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 한국문학의 해외소개 연구

        곽효환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culture and economy have become a new central axis in modern society which lost the antagonistic point, the ideology. Especaially, the present culture is very different from the past one. Developing countries sued to accept the advanced countries' culture in many ways. However, that has been changing. Both "accepting" countries and "giving" countries are now able to develop their culture through exchange programmes. Cultural exchange has been improved through various means, but the most effective and classic way to build cultural identification is through publication exchange. Literature among the publication exchange programme plays the main role of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Literature is not only the basis of culture by expressing life, ideology and history of a race but also the most effective intermedium between cultures. In any countries, we can find that the most active area in internatioal exchange in publication is literature. So, I suggest we introduce and activate the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to other countries through finding out the characters, current and gistory of international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We have had exchanged programmes and accepted advanced cultures through publication, especially literature, in the modern times. We did not adopt dther countries' literature. We started to introduce our literature 100 years ago to other countries but accelerated the introduction, because of increased interest and want in literature, in 1980s. International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has been activated to be a known Korean culture over a short period. Korean Tales was first published in America in 1889. Since then, there have been 497 publcations in 31 countries (in 19 languages). The Cloud Dream of Nine was published in the UK, traslated by James S. Gale. Among the modern literary works, Chosun's Representative Novels was first published in Japan in 1940 and Proud, the nobel written by Kim Nam-Chun, a member of KAPF, was published in Czech in 1947. Up until the 60s, Korean literary works published and translated were classic literary works, but the range was broadened to modern literary works in 1970s. Since 1980s, international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ry works was accelerated by increasing on interest in Korea through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and support from The Korean Culture & Arts Foundation and UNESCO-Korea. Moreober, The Daesan Foundation, a provate foundation, took a part in supporting translation and publication under the motive of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1990s. The current number of publications by countries are 107(USA), 80(France), 78(Japan), 51(Germany), 45(Russia), 24(UK), 24(China), 16(Czech) and 10(Poland), with other countries below 10 publication. MOre modern literary works than classic ones, and core modern novel than poems have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8 works have been translated over 3 times- classic works(3) and modern works(5). The classic work Choonhyang was translated 5 times in 5 languages. The Silence of Lover, a modern poem, written by Han Yong-Un, was published 2 times in English, and 2 times in French and Czech. The modern novel. The Poet written by Yi Mun-Yol has been translated 5 times in 5 languages. So Chong-Ju(poet), Yi Mun-Yol(novelist)'s works are will known abroad. The present number of translations and publications shows works written by Korean modern writer will be translated and published more in the future. 147 Korean literary works have been published in Einglish, but it is very rare to be reprinted or published and sold by a famous publishing company. There are 83 Korean literary works translated in French, of which 54 works were published in 1990s which demonstrates a huge increase in popularity. In German, Korean classics were introduced gradually by 1970s, modern works were introduced in 1980s and have become more popular in 1990s. Compared with other languages, Korean literary works, modern poem, were only translated into Spanish from the 1980s and modern novel from 1990s. However, there are no publications of Korean classics in Spanish. 72 books have been traslated into East European languages such as Russian. Czech, etc. They have been translated without any special support gradually since 1950s. 49 classics were translated, besides 23 modern works were translated. Korean literary works in China were published based on the translator's interest and preference without any support from Korea. The works published in Peking and Shanghai translated by Chinese and whereas the works published around Yanbian, a parts of China, were translated by Chinese Korean. Korean literary works translated into Japanese after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were developed in early 1970s. Many works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1980s. A large number of publications published before and after 1988 have shown a profit. However, we did not consider copyrights issues as our main focus was on letting people know about Korean literary works. The importance of copyrights was first realised when 2 writers, Lee Chung-Joon and Yi Mun-Yol, made a contrant a contract with a French publication company, Actes sud in 1990s. This was shocking to Korean society where the concept of copyrights had not been addressed. After the contract w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pyright and tried to secure copyrights. We have faced problems. The problems on translation and publication are: 1. which works should be translated 2.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nslation skills and train the translators 3. how to publieze and publish In connection with supporting programme, there are several problems: 1. how to support the project systematcally 2. the shortage of specialist in this area 3. duplicated support from the different organizations 4. no education policy for new translators The problems concerning translations are as follows: 1. how we spread our literature abroak 2. the shortage of professional translators 3. poor working environment for full-time translators I suggest that how we can make Korean literature popular in the world is through analyzing the above problems and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My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There should be a systematic policy for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Korean literary works. 2. Support programmes to aid the above 3. There should be cooperation between supporting organizations. 4. It is very improtant to spread Korean literary works 5. Educate new translator. 6. We should try to keep the spirit of Korean literature alive.

      • 중국의 한국어문학교육에서의 교육연극 활용 연구 : 처용설화를 중심으로

        호신양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외국어교육은 그 나라의 문화와 분리하여 이루어질 수 없다. 한국의 문화는 전통 예술, 의식주, 생활양식 등을 포함해 범위가 넓다. 본 논문은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해서 한국어문학교육 모형을 설계하여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향상뿐 아니라 한국문화 교육에 대한 효용성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처용가」는 오랜 시간 전승되어 온 한국의 전통문학 가운데 하나로 문학적, 민속적, 예술적 가치가 있다. 「처용가」는 한국인의 생활방식, 가치관, 신앙 등이 그대로 녹아있다. 그런 점에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와 문화를 자연스럽게 교육시키는데 그 효용성이 높다고 하겠다. 교육연극 기법을 통한 한국어문학교육 목표는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고 문화적으로 다방면에서 한국어능력을 갖춘 인재를 기르는 것에 있다. 교육과정에서는 텍스트를 단순히 읽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교육연극 기법으로 텍스트를 변형시키게 된다. 그렇게 변형된 텍스트를 학습에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어문학교육에 있어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 한국 문화의 이해도를 신장시키기 위해 고전문학 「처용가」의 배경설화 속에서 처용과 관련된 설화를 처용극으로 전환하는 교육연극 모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학습 대상자는 고급 수준의 한국어능력을 지닌 중국인 학습자로 교육연극 모형에서 제시한 연극연습 과정을 통해 한국인의 일상어와 예술어의 사용양상을 알게 하고 이해하게 한다. 교육연극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에서 학습자들로 하여금 처용극을 통해 연습과 실연에 참여하게 되어 적절한 말하기와 같은 언어적 표현능력과 연기와 동작과 같은 비언어적 표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논증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교육연극 D.I.E.기법을 활용해서 다 각도의 활동 방법을 모색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한국어문학교육이 한국어 학습 시 언어능력 신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만큼 한국어를 학습하는데 문화와 언어는 분리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한국 고전문학 처용설화를 가지고 한국어문학을 교육하는 것이 아주 훌륭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현재 중국에서 진행하고 있는 한국어문학교육 실상을 보면 전반적으로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아직 체계화가 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 분야에 관한 연구자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한국어문학의 교육현장의 교수·학습법 개발을 시론적으로 모색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culture of the relevant country. Korean culture has a wide scope including traditional arts, necessities of life, and lifestyle. This thesis discussed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in Korean and the usefulnes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by designing a Korean literature education model using the educational drama technique. As one of the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that has been transmitted for a long time, 「A Tale of Cheoyong」 has values of literature, folklore, and arts. As 「A Tale of Cheoyong」 fully contains the lifestyle, values, and faith of Korean people, it is highly useful for naturally educat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e goal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e educational drama technique is to increas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learners and also to cultivate the talent equipped with Korean language ability culturally in many different fields. In the curriculum, it is not simply reading texts, but transforming them through the educational drama technique. By applying such transformed texts to learning, the learners' interest is aroused to increase their learning a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in Korean and also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his thesis aims to suggest an educational drama model changing the tale related to Cheoyong in the background tale of a classical literature 「A Tale of Cheoyong」 to a drama of Cheoyong. The subjects of learning are the Chinese learners equipped with the high-level of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rough the process of drama practice suggested in the educational drama model, they could learn and understand the aspect of using everyday language and artistic language of Korean people. In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using the educational drama, the learners could improve the verbal expressiveness like proper speaking and also non-verbal expressiveness like acting and movements by participating in the practice and actual drama through the drama of Cheoyong.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multilateral activity methods by using the D.I.E. technique of educational drama. As the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s greatly helpful for the increase of language ability in case when learning Korean language, its culture cannot be separated from language for learning Korean language. In this aspect, 'A Tale of Cheoyong' as a Korean classical literature could become an excellent material for educating Korean literature. In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China, overall, the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the educational drama technique has not been systematized yet, and there are not many researchers in this area. Thus,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to preliminarily seek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 of Korean literature in the educational site.

      • 한국전시소설 연구 : 『전시한국문학선』을 중심으로

        이종문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고는 한국문학사에서 공백으로 남아있거나 단편적인 언급에 불과한 전시소설을 『전시한국문학선』에 수록된 20편의 작품을 중심으로, 그 면모를 유형화해서 분석해 봄으로써 문학사적 의의를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1950년 6월말부터 1953년 7월말까지 발표된 소설들은 그 동안 논자들의 관심을 받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부정적 평가를 받았다. 그 주된 이유는 문학성 문제만을 가치판단의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전시소설이라고 해서 예술적 꾸밈이나 형식미와 같은, 소설양식으로서의 최소한의 구비요건을 면제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전시소설을 평가할 때 간과해서는 안될 것은, 한국전쟁이라는 특별한 시대와 상황속에서 태어난 소설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시대와 상황적 요인은 전시소설의 주된 창작계층인 종군작가들에게, 종군문학에 기본적으로 내포되어 있는 도구문학적인 성격, 선전문학적인 형질을 강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그러한 시대와 상황적 요인이 문학작품에 투영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특히 월남작가들의 경우 작가 자신의 생애에 따른 개인적 성향이 당시의 정치적 상황, 전쟁체험 등과 결부되어 냉전의식과 반공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본고에서는 전시소설의 면모를 ①전선의 전투상황 ②적치하의 생활상 ③전선과 후방의 연계 ④피난생활의 실태 ⑤전쟁과 무관한 내용 등으로 유형화해서 분석하였다.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 속에서 나타나는 당대현실의 인간상을, 이념과 현실의 측면에서 살펴 보았다. 작중 주요인물의 측면에서 혹은 창작의도의 측면에서 또는 서술방법의 면에서 어떤 경향성을 드러내고 있는가에 특별히 주목하였다. 전쟁기에 발표된 소설들을 취합하여 주제별로 분석하고 정리하는 작업은 주관이 게재될 가능성이 많지만, 이를 통한 유별화 작업을 거친다면, 당시의 작가와 작품의 모습을 한층 명확히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전시소설의 특징과 양상은 한국전쟁이라는 한국적 시대상황이 총체적으로 만들어 낸 것이다. 전시소설이 전쟁기간중이라는 척박한 환경속에서 태어난 문학사적인 산물임을 감안할 때, 당시 문학을 판단함에 있어 시대적 상황과 작가의 내적 문제가 고려된다면 평화로운 시기의 작품을 대할 때 가졌던 기대지평을 한층 낮출 수 있을 것이며, 그에 따라 보다 많은 작품을 건져 올릴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시소설에 대한 정당한 문학사적 평가가 이루어질 때, 한국전쟁을 기점으로한 전전소설과 전후소설의 연결고리로서 전시소설의 문학사적 의의도 복원되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20 works listed in "Collection of the Korean Literature Works during Korean War", assuming that they have not sufficiently been discussed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literature, and thereby, find their implications in nation's literature history. The stories published from late June, 1950 to late July, 1953 did not much draw attention from critics, some of whom even criticize them negatively, partly because their criteria for judgement of the literary value were focused on the literary issues. War stories should not be exempt from such minimum requirements as artistic expression, form or other conditions required of the stories. However, we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the war stories were written under the special historic conditions or during the Korean War. Such historic conditions or circumstantial factors forced the major war story writers or war writers to adopt instrumentalism or propaganda inherent in the war stories, and as a result, the war stories reflect such a negative nature. In particular, the defector writers who were victims of communism tended to reinforce the ideologies of Cold War and anti-communism in their stories. With such a background in mind, this study classified the war stories into (1) those about the front battles, (2) those about people's life under enemy's occupation, (3) those about linkage between front and rear, (4) those about refugees' life and (5) other stories than war for the sake of analysis. Then, the human image projected from the extreme condition or war was reviewed in terms of ideology and reality. In particular, it was attempted to grasp some tendencies of the stories in terms of main characters' psychological conflicts or authors' creative intentions or methods of description. Any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war stories by theme may be subjective, but if the war stories can be reasonably classified, they will be better featured in terms of their nature. Anyway, war stories were the by-products of the war or the historical products. Considering that the war stories were the literary products born from the miserable environment or the war, it may well be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historic conditions and author's psychological troubles. Then, our expectation of them would not be betrayed as that of the literary works written during peace time would not be, and therefore, more works can be accommodated in the history of our literature. All in all, when the war stories can be assessed in a fair manner,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war stories will be recovered in terms of a linkage between pre-war and post-war stories.

      • 한국문학 작품을 통한 문화 문식력 향상 연구

        김완실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문식력 향상을 위해서 한국문학 작품을 활용하기 위한 논의를 전개한 것이 주요 내용이다.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문식력은 한국 사회의 전통·문화에 대해 이해하는 능력, 한국 문화에 대해 해석·비판하는 능력, 한국 사회 구성원이 되어 소통하는 능력으로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 생활에 주체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기본 소양이다. 이러한 문화 문식력은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으로도 신장될 수 있는데,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은 문학 문식력 향상에 다음과 같이 기여하기 때문이다. 첫째,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은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 전통 사회의 배경과 관습, 가치 등을 알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둘째,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은 한국어 학습자가 자신의 문화적 자원의 토대 위에 텍스트를 재구성하도록 돕는다. 셋째,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은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 문화 정서를 이해하고 한국 구성원들과 미적 아름다움을 공유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문식력 향상이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데에 중요하다고 보고, 문화 문식력 향상을 위한 연구를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본 연구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문제를 제기하였다. 선행 연구는 문화 문식력에 관한 연구, 문학 교육에 관한 연구, 문학 작품을 활용한 문화 문식력 향상 연구의 세 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문화 문식력의 한국어 교육적 함의를 확인하고, 문학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문화 문식력의 개념과 구인을 선정하였다. 문화 문식력의 구인은 문화지식, 해석·비판 능력, 소통 능력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더불어 문학 교육 작품을 활용한 교육의 이론을 살피고, 문화 문식력과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의 연관성을 피력하였다. Ⅲ장에서 한국어 교재 34권에 수록된 문학 작품의 구성과 장르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수자의 문학 작품 활용에 대한 인식 조사와 학습자의 요구 조사를 진행하였다. 교수자의 인식 조사는 40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문학 작품 활용의 경험 유무, 문학 작품을 배우기에 적절하다고 보는 언어 수준, 문화 수업에서 활용하기에 적절하다고 보는 작품, 그 작품의 선정 이유를 설문하였다. 학습자의 요구 조사는 60명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작품을 배운 적이 있는지 여부, 학습하고 싶은 문학 작품, 교실에서 문학 작품을 배울 때 활용을 희망하는 매체를 묻는 문항을 설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Ⅳ장에서는 문화 문식력 향상을 위한 문학 작품의 선정 기준을 마련하고, 다양한 문학 작품을 활용한 수업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교사의 인식 조사와 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통해 도출한 문학 작품의 선정 기준으로는 ‘문화·역사의 정보 제공성, 학습자의 공감 유도력, 다양한 매체와의 호환 가능성’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문학 작품을 활용한 수업 모형을 문화 수업, 읽기 수업, 말하기 수업으로 나누어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 문식력 향상을 위해 문화 문식력의 구인을 설정하고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요구 분석하여 교육 대상 한국문학 작품의 선정 기준을 마련하였다는 데에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선정 기준을 실천하기 위한 일환으로 문학 작품을 활용한 다양한 수업 모형을 설계하고, 구체적인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developed discussions on the utilization of Korea literary works for improvement of cultural literacy of students learning Korean language as the key content. Cultural literacy of Korean language students includes their ability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cultures of Korean society, ability to interpret and criticize Korean cultures, and ability to communicate as a constituent member of Korean society, and is the basic refinement required of them to participate in their daily life in Korea as principal members of the society. Such cultural literacy can be enhanced through education that utilizes literary works because of its contribution towards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 literature literacy as follows. First, education by utilizing literary woks provides information to students that enable them to learn the background, customs and values of the traditional Korean society. Second, education by utilizing literary woks assists the students to students to recompose the text on the foundation of their own cultural resources. Third, education by utilizing literary works will enable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the literary sentiments of Korea and share the aesthetic beauty with the constituent members of Korea. Accordingly, this study is aimed at presenting the means of provision of education by seeking how literary works could be utilized in order to improve the cultural literacy of the Korean language students with the view that such improvement is very important in leading their lives in Korean society successfully and satisfactorily. Chapter I of this study disclosed the purpose and need of the study along with presentation of problems by reviewing the preceding researches. Preceding researches were reviewed by categorizing them into those on cultural literacy, those on literary education and those on the improvement of cultural literary by utilizing literary works. In Chapter II, Korean language education implications of cultural literacy were looked into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literary education. For this purpose, concepts and compositional elements of cultural literacy were selected. Compositional elements of cultural literacy included cultural knowledge, ability to interpret and criticize, and communication ability. Furthermore, theories of literary education were examined and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literacy and literary education was set forth. In Chapter III, literary works, composition and genre included in 34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analyzed. In addition,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ognition of the teachers and demands of students on the utilization of literary works. Survey on the cognition of 40 teachers was conducted with questions on whether they have experience of having used literary works, level of language ability that is appropriate to learn literary works, literary works that are deemed to be appropriate for utilization in cultural lessons and the reasons for selection of such literary works. Survey on the demands by 60 Korean students was conducted with questions on whether they have experience of having learned literary works, literary works that they want to study and medium to be utilized when learning literary works in the classroom. On the basis of the outcome of these surveys, Chapter IV dealt with establishment of criteria for selection of literary works for improvement of cultural literacy and designing of lessons by utilizing a diverse range of literary works. Criteria for selection of literary works dedu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s on the cognition of teachers and demands of the students included ‘provision of information on cultural history, ability to induce empathy of students and possibility of compatibility with a diverse range of media’. On the basis if these criteria, models for lessons, which utilize Korean literary works, were designed by dividing the lessons into the cultural lesson, reading lesson and speaking lesson. This study is highly significant in that it has established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Korean literary works to be used in education by setting the compositional elements of cultural literacy for improvement of cultural literacy and analyzing the demands of teachers and students. Moreover, it is significant in that diverse lesson models were design and specific teaching methods by utilizing literary works were presented as a means of realizing such selection criteria.

      • 대화중심교수·학습법을 활용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 연구 :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김리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화중심교수·학습법을 활용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 연구: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본고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문학 감상능력 향상과 사회 갈등 해결을 위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논의는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에서의 부적응, 가족 갈등, 자녀 문제 등이 한국 사회 적응을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만으로 해결될 수 없다는 것에서 시작되었고, 그에 대한 방안을 대화를 이용한 한국 문학작품 감상 교육에서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문학교육을 위한 문학작품 목록을 선정하였고, 국어과 문학교육 방법인 대화중심 교수·학습법의 교육절차와 내용을 수정하여 교육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초등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이모의 결혼식』과 『반말 왕자님』을 활용한 수업안으로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는 문학이 가지는 언어, 문화, 자기성찰 기능을 통해 언어, 문화교육뿐만 아니라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문제를 고려한 한국어 문학교육으로 이어간 데 의의가 있다.

      • 한국 현대 수필론 연구

        이영조 배재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8703

        Until now essay has not won the proper evaluation it deserves though, of which portion has never been outstripped by any other literature genre in the collection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Thereafter, strayed away from the central issue, it has been dealt as the outside matter. The general acknowledgment on essay has also been developed along with the flow of Korean literature, but stays still in those of 1930's years. The writer starts the study with the question thought that it is caused from the pheonomenon that there has not been products by systematical study on the essay theories. Therefore it 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at essay be rightly positioned as one of the literature genres by systemizing the contemporary essay theories in Korea. In the mean time, because studies on essay theories have been performed occasionally but most have stated repetitive observation with same words and have been nothing but simple theoretical researches, those studies have showed the limitation in the systemization of essay theory in Korea inevitably. Futhermore study on essay theory is efficient when theories connect with works. However, prior studies have not been performed in a harmonizing way. Therefore the writer will systemize the theories by scrutinizing the feature that various theories have been adopted at works and suggest the direction which essay take from now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search is followed as, firstly, the writer sets the time period from 1930’s to present because, to meet the purpose of diagnosing essay in the present and persueing the rise of essay in the future, a systematic arrangement of the creation-development process of contemporary Korean essay theory is needed . In the first chapter, the research's objective, method and the examination of preceding researches are set. The second chapter abstracts the influence given to the Korean essay by Korean classical essay, other Eastern and Western counrtries' essay. It is made by observing the general definition and formation process of those essays. After considering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essay , the writer regards this as the background of present essay theory's appearance. The third chapter divides essay's structural elements into 'genre theory', 'subject theory', 'form theory'. Each category of relating theorists will be examined diachronically. At the same time how their theories are applied through out their works will be studied. For example, the form theory of essay is designed to study theory on authors and works synthetically . The 'Genre theory' is simplified as 'aesthetic accommodating of super genre' and theorists under this "Genre theory" are Jin-seob Kim and Gwang-seob Kim for 'applying diverse literature genre', Jae-cheon Yun for 'extending the connections among literature genres', Jin-gwan Jung for 'creating the experimental writing techniques'. Next the 'Subject theory' is simplified as 'juxtaposition of lyricism and critical awareness'. Theorists under 'Subject theory' are Hwa Im for 'the organic combination of morality and thought', Tae-gil Kim for 'expression of consciousness about social subject', Baeg-il Jang for' philosophical signification of various material ', Yu-sik Lee for' groping ways through the change of subject'. Finally, 'Form theory' is simplified as 'an aesthetic expression of subject consciousness'. Theorists under 'Form theory' are Gi-rim Kim for 'the realization of critic consciousness through sensible rhetorics', Tae-jun Lee for 'configuration of characteristic and artistic writing style' Heug-gu Han for 'intention of lyrical expression techniques', O-yeong Yun for 'realization of the internal rhythm of significance and resonance', and Cheon-deuk Pi for 'precise structuring order among simpleness'. The fourth chapter examines the future of essay. In the first paragraph, the critical points are examined with bisecting them by the form and content, which is needed to overcome errors foun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essay theories. Second paragraph presents the moving trend of persueing ex-centrism and expending the field of essay as the alternative solution on the points at issue. The pages specifically discusse the solutions for the errors. It points out the problems of setting which has imposed limitation on the length of essay and the errors of already established essay theories which made a name, 'unformed literature' as the name of essay literature by the formality perspective. The solutions lead to creating fusion essay, introducing 'the point of view' and freeing essay's length setting. The content mainly discusses the 'argumentation on fictiveness'. Also, a suggestion is made to use the word 'imagination' instead of 'fiction' and reserches current position of essay which is expanding in diverse ways like 'essay on ecology' and 'essay on children'. On the basis of studies stated above, the writer examines that essay is being duely positioned as one of the regular literature genre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지금까지 수필문학은 한국 현대문학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문학 장르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았음에도, 그에 합당한 평가를 받지 못한 채 논점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었다. 수필문학에 대한 제반 인식 또한 여전히 1930년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자는 여기에 대한 원인이 수필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현대 수필론을 유형적으로 체계화함으로써 수필문학의 위상을 제대로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수필론에 대한 연구는 간헐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동어 반복적이고 평면적 이론의 탐색에 그치는 등 한국 수필론을 체계화하는 데에는 미흡한 형편이었다. 더욱이 수필문학 연구는 수필론과 수필작품을 연계하여 고찰했을 때 효과적임에도, 이론과 작품을 아우르는 통합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필문학의 다양한 이론이 작품에 수용된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수필론을 체계화하고, 이를 근거로 앞으로 수필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이 연구의 전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의 시대적 범위는 1930년대부터 현재까지로 설정했다. 현재의 수필문학을 진단하고 미래문학을 지향한다는 연구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한국 현대 수필론의 생성과 발전 과정의 체계적 정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Ⅰ장에서는 연구목적과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의 고전수필과 동·서양 수필문학의 일반적 정의와 형성 과정을 살펴 그들이 한국 수필문학에 끼친 영향을 추출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현대 수필론 출현의 배경으로 한국 수필문학의 형성 과정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수필문학의 구성 요소를 ‘장르론’, ‘주제론’, ‘형식론’으로 분류하여 통시적으로 해당 이론가의 수필론을 고찰한 후, 그들의 수필론이 작품 속에 어떻게 용해되고 있는지에 대한 공시적 고찰을 겸했다. 본 연구에서 밝힌 ‘장르론’ 유형은 ‘초장르의 미학적 수용’으로 집약할 수 있으며, 여기에 해당되는 이론가들의 수필론으로 김진섭·김광섭은 ‘다양한 문학 장르의 활용’, 윤재천은 ‘문학 장르 간의 연계성 확장’, 정진권은 ‘실험적 창작 기법의 발안’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다음 ‘주제론’ 유형은 ‘서정성과 비판의식의 병치’로 집약할 수 있으며, 여기에 해당되는 이론가들의 수필론은 다음과 같다. 임화는 ‘모럴과 사색의 유기적 결합’, 김태길은 ‘사회적 주제의식의 발로’, 장백일은 ‘다양한 제재의 철학적 의미화’, 이유식은 ‘주제 변혁을 통한 활로 모색’으로 수필론을 추출하여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형식론’ 유형에서는 ‘주제의식의 미적표현’이라고 집약했으며, 여기에 해당되는 이론가들의 수필론은 다음과 같다. 김기림은 ‘감각적 수사를 통한 비판의식의 실현’, 이태준은 ‘개성적·예술적 문체의 형상화’, 한흑구는 ‘서정적 표현기법의 지향’, 윤오영은 ‘함축과 여운의 내재적 리듬 구현’, 피천득은 ‘평이함 속의 치밀한 구성 양식’으로 수필론을 요약하여 논의하였다. Ⅳ장은 수필문학의 미래를 진단해 보았다. 1절에서는 수필론이 전개되는 과정 중 발견된 오류를 극복하기 위한 쟁점을 형식과 내용으로 이분화하여 살펴보았다. 2절에서는 쟁점에 대한 대안 제시로 탈중심주의의 추구와 수필문학의 영역 확대를 위한 움직임을 소개했다. 이 장에서 본격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오류 극복을 위한 쟁점으로 형식 측면에서 ‘무형식의 문학’이라는 기존의 수필론과 수필 분량의 제한적 설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퓨전수필의 창작, 시점의 도입, 분량의 자유화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내용 측면에서는 ‘허구성 논란’에 대해 고찰하고, ‘허구’라는 용어 대신 ‘상상’이라는 용어를 채택하자는 건의와 생태수필, 동수필 등 다각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수필문학의 현 위치를 살펴보았다.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학사 교재 연구

        리, 메이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사 교육에서 존재하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하여 교육의 인프라가 되는 이론적 연구의 지속과 심화로서의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사 교재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현재 중국 내 대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문학사 교육의 위상을 정립하고자 교육이 지향해야 할 목표를 세우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교육 현장에서 교재로서 쓰인 한국문학사 저술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해본 것이다. 이 연구는 서론 부분에서 현행 한국문학사 교육의 제반 문제점을 제기하여 연구의 필여성을 논하고 연국 목적을 밝혔다. 본론 부분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전개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문학사 교육이 문학교육과 문화교육 등의 방면에서 대체할 수 없는 교육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중국 내 대학교 한국문학사 교육 과목의 양상과 중국인 학습자의 실제를 부합하는 명확한 교육 목표를 재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문학사 교재의 역사를 간명하게 살피고 교육 목표에 비추어 수집된 기존 한국문학사 교재 7권이 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을 반영하는 데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에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한국문학사 교재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술 방식과 교재의 내용 구성에서 개선해야 할 점들을 제시하였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가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사 교재 연구를 포암하여 한국문학사 교육과정의 내실 있는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 활동이 한층 더 활발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일정하게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한국문학의 베트남어 번역 연구

        하 밍 타잉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한국근대소설의 베트남어 번역에 나타난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최근 5~10년 동안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문학작품 수는 급격히 증가했다. 19세기 말 20세기 초부터 번역이 시도된 영어를 비롯한 몇몇 다른 언어에 비해 시작은 꽤 늦었으나 짧은 시간에 이미 60종에 가까운 한국문학작품들이 번역 출판되었으니 나름대로 의미 있는 성과라고 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한국문학의 베트남어 번역에 대한 본격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국과 베트남을 막론하고 겨우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문학작품의 제목을 거론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을 뿐이다. 한편, 베트남에서 한국문학작품이 번역 출판되면 무조건 귀한 도서라고 대우를 받던 시대도 끝났다. 한국문학이 처음 소개되기 시작하던 1990년대와 달리 이제는 번역 작품에 대한 베트남 독자나 연구자들의 요구와 기대가 훨씬 높아졌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번역의 양 못지않게 질을 중요하게 여기는 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문학번역의 질을 논의할 때 문학번역비평(Literature Translation Criticism)이 자주 언급된다. 문학 작품은 언어의 창조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한 예술로서 수용이나 효능의 차원을 넘어선 보다 종합적인 인식 활동의 산물이므로, 그 작품의 고유한 의미와 구조를 존중해 작품의 향취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번역이 지향하는 최종목표라 하겠다. 번역비평은 철저히 이를 위해 존재한다. 하지만 한국문학작품의 베트남어 번역에 관해서는 번역비평 자체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렇듯 번역비평이 부재하거나 그 비중이 극히 낮은 현실에서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문학작품은 독자층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물론이고 전문가들에 의한 생산적인 연구도 기대하기 어렵다. 베트남 국내에서 학술지, 전문 비평지, 전문 신문, 단행본, 심지어 일반신문과 잡지,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틀어서도 이들 작품을 대상으로 한 번역비평은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필자는 2012년에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에서 「<만세전>에서 나타난 베트남어 오역 문제」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발표한 적이 있다. 간략한 소개 정도의 소논문이었지만 그것이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근대문학 작품들에 대한 최초의 번역비평이었다. 본 논문은 그 연장선상에서 대상 작품들의 원본 텍스트(ST)와 번역 텍스트(TT)를 동시에 비교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논문은 먼저 베트남에서 자국어(Quốc ngữ, 꾸옥 응으) 사용의 상승과 번역의 관계를 조명하면서, 번역이 근대 민족국가(네이션) 형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베트남에서 번역은 근대와 거의 동시에 형성된 개념이기 때문에 역사적․사회적․문화적 측면에서 중요한 키워드가 된다. 즉 번역이라는 행위는 베트남의 근대를 상징하는 시대적 의미를 지닌다. 근대의 격변기에 많은 신개념, 신문화, 신사상이 난해한 중국의 한자(한문)도 아니고 프랑스의 프랑스어도 아닌 꾸옥 응으로 번역되어 소개되었기 때문에 베트남의 일반국민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 베트남의 근대문학 역시 이런 바탕에서 형성되기 시작하는 바, 이런 정황들에 대한 이해는 한국근대문학을 대상으로 하는 본 논문에도 일정한 참고를 제공한다. 이어서 본 논문은 근대 이후 베트남과 한국의 상호 문학 교류와 번역작업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국과 베트남이 서로 상대국의 문학을 언제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살피는 것은 본 논문의 주제를 다루기 위한 필수적인 선행 작업이기 때문이다. 특히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문학의 현황을 정리하고 그중에서도 한국소설의 면모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이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근대소설을 분석 대상 텍스트로 삼고 있기 때문에 번역을 시도한 번역자에 대한 연구 역시 빠뜨릴 수 없다. 번역비평은 ST와 TT를 비교 분석하기 때문에 주로 TT 중심의 비평(book review)을 하는 일반 독자와는 다른 전문번역가의 존재를 전제로 한다. 이때 번역자의 개인적인 자질은 물론, 번역자와 번역 방식의 유형은 번역 결과에도 일정하게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은 무엇보다 번역연구이기 때문에 본문에서는 한국근대소설의 베트남어 번역에서 나타난 문제들을 중심으로 실천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본 연구자는 문학번역에서 가장 큰 문제가 ‘오역’이라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ST와 TT를 비교하여 잘된 부분보다는 이상하거나 틀린 부분을 위주로 지적하고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 때문에 자칫 공정한 번역비평이 아니라는 오해를 살까봐 염려되는 측면이 없지 않다. 그러나 이는 좀 더 나은 번역과 생산적인 번역문화 조성을 위한 학문적 검토와 분석의 과정일 뿐이라는 점을 미리 밝힌다. 오역의 여부를 살피고 오역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제대로 해명하는 것이 번역연구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임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오역이 많으면 독자들에게 작품 본래의 내용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를 온전히 전달하지 못하는 위험성도 그만큼 커질 것이다. 오역이라면 흔히 어려운 단어나 숙어에서 발생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은 쉽다고 여기는 말에서 틀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누락 역시 오역의 일부로서, 의외로 빈번하게 발생한다. 때로는 번역자의 성의를 의심할 수밖에 없는 경우마저 없지 않다. 물론 오역은 대부분의 경우 한국과 베트남 양국의 역사․문화적 차이, 언어적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역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유형별로 짚어보면서 이러한 여러 종류 오역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점검하고자 했다. 필자는 『운수 좋은 날』, 『김유정 단편선』, 『메밀꽃 필 무렵』,『김동인 단편선』, 『만세전』,『삼대』,『상록수』 등 대상으로 삼은 7종의 베트남어 번역본 텍스트에 대해 첫째, 고유명사 표기 불일치 및 오류, 둘째, 어휘 오역, 셋째, 문장 오역, 넷째, 누락 등의 문제점들을 짚어나갔으며, 각 부분에서 오역의 구체적인 양상을 표로 정리하여 이해를 도왔다. 특히 표에서는 번역자가 번역한 베트남어를 <필자의 번역문> 칸에서 필자가 다시 한국어로 번역하였기 때문에 ST와 바로 비교해서 오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거듭 말하지만, 본 논문은 한국근대소설의 베트남어 번역 텍스트들을 대상으로 오역의 근본 원인을 살펴보고 나아가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과제로 삼았다. 완벽한 번역본이 없고 어떤 번역자도 오역을 피하기 어렵지만 어쨌든 오역을 최소한으로 줄이고자 노력해야 하는 것이 번역자로서 가장 중요한 의무이자 미덕이다. 한국문학의 베트남어 번역, 그중에서도 근대문학번역은 양과 질 모두에서 아직 멀고 험한 길을 가야 할 형편이지만, 본 논문을 계기로 좀 더 충실한 번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한국근대문학관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최기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분야는 한국어 의사소통 기능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문화교육은 의사소통 기능 향상을 위한 부수적인 수단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언어는 단독적으로 형성될 수 없으며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문화를 기반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언어교육에서 문화교육도 반드시 필요하다. 문화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는 크게 문화교육의 방향, 문화교육의 내용, 그리고 문화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로 진행되었다. 특히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는 TV드라마, K-POP, 문학텍스트, 웹툰 등을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공간을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한 연구도 찾아볼 수 있었는데 민속촌이나 박물관, 미술관을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 연구에 비해 문학관을 중심으로 연구한 논문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비해 문학관이라는 공간은 숫자, 접근성, 인지도 등에서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근대문학관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이다. 한국근대문학관은 인천문화재단이 인천광역시 개항장 거리에 조성한 공간으로 한국 근대문학 관련 3만여 점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으며 전시, 교육, 연구, 문화행사 등을 진행하는 곳이다. 한국근대문학관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의 특성으로는 다양한 근대문학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 문화예술과 연계한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다는 점, 역사문화 교육으로의 확장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한국근대문학관의 전시콘텐츠, 문학작품, 문화예술 프로그램 활동과 주변에 위치한 근대 문화유산을 활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에게 효과적으로 한국문화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국근대문학관의 특성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교실 내 활동, 문학관 전시 관람을 통해 입체적으로 문학작품의 내용을 접할 뿐만 아니라 역사문화 프로그램 활동까지 진행할 수 있다. 본 연구가 한국문화를 학습하는 외국인들에게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