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Balancing of Social Identity and Christian Identity in Christian Leadership: Successful Principles for Christian Leaders Operating in the Diverse Cultural Context of Ethiopia

        Gebremedhin, Girma Altaye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Regent University 2023 해외박사(DDOD)

        RANK : 232318

        The identity quest has intensified globally and locally (Friedman, 2000). The issues relating to identity vary from one context to another. In some western countries, sexual and gender identity-related issues have become critical (Carr, 2010). In the Ethiopian context, issues like ethnicity, language, and traditional religion have become the centerpiece of the sociopolitical life of Ethiopians (Zewde, 2004). Evangelical leaders are not exempt from these issues. The intensified identity quest makes balancing social identity and Christian identity a daily struggle for many evangelical leaders. This study intended to answer three questions: What is the proper balance between social and evangelical Christian identity in the Ethiopian context? How do exemplar leaders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the multiple identities they have? And how do exemplar Christian leaders manage to keep their Christian identity to be their core identity? Apply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framed by social identity theory and the related social categorization theory, and interviewing 18 exemplar leaders from the evangelical community in Ethiopia, successful principles were drawn. The study confirmed that balancing social identity and Christianity identity is a daily struggle for evangelical Christian leaders in Ethiopia. The study also revealed the growing importance of identity in leadership. Nicholson and Carrol (2013) concluded that the global identity quest resurfaced identity as an essential dimension of leadership.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Christian leadership has to pay due attention to the issue of identity. One can argue that developing skills for balancing social identity and Christian identity has become crucial for effectiveness in Christian leadership. This study revealed some fundamental principles for balancing social and Christian identity, which are discussed.

      • 빌립보서 안에 나타난 그리스도인의 실존 : 복음에 합당한 삶을 중심으로

        허경주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298

        오늘날 그리스도인은 필연적으로 교회와 세상의 소통 방식의 차이에서 기인한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한다.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한 개인의 ‘믿음과 삶의 분리’라는 문제는 교회적 차원의 공동체 분열과 사회적 차원의 반(反)기독교 인식 형성의 문제로 확대된다. 빌립보서의 저자 바울은 교회 안팎의 어려움으로 힘겨워하는 그리스도인들을 향해 ‘복음에 합당한 삶’을 살 것을 요청한다. 그리스도인의 정체성과 본질적 삶에 관한 교훈이 담긴 바울의 권면은 그리스도인으로서의 분명한 정체성 규명을 요청하는 시대적 요구에 대한 응답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빌립보서 1장 27절의 ‘복음에 합당한 삶’에 관한 바울의 권면을 중심으로 빌립보서 전체 본문을 재구성하여 개인적, 교회적, 사회적 차원에서 그리스도인의 실존을 연구함에 그 목적이 있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삶의 의미와 목적, 정체성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복음에 합당한 삶을 살아가는 바울과 예수, 디모데와 에바브 로디도의 삶을 모델로 제시한다. 교회적 차원에서는 복음을 위한 교제의 중요성을 다루며 사회적 차원에서는 복음에 참여하는 삶과 그리스도인의 소명에 관해 논한다. 그리스도인의 실존에 관한 바울 의 교훈은 오늘날 정체성의 위기를 마주한 교회 공동체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한 고민과 실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 분명하다. Today, Christians inevitably experience confusion of identity due to differences in the way they communicate with the church and the world. The problem of ‘separation between faith and life’ experienced by individuals who fail to establish their Christian identity extends to the problem of community division at the church level and formation of anti-Christian perceptions at the social level. Paul, the author of the Philippians, asks Christians who are struggling with difficulties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to live a ‘A manner worthy of the gospel of Christ’ Paul's counsel, which contains lessons about the identity and essential life of Christians, can be a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times that ask for a clear identification of their identity as Christians. This study on the the identity of Christians at the individual, church, and social levels by reconstructing the entire text of the book of Philippians, focusing on Paul's core command on ‘A manner worthy of the gospel of Christ’ in Philippians 1:27. At the personal level, Focusing on the meaning, purpose, and identity of life, it presents the models of Paul and Jesus, Timothy and Epaphroditus, who live a life for manner worthy of the gospel of Christ. At the church level, it deals with the importance of fellowship for the gospel as evidence of salvation. At the social level, we discuss life participating in the gospel and the calling as Christians. Paul's lessons on the identity of Christians can help the church community to think and practice the direction it should take today in the face of the crisis of identity.

      • 기독교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

        정준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2028

        지금까지 기독교 교육은 성서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수시키는 응용신학의 분야로 인식되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간이 생활 속에서 성서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깨닫고, 그 깨달음에 따라 실천하는 기독교 교육이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배경에서 본 논문은 기독교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논의를 방법론적 관점에서 성찰하고, 그 정체성에 대한 확립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첫째, 기독교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규명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독교 교육학이 신학이나 교육학적인 배경에서 시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특성은 보편성과 특수성을 포함하는 매우 특이한 것이었다. 둘째, 기독교 교육의 형성과정을 논의하였다. 기독교 교육이 시대적으로 어떠한 모습으로 변천되었는지를 살펴보았고, 기독교 교육학자들이 어떠한 신학적인 입장과 교육학적 배경을 통하여 기독교 교육을 발전시켰는지를 시대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에 논의되고있는 기독교 교육학의 연구 동향과 한국 기독교 교육학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셋째, 기독교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간학문적 접근방법과 사회과학적 접근방법, 그리고 여러 학문과의 교류를 통한 종합적 접근방법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기독교 교육학이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행동양식과 사회 구조를 분석하려는 다양한 학문과의 교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들이 기독교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Christian education had been perceived primarily as a discipline for applying theology that strived to initiate the content of the bible to the learners. Yet the recent studies in the academy have begun to take a different stand toward Christian education; it should encourage one to learn the meaning of the bible in one's life and to live up to the learning. Haying said the recent trend in the academy of Christian education, this dissertation reflects the discussion as to academic identity of Christian education and examines the feasibility of its establishment. The discussion is proceeded as follows. First, I closely examined the academic traits of Christian educa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 study of Christian education is rooted in that of both theology and education, Christian education exhibits such characteristics as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Second, I investigated the formative processes of Christian education. In investigating the processes, I first examined what sorts of changes it has undergone with respect to the changes of times. I, then, analyzed the development of the theories of Christian education in terms of the theorists' takes on the theological perspectives and the educational stands in the different phases of times. Finally, I addressed the recent trend of the Christian educational studies, which has been currently the most heated subject under discussion and the present state of Korean Christian education. Third, I explored the feasibility of the academic identity of Christian education in terms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 social science approach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 that embraces every train of studies. In closing, it is imperative that there should be an active academic exchange between Christian education and various trains of thoughts and studies to establish the academic identity of Christian education. Such endeavors would establish the academic identity of Christian education.

      • 이야기의 기독교 교육적 의미 : ‘씨앗과 나무’ 공동체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혜경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010

        ABSTRACT Christian educational meaning of the story : In the Case of 'Seed and Tree' Community Gyeong Hye Lee M.A. In Christian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Asia United Theological University To get through typical christian education which separates between the knowledge and the real life, it is necessary to take a narrative approach to form the knowledge connected with the experience of life. Therefore, in this paper, as one of the solutions to this problem, story and the Christian educational meanings of story are examined theoretically and the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 of story is raised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based on the case of actual story education. In the first part, this article considers the concept and depth of the story.  From this study, the first is that the story created by the plot will not only remain in memory but also bring about holistic change by personal experience and inspiring solidarity. Secondly, humans build the identity through memories about experiences, which play a significant role for forming world view. Last, The method structuring experiences as a story, by narrative mode, form a whole unified meaning to the experiences we chose to consider the cultural norm in the environment we are currently in place.   In the second part, the following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re made about the Christian educational meaning of the story. First, a story based on a biblical foundation. Looking at the education of Jesus for Christian education, Jesus taught life through one's life as a story. Jesus’ education had a descriptive character, and the curriculum was designed to form the religious stories of his disciples. Second, it serves as a helper of the Holy Spirit when it is said that the purpose of Christianity education is a holistic change that affects the whole realm of life as a disciple of Jesus. For this purpose, in the Christian knowledge based on the personal interrelationship with the human God, the story becomes a suitable mediator between the human being, the subject of experience, and the divine personal relationship of God. Third, in the same context, as a Christian educational method, it was found that in a story, ‘the formation of religious story' and ‘the education in the faith community’ and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mode’ were mutually complementary. Also, as a way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practice of Christian education, ‘Extension of Christian education field.’ In the third part, to understand the Christian educational meaning of the story, the institution analyzed the story education cases of the ‘Seed and Tree’ community divided by characteristics of communion, education, and curriculum. In this section, we have raised the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story based on analyzing the activities of ‘Seed and Tree' from the viewpoint in connection with those mentioned in the meaning of the story as a Christian educational method. First, the story gives the possibility that the narrative approach of Christian education can be an alternative for Christian education with knowledge and life separated through the multiple practices of Christian education for 'religious story formation'. Second, ‘education in faith community' sharing the story gives various insights into the community character an educational principle. Third,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mode’ becomes an essential element and initiator in Christian education for holistic change. Fourth, the story becomes ‘the frame of the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by Christian worldview. The story not only gives an whole understanding of knowledge through personal relationships with God in the lives of individuals in the community. It also presents new possibilities for changes in Christian education practices. In that sense, the story is new vitality and challenge for Christian education. In this process,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faithful to the mission of making the educational activities move to the essential principle, not the secondary elements, by securing the direction of holistic change based on faith saving for the work of the Holy Spirit.

      • 역기능 가정 청소년의 성 정체성 문제와 기독교상담 방안

        노철우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010

        본 연구는 역기능 가정에서 성장한 청소년의 성 정체성 문제를 살펴보고, 성 정체성 문제로 고통 받는 청소년들을 이해하고 위로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능력 안에서 하나님의 창조 본연의 모습으로 회복하도록 돕기 위해 기독교상담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관련 있는 문헌들을 고찰하여 연구하였고, 또한 역기능 가정 청소년의 성 정체성 문제와 기독교상담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전체 4장으로 구성하여 논술하였다. 제1장에서는 21세기의 현대사회가 탈현대주의 사상과 정보화 사회의 과정을 거치면서 가족 구조의 급속한 변화, 직업의 다양화, 생활양식의 변화 등으로 가치관과 생활태도 그리고 사고방식이 크게 변화하여 가정의 기능이 파괴되고 역기능 가정으로 인해 청소년의 성 정체성 문제와 같은 정서적 문제가 점점 늘어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범위와 방법을 논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역기능 가정과 청소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첫째, 역기능 가정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역기능 가정의 정의와 역기능 가정의 발생원인에 대해서 논술하였다. 그리고 순기능 가정과 역기능 가정에는 각각 어떤 특징이 있고, 순기능 가정과 역기능 가정의 부모에게는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부모의 역할, 즉 부모의 자녀 양육형태에 따라서 부모가 자녀에게 미치는 정서적 영향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청소년에 대한 이해 및 청소년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청소년기는 사회적으로 아동기의 의존 시기에서부터 자립적인 성인기로 가는 전환기이며, 심리학적으로는 하나의 주어진 사회에서 의존적인 아동의 행동과 독립적인 성인의 행동을 구별하는 새로운 행동을 개발하고 적응해야 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이 시기는 위기로 가득찬 시기이며, 불안정과 불균형이 심한 긴장 속에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게 되는 시기이다. 특히 이 시기에 역기능 가정의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문제들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셋째, 역기능 가정 청소년의 성 정체성 문제에 대해서 논술하였다. 성 정체성 혼란의 원인은 무엇이며, 성 정체성 혼란에 따른 문제로는 어떤 문제들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으로 동성애 문제, 성 정체성 문제에 따른 문제 그리고 낮은 자존감 문제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역기능 가정 청소년의 성 정체성 문제에 대한 기독교상담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성 정체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을 상담하는 상담자의 자질로서 정서적 안정과 겸손, 그리고 사랑을 통한 정확한 공감능력, 성경적 지식과 성경의 활용능력, 예수님과의 관계가 무엇보다 요구된다. 특히 기독교상담자에게 있어서 예수 그리스도와의 인격적 관계와 신뢰는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또한 성 정체성 혼란에 따른 문제에 대한 기독교상담 방안으로 다섯 가지 단계를 통해 제시하였다. 제1단계는 내담자와의 충분한 신뢰관계 형성으로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사랑, 은혜, 신뢰의 관계를 세우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제2단계는 탐색의 과정으로 이는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효과적 질문을 통해 내담자 자신의 문제를 노출하고 탐색하도록 돕는 과정이다. 제3단계는 직면의 과정으로 내담자가 하나님의 자녀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인식, 인정하지 못할 때, 상담자는 이러한 내담자의 왜곡, 불일치 현상을 지적해주어 그것이 자신의 정체성이 아니라는 것을 직면해 주는 과정이다. 이러한 직면의 과정을 통해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거짓된 정체성을 거부하고 진정한 정체성을 분별하여 받아들이게 한다. 제4단계는 변화의 과정으로 이 단계는 내담자를 변화시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살도록 변화의 필요성을 발견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이다. 마지막 제5단계는 책임감독의 과정으로 책임감독은 내담자가 죄와의 사이에서 갈등할 때에 우선적으로 상담자가 내담자를 사랑으로 돌보는 것을 의미하고, 상담자가 내담자와 삶을 함께 나눔으로써 내담자가 건강한 삶을 회복하도록 돕는 과정이다. 그리고 성 정체성 문제를 비롯한 많은 정서적 문제들을 예방하기 위해서 부모들이 자녀를 어떻게 사랑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 실천방안으로 매일 자녀들을 대할 때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신체적 접촉과 집중적 관심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결론으로 본 연구에 대한 전체적인 결론 및 요약, 그리고 제언으로 기술했고, 제언에서는 본 연구의 제한과 추가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성 정체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정과 교회와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가 함께 꾸준히 노력해야함을 밝혀두고, 무엇보다도 선행하여 요구되어지는 것은 예방상담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기독교상담자 및 목회자들이 상호 연계하여 교회 내에서 치료적 상담뿐만 아니라 예방상담 프로그램을 만들어 가정을 세우는 다양하고 실용적 사역에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sexual-identity problems of adolescents who have been raised in dysfunctional families. Also, it provides solutions to help such individuals cope with their problems in the divine power of Jesus so that they may recover and become wholesome individuals within the framework of God's creation order. This paper, which is divided into four chapters, mainly deals with sexual-identity disorders and also presents Christian counseling as a device to help adolescents cope with their disorders from the Christian viewpoint. Chapter 1 of this paper, highlights the emotional disturbances, including the problem of sexual-identity, that are on the rise due to dysfunctional and disrupted families, the aftermath of drastic changes in family structures, professions, lifestyles following the extremely rapid industrialization. This researcher have also outl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its scope along with the methods for this survey. Chapter 2 is an overview of the research on dysfunctional families and the teenagers. It addresses certain questions such as what is the meaning of a dysfunctional family and what is most responsible for this issue. The features of the dysfunctional/functional family and those of parents are also described in detail along with to how the roles of parents emotionally affect their children. This researcher also try to focus on the general traits of teenagers. Adolescents are socially in transition from a dependent childhood to a rather independent adulthood, and psychologically, they try to emulate the behaviors of grown-ups that distinguish them from the older adolescents-an attitude typical of childhood. Accordingly, probable problems with adolescence-a period more than likely to be insecure, anxious, and unpredictable to most teenagers-are also described. Next the details of the sexual-identity disorders in teenagers from dysfunctional families are described. The causes of sexual disorientation and their consequential problems are investigated, and homosexuality and low self-esteem are observed as the primary concerns. Chapter 3 chiefly focuses on how to implement Christian counseling for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Firstly, counselors are expected to be self possessed, humble, sympathetic, and Bible based. As a Christian counselor, maintaining a good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Lord is unquestionably important. The following five steps have been recommended in this article with regard to Christian counseling as an aid for clients with disorders: Step 1: to build a relationship of trust with the clients. Step 2: to become acquainted with the clients by asking the right questions. Step 3: to help the clients confront what they really are, i.e., to help them face the reality that they have been failing to identify themselves as children of God. they will have a more positive outlook. Step 4: to encourage them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change, and to live a new life that is pleasing to God. Step 5: to be accountable for the clients and to keep caring for them, by facilitating the sharing and assessment of the details of each other's lives, counselors can aid the clients in preventing any possible relapse. Futhermore, as preventive measures for emotional problems or crises such as sexual orientation problems, this chapter also provides details on how to show love and care to children through physical contact and devoted attention. Finally, chapter 4 provides the summary and conclusion. In addition, This researcher acknowledge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method of research that this researcher have used in this thesis, and this study is open to additional research. In conclusion, in order to address the growing issues of sexual orientation problems, it is required that families,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make joint efforts. Preventive counseling measures definitely the first priority. For this purpose, ministers and Christian counselors are recommended to work together to come up with preventive as well as therapeutic counseling programs.

      • 목회자 자녀의 기독교적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 방향 고찰

        임향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1978

        본 논문은 후기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청소년기 목회자 자녀들의 기독교적 자아정체감에 관한 인식에서 출발하여, 오늘날 그들이 직면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기독교적 자아정체감의 혼란 상황에 관해, 삶의 외부적 환경(후기 현대사회의 흐름)과 내부적 환경(구체적 삶의 영역: 가정, 교회, 학교)에서 각각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의 변증법적 상호 작용이라는 견지 하에서 고찰 하였다.2장에서는 일반 청소년이나 기독교 청소년과는 구별되는 방식으로 기독교 상징에 대한 신앙과 목회자 자녀로서의 사회적 위치를 통해 기독교적 자아정체감을 형성해 가는 목회자 자녀의 특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목회자 자녀들이 후기 현대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들의 자아정체감을 형성해 간다는 점을 전제로 그들의 기독교적 자아정체감 형성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후기 현대사회의 특징을 1) 분화, 2) 문화적 다원주의, 3) 개인주의화의 3가지 현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4장에서는 청소년기 목회자 자녀들이 그들의 기독교적 자아정체감을 형성함에 있어 직면하게 되는 문제점들을 1) 사적 영역의 공적 영역화의 문제, 2) 목회자 자녀에 대한 지나친 기대의 문제, 3) 역할 간 불균형에 따른 정체성 불균형의 문제로 보다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나아가 5장에서는 그들이 직면하고 있는 자아정체감 혼란 상황에 관한 극복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입장에서, 그들이 기독교적 자아정체감 형성 과정을 통해 직면하게 되는 거시적 맥락과 미시적 맥락의 혼란과 문제들을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결할 뿐만 아니라, 그들로 하여금 보다 바람직한 형태의 기독교적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도록 도울 수 있는 기독교 교육적 가능성과 방향에 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청소년기 목회자 자녀의 기독교적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기독교 교육에 있어서 교육적 대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세 그룹 다시 말해, 목회자와 기독교 공동체의 구성원 그리고 목회자 자녀와의 상호 관련을 전제하는 맥락에서 각각 1) 중재자로서의 목회자를 위한 기독교 교육, 2) 기독교 공동체 구성원과 목회자 자녀의 기독교인으로서의 평등성 획득을 위한 기독교 교육, 3) 목회자 자녀의 개별적 주체성 획득을 위한 기독교 교육의 방향에 관해 각각 고찰해 보았다. 아울러 그들의 기독교적 자아정체감 형성에 있어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기독교 교육적 방법과 5단계 기독교 교육 모형에 관해 모색해 보았다.

      • 탈종교화 시대의 탈인습적 청년 기독교교육 연구

        서동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1962

        탈종교화 현상은 한국 사회만의 독특한 특징은 아니다. 고도로 산업화된 사회일수록 종교인들이 자신의 종교적 성향을 벗어나는 탈종교화 현상은 역사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해 왔다. 한국 사회 역시 유례없는 성장 아래에서 탈종교화 현상을 경험해왔지만, 종교화 현상이 더욱 뚜렷이 나타남으로 인해 탈종교화 현상은 주목받지 못했었다. 그러나 최근에 발표된 통계청의 인구센서스 조사 결과로 인해 탈종교화 현상은 주목받기 시작하였는데, 통계적으로 무종교인의 비율이 종교인의 비율을 추월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사회조사기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탈종교화 현상은 한국 사회가 코로나 19를 경험하면서 더 심화된 것으로 타나났다. 주목할 점은 다른 세대에 비해 청년 세대에게서 탈종교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특별히 개신교 청년들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데에 있다. 서구사회가 경험했듯, 한국 사회의 탈종교 현상도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임에는 분명하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 가운데 청년 세대에서 심화되어 발생하고 있는 탈종교화 현상과 원인을 분석하고, 탈종교화 현상에 대응하여 새롭게 구성되어야 할 청년 기독교교육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리차드 아스머(Richard R. Osmer)의 ‘합의 모델(Consensus Model)’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합의 모델은 실천신학적 해석방법으로서, 기술적-경험적 과제, 해석적 과제, 규범적 과제, 실용적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방법을 통해 본 연구는 ‘개신교 청년들에게 어떠한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기술적-경험적 과제), ‘개신교 청년들의 탈종교화 현상의 원인은 무엇인가?’(해석학적 과제), ‘어떠한 규범을 통해 청년 기독교교육이 구성되어야 하는가?’(규범적 과제), ‘청년 기독교교육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실용적 과제)로 진행되었다. 본 논문의 전체적인 논의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인구센서스 조사결과를 통하여 문제제기와 연구 목적, 이를 위한 연구방법과 선행연구사를 소개하였다. 2장에서는 탈종교화 현상의 정의, 개신교 청년들의 탈종교화 상황과 원인, 탈종교화 현상의 도전과 기독교교육적 요구를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2장을 바탕으로, 발달심리학적 이해와 사회문화적 이해, 기독교교육학적 이해를 통해 탈종교화 시대 탈인습적 청년 기독교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의 이론적 토대를 통하여 탈종교화 시대에 적합한 탈인습적 청년 기독교교육의 모형인 “I-CORE”를 제시하였다. I-CORE 모형은 교육목적, 교육내용 및 방법, 교사와 학습자, 환경 및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I-CORE 모형의 목적은 “개신교 청년들이 탈인습적 기독교적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고, 인습적 자아정체감을 수정하는 것”이며, “개신교 청년들이 공적 역할을 인지하고, 감당하도록 돕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교육내용은 탈종교화 현상의 원인들과 관련된 내용들이 기초가 되며, 교육방법은 김현숙이 제시한 ‘대화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순환적 대화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순환적 대화 교육’은 단순하게 성서 내용만을 전달하는 강의법과는 다르게 ‘선택과 참여, 공개, 대화, 커뮤니티, 연결’이라는 소비문화와 사이버문화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이후,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 및 태도를 살펴보고, I-CORE 모형에서 필요로 하는 환경과 평가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탈종교화 시대에 적합한 대안적 청년 기독교교육 모형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존 연구들과 다르게 탈종교화 현상과 원인을 분석하고, 발달심리학적 이해, 사회문화적 이해, 기독교교육학적 이해를 토대로 탈종교화 현상에 대응하는 교육 모형을 제공했다는 점에 있다.

      • 아이티 부두교의 혼종적 정체성에 관한 선교신학적 고찰

        김호정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1961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이론을 차용하여 재해석한 아이티 부두교의 혼종적 정체성에 관한 논의를 통해 21세기 기독교 선교가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16세기 서아프리카 베냉 인근지역의 부족 종교였던 보두교는 노예가 된 흑인들을 통해 아이티로 이식되면서 아이티의 지배문화였던 가톨릭에 저항하고 교섭하는 가운데 생존을 위한 정체성의 변화를 가졌다. 아프리카 보두교에서 아이티 부두교로 변화된 정 체성은 피지배문화가 지배문화의 억압에 저항하고, 아이티 내의 상이한 문화들과 함께 공존하기 위한 방식으로 혼종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곧, 이질적인 것들을 상호 공존시 키게 만드는 아이티 문화의 혼종성이 아이티 부두교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준 것이 다. 여러 갈등과 모순에도 불구하고 한 공간 내에서 타자들의 상호공존의 가능성을 보 여주는 부두교의 혼종적 정체성에 관한 고찰은 세계화 시대에 있어 타자(타종교)와 공 존해야 하는 기독교 선교에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 이티 부두교의 혼종적 정체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며, 그 해석을 통해 얻게 된 기독교 선교의 비판적 성찰을 통해 당면한 세계화 시대에 나아가야 할 방향성이 혼종화에 있음 을 논의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다음 네 가지 핵심적 접근을 가진다. 먼저 혼종성의 개념에 대한 논의를 가진다. 호미 바바와 네스토르 가르시아 칸클리니가 정의한 혼종이라는 단 어를 차용하여 혼종에 결부된 부정적 함의를 배제함으로써 혼종성의 위치를 본질주의의 이항 대립의 자리에서 벗어나게 한다. 그럼으로써 새롭게 인식된 혼종의 개념을 당면한 세계화 시대에 지속 발전 가능한 개념으로 확장시킨다. 둘째로 고정된 정체성이란 지배담론에 의해 생성된 허구임을 폭로함으로써 혼종적 정체성이 등장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든다. 먼저, 아이티 부두교의 바탕을 탈식민주의 문 화이론의 비판적 틀로 재조명함으로 서구에 의해 부정적인 이미지로 고착되었던 부두교 의 고정된 신화를 해체시킨다. 그럼으로써 새롭게 인식된 혼조의 개념을 당면한 세계화 시대에 지속 발전 가능한 개념으로 확장시킨다. 둘째로 고정된 정체성이란 지배담론에 의해 생성된 허구임을 폭로함으로써 혼종적 정체성이 등장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든다. 먼저, 아이티 부두교의 바탕을 탈식민주의 문화이론의 비판적 틀로 재조명함으로 서구에 의해 부정적인 이미지로 고착되었던 부두교 의 고정된 신화를 해체시킨다. 그럼으로써 부두교에 대한 서구 기독교의 일방적인 혐오 감과 잘못된 오해를 바로잡는다. 또한 부두교는 16세기 서아프리카로부터 건너 온 부족 종교가 아이티 인디언들의 문화·종교와 혼합되고, 또 다시 아이티의 지배자들의 문 화·종교와 저항- 혼합- 교섭-발전되어가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형성되었다. 이러한 아 이티 부두교의 혼종 문화 바탕은 외부로부터 각인된 식민지의 역사적 상흔들을 내부적 으로 저항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극복함으로 새 시대로 향하는 창발적 정체성을 형성한 다. 셋째로 본 연구에서는 아이티인의 종교적 이중 정체성(Religious double identity) 에 관한 논의를 통해 기독교 선교와 타종교와 공존의 가능성을 찾아간다. 신크레티즘 (Syncretism)은 한국말로‘종교 혼합주의’로 번역되고 있다. 그러나 ‘혼합’이라는 말이 가져다주는 부정적 의미는 두 개의 이질적인 종교가 상호 공존할 수 없게 만든다. 따라서 ‘혼합’대신 ‘혼종’의 개념을 새롭게 차용함으로 아이티 부두교인들의 종교 적 이중 정체성이‘차이와 경계의 틈 속에서 창발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는 인식의 전 환을 가진다. 이러한 논의는 기독교 선교가 타종교와 함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선교신학적 입장에서 아이티 부두교의 혼종적 정체성에 관 해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혼종적인 문화의 바탕 속에서 확립된 아이티 부두교의 혼종적 정체성은 끊임없는 갈등과 모순, 그리고 경계적 위치를 고수함으로 불확정성을 가진다. 이러한 불확정성이 주는 위험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21세 기 세계화 시대에 타종교와 공존해야하는 한국 기독교 선교의 자리가 항상 혼종적일 수 밖에 없는 이유를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금도 꾸준히 남반부로의 선교를 지향하는 한국 선교에 기 존의 서구적 기독교세계관의 침투적 선교 형태의 답습을 버리고, 창발적 방식의 선교로 전향할 수 있는 인식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