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防衛産業의 市場構造 決定要因이 技術革新과 市場支配에 미치는 影響

        정용현 國民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33341

        오늘날의 방위산업(defense industry)은 무기체계가 점차적으로 첨단화 · 정밀화 · 우주화로 급변하고 있다. 우리나라 방위산업이 미래 무기체계에 대한 자위적 방위역량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방위산업에 대한 대안적인 경영전략과 방산정책 마련을 위해 시장구조적인 쟁점과 결정요인들을 식별하기 위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배경은 다음과 같다. 지금의 방위산업 기본골격(Framework)은 1970년대에 만들어진 후 상당한 수준의 성과를 이루워 큰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이제 기존의 시스템은 미래 무기체계의 수요 증가에 이미 그 기능의 한계에 봉착하게 되었고, 특히 감시정찰(ISR), 지휘통제(C4I), 정보 · 전자전(IEW), 정밀타격(PGM) 등 핵심전력체계에 대한 방위산업체의 기술혁신과 첨단무기의 시장지배력에 대한 문제인식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 방위산업의 경영시스템은 일반산업과 동일한 소위 "민간소유-민간경영(CO-CO)" 의 민간주도형이나, 국가가 방산무기를 직접 경영하기 때문에 일반산업과는 다른 "방위산업특별조치법" 으로 규제 · 보호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방위산업의 시장구조도 정부(국방부)가 유일한 구매자가 되고 다수의 방위산업체가 공급자가 되어 자유경쟁 시장의 수요」공급의 경제원칙이 원활하지 못하는 관계이다. 또한 확실한 수요(국방예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업체의 기술혁신과 시장지배력이 더욱 위축되어 점차 해외 첨단무기에 의존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인식으로, 방위산업의 경영시스템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우리 여건에 적합한 경영전략과 방산정책에 관한 새로운 연구가 요구되는 시점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상기와 같은 연구 필요성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관점으로 실증적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우선 문제 인식의 출발점은 수요자(정부)와 공급자(업체) 모두에 있다고 보았다. 방위산업체는 첨단무기체계를 생산하기 위한 기술혁신과 시장지배력이 필수적인 수요에 훨씬 못 미치는 근원적 원인으로 보았다. 그리고 정부(국방부)의 방산정책이 방위산업의 시장구조 결정요인들에 대한 시장경쟁 원리의 적용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모델은 전통적인 신 산업조직론(New industrial organization)의 모형 이론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여, 시장구조의 제도적, 산업기술, 확률적 결정요인들에 대한 기술혁신과 시장지배의 성과를 실증적 검증을 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연구 관점과 연구모델에 따라 방위산업체를 대상으로 실태 조사 자료를 이용한 실증적 검증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도적 결정요인에서 보면, 수요독점과 진입장벽의 조건에 대한 일반 집중률(overall concentration)이 시장점유율을 높게 하여 독점적 시장형태가 되어 업체의 기술혁신과 시장지배에 유의적인 正(+)의 방향으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둘째, 산업기술 결정요인에서, 연구개발에 의한 기술추진형 제품생산기술이, 또 경쟁시장보다 독점시장의 품목이 시장점유율을 높게 하여 업체의 성과에 유의적인 正(+)의 방향으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셋째, 확률적 결정요인은 Hi-Tech, 및 진보기술로 인한 업체의 위험부담이 부정적인 저해 요인이라는 것이다. 우리나라 방위산업체는 신 무기체계의 정보가치가 높기 때문에, 방산시장에서의 기술혁신은 중 · 장기적인 투자의 위험부담과 수익의 관계가 負(-)의 방향으로 나타난다는 Bowman의 위험-수익의 역설(risk-return paradox)이론에 일치하고 있어 혁신이 시장지배를 正(+)의 방향으로 변화시킨다는 Schumpeter혁신이론과 반대되는 연구결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시장구조 결정요인(industry-specific factor)들은 우리나라 방위산업체의 기술혁신과 시장지배에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우리의 여건에 맞는 효율적인 경영전략과 방산정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c defense industry framework in 1973, there were numerous interactions of the industry-specific factors of the defense industry structure with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market organization of the defense industry. During last three decades, the domestic defense industry has achieved the considerable level but the framework of the basic system has not developed much in areas of the military science and the defense manufacturing technology. Industry-specific factors were formed in the process and appeared In a variety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as subsystems. Currently, there is a growing trend where the management of defense industry is gradually deteriorating due to limitation of the domestic industry-specific factor (e.g. defense technologies, amount of demand, etc.). If there is a prominent imbalance of the industry-specific factors, it can trigger the potential problem of conflict, lack of cooperation and control, slowing the growth of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thereby diminishing the market and deteriorating the defense supply/demand relationship. In a research conducted by Joe S. Bain, Bain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the traditional industrial organization where industry-specific factor(S) not only impacts the conductor(C). And conductor(C) influences the shaping of the performance(P) of relationship of the traditional industrial organization. Consequently, the researcher has identified the demand monopoly, barriers to entry, and market competition with comparison of defense industry issues. These defense issues were three industry-specific factors identified, which are 1) The demand monopoly and The entry harriers to new market competition, 2) the industrial technical factor to a production technical competitiveness and a market sharing competitiveness, 3) the probability factor to revolution for military affairs(RMA) and a R&D production. According to baseline with these factors, the following research model is established from the special companies group(Group A), the systematization companies group(Group B), and the general companies group(Group C). The hypothesis is that if there are more industry-specific factors, then there will be more relationships of traditional industrial organizations with the expected opportunism of manufacturers supported by provided territorial exclusiveness. This paper focused on evaluating following factual observations, 1) the measurement of system factors of the defense industry and major factors of the market structure, 2) the measurement of the technical improvements and market management in defense industry, 3) the comparement of the general industrial areas and the defense industry areas, 4) the necessity of the government administrative guidance to improving an efficient strategy and policy.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We need to formulate the realistic key strategy and other alternatives about efficient defense industr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First, rules of the defense industry regulation needs to be reformulated to adjust to appointment standard unit to be technology production company by efficient alternative preparation. Second, when deciding on the modern device of the weapon system for the new military strategy, it is a thing that introduces clear strategy of A New concept of "Selection and friendship" Finally, for stimulating the R&D activities, the current government (i.e. Defense Ministry) needs to lead the way for co-developing system with private enterprise more actively. The risks of the revolution for military affairs (RMA) by the company's modern device of R&D system must not become hindrance to the factor for institutionalizing regulations about defense industry's risk bearing to defense industry relation statutes. This research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that the industry specific factors effects the innovation of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the shaping of the market in the defense industry. Moreover, the existing models to evaluate the Industry specific factors of the defense industry is much to be desired with the controlle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 It is vital to study on current situation with suggesting alternative strategy to the efficient strategy. The descriptive analysis approach analysis is conducted with SPSSWIN to conduct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owever, there were some limitations of the survey such as the rigidity of concept about the technical factors and various market management factors. The wishes is that the decision-maker could be utilized these defence industrial factors to formulate efficient defence policy and strategy in the future.

      • 중국 중소 수출입 제조기업 SCM 프로세스혁신에 대한 실증연구

        조흔매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26

        Recently, The paradigm of China's manufacturing companies is changing from domestic competition to global competition. While traditional manufacturing companies have existing merits such as low labor costs, it is pursuing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process innovatio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Import-export enterprises are promoting economic development as an ignorable force in China's international trade. SME export-import manufacturing enterprises are very helpful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employment, but it still has many problems. In today, SCM innovation activities have become indispensable, including enterprise product innovation to deliver real products and services, and process innovation that production processes and component technologies produce enterprise products. In order for a company to maintain its competitive advantage, it must increase both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 capabilities. However, even though process innovation is important for corporate performance, there is a relatively lack of academic research on it. While existing literature provides clear insight into product innovation, it is still limited to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and outcomes of process innovation. This serious research result, especially considering the significant impact of process innovation on corporate performance, is particularly noteworthy. This study focuses on SME import and expor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 China. External determinants of SCM process innovation are supplier cooperation and customer cooperation. Internal determinants are market orientation and strategic environment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SCM process innovation, how it works for the company, and what innovation results are achieved. In this study, we surveyed SME import and export companies in Beijing and Shanghai. The empirical analysis was done through the SP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ementation of the SCM process innovation proved that the market performance and business performance of the company can be obtained. In order to maintain the market competitive advantage, it is important for SME import and export enterprises in China to constantly innovate the SCM process. In addition, we verified strategic environmental change, market orientation, and supplier cooperation, which are internal and external determinants that promote process innovation in executing SCM process innovation in SME import and export enterprises in China. Therefore, companies should be interested in changing the management strategy, organizational structure, marketing concept, etc. in consideration of the whole enterprise and pursue the market orientation of the company. And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enterprise to maintain the stable demand relation between the demand information, the inventory information and the production plan between the enterprises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supplier. Compared to large corporations, SMEs are easily exposed to scale restrictions and organizational vulnerabilit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move the weak points and enhance the durability rather than imitate the strengths of other companies. It is more meaningful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mpede the execution of SCM process innovation than to be positive determinants.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factors that restrict the innovation of the SCM process of SME import and export manufacturing companies and countermeasures against the problems that can be caused by the implementation. 최근, 중국의 제조기업의 패러다임은 국내 경쟁체제에서 글로벌 경쟁체제로 변화하고 있다. 전통 제조기업은 저렴한 인건비 등 기존의 장점이 있지만, 제조업 부분의 프로세스혁신을 통하여 경쟁우위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수출입기업은 중국국제무역에 무시할 수 없는 힘이 되어 경제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중소 수출입 제조기업은 경제발전, 취업 등 분야에 큰 도움이 되지만 여전히 많은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 오늘날 같은 경우 SCM 혁신활동은 실물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제품혁신과 기업제품을 생산하는 생산프로세스, 부품기술을 포함하는 프로세스혁신에 필수불가결한 능력이 되었다. 기업이 경쟁우위를 유지하려면 제품이나 프로세스혁신 능력을 모두 키워야 한다. 그러나 프로세스혁신이 기업성과에 대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기존의 문헌은 기업의 제품혁신에 대해 명확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지만 프로세스혁신의 결정요인 및 결과에 대한 이해가 여전히 제한된 상황이다. 프로세스혁신의 기업성과에 대한 상당한 영향을 고려한 이런 심각한 연구결실은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이다. 본 연구는 중국 중소 수출입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한다. SCM 프로세스혁신을 실시하는 외부 결정요인으로는 공급자협력과 고객협력이 있고 내부 결정요인으로는 시장지향성과 전략적 환경변화가 있다. 이러한 결정요인을 도출하여 SCM 프로세스혁신이 기업에 어떤 식으로 작용하며, 어떠한 혁신 성과를 거두는지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북경 및 상하이 중심의 중소 수출입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표본으로 SPSS를 통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결과에 따라 SCM 프로세스혁신의 실시는 기업의 시장성과 및 업무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시장경쟁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려면 중국 중소 수출입 제조기업은 시행착오를 거쳐 끊임없이 SCM 프로세스혁신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중국 중소 수출입 제조기업의 SCM 프로세스혁신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프로세스 혁신을 촉진하는 내·외부 결정요인인 전략적 환경변화, 시장지향성, 공급자 협력을 검증하였다. 그래서 기업이 기업 전체를 고려해서 관리전략, 조직구조, 마케팅 개념 등을 변화시키는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기업의 시장지향성을 추구해야 한다. 또한, 기업은 공급자와의 협력을 통해서 기업 간의 생산계획과 수요정보, 재고정보 및 양자 간의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기업과 비교하여 중소기업은 규모 제한과 조직 취약성이 쉽게 드러난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다른 기업의 강점을 모방하는 것보다 약점을 제거해 내구성을 다지는 것이 중요하다. 긍정적인 결정요인보다 SCM 프로세스혁신의 실행을 방해하는 요인을 찾아 그 요인을 지양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중소 수출입 제조기업의 SCM 프로세스혁신을 제약하는 요인과 그 실행에 있어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대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 정부지원제도가 중소기업의 생존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전영준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3324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in Korea have contributed to stabilizing the economy of the working class through balanced growth between regions,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and enhancing the overall economic power and competitiveness of the country. However, due to the lack of overall infrastructure, the number of SMEs with weak competitiveness is disappearing annually (Statistics Office, 2020). Recently, trends such as a low-growth economy, digital transformation accelerated by COVID-19, and platformization of the global economy are having an effect on Korean companies equivalent to the past economic crisis. In particular, the impact of such an external environment will be more fatal to the survival of SMEs with insufficient infrastructure. In addition, as much as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performance creation through internal efforts of SME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urvival of SMEs. The prerequisite for such corporate performance is corporate innovation. In other words, SMEs have an important economic role and position in Korea, while SMEs are in a relatively poor infrastructure environment compared to the public sector and large companies, making it difficult for SMEs to operate and innovate. However, the possibility of survival and innov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overall industry ecosystem creation and the government's policy direction and support system. Considering this, the impact of government support, one of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s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of this study, on the survival and innovation of SMEs was analyzed.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of SMEs, the government support system (state subsidies, innovative company certification system) and organizational ecology-related variables corresponding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troduced into the research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government subsidy and the innovative company certification system enhance the survival of SMEs. In addition to the government's support system, variables related to organizational ecology also improved the survival of SMEs. Second, variables related to the government's support system, innovation promotion factors, and innovation inhibition factors were introduc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echnical and non-technical innovation of SM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overnment's support systems enhanced non-technical innovation. In the case of technical innovation, various result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form of support system for technical innovation.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promoting innovation generally enhance technical and non-technical innovation. Inhibitors related to funds and markets were found to hinder innovation overall. Thir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upport organizations and working-level people engaged in SM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ausal relationship in a similar context to the influence relationship shown in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like previous studies, in relation to survival determinants, support systems were additionally introduced in addition to organizational ecology,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was identified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Second,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concepts of each major variable were analyzed more diversely and subdivided in grasping the determinants of SME innovation. Third, research on SMEs that simultaneously grasp the two perspectives of survival and innovation is insufficient. However, this study was simultaneously identified. Since then, the importance of the government's support system and the weaknesses and improvements of the current support system were presented in the survival and innovation of SMEs.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support system, policy implications for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necessary for survival and innovation by SMEs themselves were presented.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은 지역 간 균형성장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통한 서민경제의 안정화, 국가의 전반적 경제력과 경쟁력 제고에 이바지해왔다. 또한, 고용 없는 성장시대에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고용창출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해 시장 경쟁력이 약한 중소기업은 연간 약 70만 개에 달하는 수가 소멸하고 있다(통계청, 2020). 최근 저성장 경제, COVID-19에 의해 가속화된 디지털 전환, 글로벌 경제의 플랫폼화와 같은 조류는 우리나라의 기업에게도 과거 경제위기에 맞먹는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대기업에 비해 전반적 인프라가 열악한 중소기업에게는 이러한 외부환경 영향은 중소기업의 생존에 더욱 치명적으로 다가오게 된다. 이처럼 외부환경 요인은 중소기업의 생존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외부환경 요인만큼이나 중소기업의 내부적인 노력을 통한 성과창출은 중소기업의 생존 제고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다. 이와 같은 성과창출에 대한 전제 조건은 바로 기업혁신이 해당한다. 종합하자면 중소기업은 국가에서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과 위치를 가지는 한편, 공공부문과 규모가 큰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인프라 환경으로 기업의 운영과 혁신에 있어 힘든 상황에 놓여있다. 그러나 전반적인 산업의 생태계 조성과 정부의 정책 방향 및 지원제도에 따라 생존과 혁신의 가능성이 달라지게 된다. 이런 측면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외부환경적인 요인에 해당하는 정부의 지원을 초점으로 중소기업의 생존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계량적 분석을 통해 정부의 지원제도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이후 양적 방법을 통해 파악하지 못한 계량적 분석에 대한 추가해석과 추가요인 탐색 등을 위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보완하였다. 먼저 중소기업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정부의 지원제도(국고보조금, 혁신기업 인증제도)와 조직생태학 관련 변수를 투입하였다. 생존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3 - 2020년까지 연구의 시간적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83,757개의 표본이 활용되었다. 분석방법은 생존분석에 일종인 카플란-마이어와 콕스 비례위험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국고보조금과 혁신기업 인증제도는 중소기업의 생존을 제고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지원제도 이외에 조직생태학 관련 변수 역시 중소기업의 생존을 제고시켰다. 둘째, 중소기업의 기술적·비기술적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정부의 지원제도와 혁신 촉진요인과 혁신 저해요인 관련 변수를 투입하였다. 혁신 제고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STEPI에서 제공하는 「한국기업혁신조사」 2016, 2018, 2020 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총 10,124개의 표본이 활용되었다. 분석방법은 표본 선택 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 성향점수매칭을 사용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정부의 지원제도들은 비기술적 혁신을 제고 했으며, 기술적 혁신의 경우 기술적 혁신에 미치는 지원제도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제시되었다. 혁신 촉진요인의 경우 전반적으로 기술적·비기술적 혁신을 제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 저해요인의 경우 기업역량 요인을 제외한 자금요인과 시장요인은 전반적으로 기업의 혁신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지원기관과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진행한 결과 전반적으로 통계적 분석에서 나타난 변수 간 영향 관계와 유사한 맥락의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생존과 관련하여 기존 선행연구들은 외부환경적 요인인 조직생태학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으며 단년도 형태의 자료를 통해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조직생태학 이론 이외에 외부환경 요인 중 하나인 정부의 지원제도를 추가로 투입하였으며 시계열 분석을 통해 주요 변수 간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점에 있어 향후 행정학 분야에서 민간부문·공공부문 조직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관련된 이론적 논의와 측정에 있어 본 연구는 하나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중소기업 혁신의 결정요인을 파악함에 있어 혁신과 혁신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개념을 보다 다양하고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 함의가 있다. 셋째, 중소기업 생존의 결정요인 또는 중소기업의 혁신성과 결정요인을 하나의 관점을 중심으로 진행한 연구는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두 가지의 관점을 동시에 파악한 연구는 미비하다. 반면 본 연구는 두 가지 관점을 동시에 파악하였다는 점에 있어 함의를 가진다. 다음으로 정책적 함의를 통해 중소기업의 생존과 혁신에 있어 정부의 지원제도가 가지는 중요성 그리고 현 지원제도가 가지는 취약점과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원제도 이외에도 중소기업 스스로 생존과 혁신에 필요한 내·외부 요인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창업기업관점에서 바라본 투자자의 투자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물산업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박동일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10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the investment success rate for startups in the water indust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of the Korean water industry. In this research, we identified investment determinants through prior research and stratified them, and then surveyed the investor group at the beginning of the start-up using the FGI method, and determined the order of the investment determinants of investors. At the same time, we classified 41 start-ups related to the water industry into two groups: the group that received investment and the group that did not in the early stages of the start-up. Then we investigated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stor's investment determinants, ranked them, and compared them by using the AHP technique. Through this, this research proposes five implications. First, it is important for start-ups in the early stages to receive seed investment to revitalize investment for startups in the water industry. For this, startups need to understand investors and prepare to attract investment with the perspective of angel investors rather than the perspective of VC investors. Second, Start-ups in the water sector should consider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nder are important in order to receive seed investment, and also need to define their business at the industry and market level, and provide relevant rationale to meet the expectations of investors who value industry expertise and experience, an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seed investment, which is important in the early stages of a startup. Third, institutions, such as K-water(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that support water industry startups need to conduct open innovation business opportunities discovery programs linked to startups so that startups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startup support program could have business opportunities from the business infrastructure of platform-forming companies in the water industry. In particular, such institutions should help founders develop their industrial expertise and careers by supporting this type of start-up preparation proces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in-house venture founders. Fourth, when K-water uses the government start-up support fund to discover and foster founders, it should increase initial contact with seed investors, conduct more thorough verification of business plans, and develop programs that use government start-up support funds to prepare a business suitable for seed angel investors. Fifth, K-water should support seed by connecting funds for initial investment among funds operated by itself.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links the company receiving the seed investment with VC investment, not angel investment in cooperation with the VC fund operation entity participating as an LP so that companies that have attracted seed investment could attract follow-up VC investment. 본 연구는 국내 물산업 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물산업 창업기업의 투자유치 성공률 제고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선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투자결정요인을 도출해 계층화한 후, 창업초기 투자자 그룹을 대상으로 FGI 기법으로 조사하여 응답한 투자자간의 투자결정요인을 우선순위화 하였다. 동시에 물산업 내 창업기업 41개사를 대상으로 창업초기 투자를 유치한 그룹과 투자를 유치하지 못한 그룹으로 구분하여 투자자의 투자결정요인 대한 이해함수 조사를 하여 순위를 매긴 후 AHP기법을 활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투자 유치 경험이 있는 기업은 투자결정요인 중에서 ‘창업자의 특성’이 투자자의 투자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하였고, 투자 유치 경험이 없는 기업은 ‘시장 및 경쟁상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 응답하였다. 이를 선행연구와 투자자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해 보면, 투자유치경험이 있는 기업은 엔젤투자자의 투자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와 유사한 우선순위를 나타내었고, 투자미유치 기업은 국내 VC나 개인투자조합과 유사한 우선순위를 나타내었다. 둘째, 투자유치 기업의 경우엔 대부분이 Series A 이하의 투자유치로 초기 투자자의 투자의사결정을 경험해보았기에 초기 투자자와 유사한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것이라 조사되었으며, 이에 반해 투자미유치 기업의 경우에는 ‘시장’이나 ‘투자자의 수익성’이 투자자의 투자의사결정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 응답하였는데, 이는 투자자를 자본이익투자의 성격으로만 인식하는 부분이 크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다섯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물산업분야 창업기업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서는 창업초기 기업들이 초기투자 즉 Seed 투자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창업기업들이 투자자들을 VC투자자들의 관점보다는 엔젤투자자의 투자결정요인 관점에서 투자를 이해하고 준비하는 것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둘째, 물분야 창업기업들이 Seed 투자를 받기 위해서는 창업자의 특성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특히 산업전문성과 경험을 중시하는 투자자의 기대를 충족하기 위해 자신의 사업기회를 산업과 시장차원에서 정의하고 이에 대한 근거를 확보하는 것을 창업초기 단계에 주력해야 Seed 투자 가능성을 높일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한국수자원공사를 비롯한 물산업 창업기업을 지원하는 기관들은 현재 운영중인 창업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창업기업들이 물산업 내 플랫폼형성기업의 사업인프라로부터 사업기회를 포착할 수 있도록 스타트업과 연계한 오픈이노베이션 사업기회발굴 프로그램을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사내벤처창업자 등의 참여를 통해 이런 형태의 창업준비과정을 지원해 창업자의 산업전문성과 경험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한국수자원공사는 정부창업지원자금을 이용하여 창업자들을 발굴 육성함에 있어 Seed 투자자와 초기 접촉을 강화하며 사업계획의 검증을 강화하고, Seed 엔젤투자자들의 함수에 부합하는 사업을 준비 진행하도록 정부창업지원자금을 활용하게 유도하는 프로그램 창출이 필요하다. 다섯째, 한국수자원 공사는 자체운영중인 펀드 중 초기투자 펀드들을 연계해 Seed를 지원함과 동시에 Seed 투자를 유치한 기업들이 후속 VC투자를 유치할수 있도록 LP로 참여중인 VC 펀드운영주체들과 협업해 Seed 투자 받은 기업들이 이제 엔젤투자 함수에서 벗어나 VC 투자 연결을 강화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 고기술 제조업과 저기술 제조업의 기술혁신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윤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10

        기술의 동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기술혁신은 기업이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업은 혁신적인 방법을 발견하여 이를 시장에 적용하며 경쟁우위를 차지 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곧 기술혁신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조업 산업별로 고유한 기술혁신의 패턴이 존재하는지 실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제조업을 연구개발집약도에 따라서 고기술산업과 저기술산업으로 분류하고,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2년도 기술혁신조사」데이터를 이용하여 로지스틱 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개발활동 유무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혁신 유형, 기업 특성, 연구개발활동, 주력 시장, 기술적 기회, 전유 체제, 수요 구조, 정부 지원제도, 산업 유형 등을 독립변수로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제조업을 저기술산업과 고기술산업으로 분류하기 위해 설정한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산업별 기술혁신 패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두 번째, 전 산업에서 공정혁신보다는 공식적 연구개발을 통한 제품혁신에 주력하고 있었으며, 수출에 주력하는 기업일수록 활발히 기술혁신을 수행하고 있었다. 세 번째, 기술 패러다임에 의해 규정되는 기술혁신 결정요인인 기술적 기회와 전유 체제 그리고 유인 메커니즘에 의해 규정되는 수요 구조가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이 산업별로 차이가 있었다. 네 번째, 전 산업에서 기업의 규모가 작을수록 기술혁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부 지원제도가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이 산업별로 차이가 있었다. The innovations to represent the dynamic aspects of technology play an important role to dominate in the competitive companies. Companies take up competitive advantage by finding innovative way to apply it to the market, and this process is the exactly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whether are a unique pattern of the innovation in manufacturing industry.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domestic manufacturing business were classified as high-technology industries and low technology industries according to R & D intensity, and the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by using the data of "Korean Innovation Survey 2012" which is conducted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The presence or no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had been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innovation types, corporate characteristics,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main market and technological opportunities, appropriability regime, demand structure, government support programs and industry type had been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variable which was set to classify as low-tech industries and high-tech industries in the manufacturing business had significant influence so that this study found that the patterns of industry innovation are different. Second, all industries were more focused on product innovation rather than process innovation through formal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the companies the more focus on exports was carried out actively technical innovation activities. Third, there was industrial difference in impact of domestic structure which is determined by inducing mechanism on the technical innovation according to technological opportunities and the appropriability regime as the determinan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Fourth, the smaller the sizes of company in the all industries lead to a negative effect of the technical innovation. Finally, the impact of government support system on the technical innovation was different to each industry.

      • 우리나라 중소제조기업의 공정혁신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태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295

        Policy makers have focused on supporting a high-tech industry because the high-tech industry have been regarded as a important factor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nation and creating an economic performance. Consequently, political supports and innovation researches have focused on a product innovation rather than a process innovation. However, there is a question about an importance of the process innovation. The contribution of the process innovation can be bigger than that of the product innovation in some industries. The importance and the role of low-tech industry receives an attention from policy makers and researchers these days. Nevertheless, there are few researches about it. This study investigated determinants of the process innovation performance by analyzing survey data from 316 Korean SME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mbodied technological knowledge, external R&D,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is important to improve the process innovation performance. All of these results can giv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n the process innovation in Korean SMEs. 고기술산업이 국가 경쟁력 증대와 경제적 성과 창출의 주요 동인으로 간주되면서 정책당국자들은 고기술산업을 육성하는데 집중해왔다. 그 결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 대상과 기업의 혁신연구는 공정혁신 보다 제품혁신에 초점을 맞춰 왔다. 하지만 공정혁신이 과연 기업의 2차적 혁신활동으로 제품 혁신 보다 중요성이 낮은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공정혁신이 기업의 경제적 성과 창출에 기여하는 바는 산업에 따라 제품 혁신이 기여하는 것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공정혁신을 지배적 혁신으로 하는 저기술산업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고 있는 중요성과 역할이 재조명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국내의 연구들은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우리나라 중소제조기업의 공정 혁신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 토대를 세우고, 우리나라 316개 중소기업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수준과 기업규모에 따라 공정혁신성과 결정요인을 회귀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체화된 기술지식에 대한 투자가 거의 모든 분석에서 공정혁신 성과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외부 기관과 협력하여 수행하는 외부 R&D 가 공정혁신성과에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공정혁신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조직혁신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소기업의 공정혁신성과 결정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공정혁신성과 향상을 위한 실무적·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 혁신적 신제품의 구매의도의 결정요인

        안대성 한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295

        ABSTRACT The determinants of purchase intention of innovative new product Ahn Dae Seong Department of Management of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Hanbat National University Advisor: JI SEONG GO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rchas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new innovative product specifically galaxy folding using a novel approach of behavioral reasoning theory, which aims to test the relative influence of reasons for, and importance of reasons against adoption of innovative new product of Korean consumers.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the representative sample of 242 Korean consumers and analyzing the data using CB-SEM technique. The findings supported that ‘reasons for’ were prime determinant of attitude and intentions. Among the reasons for,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and simplicity were the major determinants for innovative new product purchase intention and among the reasons against, price barrier, performance barrier and usage barrier were the major determinants against innovative new product purchase. The findings also confirmed that value of openness to change significantly influenced reasons for adoption positively whereas it has a negatively impacted on reasons against adop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xamining both the pro-adoption and anti-adoption factors while developing marketing strategy. Key word: Innovation adoption, Behavioral reasoning theory, Barriers to adoption, Purchase attitude, Purchase intention, Value for change. 국 문 요 약 혁신적 신제품의 구매의도의 결정요인 논문제출자 안 대 성 지 도 교 수 지 성 구 이 연구의 목적은 행동 추론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소비자의 혁신적 신제품 채택에 대한 이유의 상대적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가설은 242명의 한국 소비자 표본을 사용하여 검증하였고, AMOS를 활용하여 공변량구조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혁신 채택의 찬성이유가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의 주요 결정 요인이라는 사실을 뒷받침하였다. ‘변화에 대한 가치’가 채택 이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반대 이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상대적 이점, 적합성 및 단순성으로 이루어진 혁신의 채택 찬성 이유는 신제품 구매태도의 주요 결정 요인이었고, 가격 장벽, 성능 장벽 및 사용 장벽으로 이루어진 혁신의 반대 이유는 신제품 구매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매태도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고, 끝으로 연구의 한계와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핵심단어: 혁신 채택, 행동 추론 이론, 채택 장벽, 혁신 결정 요인, 변화의 가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