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환자에서 high-affinity IgE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의 의의

        이훈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08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의 발병기전에 Ig E에 대한 high-affinity 수용체인 FcεRI에 대한 자가항체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나 항체의 특성이나 기능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 없으며 자가항체 보유군의 임상적 특성도 알려져 있지 않다.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환자 중 이러한 순환 자가항체를 가진 환자의 적격검사로 환자혈청의 피내주사를 이용한 자가혈청 피부반응 검사법이 적절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최근의 연구들에 의하면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환자의 약 3분의 1에서 FcεRI이나 IgE에 대한 순환자가항체가 발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가혈청 피부반응검사와 혈청 항 FcεRIα항체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환자에서 자가혈청 피부반응검사를 시행하여 양성율을 조사하고, 사람 FcεRIα를 제조한 다음, 제조한 FcεRIα를 이용한 효소면역표지법을 시행하여 만성 두드러기 환자의 혈청으로부터 FcεRIα에 대한 자가항체의 검출빈도를 관찰하였으며, 항 FcεRIα항체 양성인 환자군과 음성인 환자군 간에 임상적 소견을 비교 관찰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두 41명의 대상환자군에서 자가혈청을 이용한 피부반응검사 결과 24명(58.5%)에서 양성반응을, 17명(41.5%)에서 음성반응을 보였다. 피부반응검사 양성군과 음성군의 임상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 외 일반혈액검사와 항핵항체검사, 보체검사 모두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다른 자가면역질환의 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2. 사람 FcεRI의 truncated α chain에 대한 cDNA를 중합효소 연쇄 반응으로 증폭한 후 pMT 매개체에 서브클로닝한 다음 pMT를 CP 세포주에 전환시킨 후 균 배양을 통해 증폭시킨 뒤, Insect cell에 트랜스펙션시켜 수용성 사람 FcεRIα를 제조하였다. 3.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환자 41명 중 14명(34%)에서 혈청 항 FcεRIα 항체를 관찰할 수 있었다. 4. 피부반응검사 양성군에서는 24명 중 8명(33%), 음성군에서는 17명중 6명(35%)에서 항 FcεRIα 항체를 검출하였다. 5. 항 FcεRIα 항체 양성군에서 여자환자가 많았고 유병기간이 긴 것 외에 항체 양성군과 음성군 간에 임상적 소견에서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환자의 혈청내에 항 FcεRIα 항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나, 자가항체 양성군과 음성군 간에 뚜렷한 임상적 특성의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자가혈청 피부반응검사와 항 FcεRIα 항체의 실제 검출율과의 상관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 The pathogenesis of chronic idiopathic urticaria is not completely understood, but mast cell degranulation and histamine release are thought to be of central importance. It is now established that circulating autoantibodies against the high-affinity Ig E receptor(FcεRIα) can be found approximately one third of patients with chronic idiopathic urticaria. These autoantibodies can be detected by in vivo autologous serum skin test and by in vitro basophil and mast cell histamine release assays as functional tests, and also can be confirmed by in vitro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o FcεRIα and Western blot analysis. Our purpose was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positive autologous serum skin test and anti-Fcε RIα antibody in chronic idiopathic urticaria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with and those without autoantibodies in the clinical features. Results are as follows: 1. Positive result to autologous serum skin test was 58.5% in 41 patients of chronic idiopathic urticari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linical features and laboratory tests between patients with positive skin test and those with negative results. 2. cDNA to truncated α chain of human FcεRI was amplifica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n subcloned to pMT vector. pMT vector was transformed to CP cell line and amplificated, then soluble human FcεRIα was produced by transfection to insect cell. 3.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ti-FcεRIα antibody was detected in sera from 34% of patients with chronic idiopathic urticaria. 4. In sera from 33% of patients with positive skin test and 35% of those with negative result, we could demonstrate anti-FcεRIα antibody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5. There was no differences of clinical features and laboratory tests between the patients with autoantibodies to FcεRIα and those without, except female predominance and longer urticaria history in those with autoantibodies. Our results demonstrated anti-FcεRIα antibody in the sera of chronic idiopathic urticaria pati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s of clinical features and laboratory tests between the patients with autoantibodies to FcεRIα and those without. And we could not demonstrate the correlation between autologous serum skin test and the occurrence of anti-FcεRIα antibody.

      •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피부반응검사와 혈청 rast검사에서 음성의 결과를 보이는 알레르기성 비염환자에서의 비즙내 특이항체체의 검출

        최종철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93

        알레르기성 비염의 진단에 있어서 임상적인 병력과 이학적 검사와 함께 피부반응검사 및 혈청에서의 면역검사를 통한 원인 항원의 규명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알레르기 비염의 진단에 있어서 피부반응검사와 혈청에서의 면역학적 항체검사에서는 음성을 보이지만 비 유발검사에서 양성을 보이는 경우에는 전신적인 알레르기 면역반응보다는 표적기관의 국소적인 알레르기 반응을 의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일반적인 알레르기성 비염의 검사방법으로는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국소적인 알레르기 반응 즉, 국소 표적기관인 비강점막에서 항체의 존재를 증명하고자, 임상적인 병력과 이학적 검사에서 전형적인 알레르기성비염의 소견을 보이며 알레르기성 비염의 가장 많은 원인항원인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비 유발검사에서 양성의 결과를 보이지만 피부반응검사와 혈청에서의 면역학적 항체검사에서 음성의 검사결과를 보이는 환자들 즉, 국소알레르기성 비염을 의심케 하는 대상군과 병력과 이학적 검사 뿐 만 아니라 모든 알레르기검사에서 전형적인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알레르기성 비염의 소견을 보여 알레르기성비염이라 진단 받은 환자군, 그리고 정상 대조군에서 집먼지 진드기(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의 항원을 이용하여 비강에 분무한 후 비강분무전과 분무 후로 나눠 비강점막에 존재하는 항체를 면역학적 특이항체검출검사(Radioallergosorbent test)로 비교하여 본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상 군과 정상 대조군에서 채취한 비즙에서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항체의 존재를 관찰하여 본 바 대상 군에서는 항원분무 후 비즙에서의 항체가 항원분무전의 결과와 비교해서 양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정상 대조군에서는 항원분무 전과 항원분무 후, 모두에서 항체검출이 용이하지 않았다. 한편, 알레르기성비염환자군에서는 항원분무전과 항원분무 후의 비즙에서 항체검출이 모두 높게 검출되었다. 비즙에서의 항체검출은 통계학적인 결과분석에서 항원분무전에는 대상 군과 알레르기성 비염군, 그리고 정상 대조군에서 서로 다른 검사결과의 유의성을 보여 다른 집단으로 구별되었으나 항원분무 후의 결과에서는 대상 군과 알레르기성비염 군에서는 같은 통계학적인 분포집단으로 분류되어 알레르기성 비염 군과 동일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논란이 되고 있는 국소알레르기성 비염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표적기관인 비강점막에서 특이항체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이는 비조직에 국한된 특이항원-항체반응의 알레르기성 면역반응이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diagnosis of allergic rhinitis due to specific antibody is essentially dependent upon a clinical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skin test result, and especially immunological technique in vitro used for the detection for specific IgE antibody in serum. However, sometimes we can see the patients with positive results from nasal provocation test with allergen presented negative results from skin test and immunological technique in vitro, it was assumed that localized allergy make a contribution to these results and systemic allergic reactions are not completely correlative to that of the localized allergy. This study was therefore designed to explore the presence of antibody in nasal mucosa as immunological target organ and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RAST(radioallergosorbent test) results in nasal secretion of localized allergic 5 patients and controlled groups(systemic allergy 5 patients and non allergy 6 patients). The nasal secretion was collected used nasal suction method in three groups before antigen(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nasal spray and after 20minutes separately. The results were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localized allergic patients and controlled groups before antigen nasal spray but, statistical significant correlation (P <0.01) between localized allergic patients and allergic patients after antigen nasal spray. We suggest that localized allergic reaction is a specific antigen-antibody allergic immunologic reaction and RAST in nasal secretion is good assistant diagnostic technique in localized allergy.

      • Self-shaping of dissolving microneedles by a centrifugal lithography for transdermal delivery of biopharmaceuticals

        양휘석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8 국내박사

        RANK : 249656

        바이오의약품을 탑재한 고분자 마이크로구조체는 바이오의약품의 활성유지를 위해 잘 제어된 환경에서 제작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바이오의약품의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고분자의 성질을 이용하여 간단한 제조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번의 원심분리로 고분자 마이크로구조체를 제작하는 원심성형법을 선보였다. 고분자 히알루론산 용액의 인장시험을 통해서 원심성형 동안 히알루론산 방울의 자가성형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방법에서 히알루론산 방울은 원심력의 인가를 통해 머리 형성, 목 생성, 인장, 접촉, 얇아짐의 자가성형 과정을 거쳐 모래시계구조로 성형되었다. 성형된 히알루론산 구조체는 원심분리 고화과정을 통해 모래시계 형상의 마이크로구조체로 고체화 되었다. 두 개의 판 사이에 형성된 모래시계 마이크로구조체는 내판과 외판에 각각 에펠탑과 돔 형상을 갖는 두 개의 마이크로니들로 분리되었다. 경피전달능 평가를 통해 두 가지 마이크로니들 모두 피부를 통한 약물전달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완전히 이식하기 위하여 마이크로랜서를 사용하여 피부에 적용하였으며, 피부에 이식된 마이크로니들은 체액에 의해 용해되어 그 함유성분을 피부내에 방출하였다. 결핵 단백질 정제물 (PPD)은 저온 조건의 원심성형을 통해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에 탑재되었다. 쥐의 비장세포와 인간혈액 면역반응 실험을 통해 결핵 단백질 정제물의 면역 활성이 마이크로니들 제작되는 과정에서 잘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원심성형으로 제작한 결핵 단백질 정제물이 탑재된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은 면역반응 유도를 위해 기니피그의 등 피부에 이식되었다. 마이크로니들을 통한 결핵 단백질 정제의 전달은 기존의 주사기를 통한 검사보다 적은 손상으로 면역반응으로 발생한 경결의 크기로 결핵균 감염여부를 판정하는 결핵피부반응검사를 달성하였다. 위와 같은 바이오의약품을 탑재한 다양한 고분자물질의 마이크로구조체 제작에 대한 일련의 발견은 다양한 의료기기 및 치료기술의 개발을 촉진할 것이다. Biopharmaceutical encapsulating polymeric microstructures must be fabricated in a controlled environment to preserve the biological activity. In addition,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simple methods to preserve the biological activity of biopharmaceuticals by utilizing the natural properties of polymers. This study showed that centrifugal lithography (CL) capable of fabricating such microstructures through a single centrifugation. The polymer solution showed a yield peak during a tensile test revealing the selfshaping properties of hyaluronic acid (HA) during a CL. In this method, HA drops were self-shaped into hourglass-microstructures through a self-shaping process which includes polymer drop, head-rising, necking, elongation, contact and thinning by applying centrifugal force. The self-shaped HA drop was next solidified through centrifugal solidification which results in hourglass-shaped solidified microstructures. The hourglass-shaped microstructure between two plates were then divided into two dissolving microneedles (DMN), producing an Eiffel tower- and an onion dome-shaped microneedles on the inner and outer plate, respectively. Our evaluations showed that both microneedles facilitated the transdermal delivery across the skin. We utilized microlancer, an applicator which is used to completely insert microneedles into skin, to insert microneedles into the skin. The implanted microneedles were then dissolved through interstitial fluid of body and therefore released its ingredients inside the skin. Tuberculin purified protein derivatives (PPD) was encapsulated into HA DMNs at 4°C through CL. The immunological activity of PPD loaded in HA DMNs was maintained during the fabrication process of CL which was confirmed by in vitro immunoassay with stimulation of mouse splenocyte and human blood. The PPD loaded HA DMNs were implanted into back skin of guinea pigs to induce an immune response. The tuberculin skin test (TST), which diagnose the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fection with estimating the size of induration caused by the immune response upon delivered PPD, was achieved with implantation of DMNs. This indicated a minimal damage, as opposed to the case of TST with traditional hypodermic needles. Findings of this study can trigger the development of various microneedle based biomedical devices and therapies in future.

      • D.P.와 D.F.에 대한 피부반응검사와 RAST검사에서 음성을 보이나, 비내유발검사에서 양성을 보이는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비즙 및 비점막에서 특이 IgE항체의 검출

        김종엽 건양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Background and Objectives : In the present, the diagnosis of allergic rhinitis is dependent upon the skin test and immunological technique in vitro used for the detection for specific IgE antibody in serum. However, some patients had a clinical history strongly suggestive of D.P., D.F. allergy but negative skin prick test and immunological technique in vitro. These patients were proved to be clinically allergic by nasal provocation with D.P.,D.F.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se patients had allergic rhinitis mediated by the local production of IgE antibodies. Me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was therefore designed in nasal secretion of 5 localized allergic patients and 5 systemic allergic controls. The nasal secretion was collected by nasal suction method each in two groups before and 10 minutes after D.P.,D.F. antigen nasal spray, respectively. and Nasal turbinate mucosa was stained by Immunofluoroscene method. Results : There wa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specific IgE antibody before and after nasal spray between localized allergic patients and systemic allergic patients.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in the change of specific IgE antibody between before and after nasal spray. Immunofluoroscene staining was failed due to cross-linking reaction of Rabbit anti human IgE antibody. Conclusion : We suggest that localized allergic reaction is a specific antigen-antibody allergic immunologic reaction. Nasal provocation test and ELISA in nasal secretion are good assistant diagnostic technique in localized allergy.

      • 알레르기 피부반응검사에 대한 임상적 고찰

        허형빈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9630

        Many studies have been developed to know the pathophysiology of allergic rhinitis. Allergic skin test has been broadly used still to diagnose the allergic rhinitis because it is inexpensive, easily peformed, less risk and more reproducible. In addition rhinoscopic examination, PNS X-ray, total blood eosinophil count and serum IgE level have been used routinely to assist the diagnosis of allergic rhinit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in the group revealed positive response to allergic skin test. Allergic skin test with Bencard allergens was performed in 123 cases that were suspected of allergic rhinitis at th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of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Seoul Hospital during a period of 1 year from August 1996 to July 199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oportion of positive response to allergic skin test was 56.1%, and the ratio between female and male was 1.3: 1. 2) The most common allergen in the study was house dust(59.4%), followed by Dermatophagoides farinae(56.5%),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34.8%), mugwort pollen(23.2%), and horse hair and dander(11.6%). The positive response to multiple allergens(68.1%) was more common than the single allergen(31.1%). Especially positive response to two allergens(36.2%) was most common in positive response to multiple allergens. 3) The symptom of watery rhinorrhea, stuffy nose, sneezing and itching sensation of the nasal cav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 revealed positive response to allergic skin test and the negative group(p>0.05). 4) The proportion of finding of the pale mucos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revealed positive response to allergic skin test compared with the negative group(p<0.05). 5) PNS X-ray find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 revealed positive response to allergic skin test and the negative group(p>0.05). 6) The number of blood eosinophils and serum IgE level were not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revealed positive response to allergic skin test compared with the negative group(p>0.05).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symptom of the nasal allergy, PNS X-ray finding, the number of blood eosinophils and serum IgE level were not useful in the diagnosis of allergic rhinitis and could be used only as adjunctive tools. Therefore delicate history, rhinoscopic examination and allergic skin test were important to diagnose the allergic rhinit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