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ffects of Metacognitive Scaffolding and Inner Speech on Students’ Metacognition, Flow Experi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in Mobile Technology-Enhanced Interactive Classrooms

        판잉잉 전남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911

        Mobile technology has currently become an integral part of the infrastructure of some schools as one of the promising technologies for facilitating students’ learning. However, due to students’ low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some concerns have been raised that in mobile technology-enhanced classrooms, students can easily be distracted from these digital devices, are unable to manage learning tasks, or lose their direction. Therefore, supporting students with self-regulated learning in a mobile technology-enhanced learning environment has become increasingly crucial. Research and development on promoting effective and sustainable self-regulated learning are especially required for mobile technology-enhanced learning environments. The effectiveness of mobile technology-enhanced classroom center greatly on teachers’ support in appropriate scaffolding and guidance on the learning process. Metacognitive scaffolding (MS)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supports for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Research on MS has typically been conducted at the individual level.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 MS and social MS has rarely been studied at the empirical level. Compared to recent research that focuses on the role of sociality in self-regulated learning, only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 and social MS in mobile technology-enhanced interactive classrooms. Previous studies indicated that learning interventions such as MS primarily aim to effectively enhanc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and promote their learning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MS on students’ metacognition, flow experi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to understand how the different MS support students’ learning at the metacognitive, socioemotional, motivational, and cognitive dimensions. Additionally, the effectiveness of scaffolding can be moderated by inner speech, which is an internalized form of language. Inner speech is a highly influential aspect of Vygotsky’s theory, which serves as a psychological tool that supports and regulates internal mechanisms of thinking. As a product of the higher mental processes, inner speech can facilitate students’ executive control of cognition and behavior. Also, inner speech can play a critical role in language construction and social interaction. Regarding its important role, it is assumed that inner speech can moderate the internalization and utilization of the different scaffold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Few empirical research has validat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inner speech and scaffolding, and an integrated examination of students’ inner speech abilities and MS can provide further insight to facilitate technology-enhanced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tacognitive scaffolds and inner speech on students’ metacognition, self-regulatory efficacy, flow experience, and learning achievement in mobile technology-enhanced interactive classrooms. This study adopted a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 total of 161 eighth-grade students from four intact classes at A junior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 instructional content selected for this study was the quadrilateral unit in Euclidean plane geometry. Each student was equipped with a tablet, and each tablet was installed with the ZHITONGYUN learning system. Four different conditions (social-and-individual MS, social MS, individual MS, and non-MS support)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four groups. The learning sessions that consisted of ten 40-minute classroom lessons were then conducted by a single teacher.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tilizing two-way analysis of covarianc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planned comparisons, and simple comparisons.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S support had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metacognition, flow experi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social MS, individual MS, and social-and-individual MS group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tacognition, self-regulatory 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Second, students who received social MS had better flow experience than those who received individual MS, and the combination of social and individual MS worked best on students’ flow experience. Third,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inner speech abilities demonstrated better metacognition awareness and higher self-regulated efficacy. Fourth, inner speech could moderate the effect of MS on metacognition and self-regulatory efficacy. The findings have shed further light on the application of MS and the functions of inner speech. Ap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모바일 테크놀로지는 높은 교육적 활용가치를 갖고 있으며 현재 일부 학교의 인프라에서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낮은 자기 조절 및 자기 주도 학습 능력으로 인해, 모바일 테크놀로지 지원 상호작용 수업에서 학생들은 이러한 디지털 기기로부터 쉽게 주의 산만을 경험할 수 있고, 학습 과제를 관리할 수 없거나 학습 방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모바일 테크놀로지 지원 학습 환경에서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지원이 필요하고,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모바일 테크놀로지 지원 상호작용 수업의 효율성은 학습 과정에 대한 교사가 제공한 적절한 스캐폴딩에 크게 의존한다. 메타인지 스캐폴딩은 학생들의 자기 조절 학습을 지원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메타인지 스캐폴딩에 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개인 수준에서 수행되어 왔으며, 학습 조절에서 사회적 역할에 대한 현재의 연구 초점에 비해, 사회적 메타인지 스캐폴딩을 조사하고 개인 및 사회적 메타인지 스캐폴딩 효과의 차이를 비교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또한 내적 대화를 중요한 학습자 특성으로 태블릿 지원 학습 환경에서 스캐폴딩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변수로 고려하였다. 내적 대화는 내면화된 형태의 언어로써, 사고의 내부 메커니즘을 지원하고 조절하는 심리적 도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차원적인 사고 과정의 산물인 내적 대화는 학생들의 인지 및 행동에 대한 집행 통제와 조절을 촉진한다. 따라서 내적 대화는 학습과정에서 스캐폴딩의 내면화 및 활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내적 대화와 스캐폴딩 사이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한 실증적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학생들의 내적 대화 능력 및 메타인지 스캐폴딩에 대한 통합 연구는 모바일 기술 지원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더 깊은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테크놀로지 지원 상호작용 수업에서 메타인지 스캐폴딩과 내적 대화가 학생들의 메타인지, 몰입감, 자기조절 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비동등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사용했고, 연구 대상자는 총 161명의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었다. 수업은 한 교사가 기하학의 사각형 부분의 내용을 가르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각 학생에게는 ZHITONGYUN 학습 시스템이 설치된 태블릿이 배치되었다. 4개의 학습조치(사회 및 개인적, 사회적, 개인적 메타인지 스캐폴딩 집단 및 통제 집단)가 4개의 집단에 무작위로 수행되었다. 학습 과정은 총 10회기의 수업으로 구성되었고, 한 회기 수업은 40분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이원공분산분석, 이원분산분석, 계획비교 및 단순비교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인지 스캐폴딩은 학생의 메타인지, 몰입감, 자기조절 효능감,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 개의 실험집단 간에는 메타인지, 자기조절 효능감,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사회적 메타인지 스캐폴딩 집단은 개인적 메타인지 스캐폴딩 집단보다 몰입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및 개인적 메타인지 스캐폴딩을 같이 제공받은 집단의 몰입도가 가장 높았다. 셋째, 높은 수준의 내적 내화 능력을 가진 학습자는 메타인지와 자기조절 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적 대화는 메타인지 및 자기 조절 효능감에 대한 메타인지 스캐폴딩의 효과를 조절한 반면, 몰입감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는 메타인지 스캐폴딩의 향후 적용가능성 및 내적 대화의 기능과 관련하여 더 깊은 통찰력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는 연구의 적용 가능성, 한계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이 제시되었다.

      • 초등학교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학년 내 일반교사의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학년 내 팀-구성원 교환관계,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모바일 메신저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

        정동연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904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SS 26.0 and AMOS 26.0 in 406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at directly affect TMX, work engagement, teacher efficacy, teach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T-OCB), and innovation behavior. In addition,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whether the linkership of grade department head teachers affects T-OCB and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MX,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in the grade, respectively. In addition, we looked at how Mobile Messenger Communication(MMC) uses mobile messengers to control the impact of senior teachers on TMX,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in the grade when they exercise linkership. Finally, it was empirically investigated how MMC controls the impact of linkership on T-OCB and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he mediation of TMX,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in the grade. The detailed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linkership of grade department head teachers had a positive (+) effect on TMX in the grade, work engagement of general teachers in the grade, and teacher efficac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nkership of grade department head teachers, teach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Second, TMX in the same grade,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T-OCB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MX,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completely mediate between the linkership of head teachers and the T-OCB and innovative behavior of general teachers in the same grade.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MMC of the head teacher has an moderating effect when the linkership of the head teacher affects TMX, general teachers’s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in the same grade. Fifth, MMC of grade department head teachers controls the effect of linkership on T-OCB and innovative behavior through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of general teachers in the grade, but MMC has no control effect when it affects teach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MX in the grade. Therefor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linkership of head teacher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T-OCB, innovative behavior of general teachers in the grade, but TMX, job enthusiasm, and teacher efficacy completely mediated the realationship between the linkership of head teachers and T-OCB,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higher the MMC, the greater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inkership of the head teacher on TMX,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in the grade, and that MMC controls the mediating effect when the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mediate between the linkership, T-OCB, and innovative behavior. It is expected that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provided through this study. First, in the school, it was reveal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operly utilize the linkership of head teachers as an important means of securing psychological resourses and establishing an organizational environment to create successful performance for teachers. Specifically, it was discovered that if a head teacher demonstrates linkership well, the quality of TMX in the grade,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in the same grade can be increased.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more mobile messengers were used, the greater the impact of the linkership of head teacher on TMX,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Third, it was revealed that T-OCB and innovative behavior, which are more desperately required in the current school situation, can be increased not only by the linkership of head teachers, but also when both teachers and school organizations try to increase TMX,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Therefore, head teachers in the same grade need to actively use mobile messengers to maximize the effect of linkership,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iled need to prepare practical measures to increase T-OCB and innovative behavior emphasized in the today’s educational field. Since school organization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loosely coupled system, the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is determined by how to connect the competencies of teachers with their own expertise and expand positive relationships. Therefore, grade department head teachers, who are the middle managers of the school organization and the center of the network in elementary schools, need to share the organization's vision and goals with fellow teachers, maintain smooth relationships, and actively exercise linkership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educational activities.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일반교원 406명을 대상으로 SPSS 26.0과 AMOS 26.0을 통해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학년 내 팀-구성원 교환관계(Team-Member Exchange: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 교사 조직시민행동,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학년 내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을 각각 매개로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모바일 메신저 커뮤니케이션(Mobile Messenger Communication: MMC)이 학년부장교사가 링커십을 발휘할 때 학년 내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링커십이 학년 내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의 매개를 통해 교사 조직시민행동,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MMC가 어떻게 조절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실증분석의 세부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은 학년 내 TMX, 학년 내 일반교사의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침이 드러났다. 반면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과 교사 조직시민행동, 혁신행동과의 관계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둘째, 학년 내 TMX, 학년 내 일반교사의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은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년 내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은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과 학년 내 일반교사의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 사이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학년부장교사의 MMC는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학년 내 TMX, 학년 내 일반교사의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때 상호작용 효과를 가진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학년부장교사의 MMC는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학년 내 일반교사의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만, 학년 내 TMX를 매개로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는 MMC의 조절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학년 내 일반교사의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직접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학년 내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과 같은 매개변인들을 통해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를 밝힐 수 있었다. 또한 MMC가 높을수록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학년 내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조절효과를, 학년 내 일반교사의 직무열의와 교사효능감이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과 교사 조직시민행동, 혁신행동 사이를 매개할 때, MMC가 매개효과를 조절함을 실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학교 현장에서는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교사의 성공적 성과 창출을 위한 심리적 구인 확보와 조직 환경 구축에 중요한 수단임을 알고 이를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학년부장교사가 링커십을 잘 발휘한다면 학년 내 교환관계의 질, 동학년 교사들의 직무열의와 교사효능감이 높아져 교사의 자발적·실천적 행동인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이 보다 적극적으로 발휘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학년부장교사의 MMC가 높을수록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이 학년 내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더 커질 수 있으며,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과 학년 내 일반교사의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 사이에서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더 강해질 수 있기에 모바일 메신저를 적절히 활용하여 의사소통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의 학교 상황에서 보다 절실히 요구되는 교사의 자발적 행동인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은 단순히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만으로 증가되는 것이 아니라 교사 개인과 학교 조직 모두 학년 내 TMX, 직무열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고자 노력할 때 증가될 수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년부장교사가 링커십을 발휘하여 오늘날 교육현장에서 강조되는 교사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학년부장교사의 링커십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링커십 발현을 위한 민주적인 학교 조직 분위기가 구축되어야 한다. 학교 조직은 이완조직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자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교사들의 역량을 어떻게 연결하고 긍정적 관계를 어떻게 확장하는지에 따라서 학교 교육의 효과성이 결정된다. 따라서 초등학교 내에서 학교 조직의 중간 관리자이자 네트워크의 중심이 되는 학년부장교사는 동료 교사들과 조직의 비전과 목표를 공유하고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며 교육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제때 제공하는 링커십을 적극 발휘할 필요가 있다.

      • Exploring mobil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 a repertoire approach

        강다영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895

        The ongoing diffusion and growing use of smartphones have located the mobile apps at the center of the media landscape. In the hyper-competitive mobile landscape with an infinite range of choices, users constantly shift between apps. Some users tend to use diverse apps simultaneously, while others choose to use only a select few. In recent years, with the expansion of mobile apps in the marketplace that aim to serve narrower and more specific information needs of users, what we access to obtain information has become of utmost interest to marketers and mobile service providers as much as what we seek and what we do on mobile.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d on the function of mobile apps, namely the native apps and mobile browsers, as sources and intermediaries of information.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current mobil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 repertoire approach was applied, which measures a set of apps in use.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 and a preliminary survey were preceded by the actual survey. The data from the sample of 1,139 Korean mobile users revealed that participants were using an average of 29 apps to seek and obtain information in the 10 given domains of information. In terms of the size of the 10 sub-repertoires, Shopping constituted the largest size of repertoire, followed by News and Entertainment. Then this study looked into the dependence on mobile browsers in terms of mobile information seeking and the composition of top 30 apps ranked by the sum of the frequency of use by app. Lastly, this study identified six demographic and six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may affect the size of repertoir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cross the domain of mobile use behavior, information seeking and media repertoire.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of the demographic factors, gender, education level, mobile communication cost and average daily traveling tim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ize of repertoire. For psychological factors, variety-seeking tendency, hedonic motive of browsing through mobile apps and mobile efficacy were shown to be predictive for the repertoire size. To conclude, this study provides a snapshot of the current mobile environment in line with the long-run research question from traditional media repertoire studies, that is, whether the tremend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media actually leads to the diversification of media use. In addition, the exploratory findings on factors affecting the repertoire size should serve as a baseline understanding for planning future research and mobile marketing strategies.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 기기의 이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모바일은 전체 미디어 이용 환경의 중심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모바일 퍼스트 (mobile-first)’ 시대, 이용자의 정보 탐색 행위(information seeking behavior)를 탐구하는 데 있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의 이용 목록을 의미하는 ‘레퍼토리’를 측정하는 접근법을 도입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한 사전 연구로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을 진행하였으며, 이후 본 조사에서 총 1,139명의 모바일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응답자들은 정보 이용을 목적으로 평균 약 29개의 모바일 앱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10개 정보 분야별 레퍼토리의 크기를 살펴보았을 때 쇼핑과 뉴스, 엔터테인먼트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어 본 연구는 일 주일에 최소 1회 이상 이용하는 모바일 앱의 레퍼토리를 기준으로 이용 빈도를 가중하여 합한 값을 통해 모바일 브라우저(mobile browser)의 이용 의존도를 살펴 보았으며, 개별 앱 단위에서 이용 빈도를 가중한 응답 빈도를 기준으로 상위 30개 순위 앱들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정보 이용을 위해 사용하는 앱 레퍼토리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하기 위해 각 여섯 개의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심리적 변인을 도출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에서는 성별과 교육 수준, 모바일 통신 요금 그리고 일 평균 이동 시간이 정보 탐색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앱 레퍼토리의 크기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변인으로는 다양성 추구 성향과 쾌락 동기, 그리고 모바일 이용 효능감이 레퍼토리의 크기에 대한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모바일 정보 탐색 행동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 잘 다뤄지지 않았던, 정보원(information source)과 정보매개자(infomediary)로서의 개별 모바일 앱의 기능에 주목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이용 가능한 정보원의 다양화가 이용자 관점에서 역시 정보원 이용의 다양화를 야기하는 지에 대한 전통적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의 현상적 연구 문제를 횡단적으로 살펴보고, 이용자 관점에서 예측 변인들을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 (A) conceptualization and index development of mobile connectedness in digitalizing cities

        Piao, Wenling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2 국내박사

        RANK : 2655

        본 연구는 모바일 연결성을 개념화하고 개개인과 모바일 인터넷 간의 관계 품질을 측정하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중국 도시 거주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N = 569).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목표 범위, 스마트폰 목표 강도, 스마트폰 활동 강도, 스마트폰 활동 범위 등 4개 항목으로 모바일 연결성을 구성하였고 통계검증을 통해 모바일 연결성 지표의 신뢰도와 타탕도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모바일 연결성이 스마트폰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도 검증했는데, 모바일 연결성 지표가 높은 집단이 더 높은 스마트폰 자아 효능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활동에 대한 주성분 분석은 스마트폰의 이동성과 공간적 사용이 스마트폰 활동의 핵심적인 차원을 형성함을 보여주며, 모바일 연결성은 개인-모바일 인터넷 관계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기존의 인터넷 연결성과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conceptualize mobile connectedness and develop an index that measures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the mobile Internet.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ith urban residents between 18 and 76 in mainland China (N = 569).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mobile connectedness index—consisting of four items in a single factor, including smartphone goal scope, smartphone goal intensity, smartphone activity intensity, and smartphone activity scope—was valid and reliable. The study also explored the effects of mobile connectedness on smartphone self-efficacy, which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smartphone activity indicates that the smartphone's mobility and spatial use form the vital dimension of smartphone activity, revealing a different characteristic from the previously fixed Internet connectedness, which explains the individual-mobile Internet relationship.

      • 디지털 및 소셜미디어 역량이 개인의 정치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디지털 격차의 조절효과 분석

        강민재 경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653

        As modern society transitions to a hyperconnected society, individuals are suffering in many areas as the digital divide brings differential access to the Internet and new media of certain groups. Meanwhile, as mobile became an important Internet medium, social media secured the position of an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for individuals, and learning and knowledge acquisition through YouTube through digital capabilities, especially mobile capabilities, affected individual information life. This study aims to test whether individuals' digital capabilities and the use of YouTube, a new media, affect individual political attitude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the self-efficacy and digital use of individual digital capabilities. To this end, it primarily tests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gital gap in Korea, that is, whether there is a digital gap according to gender, age, region, urban size, and political orientation, that is, a difference in individual digital capabilities. Next, this digital gap tests whether the use of YouTube, which is available to individuals for digital capabilities and social networks, affects political attitudes and participation through individual digital personal efficacy and mobile us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designed a research model with a path through which mobile capabilities and YouTube use affect political attitudes and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individual digital self-efficacy and mobile use. To this end, nine basic hypotheses, two mediating effect hypotheses, and five moderating effect hypotheses were designed. This study prepared a survey to test the hypothesis designed by the research model and conducted a survey of 200 people nationwide through a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ion. Using the data from the survey, the research model was converted into a structural equation, and the hypothesis was tested using AMOS and SmartPLS.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a digital gap according to some demographic variables in Korea. By region, there was a gap in digital capabilities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the difference according to party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gap in age. The impact of this gap on individual mobile capabilities on political attitude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mobile use was identified. Based on age standar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mobile capabilities and YouTube use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50s and in the 40s and 60s in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political participation. Looking at the areas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the self-efficacy in digital activities was higher in the non-metropolitan area, and the use of YouTube was also higher in the non-metropolitan area.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litical behavior. Based on the size of cities in large cities and small cities, it was found that respondents in large cities were receiving more political influence from mobile use and digital capabilities. Based on political orient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in the impact of YouTube use on mobile use, but there was a high level of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conservatives and moderates, and conservative respondents were more influenced. It turns out that a group with a clear political orientation is influenced by greater political action. From a gender perspective, the impact of mobile activities on political participation was found to be more significantly affected by male respondents, and women were more affected by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self-efficacy gained from mobile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influence of digital competency is greater in men, and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political behavior is greater in women. This means that men are more politically influenced by their high digital capabilities, but the influence of female respondents who have internally gained self-efficacy is high. 현대 사회가 초연결 사회로 전환되면서, 디지털 격차가 특정 집단의 인터넷과 뉴미디어에 대한 차등적 접근을 가지고 옴에 따라 개인들이 많은 분야에서 피해를 보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모바일이 중요한 인터넷 매체가 되면서 소셜미디어가 개인에게 중요한 정보원의 위치를 확보하게 되고, 디지털 역량, 특히 모바일 활용역량을 통해 유튜브를 사용한 학습과 지식획득이 개인의 정보 생활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본 연구는 개인의 디지털 역량과 소셜미디어 역량인 뉴미디어의 유튜브 사용이 개인의 정보 생활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관점에서, 개인의 디지털 역량이 자기효능감과 모바일 사용을 통해, 개인의 정치적 태도와 정치 참여에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검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유의한 디지털 격차가 존재하는가를 선행연구들이 사용하고 있는 인구통계학적 요인, 즉, 성별, 연령, 지역, 도시규모, 그리고 정치성향에 따른 디지털 격차, 즉, 개인의 디지털 역량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검정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디지털 격차가 개인들의 디지털 역량과 소셜네트워크에 이용할 수 있는 유튜브 사용이 개인의 디지털 자기효능감과 모바일 사용을 통해 정치적 태도와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정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디지털 역량, 유튜브 사용이 개인의 디지털 자기효능감과 모바일 사용을 매개로 정치적 태도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경로를 가진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9개의 기본가설과 2개의 매개효과 가설, 그리고 5개 조절효과 가설을 설계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모형이 설계한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설문을 작성하고 전문조사기관을 통해 전국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구조방정식으로 전환하여, AMOS와 SmartPLS를 이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일부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디지털 격차가 존재함을 밝혔다. 지역별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에 디지털 역량의 격차가 있었고, 정당참여 여부에 따른 차이도 유의했으며, 연령에도 유의한 격차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격차가 개인의 디지털 역량이 모바일 사용을 통해 정치적 태도와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령을 기준을 볼 때, 디지털 역량과 유튜브 사용이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50대에서는 자기효능감이 정치참여 영향에 있어 40대와 60대에 대해 유의차를 보이고 있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역을 볼 때, 디지털 활동에 있어 자기효능감이 비수도권이 더 높게 나타났고, 유튜브 이용도 비수도권이 높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정치적 행동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도시와 소도시의 도시규모별 기준으로 볼 때, 대도시 응답자들이 모바일 사용과 디지털 역량으로부터 더 많은 정치적 영향을 받고 있음이 나타났다. 정치 성향을 기준으로 볼 때, 유튜브 사용이 모바일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보수와 진보 간에는 유의차가 없지만, 보수와 중도 간에는 높은 수준의 유의차가 발생하여, 보수 응답자가 더 높은 영향력을 받고 있었다. 정치적 성향이 분명한 집단에서 더 큰 정치적 행동에 영향을 받고 있음이 밝혀졌다. 성별의 관점에서 보면, 모바일 활용역량이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남성 응답자의 경우가 더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의 경우는 모바일 활용역량에서 얻은 자기효능감을 통해 정치적 참여에 더 영향을 받고 있음이 나타났다. 즉, 디지털 역량이 미치는 영향력은 남성의 경우에 더 크며, 자기효능감이 정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에게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적으로 남성이 디지털 역량이 높아서 정치적 영향을 더 받고 있지만, 내부적으로 자기효능감을 얻은 여성 응답자의 정치적 영향력이 높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 모바일 뱅킹서비스의 자기효능감, 조절초점이 지각된 가치와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양진석 창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63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self-efficacy and regulatory focus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credibility and behavioral intention of mobile banking service. Data were collected for adults over 20 years of age who have used mobile banking services directl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value, mediation effects were analyzed using phantom variabl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in perceived value of mobile banking service, and perceived credibility is rejected. Second, Prevention focu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perceived credibility of mobile banking services,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were rejected. Third, Promotion focus was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all three perceived values of mobile banking services. Fourth,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on behavioral intentions is also positive(+). This suggests that perceived valu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in using mobile banking. Fifth,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behavioral intention were significant,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redibility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motion focus and behavioral intention However,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ease of u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ease of u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motion focus and behavioral intention did not appear.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 and improve mobile banking by providing useful fundamentals to marketers or managers interested in mobile banking services.

      • (The) Influence of Social Class Transition on Dominance-Oriented Leadership

        Ren, Xiaoke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620

        Social class is a reflection of an individual's mental representation of their attributes, including social roles, relationships, behavioral tendencies, and goals, which are influenced by the amount of material resources they possess. While previous research has predominantly viewed social class as static, recent scholars have advocated for a more dynamic approach, highlighting that different social class transitions can produce unique psychology, thoughts, and behaviors that differ from static findings. Moreover, leadership development theor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ime and context, including an individual's upbringing, education, peer groups, workplace, and community. Social class shapes people's motivation to attain high social status and exert social influence, which can manifest in different leadership orientatio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trajectory of transitioning from one social class to another influences leadership while also explor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behind social class transitions. By taking a dynamic approach to social class and considering the contextual factors that shape leadership development, this research offers a fresh perspective on the impact of social class on leadership. To validate the purpose of our study, this study conducted a comprehensive questionnaire survey on 225 leaders from 22 regions and 14 occupational categories in China.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advanced statistical tools like SPSS and Mpl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ree distinct social class transition trajectories, including stationary social class, upward mobility social class, and downward mobility social class. Interestingly, each of these trajectories had a unique impact on dominance-oriented leadership. Leaders from the stationary social class and upward mobility exhibited a strong impact on dominance-oriented leadership, while downward mobility exhibited a weak impact on dominance-oriented leadership. Additionally, this study observed that the effect of the stationary social class transition trajectory on dominance-oriented leadership was mediated by self-perceived status, and the effect of the downward mobility trajectory on dominance-oriented leadership was mediated by leadership self-efficacy. Surprisingly, leadership self-efficacy and self-perceived status had no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upward mobility on dominance-oriented leadership. This study offers a fresh perspective on theory advancement with several notable contributions. Firstly, this study adopts a person-centered approach that takes into account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class as latent variables to accurately capture social class. Through a long-lens approach to examining the impact of dynamic social class on psychology and behavior through childhood and current social clas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the theoretical study of dynamic social class. This approach pushes the boundaries of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solely on static social class. Secondly, this study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leadership development theory by extending the field beyond the influence of on-the-job experiences. Social class, as a process across the lifespan, can significantly impact dominance-oriented leadership. This finding broadens the scope of leadership development research to include social class as an environmental factor. Lastly, this study identifies leadership self-efficacy and self-perceived status as internal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influence social class transition leaders in their pursuit of maintaining and advancing their leadership status. Overall, this study offers a fresh perspective on the impact of social class on leadership development and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future research in this field. 사회 계층은 개인의 사회적 역할, 관계, 행동 경향 및 목표를 포함한 속성에 대한 개인의 심리적 표현의 반영이며, 이는 그들이 가진 물질적 자원의 양에 영향을 받다. 이전 연구들은 대체로 사회 계층을 정적으로 보았지만, 최근 연구자들은 보다 동적인 관점을 주장하여 서로 다른 사회 계층 전환은 정적인 발견과는 다른 심리, 생각 및 행동을 낳을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리더십 개발 이론은 개인의 성장, 교육, 동료, 직장 및 지역사회를 포함한 시간과 맥락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사회 계층은 개인이 높은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려고 사회적 영향력을 더 행사하기 위해 형성된 동기며, 리더로서 이런 동기는 다른 리더십 스타일로 이끌 수 있었다. 본 연구 목적은 사회 계층 전환의 궤적이 리더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사회 계층 전환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탐구한다. 사회 계층의 동적인 분석을 통해 리더십 개발을 형성하는 맥락적 요소를 고려함으로써, 사회 계층의 다른 궤적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새로운 관점에서 제시한다. 본 연구 목적을 실증하기 위해 중국의 22개 지역과 14개의 직업 범주에서 총 225명의 리더를 대상으로 포괄적인 설문 조사를 실시한. 수집된 데이터는 SPSS 및 Mplus와 같은 고급 통계 도구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고정된 사회 계층, 상향 이동 사회 계층 및 하향 이동 사회 계층을 포함한 세 가지 고유한 사회 계층의 전환 궤적이 발견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각 궤적이 지배 지향적 리더십에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제시한다. 고정된 사회 계층과 상향 이동을 경험한 리더는지배 지향적 리더십에 강력한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반면 하향 이동을 경험한 리더는지배 지향적 리더십에 덜미치는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자아지각 지위는 고정된 사회 계층이 지배 지향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리더십 자기효능감은 하향 이동 사회 계층이 지배 지향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외에 자아지각 지위와 리더십 자기효능감은 상향 이동 사회 계층이 지배 지향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매개효과를 안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기여와 함께 이론 발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첫째, 본 연구는 인간중심접근법으로 객관적 및 주관적 사회 계층을 잠재 변수로 사용하여 사회 계층을 정확하게 포착하다. 또한, 롱 렌즈 방법으로청소년기 사회계층과 현재 사회계층을 통해 사회 계층의 동적인 궤적을 측정해서 그 관련한 심리과 행동을 조사한다. 본 연구는 동적 사회 계층의 이론적 연구에 대한 이해를 실증을 제공한다. 이 접근법은 이전의 정적인 사회 계층에만 초점을 맞춘 연구의 한계를 넓혀줍니다. 둘째, 본 연구는 리더십 개발 이론에서 직장 내 경험의 영향을 넘어 이론에 대한 이해를 넓어준다. 수명 주기를 거쳐 진행되는 사회 계층이 지배 지향적 리더십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한다. 이 결과는 환경요인로서의 사회 계층이 리더십 개발 연구에 미치는 영향의 범위를 확대시킨다. 마지막, 본 연구는 리더십 자기효능감과 자아지각 지위는 사회 계층 전환을 경험한 리더가 리더십 지위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내적 심리적 메커니즘을 발견하였다는 점은 리더십 개발에 대한 이해를 풍부하게 하였다.

      •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항암화학요법 부작용 자기관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적용 효과

        이승희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607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an app for the self-management of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based on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IMB) model. The IMB model posits that enhancing information, motivation, and behavioral skills related to self-management can improve self-management behaviors, thereby enhancing patients'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we enrolled femal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app. The ADDIE model was used, which encompasses five stag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app was assessed by measuring changes in information, personal motivation, social motivation, and behavioral skills, with a focus on * A thesis for the degree of Doctor in August 2024. self-management adherence, quality of life, and the severity of side effects. The patients were scheduled for at least four consecutive cycles of Adriamycin plus cyclophosphamide (AC) or docetaxel plus cyclophosphamide (TC) chemotherapy at 3-week intervals post-surgery. Data for the control group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5, 2021, to July 20, 2022, and for the experimental group, from October 13, 2023, to May 13, 2024.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33 patients were included: 1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7 in the control group.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non-synchronized design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s. The experimental group used the app for 9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standard education. Data collection for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conducted before app use and standard education, 3 weeks after use and standard education (before the second cycle injection), and 9 weeks after use and standard education (before the fourth cycle injection). Homogeneity tests were performed using independent t-tests, Mann-Whitney U tests, chi-square tests, and Fisher’s exact test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elf-management for chemotherapy side effects, changes in self-management knowledge, health attitude,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ver time within groups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or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Mann-Whitney U tests were used to analyze self-efficacy, self-management behaviors, side-effect severity, and physiological indicators. After 9 weeks of intervention, the severity of chemotherapy side effects and physiological indicato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ile self-management knowledge (Wald χ2 = 6.42; p = .040), health attitude (Wald χ2 = 9.21; p < .001), social support (Wald χ2 = 75.62; p < .001), self-efficacy (U = 25.50; p < .001), self-management behaviors (U = 41.00, p = .001), and quality of life (Wald χ2 = 138.10; p < .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improvement in self-management knowledge, health attitude, social support, self-efficacy, self-management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indic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app for self-management of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tential use of the app for self-managing chemotherapy side effects. Keywords: Mobile Applications, Smartphone, Chemotherapy, Breast Neoplasms, Self-Management, knowledge, behavior, Attitude to Health, Social Support, Self Efficacy, Drug-Related Side Effects and Adverse Reactions, Physiological Effects of Drugs,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