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패션필름에 나타난 브랜드 아이덴티티

        박병윤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43

        과거 패션 브랜드에서는 패션 정보 전달 및 홍보 차원에서 소비자와의 소통을 위해 패션 잡지나 런웨이 등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시대가 흐름에 따라 이러한 단편적인 정보 전달 방식의 한계성을 느낀 패션 브랜드에서는 새로운 소통의 수단으로 패션필름을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패션필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어 럭셔리 브랜드는 물론 디자이너 브랜드 및 SPA 브랜드에 이르기까지 패션필름 제작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패션필름의 유형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패션 브랜드별로 패션필름에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어떻게 녹여내는지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브랜드 선정에 관해서는 ‘BrandZ’에서 조사한 ‘Global Top 100 Brands 2017’ 중 ‘Luxury’ 카테고리 Top 10에 선정된 브랜드에서 시계 및 보석 브랜드인 ‘롤렉스(Rolex)’와 ‘까르띠에(Cartier)’를 제외한 8개 브랜드를 분석기준으로 선정하였고, 해당 브랜드의 Youtube 채널 영상 중 2010년부터 2017년까지의 영상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패션필름의 유형은 제작 목적 및 영상 형식에 따라 프로모션 필름(Promotion Film), 브랜드 필름(Brand Film), 에피소드 필름(Episode Film), 내러티브 필름(Narrative Film), 아트 필름(Art Film)으로 분류하였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는 상징, 제품 특성, 브랜드 이미지, 개성, 문화로 분류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패션 브랜드별로 다양하게 특징이 분류되었다. 본 연구 결과 5가지 유형의 패션필름 중 프로모션 필름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에피소드 필름, 브랜드 필름, 내러티브 필름, 아트 필름 순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결과 브랜드마다 특성에 따라 패션필름을 활용하는 목적과 그에 따른 유형 비율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루이 비통은 프로모션 필름을 위주로 패션필름을 제작하고 있는데, 단순히 제품을 홍보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 테마인 여행과 관련된 시리즈를 통해 제품과 테마를 어우러지게 연출함으로써 브랜드의 상징과 이미지를 나타낸다. 에르메스는 5가지 필름 유형 중 내러티브 필름을 활용하지 않는 반면, 시그니처 인 말, 실크 스카프, 오렌지 색상과 같은 소재를 다루는 프로모션 필름이 압도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찌는 타 브랜드에 비해 아트 필름을 비교적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형이상학적인 분위기와 효과를 제품과 함께 연출함으로써 예술적인 면을 필름으로 많이 담아내었다. 또한 직접적으로 브랜드 스토리와 역사적인 내용을 담은 브랜드 필름보다 브랜드의 가치관과 이미지를 담은 시네마 형식의 내러티브 필름을 위주로 필름을 구성해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샤넬은 8개의 브랜드 중 유일하게 프로모션 필름보다 에피소드 필름을 위주로 필름을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적으로 제품을 홍보하는 형식이 아닌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컬렉션과 그 준비 과정에서의 제작 과정을 오버랩함으로써 장인정신과 제품 특성을 나타낸다. 버버리는 아트 필름을 제작하지 않는 반면, 8개의 브랜드 중 브랜드 필름을 위주로 필름을 구성하고 있는데, 트렌치코트라는 상징을 필름의 주 소재로 드러냄으로써 브랜드의 전통과 상징을 더욱 확고히 나타낸다. 또한 버버리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였던 크리스토퍼 베일리의 혁신적 성향을 반영한 버버리 어쿠스틱이라는 그들만의 문화를 만들어 브랜드 필름을 구성해나가고 있다. 프라다는 아이덴티티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내러티브 필름을 잘 활용하고 있는데, 그 중 ‘우체부의 꿈’ 시리즈를 통해 많은 패션필름을 제작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제품만을 홍보하는 것이 아니라 필름의 분위기와 내러티브를 프라다의 감성에 기반하여 제품과 함께 표현함으로써 상징과 개성 등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낸다. 펜디는 프로모션 필름을 위주로 패션필름을 제작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필름에 모피라는 상징을 담아냄으로써 펜디의 아이덴티티를 가장 명확히 나타낸다. 또한 제품의 디자인에 캐릭터적인 감성을 적용함으로써 펜디만의 발랄한 이미지와 개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치는 내러티브 필름과 아트 필름을 제작하지 않는 반면, 프로모션 필름과 브랜드 필름, 에피소드 필름으로 패션필름을 제작해나가고 있다. 그 중 프로모션 필름 비중이 압도적인데, 실용성을 브랜드 철학으로 삼는 코치는 프로모션 필름이라는 제품 홍보성이 짙은 필름을 통해 그들 제품 및 브랜드를 실용적으로 표현해나가고 있다. 이처럼 패션필름은 패션 브랜드에 있어서 새로운 아이덴티티 표현 수단으로 작용하고, 이로 인해 다양한 프로젝트 등을 펼칠 수 있는 공간으로 작용하여 향후 패션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In the past, fashion brands used fashion magazines and runways as communication methods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in terms of fashio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promotion. However, as the era changes, fashion brands, which felt the limitations of this fragmentary information delivery method, started to use fashion film as a means of communication.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fashion films has been highlighted, and not only luxury brands but also SPA brands are actively engaged in the production of fashion fil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fashion films and the components of brand identity, and analyze how each fashion brand fuse its brand identity into the fashion films. In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methods were used. Regarding brand selection, eight brands out of ‘Top 10' brands in the ’Luxury' category among ‘Global Top 100 Brands 2017' by ’BrandZ’ were analyzed. ‘Rolex' and 'Cartier'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because they are not only jewelry brands but also watch jewelry brands. The video clips of the brand on Youtube channel from 2010 to 2017 were analyzed. Fashion films were classified into promotion film, brand film, episode film, narrative film and art fil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production and image format. The brand identity components were classified into symbol, product characteristics, reflection, personality and culture. The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the standards and various 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each fashion br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out of 5 forms of fashion films, the highest ratio form of films were promotion film followed by the order of episode film, brand film, narrative film, and art film. However,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purpose of the fashion films and the type ratio according to the brand. Louis Vuitton produced fashion films mainly focusing on promotion films. Instead of simple promotion of products, it represents the symbol and image of the brand by combining products and themes through a series related to travel, which is a brand theme. While Hermes does not use narrative film among the five film types, it uses promotion films a lot which deal with signature motifs such as horses, silk scarves, and orange color. Gucci was found to use more art films than any other brand. Through the collaboration with artists, the metaphysical atmosphere and effects are produced together with the product, and the film is filled with artistic features. In addition, it uses cinema type narrative films containing the image and the sense of value of the brand rather than the brand films directly telling the brand story and the history of the brand. Chanel is the only brand out of the eight brands that uses episode films rather than promotional films. It shows the craftsmanship and product characteristics by overlapping the real-time collection and the production process in the preparation rather than simply promoting products. While Burberry does not produce art film, it uses brand films the most among the eight brands. By revealing the symbol of the trench coat as the main material of the film, it shows the tradition and symbol of the brand more clearly. In addition, Burberry is making a brand film by creating their own culture called Burberry Acoustic that reflects the innovative nature of creative director Christopher Bailey. Prada has been using narrative films as a means of expressing identity, among which many fashion films are being produced through the 'Postman Dreams' series. It promotes the product as well as expresses the identity of the symbol and personality by expressing the atmosphere and the narrative of the film together with the product based on the sensibility of Prada. Fendi is mainly making promotion films, most of which show Fendi's identity most clearly by embedding the symbol of fur. In addition, by applying sensibility of characters, it expresses youthful image and personality of Fendi. While Coach does not produce narrative and art films, it is producing promotion, brand, and episode films. Among them, the proportion of promotion film is overwhelming. Coach, the brand philosophy of which is practicality, is expressing their products and brands practically through promotion films. As such, fashion films act as new means of expressing the identity of fashion brands, and as a result, the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ashion industry in the future as a space for various projects.

      •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 조건 변화와 그에 따른 물성에 관한 연구

        박준상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943

        초 전자 산업에서 폴리이미드 필름은 높은 내열성과 낮은 유전상수 그리고,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그들의 좋은 물성으로 인해 그 사용 및 중요성이 점점더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기계적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 즉, 경화 온도, 경화시간, annealing, 연신, 그리고 화학적 이미드화법 등의 효과에 관해 조사하였다. 게다가, 성형성 향상을 위해 저분자량의 전구체에 삼중결합을 갖는 말단기를 도입하였다. 중합을 위한 기본 단량체로는 pyromellitic dianhydride(PMDA) 와 4,4'-oxydianiline(ODA)를 사용하였으며, X선 회절법에 의해 폴리이미드 필름의 결정 구조를 분석하였고, 필름의 열 적, 기계적 특성은 DSC, TGA 그리고 UTM으로 규명하였다. 폴리이미드 필름은 150℃그리고 350℃의 이단계 승온 조건에서 더 좋은 물성을 보였으며, 사슬들의 배향성이 향상되는 연 신에 의해서 그리고, 잔류응력이 제거되는 annealing에 의해 더욱 기계적 물성이 좋아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β-picoline 과 acetic anhydride가 촉매로 사용되는 화학적 이미드화법에 의한 필름의 형성은 처리 과정이 복잡하고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지만 기계적 특성, 특히 인장강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그리고, 3-ethynyl aniline의 말단을 갖는 폴리이미드 필름은 내절성이 매우 우수하였다. In microeletronic industry polyimide film has gained significant importance due to their high temperature properties, low dielectric constants, and desirable mechanical properties. In this study, th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imide film were investigated with the variation of film formation conditions such as curing temperature, curing time, annealing, stretching ratio, and chemical imidization method. Besides, we introduced crosslinkable moieties for favorable processability and good thermomechanical properties. We synthesized polyimide precursor based on pyromellitic dianhydride(PMDA) and 4,4'-oxydianiline(ODA). The morphology of the prepared polyimide film were analyzed using X-ray diffraction. Thermo-mechanical properties was evaluated by DSC, TGA, UTM, etc. The polyimide film which was carried out two step curing at 150℃ and 350℃ showed higher tensile strength. The stretching of polyamic acid film also affected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due to the increased orientation of polyimide chains. The annealing process was also necessary in order to release the residual stress and enhance the mechanical properties. Chemical imidization method induced the best tensile strength and introduction of 3-ethynyl aniline with end-capper promoted good folding endurance.

      • 포스트 인터넷 시대 필름 영화 복원의 다원적 가치와 발전 전략

        이펑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43

        본 논문은 역사적 관점에서 필름시대에서 디지털시대로의 영화 복원의 진화를 연구하였고, 예술연구의 관점에서 영화 복원이 영화 산업 발전에 미치는 역할을 설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영화 복원과 전파로 인한 다원적 가치의 기초 위에서 스트리밍 시대 하에서 신흥 과학 기술이 필름 영화를 보존, 복원, 혁신 및 전파하며 발전을 촉진하는 문제를 탐구하였다. 1895년 뤼미에르 형제가 영화를 발명한 이래 영화는 흑백에서 채색으로, 무성에서 유성으로 약 100여 년의 시간을 거치면서 수많은 전형적인 예술적 명작을 남겼고, 인간 활동의 각 방면을 정치, 군사, 경제, 문화, 스포츠 등 다양한 각도에서 반영하고 기록했다. 영화기술의 발전과 진보에 따라 디지털영화도 찬란한 시대로 접어들었다. 디지털영화는 필름영화보다 특수 기술이 더욱 간편하고 효율적이며, 저비용화로 영화의 배급과 상영이 더욱 편리해지고, 영화의 저장 수단도 더욱 다양해졌다. 그러나 영화는 예술로서 매력적인 스토리텔링과 아름다운 화면뿐만 아니라 하나의 자료 파일로서도 오래도록 보존되어야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필름영화는 이미 100년 동안 증명 받았고, 각국의 영화자료관에서는 여전히 필름을 위주로 보존하고 있다. 하지만 필름 촬영이 몰락하고 영화 촬영이 디지털로 전환되는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필름 영화 복원의 붐이 일어나고 있다. 영화문화유산은 인류문명의 보존과 지속이므로, 이에 대한 복원과 보존은 이미 예술 복원에 있어서 없어서 안될 부분이 되었다. 디지털 시대에 우리는 필름영화의 가치를 발굴하고 필름영화의 보존과 전파를 촉진하는 더 많은 방식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문은 필름 영화 복원 현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필름 영화 복원의 발전 과정을 역사적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예술적 관점에서 필름 영화 복원이 어떻게 역사의 흔적을 보존하는지를 서술하였고, 사례 분석과 문헌 조사의 연구 방법을 통해 필름 영화 복원 및 스트리밍 플랫폼 전파의 사례를 결합하여 필름 영화 복원의 다원적 가치와 의의에 대해 분석하였다. 스트리밍 시대의 배경 하에서 필름 영화의 복원 역사 및 복원 의의를 논술하고, 필름 영화의 재매개화로 인한 역사와 예술, 상업, 문화적 가치를 분석하는 동시에, 상업적 가치의 관점에서 스트리밍 시대의 배경에서 필름 영화의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조언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주로 본문에서 사용하고 있는 연구 방법, 연구 목적 및 혁신점에 대해 소개하였다. 제2장에서는 주로 관련 이론에 대해 소개하였다. 제3장은 사례분석을 통해 수집된 해당 데이터 정보로 필름 영화 복원 및 전파에 관한 다원적 가치에 대해 분석 연구한다. 제4장은 상업적 가치의 관점에서 포스트 인터넷 시대의 배경에서 필름 영화의 발전을 위해 몇 가지 조언을 제공하였다. 제5장은 본문에 대해 총결산하고 전망에 대해 제시하였다. This paper studies the evolution of film restoration from the film era to the digital age, explains the role of film restor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film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art research, and finally explores the problem of new technologies preserving, restoring, innovating, and promoting film development in the streaming era. Since the Lumiere brothers invented the film in 1895, the film has left many typical artistic masterpieces over 100 years from black and white to color, from voice to meteors, reflecting and recording various aspects of human activities from various angles, including politics, military, economy, culture, and sports. With the development and progress of film technology, digital films have also entered a brilliant era. Digital films are simpler and more efficient in special technologies than film films, and the distribution and screening of films have become more convenient due to the low cost, and the storage means of films have become more diverse.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hat movies should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as a single file as well as attractive storytelling and beautiful screens as art. In this respect, film films have already been proven for 100 years, and film archives in each country still preserve film. However, while film filming has collapsed and film filming has been converted to digital, there is a boom in film film restoration around the world. Since film cultural heritage is the preservation and continuation of human civilization,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of it has already become an indispensable part of art restoration. In the digital age, we have learned more ways to discover the value of film films and promote the preservation and propagation of film films. Therefore, the text explor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film film restoration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rough research on film film restoration phenomena. From an artistic point of view, we describe how film film restoration preserves the traces of history, and analyze the multidisciplinary value and significance of film restoration by combining the cases of film restoration and streaming platform propagation through case analysis and literature research. This paper discusses the restoration history and significance of film films in the background of the streaming era, analyzes the history, art, commercial and cultural value of film films, and provides some advice for the development of film films in the background of the streaming era. The main composition of the text is as follows: Chapter 1 introduces the research method, research purpose, and innovation point mainly used in the text. Chapter 2 mainly introduces related theories. Chapter 3 analyzes and studies the multidisciplinary value of film film restoration and propagation with the corresponding data collected through case analysis. Chapter 4 provides some advice for the development of film films in the context of the post-Internet era from a commercial value perspective. Chapter 5 summarizes the text and presents the outlook.

      • 연신 PET 필름 제조공정에서 연신조건 변화에 따른 필름 물성 영향고찰

        김윤상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943

        무연신 PET필름에 대한 일축연신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MDO-LS (Machine Direction Orientation-Lab Stretcher) 연신기기를 설계, 제작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폭 1500mm, 두께 400μm의 무연신 필름 중 중심부와 끝 쪽에서 폭 100mm의 필름을 절단하여 온도에 따른 연신실험을 수행하였다. 연신조건 변화는 연신온도 70℃부터 110℃까지 변화시켜 온도변화 와 각 온도 별로 단순히 가열만을 수행하는 연신비 1배부터 8배까지 비율을 변화시키며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신온도 90℃부터 110℃, 연신 비 6배 까지 균일한 연신이 수행되는 조업창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 범위에서 얻어진 필름을 대상으로 가공-구조-물성의 상관관계를 고찰하기 위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신필름의 MD, TD방향으로 시편을 채취하여 인장실험을 수행한 결과 연신 비 2배까지는 물성의 변화가 없지만 연신 비 3배 이상에서는 항복응력과 모듈러스가 모두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결정구조 분석을 위한 DSC실험 결과에서도 연신 비 3배 이상에서 결정화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복굴절율 차도 연신 비 3배 이상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광흡수율 차이를 고찰하기 위하여 UV-VIS-NIR 장비를 이용하여 200nm부터 2600nm의 파장에서의 흡수율을 분석한 결과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연신 비 증가에 따라 흡수도가 증가하나 UV와 NIR 영역에서는 파장에 따라 차이는 존재하지만 전반적으로 흡수도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소재 가공-구조-물성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실제공정을 그대로 재현 가능한 롤 접착 쿨링방식 인 MDO-LS 연신기기를 사용하였다. 이 실험결과는 연속공정 방식인 실제공정과의 비교분석에서 높은 신뢰성을 보이며 재품생산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연신 된 PET필름의 물성분석 데이터는 향후 연신공정에서 일어나는 가시적 현상에 대해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필름이나 유연성이 높은 필름소재의 개발이 가속화되는 현시점에서 복잡한 필름연신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계속 진행될 것이며 아직 연구해야할 부분이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초적인 실험데이터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하며 실제공정과 연관성 있는 점탄성 고분자 물질에 대한 공정 단위 조작방법의 체계적인 수행이 필요할 것이다.

      • 필름 아카이브의 수집 정책 연구 : 한국영상자료원을 중심으로

        김봉영 한국예술종합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943

        Although it’s been several decades since Korea’s film archives have been established, there is no clear collection policy for the archives. Keeping in mind that this problem needs to be addressed, the author presented a paper that could bring about a collection policy for the non-profit Korean Film Archive by utilizing different approaches such as documentary researches, case studies, research trips,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doption of the Art Marketing Planning Process. First, the paper introduced the history, current state, and role of the film archives and examined the process of collecting films in order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issues. Furthermore, the current status of agencies and institutions which are similar to the Korean Film Archive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were introduced as well as descriptions of their collection policy. The different cases were analyzed to provide the best policies to draw from when formulating a collection policy for film archives. Second, the role and current collection of the Korean Film Archive were reviewed. In addition, a SWOT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inputs from the Environmental Analysis. On the domestic front, the attitude of policymakers has been changed positively and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ntent has grown. They work as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film archives. However, due to the recession, the main concern is that the government will reduce its grants of the film archives. Taking into account that other institutions and agencies are moving ahead to create their own archives, this will put them in direct competition with the Korean Film Archive. Thus, we need to observe their progress and adjust our archive’s strategy accordingly. Internally, the operating budget for the Korean Film Archive has increased but there has been a minimal increase in the budget for collecting films.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for the time being. Meanwhile, a positive aspect is that more staff members have been hired for the film acquisition team, which will strengthen operations. Third, the authors proposed main objective and goals of the the Korean Film Archive using the Environmental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experts. The objective of the agency is to collect all films that have been produced in Korea or Korea related films and to pass them down to future generations. Another objective is to collect film references for education and to be able to access them in order to satisfy the customers' needs. The goals of the Archive can be addressed as the collection and search for new Korean films and lost Korean films; indie films that have been produced in Korea; overseas films that are related to Korea; expansion of films and film references for the Archive theater and the film reference library which will be served for education and public access; and the collection of digital films that have arisen recently. Fourth, the author applied Product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strategies by the Ansoff Product-Market Growth Matrix aimed at growing the business to attain the Archive’s goals. For the Archive’s communication strategy, the author adopted a Promotion strategy. For its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the archive needs to acquire more films in the existing collection scope. Furthermore, the Diversification strategy is to expand the scope of the collection program. Under the two strategies the author illustrated the specific tasks. This author presented a new Promotion strategy that will encourage the recognition of the Archive and put forth a new plan to reinvigorate its collection activities. Lastly, this author suggested collection priority and improved legislation. The pap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and monitoring marketing plans. The paper analyzed the changing environments surrounding the film archive and evaluated the a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Korean Film Archive in order to present an appropriate collection policy. Also, the paper demonstrated how Art Marketing Planning Processes can be applied to the management of the non-profit Korean Film Archive. 한국의 필름 아카이브가 설립된 지 수 십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명문화된 수집 정책이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본 논문은 문헌 연구, 사례 조사, 현장 조사, 전문가 인터뷰, 아트 마케팅 계획화 과정(Art Marketing Planning Process)을 적용하여 비영리 기관인 필름 아카이브의 수집 정책과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 시도이다. 본 연구자는 다음의 과정을 거쳐 한국영상자료원의 수집 정책을 제안하였다. 첫째, 필름 아카이브의 역사와 현황, 역할과 기능, 수집 대상 및 방법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였다. 또한 국내외 유관 기관의 현황 및 수집 정책을 조사하여 필름 아카이브의 수집 정책을 마련할 때 적용 가능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둘째, 한국영상자료원의 기능과 자료 수집 현황을 짚어보고 대내외 환경 분석을 토대로 SWOT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외적으로는 정책 당국자의 긍정적 태도 변화와 문화 콘텐츠의 중요성 증대는 필름 아카이브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지만, 경기 침체에 따른 정부 보조금의 감소 등의 불안 요소들이 도사리고 있다. 그리고 경쟁관계에 있는 조직들이 아카이브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들을 생각해본다면, 이들의 행보를 주시하여 향후 전략에 반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내부적으로는 기관의 예산은 상승했음에도 수집 예산의 증가폭은 미미하였으며 이러한 상태가 한동안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긍정적인 면은 수집 인력의 증가로 인해 업무의 내실을 기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전개한 환경 분석과 전문가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수집 업무의 목적과 목표를 제시하였다. 목적으로는 한국에서 제작된(혹은 한국과 관련된) 모든 영상물을 수집함으로써 후대에 전승시키고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ㆍ열람 자료를 갖추는 것으로 설정해보았다. 목표로서 미보유 및 신규 제작 한국영화의 조사 수집, 국가의 관리 하에 있지 않은 독립영화의 수집,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해외 한국 관련 영상물의 수집, 프로그래밍과 영상자료실을 위한 교육ㆍ열람 자료의 확충, 그리고 새롭게 등장한 디지털 영상물의 수집으로 구분하였다. 넷째,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 전략들 중에서 성장 전략을 기조로 한 ‘제품 개발 전략’, ‘다각화 전략’,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전략에서 ‘프로모션 전략’을 적용하였다. 제품 개발 전략으로는 기존 수집 대상의 추가 확보, 다각화 전략으로는 수집 범위의 다양화라는 틀에서 세부 과제를 도출하였으며, 프로모션 전략을 통해서는 필름 아카이브의 인식 제고와 수집 활동의 활성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실행을 위한 우선순위와 법 제도의 개선점을 제시하였으며 마케팅 계획에 있어서 실행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필름 아카이브가 변화하는 환경을 면밀히 분석하여 기관의 능력과 제약을 평가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수집 정책을 마련하여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예술 경영의 관점이 비영리 기관인 필름 아카이브의 경영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한 유효한 시각임을 알 수 있다.

      • 국내 마이크로필름 소장처의 보존실태 연구

        장현주 한서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43

        The storage and preservation of documents have been continued since human beings began to record things using letters. In addition, people’s life is still heavily dependent on paper, which is count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ventions in human history. However, paper has a limited life and is easily damag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s a complement of paper, microfilm was developed using contemporary technologies in order to manage huge volumes of information images efficiently, to replace original documents and to preserve the original documents permanently. Old books and paper cultural properties extant today play the role of a medium that conveys the phases of old days and historical facts to us. However, we cannot use old materials damaged over a long time as they are to get information from the contents. To solve this problem and to manage continuously increasing materials efficiently, microfilm is used at institutions that have old books and paper cultural properties or a large volume of document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find new roles of microfilm, which is losing its position to digital data, and to survey the current state of existing microfilm. For this, we selected institutions with a collection of old books and paper cultural properties, surveyed them using a questionnaire, identified problems and proposed solutions for the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nagement of microfilm is inefficient due to lack of specialists. People in charge of the management belong to several different departments without clear job definition and carry out their works passively, and multiple departments are involved in microfilm management. In addition, with rapid digitalization, demand for analog?type microfilm is decreasing, which in turn is decreasing the number of specialists available and making it difficult to find qualified personnel. To solve this problem, the microfilm department should be restructured urgently. The current microfilm department takes the form of integrating several relevant departments, but it should be operated in the form of an independent team and in cooper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Second, most of the surveyed institutions fail to provide well?organized adequate storage environment and preservation treatment for microfilm. In addition, the volume of existing microfilm is so large that they have difficulties in finding storage spaces. Furthermore, continuous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microfilm makes it difficult to manage the film effectively. To solve this problem, most of the institutions are preparing storage places and systematic management by constructing new buildings. What is most important, however, is educating and producing specialists in film preservation. Accordingly, for scientific and systematic preservation, we need to creat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roduce specialists. Lastly, storage environment is not definite due to the ambiguous boundary between microfilm for permanent preservation and that for reading. All the institutions are storing microfilm for long?term preservation together with that for reading, and storage environment is adjusted for short?term preservation. Accordingly, depending on purpose, microfilm for permanent preservation should be kept separately in a space with optimal temperature and humidity rather than in the integrated storage. In conclusion, institutions with a collection of old books and paper cultural properties can facilitate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y introducing the hybrid system that combines digital database and scanned images of original texts. 문서에 대한 보관과 보존은 인류가 생겨난 이래 문자가 만들어 지면서 이를 기록하려는 노력과 함께 이루어져 왔다. 또한 세계의 발명이라고 할 정도로 현재까지 종이에 대한 의존도는 매우 높다. 그러나 종이는 그 수명이 한정되어 있으며 여러 환경적인 요인에 쉽게 훼손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대량의 정보이미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기존문서 원본의 대체, 영구보존성 확보를 위해 현대의 기술을 이용한 마이크로필름을 개발하게 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고서적 지류문화재는 그 활용도뿐만 아니라 시대상과 역사적 사실들을 알려주는 좋은 매개체 역할을 한다. 하지만 내용을 통해 정보를 얻기에는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손상된 자료를 그대로 이용할 수는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계속해서 늘어나는 자료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고서적 지류문화재를 소장하거나 대량의 문서를 보관하는 곳에서 마이크로필름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그 위치가 축소되고 있는 마이크로필름에 새로운 역할을 찾아주고, 기존의 보관되고 있는 마이크로필름의 현 상태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고서적 지류문화재를 주로 소장하고 있는 주요기관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여 현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 인력의 부족으로 인한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정확한 편제개편 없이 다른 부서에 소속되어 수동적인 업무를 진행하고 있으며, 다른 부서의 담당자가 마이크로필름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급속한 디지털화의 발전으로 아날로그방식의 마이크로필름의 수요가 줄어 전문 인력이 줄어들어 대체인력이 없는 것이 가장 큰 과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필름 부서의 관제 개편이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의 다른 부서의 통합된 형태가 아니라 독립된 팀의 형태로 운영되어 다른 기관과 상호연계를 통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마이크로필름에 알맞은 보관환경과 보존처리가 미흡한 곳이 대부분이며 체계화가 되어있지 않다. 또한 기존에 만들어진 양이 매우 방대하여 보관 장소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계속되는 마이크로필름의 제작과 복제로 효과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대부분의 기관이 새로운 건물의 증축으로 보관 장소를 확보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준비 중에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부분은 필름보존을 전문적으로 교육하여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따라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보존을 하기 위해서는 교육적인 여건이 조성되어 전문 인력이 양성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영구보존용과 열람용의 모호한 경계로 정확한 보관환경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 모든 기관들이 장기보존용 마이크로필름을 열람용 마이크로필름과 같이 보관하고 있으며 보관환경 역시 단기보존에 적합한 보존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목적에 맞게 제작된 마이크로필름은 영구보존용의 경우 통합수장고가 아니라 독립된 공간으로 적정 온․습도가 유지되는 공간에 따로 보관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고서적 지류문화재를 주로 소장하고 있는 주요기관에서는 하이브리드시스템의 도입으로 디지털 데이터베이스화 작업과 원문 스캔 작업을 통한 정보전달이 더욱 발전될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마이크로필름은 문서의 효율적인 관리와 문서양의 축소보다는 영구보존과 원본의 대체, 복제의 목적에 비중을 두게 된다. 따라서 촬영과 제작보다는 지금부터 보존처리 및 보존관리 전문 인력을 확보가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기존의 마이크로필름과 새로 제작되는 마이크로필름의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것이다.

      • 편광필름의 휨 해석 및 예측

        김훈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3

        평판디스플레이의 재료 중 하나인 편광필름은 빛을 한쪽 방향으로만 편광 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을 구현하는 과정의 일부를 담당한다. 두께가 대략 0.1mm 내외인 편광필름은 박막의 필름이 여러 겹 적층 된 구조이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징과 기능에 맞추어 다양한 종류의 박막필름을 조합할 수 있다. 여러 종류의 박막필름은 각각의 공정을 거치며 미소한 변형이 발생하고 그 변형이 복원되기 전에 하나의 필름으로 적층 된다. 최종 제품 상태에서는 변형의 원인이 제거되어 각 재료는 초기 상태로 복원하려고 하지만 각 재료의 변형 율과 물리적 특성이 서로 상이하여 최종에는 각 재료 간의 힘과 모멘트가 평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그 복원이 멈춘다. 평형 상태에서 편광필름에 휨이 없다면 가장 이상적이겠지만 실제 양산에서는 일부 휘어진 형태를 가진다. 휘어진 방향과 정도가 특정 기준을 초과하면 편광필름을 디스플레이 표면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기포가 남는 형태의 불량을 유발하기 때문에 휨은 중요한 품질 기준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편광필름 제조 과정에서 재료의 변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주요 공정 조건을 온도와 텐션으로 가정했다. 각 재료의 변형과 적층 후 최종 평형 상태에서 휨의 방향을 해석하고 휨을 완화하거나 특정 방향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제조 공정에서 각 재료의 변형은 선형 정적해석이 가능한 탄성 영역이고, 각 재료의 스트레스를 휨, 온도, 텐션 3가지의 변형율로 정의하여 최종 평형 상태에서 휨의 방향이나 정도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했다. 정의한 모델링으로 해석한 결과 2층 구조는 단순히 두 재료의 변형 율 차이가 적을수록 휨을 최소화할 수 있지만, 3층 구조에서는 휨을 최소화하는 여러 변형 율의 조합을 찾을 수 있었다. 해당 모델링에 대한 검증은 실제 양산 이력 중 대표적 특징을 가지는 제품에 대해서 진행했고, 휨 현상 해석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했다. 휨 해석을 통해 양산에서는 품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정 조건의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수 있었고, 개발제품에서는 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료의 조합을 추천할 수 있었다. A polarizing film, which is one of the materials of a flat panel display, is a part of the process to realize an image of a display device. A polarizing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1 mm is a structure in which thin films are stacked. Several kinds of thin film are processed through each process and an infinitesimal deformation occurs. In the final product state, the causes of deformation are removed and each material is tried to be restored to the initial state. Finally, the restoration is stopped in a state where the force and moment between each material are in equilibrium. It is ideal if the polarizing film has no warping in the equilibrium state, but it has some warped shape in actual production. Warpage is an important quality criterion because it causes defects in the bubbles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polarizing film to the display surface if the warping direction and degree exceed a certain standard. In this study, we assume that the main process conditions that affect the deformation of materials in the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process are temperature and tens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rections of bending in the final equilibrium state, and to propose a mass production guideline that can alleviate bending or deform in a specific direc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each material deformation is an elastic region, and strains of each material are defined as three kinds of causes bending, temperature, and tension. Stress equations for each material are defined by the above three factors that cause material deformation. The sum of the forces and moments in the equilibrium state is 0, which can be used to define the modeling that exp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ain rate and the warpage. With the defined modeling criterion, the two-layer structure can minimize warpage as the difference in deformation ratio between the two materials is minimized, but the three-layer structure can find a myriad of combinations of strain rates that minimize warpage. The validation of the modeling has been carried out on products with typical characteristics of actual mass production history, and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problem in analyzing quality issues. Through the bending analysis, it is possible to present the guideline of the process conditions that can solve the quality problem of the mass production, and it is possible to suggest a combination of materials that can minimize the warping of the developed product.

      • 대전방지필름 제조공장의 화재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ire Risk Assessment of Antistatic Film Manufacturing Plants

        허원일 경원대학교 환경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에서는 대전방지필름 제조공장의 공정 특성에 따른 화재위험성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대전방지필름 제조공정에서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콜 같은 인화점이 낮은 용제가 사용되며 이들 용제의 최소점화에너지는 0.16 mJ~0.65 mJ로 작은 방전에너지에도 쉽게 착화할 수 있다. 제조설비 각 부분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전위를 측정해 보니, 합지 과정의 필름에서 17 kV~20 kV의 전위가 측정되었다. 이는 화재․폭발 방지를 위한 부도체의 대전 목표값인 5 kV를 초과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전방지필름 제조공장에서 정전기 방전에 의한 화재위험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연성가스 등과 정전기의 조건만 맞아진다면 대형 화재로 발생할 가능성이 충분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전방지필름 제조공장의 접지 상태는 중소기업이라는 공장의 특성 상, 각 단위 설비별 접지만으로 시설되어 있어 공장 전체 접지 시스템을 적용해야만 이상의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대전방지필름 제조공장의 생산시설에 대한 소방설비의 기준은 정량적인 관점에서 규정하고 있어 규모가 작은 소단위 공장일수록 화재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공업별, 공정별로 세분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가연성 가스 등에 의한 중독성 및 비상전원이 배제된 상용전원만 연결된 환기시스템의 정전 시 동작불능 등, 소방관련 사항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환경적 영향에 대한 문제점도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 필름산업의 물류혁신에 관한 연구 : S사 사례를 중심으로

        심재인 명지대학교 부동산유통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943

        글로벌 경영이 보편화되면서 글로벌 기업들은 생산 국제경쟁력 확보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원가 절감 및 품질을 향상하고, 국내의 한정된 자원 및 소비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원재료 구매 및 제품 생산과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의 변화로 다빈도 소량 생산체제가 확산되면서 기업들은 생산과 소비의 장소적, 시간적, 양적인 격차가 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물류일 것이다. 제3의 이익 원 으로 인식되고 있는 물류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어느 때 보다 높아지고 있다. 기업 물류부분이 제3의 이익원이 되려면 물류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물류비용을 감소할 뿐만 아니라, 물류를 통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국내 기업들은 선진국 기업들보다 매출액 대비 물류비 비중이 높아 물류를 통한 새로운 가치창출이 어려운 실정이다. 국내 물류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주기업들은 3PL 전문기업과 물류 부문에 대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PL 전문기업이 국내 화주기업들 중 3PL 활용에 관심은 있으나 아직 활용치 않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물류혁신 사례를 체계적으로 이행할 수 있도록 S사의 물류혁신사례연구를 통한 모델을 제시함으로서 앞으로 우리나라 3PL 전문기업의 육성만이 우리나라 물류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확신한다. As global management is generalized, global companies are making the cost reduction and quality upgrade which is essential for international competitive securement and also raw material purchasing, product manufacturing, and their sales toward the whole world are being don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ed domestic resources and consuming market’s limitation. As the high frequency and small quantity production system is spreading throughout the world in accordance with the consumption patterns’ change, companies are facing the time, place and quantitative differences between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erefore logistics plays a important role for settlement of these differences. Companies’ attention for logistics as the third profit source is more soaring than ever before. In order as logistics’position is secured as the third profit source, companies will have to accomplish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logistics and the value creation by logistics. But in case of domestic companies, because the logistics cost in comparison with sales is very high, it’s so difficult to make new value creation through the logistics. Companies will have to make the strategic partnerships with the third specialized party logistics for resolving the logistics issues and domestic logistics inef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will systematically establish logistics innovation examples and process for the small businesses which have plan to use the third party logistics but doesn’t make the full and best use of it. This study is mainly introducing good examples("s" company) applied by the advanced and high value-added logistics services which help the companies to apprehend total logistics process and issues for securing logistics competitiveness by using the third party log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