이프, 정부에 대한 신뢰와 공공서비스 동기가 개인의 온라인 참여 의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8개의 가설과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설정하여 모든 경로를 검정하였고, 다양한 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변수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온라인 참여 의도에 대해서 공공서비스 동기와 정부에 대한 신뢰는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레드테이프는 온라인 참여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여부, 인터넷 접근성, 성별 등은 공공서비스 동기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반면, 지역과 연령은 공공서비스 동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민들은 온라인 플랫폼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공공서비스를 제공받을 가능성이 높아진 반면, 피드백이나 토론, 투표를 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몽골에서 시민들의 온라인 참여 의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레드테이프를 줄이고, 공공서비스에 대한 동기를 높이며, 정부에 대한 신뢰를 올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 Public trust in the national assembly of Republic of Korea revisiting trust antecedents

        문연경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2016 국내석사

        RANK : 232159

        Despite the high quality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nation-wide structural reforms to transparency and openness in the Republic of Korea, public trust in National Assembly has scored the lowest level of all public institutions and is still worsening. I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asons of low public trust in National Assembly and distinguishes which trust antecedents have caused the severe public distrust in it. Moreover, based on trust frameworks specifically tailored to current National Assembly,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ree major trust antecedents (Competency, Benevolence, and Integrity) and corresponding trust antecedents in details. Following the 1:1 focus-group interviews and survey results, the effects of trust antecedents on public trust in National Assembly are examined.

      • Does open government data promote public trust? : the case of ISAF monitoring and evaluation database system in Cambodia

        Sela Piseth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3 국내석사

        RANK : 232093

        정보와 통신 기술 (ICT)이 도입된 이래로 여러 국가의 정부는 수많은 자료와 정보를 저장하고 공개하며 시민들과 대중매체가 정보를 수월하게 접하게 하고 정부기관의 활동을 거의 실시간 확인을 할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은 지방정부 업무수행 성과를 평가한 경험이 있는 ‘사회적 책임 프레임워크 모니터링 및 평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실행 (ISAF MEDS)’ 이용자에게서 추출된 자료를 수집했다. 본 논문 연구결과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는 (1)정보 정확성이 보급화 된 이후로, (2)정보 자체가 명확히 기재되고 모든 이들이 정보를 이해 할 수 있게 된 이후로, (3)정부 개방 자료가 사용자에게 상당히 유용 한 것으로 받아들여진 이래로 증가했다는 점이 연구조사 결과에 시사되고 있다.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enabled governments to promote public trust by storing and disclosing numerous data and information, allowing citizens and media to easily access information and check on what government agencies are doing almost in real tim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ransparency of information in open government data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Cambodia can promote public trust on local government. This study was collected data from the users of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Framework Monitoring and Evaluation Database System (ISAF MEDS) who experienced in accessing local government performance results. The finding of the study suggests that trust in local government has increased since (1) accuracy of information is widely published, (2) the information itself is written clearly and comprehensible for everyone, and (3) the usefulness of the open government data system is greatly accepted by the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