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화학적으로 개질된 그래핀과 폴리티오펜 나노복합체 제조 및 특성 : 동시중합법에 의해서 제조된 질소 도핑된 그래핀과 폴리티오펜 나노복합체에 대한 연구

        배호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71

        폴리티오펜은 대표적인 전도성 고분자로써 우수한 전기전도도와 환경적 안정성을 가지며 슈퍼캐패시터, 배터리의 전극소재를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핀은 탄소 원소가 이차원 평면으로 배열된 화학적 구조를 가지며 그러한 독특한 구조로 인해 뛰어난 전기적, 기계적 특성 및 열적 안정성을 나타내어 상당한 관심을 받고 있다. 슈퍼캐패시터는 이차전지에 비해 높은 출력밀도를 가지고 콘덴서에 비해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반영구적인 저장장치로서 새로운 에너지 저장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슈퍼캐패시터 종류인 의사캐패시터용 전극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전도성 고분자와 탄소 계열의 복합소재의 구조적 및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티오펜을 사용하였으며, 기존의 그래핀에 질소를 도핑 함으로써 그래핀보다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탄소 계열 물질을 첨가하여 복합재료를 준비하였다. 제조 된 시료는 모폴로지 및 화학적 구조 분석 그리고 전기화학적 분석을 통해 특성 확인을 하였다. 먼저 질소가 도핑 된 그래핀의 경우 XPS분석 결과 6 % 정도의 질소가 그래핀 내에 도핑 되었고 도핑 후 그래핀의 전기전도도가 3.57E-3 S/cm에서 1.6E-2 S/cm로 증가하였다. 폴리티오펜/질소가 도핑 된 그래핀의 복합체는 SEM, TEM 그리고 XPS분석 결과로 동시중합법으로 성공적으로 복합체가 제조됨을 관찰하였다. 전기화학적 분석 결과 폴리티오펜/질소가 도핑 된 그래핀 복합체의 전기전도도가 2.0E-5 S/cm로 기존 폴리티오펜/그래핀 복합체(3.3E-6 S/cm)보다 향상되었다. Polythiophene, a representative conducting polymer, ha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nvironmental stability. It is used as electrode materials for supercapacitor.Graphene has the chemical structure consisting oftwo-dimensionallayerofcarbon atoms,and haveattractedconsiderableinterestduetotheextraordinary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rising from its unique structure. Supercapacitors have been extensively explored and become a promising technique to various energy storage applications,due to their high power densities,energy densities and long-term cycling stability.In thisstudy,compositesofconducting polymerandcarbon materials using forelectrodematerials ofpseudocapacitorhave been prepared and investigated.Morphology was characterized by SEM and TEM.Chemicalstructure and electrochemical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XPS,XRD,RAMAN and Cyclic Voltammetry.XPS spectrum analysis shows thatthe atomic percentage ofnitrogen in doped graphenesamples can beadjusted up to 6 %.Afternitrogen doping process,electricalconductivity of graphene increased from 3.57E-3S/cm to1.6E-2S/cm.Polythiophene/nitrogendopedgraphene composites were synthesized by in-situ polymerization. Electrical conductivity of polythiophene/nitrogen doped graphene composites (2.0E-5 S/cm) more improved than that of polythiophene/graphene composites(3.3E-6S/cm).

      • Fabrication of photoluminescent polythiophene nanoparticles and study of their optical property and film formation for application

        오정준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4

        Polythiophene (PT) were prepared by Fe3+-catalyzed oxidative polymerization in aqueous medium. The size of polythiophene nanoparticles have been changed by the various concentration of surfactant such as sodium dodecyl sulfate (SDS) or poly(sodium 4-styrene-sulfonate) (PSS). And they were characterized by UV-vis absorption spectroscopy,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As the amount of surfactant increased, the final size of polythiophene nanoparticles also decreased ( from 53 nm to 16 nm ). This size reduction induced the enhancement of photoluminescent property and quantum yield, which was characterized by photoluminescence spectra, due to the increase of surface area. And the wavelength of each maximum photoluminescent intensity shiftd a little toward short wavelength. Their morphology, determined by SEM, is almost like sphere. The molecular weight of polythiophene nanoparticles were measured by GPC after nitration process. Polythiophene nanoparticles, prepared with PSS as a surfactant, were directly used to make a film without dissoloving in any organic solvent by annealing at 150℃. They showed emission at 580 nm and PT nanoparticles were embedded in PSS matrix, which was confirmed by SEM cross section. The device made by PT nanoparticles prepared wigh PSS and ITO electrodes showed fluorescent switching property. This implies that PT nanoparticles with PSS can be applied to electro-optical switches. 본 연구에서는 티오펜을 과산화수소와 철을 촉매로 사용한 산화중합법을 이용하여 폴리티오펜을 합성하고 유화제의 종류(sodium dodecyl sulfate (SDS), poly(sodium-4-styrene-sulfonate) (PSS)) 와 양을 달리하여 크기가 다른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이것이 발광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또 유화제를 PSS를 써서 만든 입자를 필름으로 제조하여 발광특성을 알아보고 에멀젼상태에서 전기발광특성을 조사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나 디스플레이, 광학 센서등에 대한 응용성을 알아보았다.유화제로 SDS나 PSS를 이용하여 그 양을 늘리면서 티오펜의 산화중합을 유도한 후 중합된 입자들을 SEM과 TEM으로 분석해본 결과 유화제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입자크기는 약 50 nm 에서부터 16 nm정도로 줄어드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화제의 양이 증가하면 반응초기에 형성되는 모노머가 들어있는 마이셀의 크기가 작아지고 이것이 결국 최종적인 입자크기를 결정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현상이 일어난 것이다. 이렇게 합성된 폴리티오펜 입자들을 에멀젼 상태에서 UV와 PL 스펙트럼을 측정을 해보았다. UV 스펙트럼상에서는 대부분 400~420 nm에서 흡수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를 excitation wavelength로 하여 PL을 찍어본 결과 입자 크기가 작아질수록 발광세기가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측정된 입자 크기를 통해 입자의 표면적과 입자 개수를 구하였고 이를 통해 다시 전체 발광표면적을 계산해 낼 수 있었는데 그 결과 입자 하나의 표면적의 감소비율보다 입자 개수의 증가비율이 훨씬 커서 전체 발광표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입자 크기가 작아질수록 발광을 저해하는 self absorption 현상이 줄어들기 때문에 발광세기는 커진 것이다. 폴리티오펜을 nitration을 통해 THF, DMF, DMSO등에 녹을 수 있는 폴리머로 합성한 후 분자량을 측정하여 원래의 폴리티오펜의 분자량을 간접적으로 추측해 볼 수 있었는데 입자 크기가 작은 것일수록 마찬가지로 분자량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SS를 사용하여 중합한 폴리티오펜 입자들은 150℃에서 annealing에 의하여 PSS 매트릭스에 나노 입자들이 박혀있는 모습의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고 이는 SEM의 단면 이미지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필름들은 580 nm부근에서 발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PSS로 중합한 에멀젼을polyelectolyte를 섞어 ITO 기판에 가두어서 만든 장치는 -4V, 0V, +4V로 전압을 바꿔줌에 따라 발광세기가 조절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유기발광다이오드나 디스플레이, 전기발광 스위치 센서등에 폴리티오펜 입자를 PSS와 함께 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